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墳周土器로 본 古代榮山江流域

        서현주 호서고고학회 2018 호서고고학 Vol.0 No.39

        The cylindrical pottery excavated in tomb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surround the burial mounds, having direct connections to the construction of tombs and having much to do with Haniwa from the era of tombs in Japan.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cylindrical pottery, which fell in the periods of 3rd~4th century and the late 5th~early 6th century and gradually expanded in its distribution. As its data from the 5th century was added recently, its regional distribution patterns became clear by the stage. This study set out to renew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cylindrical potter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by including recently discovered materials and examine the situations of the basin in ancient times based on the changes by the period and regional distribution patterns by the stage of cylindrical pottery. The cylindrical potter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has three major types according to overall forms and combinations, and they are the jar, pottery stand, and cylinder types. It shows its changing patterns in three stages. As it moved from Stage 1 through Stage 2 to Stage 3, its distribution expanded in the basin. Stage 3 witnessed clear regional differences, following Stage 2. As for its distribution patterns in Stage 3, its traditionality of succeeding the previous period was well demonstrated in whether it was used or not; the exchange patterns with Japan were well exhibited in the distribution of its subtypes; and the relations with Baekje were well demonstrated in the use of roof tile-type pottery instead of cylindrical pottery. They eventually reflect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strategies of local forc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영산강유역 고분에서 출토되는 墳周土器(원통형토기)는 분구 가장자리나 정상부에 둘러세워 고분의 조영과 직접 관련되며 일본 고분시대의 토제하니와(土製埴輪) 와도 연관이 많은 유물이다. 분주토기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유물의 명칭뿐 아니라 형식 분류나 변천에 대해 상당히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었다. 그동안 발견된 자료와 연구를 통해 영산강유역의 분주토기는 3∼4세기대, 5 세기 후엽∼6세기 전엽에 해당되며 점차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최근자료가 늘어나면서 5세기 전반이나 중엽의 자료가 추가되어 두 시기의 양상이 이어질 수 있게 되었고, 단계별로 지역적인 분포 양상도 명확해지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최근 발견된 신자료를 포함시켜 영산강유역의 분주토기를 다시 형식분류하고, 시기적 변천과 지역적 분포 양상을 통해 고대 영산강유역의 상황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영산강유역의 분주토기는 형태가 상당히 다양하지만 전체적인 형태와 조합에따라 호형, 기대형, 통형의 3개의 형식으로 분류하고, 호형은 무돌선식(a,b,c식), 돌선구획식, 통형은 월계동식, 신촌리식, 금산리식으로 세분하였다. 단계별 형식의변천 양상을 살펴보면, 1단계는 호형 중 무돌선 a식과 좀 더 늦게 b식이 이어지는시기로, 4세기대가 중심이며 5세기 초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2단계는 호형중 무돌선c식과 돌선구획식, 그리고 기대형 등 비교적 다양한 형태가 보이는 시기로, 5세기 중엽이 중심이며 약간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3단계는 통형이 주류를이루는 5세기 후엽∼6세기 전엽으로, 세부형식들이 대체로 지역적인 분포 차이를보이며 각 형식의 변화 양상도 비슷한 편이다. 1단계에 비해 2단계나 3단계로 갈수록 영산강유역 내에서 분포가 확대되는데 특히 3단계에는 지역적인 차이도 명확해진다. 즉, 2단계부터 분주토기가 사용되던 지역은 대체로 분주토기가 이어지며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월계동식, 신촌리식, 금산리식), 사용되지 않던 지역은 분주토기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2단계에 분주토기와 함께 와형토기가 존재했던 지역은 분주토기 대신에 고분 정상부에서 와형토기가 확인된다. 이러한 2~3단계의 분주토기 분포 양상은 분주토기의 사용 여부에서 앞 단계에 이어지는 전통성, 통형분주토기 세부형식의 분포에서 왜와의 교류 양상, 분주토기를 대체하는 와형토기의 존재 등에서 백제와의 관계를 잘 보여주며, 여기에는 결국 영산강유역지역세력들의 부상과 차별화 전략이 반영되어 있다고 추정된다.

      • KCI등재

        조선후기 분주인(分主人)의 존재양태와 활동양상 연구 -공인문기(貢人文記)를 중심으로-

        한효정 ( Han Hyojung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1 No.-

        이 논문은 貢人文記 및 각종 主人權 고문서를 통해 分主人의 존재양태와 활동양상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분주인은 일정한 임차료를 내고 권리를 빌려 공인이나 각 주인의 업무를 담당했던 사람을 일컫는 용어로서, 조선 후기에 공인층에서 권리 소유자와 업무 대행자로 분화되었던 현상을 보여주는 지표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분주인의 핵심 개념인 分을 분석해본 결과, `공인을 비롯한 각종 주인의 업무` 또는 `국가에서 지급했던 貢價`의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당시 국가에서 분주인에게 貢價를 지급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분주인을 공인층의 단순한 대행업자가 아닌 소유권이 없는 공인이나 각종 주인으로 개념화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로 판단되었다. 고문서에 나타난 분주인은 알려진 것과는 달리 상당히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기존 공인이나 각종 주인들이 소유권을 매도했지만 분주인으로서 해당 공인의 업무를 계속하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이는 경제적 어려움에 따라 기존 공인이나 각 주인들이 몰락하는 현상으로 볼 수도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된 사례에서 분주인의 능동적인 경영의 측면을 분석할 수 있었다. 특히 還退賣買 문서 가운데 실제 거래내용은 기존 소유권자였던 공인이나 각 주인이 분주인이 되어 소유권을 전당해서 매수자에게 돈을 빌렸던 사례가 있어 분주인의 능동적 경영의 면모를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공인권 재주와 분주인이 가족, 친인척 관계인 사례에서 위의 환퇴매매 사례와 더불어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기 어려운 특징이 드러났다. 한편 분주인의 盜賣에서 비롯된 분쟁사례를 찾아볼 수 있었는데, 이는 당시 공인권의 매매에서 官의 공증을 거치지 않은 白文記 거래가 일반적이었고 또한 공인 명단에 借名으로 기재되었거나 소유권 이전에 소극적인 세태가 관련이 깊었다. 또한 분주인의 문서위조 사례를 통해볼 때 분주인의 二重賣買 혹은 盜賣행위는 담당 吏屬들의 묵인 아래에서 이루어졌고 혹은 실제 공인 종사자이기 때문에 주변인들에게 유리한 物議를 얻어 도매를 진행했을 가능성이 매우 커보였다. 공인권 도매나 이중매매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공인권 소유자들이 공인 명의를 借名으로 등록 하거나 移錄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이는 공인 업무의 전문성과 貢價 지급의 복잡성, 소유와 경영의 미분화된 형태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고 동시에 新財主의 불완전한 소유권과 분주인의 주인의식이라는 특징을 보여준다. This thesis examines the existence and activities of bunjuin through analysis of the content of tribute merchant documents and the various rights documents. Bunjuin is a term referring to a person who has paid a certain rent and has acted as a substitute for the rights of tribute merchant(貢人權) and the rights of master of commercial rights(主人權). This is understood as an indicator of the phenomenon th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differentiated into the rights owners and agents of the business.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e concept `分` of bunjuin, it was used as the meaning of the management of the commercial rights or the value of tribute goods which was paid by the state. The fact that the country paid the value of tribute goods(貢價) to bunjuin at that time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clue that bunjuin can be conceptualized as a tribute merchant without ownership. Bunjuin in the archives showed a wide variety of features. bunjuin is often found in the case when a tribute merchant or master of the commercial rights has sold his ownership, but continues to work with that tribute merchant as bunjuin. This can be regarded as a phenomenon in which the existing tribute merchant or master of commercial rights is collapsing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but in the concrete case bunjuin, it was analyzed as a active management aspect. In particular, when analyzing the actual transaction contents of refundable sales documents (還退賣買文書), there are cases in which tribute merchant of the original owners or masters of commercial rights are bunjuin, lending the ownership and borrowing money from the buyer. There were also many cases in which the owner of tribute merchant rights and bunjuin were family members or relatives. This can be seen as a difficulty in separating ownership and management, as well as examples of rights-backed loans through repurchase transactions. On the other hand, the double transaction of bunjuin can be found in case of dispute.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is that, first, transactions that did not go through the notarization of the government in ownership transactions of each owner were common. Secondly, it was related to the fraudulent transaction of bunjuin, which was described in the name of the agent or in the passive position to transfer ownership. In the case of document forgery of bunjuin, fraudulent transactions of bunjuin was done under the acquiescence of the subordinates. Despite the risk of fraudulent transactions, rights buyers frequently registered or changed the name of the agent on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s. This was due to the expertise of tribute merchant business, the complexity of the payment of tribute goods value, the undifferentiated form of ownership and management, the incomplete rights of new owners, and the ownership of bunjuin.

      • KCI등재

        산서 분주그룹 기업문화연구

        许静怡,최명철,马晓东,안지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2

        중국에서 술은 단순한 음료를 넘어서, 일종의 문화를 이루고 있다. 중국의 술문화는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고, 중국에서 주류회사는 엄청난 규모와 이익을 보여주고 있다. 각 지역별로 많은 회사들이 있는데, 분주는 산서성 의 장수기업이며, 중국주류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과 지명도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분주그룹이 지니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분주그룹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분주그룹 기업의 발전과정과 기업 문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주그룹은 약 100여년의 기업역사를 갖고 있으며,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주류시장에서 상당 한 시장점유율을 보여 왔다. 분주그룹의 이러한 발전은 우수한 기업 문화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주그룹은 핵심이념, 품질 및 품격 지향성, 성실과 신용경영을 근본으로 기업 문화를 형성 및 발전시켜 왔다. 이러한 기업문화를 바탕으로 조직구조를 발전시키고, 좋은 제품을 만들어서 높은 지명도와 시장점유율을 자랑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 여 중국 유명주류회사 및 전통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한국 주류회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China, liquor has gone beyond mere drinks to become a culture. China's liquor culture has a long history, in China, distilled liquor companies have a huge scale and huge profits. There are many companies all over the country. Fenjiu Group is a long-lived enterprise in Shanxi Province, which has considerable influence and popularity in the Chinese liquor market. Such research on Fenjiu Group enterprises has not yet appeared in South Korea.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orporate culture of Fenjiu Group. Fenjiu Group has a history of more than 100 years and has achieved considerable achievements and market share in the liquor market from its inception to the present.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the development of Fenjiu Group stems from the excellent corporate culture. Fenjiu Group has formed and developed the corporate culture based on the core idea, quality and character orientation and honest management. Based on such corporate culture, the company develops organizational structure, manufactures products, and enjoys high popularity and market share. Through this study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well-known Chinese liquor companies and time-honored brand, and to provide inspiration to Korean liquor companies.

      • KCI등재

        F-18 FDG 자동분주기의 분주 최적화에 관한 연구

        지봉근,이상훈,김종언,김원태,지태정 대한방사선과학회 2016 방사선기술과학 Vol.39 No.3

        본 연구는 PET/CT 종사자의 피폭선량 감소 및 방사성의약품의 정확한 방사능량 투여를 목적으로 사용 중인 자 동분주기의 분주 최적화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주사기 종류 및 분주 속도, Vial 압력에 따른 평가 결과를 통해 분주 횟수에 따른 오차 값을 알아보고 보정 값을 적용하여 최적화된 분주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5 ml 주사기에서는 평균 9.38 mCi가 분주되었고, 3 ml에서는 9.55 mCi가 분주되어 3 ml 주사기에서 10 mCi에 근접한 재현성을 보였다. 분주 속도에 따른 평가에서는 속도를 5, 10, 15, 20 mm/min 으로 증가시켜 10회씩 측정한 결과, 5 mm/min의 속도에서 10 mCi 정량에 가까운 방사성의약품이 분주되었다. Needle필터 사용 전/후 Vial 압력에 따른 평가 결과에서는 3 ml 주사기의 경우 사용 전 9.53 mCi, 사용 후 9.84 mCi로 측정되어 Needle필터를 사용한 후 분주하는 것이 최적화된 값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분주 횟수 증가에 따른 보정 값 적용 전/후 방사능 평가에서는 보정 전 9.53 mCi, 보정 후 10.07 mCi로 측정되어 보정 값을 적용한 실험에서 정량 값 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방사성의약품 분주 시 최적화된 분주방법은 주사기는 3 ml를 사용하고, 분주 속도는 5 mm/min로 설정 하며 분주 시 Needle필터를 사용하고, 장비의 분주 횟수(χ)에 따른 보정 값은 [y = 0.097 × χ]로 설정하는 것이 좋 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F-18 FDG 자동분주기의 분주 최적화에 관한 연구

        지봉근(Bong Geun Ji),이상훈(Sang Hun Lee),김종언(Jong Eon Kim),김원태(Won Tae Kim),지태정(Tae Jeong Ji)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6 방사선기술과학 Vol.39 No.4

        본 연구는 PET/CT 종사자의 피폭선량 감소 및 방사성의약품의 정확한 방사능량 투여를 목적으로 사용 중인 자동분주기의 분주 최적화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주사기 종류 및 분주 속도, Vial 압력에 따른 평가 결과를 통해 분주 횟수에 따른 오차 값을 알아보고 보정 값을 적용하여 최적화된 분주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5 ml 주사기에서는 평균 9.38 mCi가 분주되었고, 3 ml에서는 9.55 mCi가 분주되어 3 ml 주사기에서 10 mCi에 근접한 재현성을 보였다. 분주 속도에 따른 평가에서는 속도를 5, 10, 15, 20 mm/min 으로 증가시켜 10회씩 측정한 결과, 5 mm/min의 속도에서 10 mCi 정량에 가까운 방사성의약품이 분주되었다. Needle필터 사용 전/후 Vial 압력에 따른 평가 결과에서는 3 ml 주사기의 경우 사용 전 9.53 mCi, 사용 후 9.84 mCi로 측정되어 Needle필터를 사용한 후 분주하는 것이 최적화된 값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분주 횟수 증가에 따른 보정 값 적용 전/후 방사능 평가에서는 보정 전 9.53 mCi, 보정 후 10.07 mCi로 측정되어 보정 값을 적용한 실험에서 정량 값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방사성의약품 분주 시 최적화된 분주방법은 주사기는 3 ml를 사용하고, 분주 속도는 5 mm/min로 설정하며 분주 시 Needle필터를 사용하고, 장비의 분주 횟수(χ)에 따른 보정 값은 [y = 0.097 × χ]로 설정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is a study on the optimized dispensing of the auto dispenser us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exposure dose and accurate radiation dose of radioisotope with regard to the PET/CT practitioners. The research method was to find the optimized dispensing method through evaluating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syringe type, dispensing rate, and vial pressure and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rrected values. As a result of this study, 9.38 mCi has been dispensed on average in the case of 5 ml syringe, and the reproducibility close to 10 mCi was shown at the dispense of 9.55 mCi in the case of 3 ml syringe. In th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dispensing rate, the quantity of radioisotope close to 10 mCi was dispensed at the rate of 5 mm/min when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by increasing the rate by 5 mm/min units in the order of 5, 10, 15 and 20 mm/min . In the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vial pressure before/after the use of Needle filter, it was measured to be 9.53 mCi before use and 9.84 mCi after use confirming that the dispensing after using Needle filter showed the optimal value. In addition, in the evaluation of radioactivity before/after the application of corrected values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dispense frequency, it was measured 9.53 mCi before correction and 10.07 mCi after correction confirming that the value with correction applied was closer to the quantitative value. Thus, a good optimized method was confirmed to use a 3 ml syringe with dispensing rate of 5 mm/min, to use a Needle filter at dispensing, and to set the corrected value of [y = 0.097 × χ] according to the dispensing frequency of equipment.

      • KCI등재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제작방법 변화로 본 편년과 계통성

        박형열 영남고고학회 2014 嶺南考古學 Vol.- No.69

        This paper Bunju-pottery(墳周土器-Pottery at Decorate around the mound) production methods and technological changes on the methods assume a change in the Bunju-pottery examined in changes gender aspect was investigated in the system are identified. As a result, by the presence of bottom forming, Bunju-pottery can be divided into 1 and 2 type. each 1 and 2 type are estimated it had aspect of morphological changes. 1 type pottery is confirmed with colum forming, number, change of doldae(突帶-Embossed belt), changes in the size of the bottom of perforations. and 2 type show the change aspect of the production technology(stand upright technique(正立技法), partition technique(分割技法), upside-down technique(倒立技法)), form change of doldae. In previous studies, it was possible Bunju-pottery is strongly influenced by haniwa(埴輪) in Japan. but 2 and 3step form in Kyushu appear later than Honam. and in Honam, Upside-down technique(倒立技法) is checked at first. There is no reverse triangle hole in Kyushu From the appearance of matters, Haniwa(埴輪) in Japan is not direct influence to Honam. Therefore, this study has estimated that the change is occurred by Honam itself. by the exchange of culture between baekje(百濟) and japan, Haniwa(埴輪) authoring group exchanged their skills. So some attributes appear in the Honam region is estimated. and Bunju-pottery(墳周土器) attributes in Honam region suggest that spread to Japan. As mentioned above, Bunju-pottery in Honam is taken over Bunju-pottery in Chungcheong. so I think that it has Mahan(馬韓)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of the change can talk with the production simplify, hole, doldae, patterns and the change of each property size and the dadition of decorative. As a result, the change of Bunju-pottery in Honam is extrovert as decorate with around of the mound and tend to maximize the decorative. 본고는 분주토기의 제작방법과 그 방법상의 기술변화를 상정하여 분주토기의 변화상을 살피고 변화양상에서 확인되는계통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분주토기는 저부의 형성유무로 Ⅰ형식과 Ⅱ형식으로 구분되고 Ⅰ형식과 Ⅱ형식은 각각 형태적 변화양상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Ⅰ형식 분주토기는 단의 형성과 단의 수 및 돌대의 변화, 투창의 변화로 변화양상이 확인되며 Ⅱ형식은 제작기술의 변화인 정립, 분할, 도립기법의 변화와 돌대, 투창의 형태변화 등으로 변화양상을 보인다. 기존연구에서 분주토기가 일본 埴輪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을 가능성이 있었지만 일본 구주지역에서는 2조 3단 형식이호남보다 늦게 출현하는 점과 호남지역에서 도립기법이 먼저 확인되는 점, 역삼각형 투창이 없는 점 등으로 미루어 일본埴輪의 직접적인 영향성은 희박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 자체적으로 발생하여 변화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변화과정에서 호남지역과 왜의 교류관계에 의해 일본의 埴輪을 제작하는 집단과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서 埴輪의 일부 속성이 호남지역에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속성도 일본으로 전파된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해 보면 호남지역 분주토기 변화의 방향은 제작방법의 단순화와 투창, 돌대, 문양(타날) 등 각 속성의 크기변화 및장식성의 첨가로 이야기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변화는 분구의 주변을 장식하는 것으로 외향적이고 장식성을 극대화하는 경향으로 변화한다.

      • KCI등재

        墳周土器를 통해 본 5-6世紀 韓日關係一面

        임영진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6 고문화 Vol.67 No.-

        Cylindrical Pottery excavated on/around the mound of tomb is divided into Cylindrical A, Cylindrical B, and Jar types, and each type has different origin and developmental process. First, Cylindrical A type primarily found in Jar-coffin tombs between the mid-5th and earlier half of the 6th centuries pick up it’s idea from Japanese Cylindrical Haniwa, but went through an independent developmental process by adopting local style. Second, Cylindrical B type found in Japanese style Key-hole shaped tombs between the late 5th and earlier half of the 6th centuries was a direct imitation of Japanese Haniwa. Third, Jar A type was first developed around the late 4th and early 5th centuries by imitating Japanese Jar type Haniwa, and then changed to Jar B type and was diffused to Japan in the mid-6th century. 삼국시대 한국 서남부지역에서는 세가지 유형의 분주토기들이 고분 장엄구로 사용되었다. 당시 서남부지역의 중심권을 이루고 있었던 나주 반남 일대의 대형 고분에서는 筒A形의 분주토기가 사용되었고 나주 반남 일대를 둘러싼 주변 지역의 토착계 중형 고분에서는 壺形의 분주토기가 사용되었으며 같은 주변지역이라도 일본과 관련된 장고분에서는 筒B形의 분주토기가 사용되었다. 한국 서남부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이 세가지 유형의 분주토기는 일본 北九州지역과의 교류 속에서 壺A形, 筒A形, 筒B形의 순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6세기중엽경이 되면 세가지 분주토기 모두 현지에서는 더 이상 지속되지 못하게 되지만 壺形과 筒A形두가지 분주토기는 일본으로 파급되었는데 이는 현지 마한계 주민들의 일본 이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마한계 주민의 일본 이주는 그 이전부터 백제의 영역 확장과 관련되어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온 바 있다. 3세기중엽이후부터 백제에 밀리기 시작하였던 마한에서는 3세기 후엽경 아산만권을 중심으로 일본으로의 이주가 이루어졌으며 4세기중반경에는 충청 내륙지역과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일본으로의 이주가 이루어졌다. 6세기중엽경에 나타나고 있는 壺形, 筒A形분주토기의 일본 파급이 서남부지역 마한계 주민들의 일본 이주를 의미 한다는 것은 일본으로 파급되지 못하고 완전히 단절되는 筒B形분주토기를 썼던 사람들의 성격을 살펴보면 보다 쉽게 이해된다. 筒B形이 사용되었던 장고분은 거시적으로 보면 大和政權의 일본열도 통합과정에서, 미시적으로 보면 磐井에 의해 北九州지역이 통합되는 과정에서 밀리게 되었던 北九州지역의 세력자가 그 주인공인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자신들의 망명지인 마지막 마한지역이 6세기중엽경 백제에 병합됨에 따라 더 이상 피할 곳이 없어지면서 장고분과 筒B形분주토기를 쓸 수 없게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6세기중엽경 백제의 병합에 따라 서남부지역의 토착 마한세력 일부는 일본으로 망명하였고 나머지 주민들과 일본에서 망명하였던 세력들은 마지막 안식처를 백제에 복속되었다고 본다.

      • KCI등재

        한국 분주토기 연구–분포 양상과 변천과정, 고분의례과정을 통해-

        최영주 호서고고학회 2018 호서고고학 Vol.0 No.40

        This study reviewed the distributional pattern and the chronological changing process of Bunju potteries excavated from Korea and the funeral ritual proces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from the constructive process of the ancient tomb. Bunju potteries in Korea were very popular from the late 3rd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Bunju potteries are classified as a long-necked jar style (local power), Okya-ri style (mixed), Bannam style (local power) and cylindrical Haniwa style (Japanese style). Ancient tombs where Bunju potteries were excavated turned to a square shape·a hoof shape (low Bungu)→ a square shape·a circular shape·a key hold shape(high Bungu) and Bungu became higher and bigger from the mid 5th century. It was confirmed that Bunju potteries were changed and developed from cylindrical special potteries of the midwestern region at the downstream of Geum River in Gunsan around the end of the 3rd century and they spread toward the southwest due to southern attacks by Baekje. During that time, the local power in Yeongsan River accepted long-necked jar style Bunju potteries and developed as a ritual process of ancient tombs in the process of ladder-shaped tombs. The constructive process of ancient tombs in the process of ladder-shaped tombs started from ①choosing tombs and leveling the ground, ②constructing Bungu ③constructing burial facilities, ④burying, ⑤filling up Bungu, and ⑥maintaining external facilities (long necked-jar style). Bunju potteries in the process of ladder-shaped tombs became a part of the ritual process as ancient tombs’ ornaments at the downstream of Geum River in Gunsan and it seems they were erected at the edge of Bungu during the last phase.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style ancient tombs and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around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Bunju got higher and it showed mixed-style potteries (Okya-ri style) which were combined with Japanese Haniwa style after accepting Japan’s ancient tomb culture, and it also turned to the local style which is Bannam style after reinterpreting Japanese Haniwa style. The constructive process of high tombs are basically similar with ladder-shaped tombs’ one but Bungu expanded vertically repeats the process of ②∼⑥ and completed squared-shaped tombs follow the previous step one time. After the late 5th century, introducing Janggo-shaped tombs which are Japanese burials and Kyushu-styled stone chamber tombs, Japanese ancient tomb culture was popular, of that, cylindrical Haniwa styled Bunju potteries were installed along the edge of Bungu at regular distance as ancient tombs’ ornaments. The construction of stone chamber tombs progressed from building Bungu and burial structures (stone chamber style) at the same time and these are different from ladder-shaped tombs but same that Bunju potteries were installed at the last phase. In this way, Bunju potteries were changed and developed to various style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Japanese ancient tomb culture by the local power in Yeongsan River. It is understood that Bunju potteries appeared as a by-product of a social strategy that the local power in Yeongsan River searched for changes regarding the rationalization of the domination and cultural identities. 한반도 출토 분주토기의 분포양상과 시기적인 변천과정, 고분축조과정에서 나타난 장제의례과정과 시대적인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반도에서 분주토기는 3세기 말에서 6세기 전엽까지 성행하였다. 분주토기는 장경호형(재지), 옥야리형(복합), 반남형(재지화), 원통하니와계(왜계)로 분류된다. 분주토기 출토고분은 방형·제형(低분구)→방(대)형·원(대)형·장고형(高분구)으로 변화하며, 5세기 중엽경부터 분구는 고대화된다. 분주토기는 3세기 말경에 금강 하류 군산지역권에서 중서부지역의 원통형 특수토기를 변용·발전시켜 완성된 형태로 확인되며, 백제의 남방 공략으로 인해 남서쪽으로 확산되었다. 그 사이에 영산강유역 재지세력은 장경호형 분주토기를 수용하여 제형분 단계에 고분의례과정의 하나로서 발달시켰다. 제형분 단계 고분축조과정은 ①묘역 선정 및 정지 작업→②분구 축조→③매장시설 구축→④매장 행위→⑤분구 성토→⑥외부시설의 정비(장경호형) 순으로 이루어진다. 제형분 단계의 분주토기는 금강 하류 군산지역에서 고분의 장식물로서 의례과정의 일부분이 되었고, 마지막 단계에 분구 가장자리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5세기 전반경 왜계고분과 백제 토목기술의 영향으로 인해 5세기 중엽경에 분구는 고총화되고, 왜계의 고분문화를 수용하면서 왜계 하니와와 결합한 복합형(옥야리형)이 출현하였으며, 왜계 하니와를 재해석하여 반남형으로 재지화하기도 하였다. 고총화 단계의 고분 축조과정은 기본적으로 제형분 단계의 고분 축조과정과 비슷하지만 수직으로 확장된 분구는 ②∼⑥ 절차가 반복되며, 완성형 방대형고분은 앞의 절차를 1회로 마무리되었다. 5세기 후엽이후로는 왜계 묘제인 장고분과 큐슈계석실의 도입으로 왜계 고분문화가 성행하게 되는데, 그 중 원통하니와계 분주토기가 고분 장식물로 분구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었다. 석실분 단계의 고분축조과정은 분구 축조와 매장주체시설(횡혈식) 구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점이 제형분 단계와 다르지만 분주토기가 마지막에 설치된 점은 같다. 이처럼 분주토기는 영산강유역 재지세력이 적극적으로 왜계 고분문화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면서 발달하였다. 분주토기는 영산강유역 재지세력이 지배의 합리화,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사회적 전략의 부산물로 나타난 것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

        『續蒙求分註』의 分註 방식 試考

        이연순 동양고전학회 2012 東洋古典硏究 Vol.0 No.48

        본고는 미암 유희춘이 유배지에서 저술한 『續蒙求分註』에 대해 『蒙求』와 차이를 가지는 分註 방식을 시험적으로 고찰하여 그 학술서로서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먼저 『속몽구분주』와 『몽구』의 본문 구성에 차이가 있는 점을 들어, 몽구』가 각 편마다 인용출처를 제시하고 인물 일화 중심으로 본문을 구성하였다면, 『속몽구분주』는 인용출처를 맨 앞에 한꺼번에 제시하고 본문에서 일화 소개와 함께 분주의 방식을 취하였음을 밝혔다. 이어서 『속몽구분주}의 분주 방식을 자세히 살펴, 『속몽구분주}가 네 가지의 分註法, 곧 泝流而窮源, 汾源而至流, 累事而一意, 異同而互發에 따라 분주한 방식에 대해 각기 해당하는 예를 들며 살펴보았다. 이로써 『속몽구분주}가 經史子集의 여러 서책을 출처로 하였으되, 특히 주자의 평과 그 당대 학맥에 속하는 인물들의 언급을 많이 참고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속몽구분주}가 주자학에 철저한 학술서이자 類書로서 학자들이 이용하기에 편리하게 이루어진 저술임을 밝혔다. This paper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Sok-Mong-Gu Bun-Ju』(續蒙 求分註) and 『Mong-Gu』(蒙求). As a result, 『Mong-Gu』 was organized around the person anecdotes, 『Sok-Mong-Gu Bun-Ju] is annotated with the person anecdotes. So the text show an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configuration. Thus It reveal that 『Sok-Mong-Gu Bun-Ju』is a tome and convenient to use the report has been made by scholars can be clarified.

      • KCI등재

        한국 분주토기의 발생과정과 확산배경

        임영진 ( Young Jin Yim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49 No.-

        한국의 墳周土器는 계통에 따라 壺形, 筒A形, 筒B形으로 구분되는데, 壺形은 아산만권의 분묘제사에서 술을 공헌하는데 사용되었던 원통형 특수토기가 3세기 말~4세기 초 금강 하류지역의 마한 제국 수장묘에서 분구 장엄용으로 변용된 다음 영산강 서북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筒A形은 5세기 중엽경 영산강유역권 마한 제국 수장묘에서 당시 일본에서 성행하였던 원통형과 호통형 埴輪 set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현지 기대의 기형과 도립 분할 제작기법이 가미되어 독자적인 유형으로 성립된 다음 주변지역으로 확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筒B形은 5세기 말~6세기 초 영산강유역권의 일본식 장고분에서 사용되었던것으로서 장고분 뿐만 아니라 墳周土器, 墳周木器 등의 墳周物까지 일본에서 기원하되 그 제작에 있어서는 현지 공인들이 참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 분주토기의 확산과 소멸 배경에 있어, 壺形과 筒A形은 호남지역, 특히 영산강유역권을 중심으로 마한 제국의 수장층 사이에서 자신들의 무덤에 분주토기를 장식하는 것이 신분에 걸맞는 것이라는 인식 속에서 확산되다가 6세기 중엽경 백제의 병합에 따른 규제로 인하여 현지에서 중단되었지만 부분적으로 일본으로 파급되었다. 筒B形은 일본의 망명 세력이 일본의 전통을 따르면서 지속되어 나가다가 6세기 중엽경 백제의 병합에 따른 규제로 인하여 완전히 소멸되었다. It is commonly argued that the Bunju potteries placed on or around the mounds of Mahan tombs has originated from the cylindrical potteries found in the wood coffin tombs of the Asan Bay area. In this paper, however, I argue that the Bunju potter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which are Jar, Cylindrical A, and Cylindrical B, and that each type had different origin and developmental processes. First, the Jar type was initially made around the late 3rd and the early 4th century AD by imitating the cylindrical pottery used for religiously serving wine in the wood coffins of the Asan Bay area and then was diffused to the souethrn Mahan area. Second, the Cylindrical A type that is primarily found in jar-coffin tombs of the mid 5th century AD was made under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cylindrical Haniwa, but went through an independent developmental process by incorporating local styles. Third, the Cylindrical B type found in the Japanese style keyhole-shaped tombs from the late 5th century A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AD was a direct imitation of the Japanese Haniwa. The fact that the Bunju potteries excavated on or around the mounds of the tombs persisted only in the last Mahan area until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AD strongly suggests that the Mahan people maintained its power and remained independent of Baekje. It is also highly likely that some Mahan elites who used traditional jar-coffin tombs and the Jar and the Cylindrical A type pottery went into exile to Japan in the process of Baekje’s expansion in the mid 6th century A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Mahan and Japan more seriousy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