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 양육태도와 자기주도성 및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

        김성경,우연경,최영인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the parenting attitude(including parents’ monitoring, rational explanation) perceiv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ir selfdirected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the longitudinal data of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of 7th graders who were followed for three years.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parents’ monitoring and rational explanation were increased during the three year period. Second, the initial value in parents’ monitoring positively related to the initial value in academic achievement, but initial value in rational explanation negatively related to initial value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initial value in both type of parenting attitude related to the rate of change in selfdirectedness. Especially, the rate of change in parents’ monitoring related to the rate of change in selfdirectedness.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selfdirectedness was found to positively estimate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achievement graduation respectively. Furthermore, selfdirectedness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up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regarding parental education.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중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업성취의 종단적인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 중학생 패널 1차3차 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변 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부모감독과 합리적설명을 하위 변인 으로 설정하였으며 학업성취는 국어, 영어, 수학의 수직척도 점수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중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모감독과 합리적설 명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 학교 1학년 시기의 부모감독은 같은 시점의 학업성취를 긍정적으로 예측하는 반면, 부모의 합리적설명은 학업성취를 부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자녀가 부모감 독과 합리적설명을 높게 지각할 경우 동일 시점 자녀의 자기주도성 역시 높았다. 특히, 부모 감독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자기주도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 학교 1학년 시기의 자기주도성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학업성취를 예측하였고, 자기주도성의 변화율이 클수록 학업성취의 변화율도 크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주도성은 부모 양육 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 교 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업스트레스 변화가 무동기 변화에 미치는 종단적 관계 :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종단 매개효과

        장희선(Heesun,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으로 성장함에 따라 나타나는 학업스트레스 변화가 무동기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고,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종단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GELS: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4차(2015년)~6차 자료(2017년)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업스트레스와 무동기는 점차 높아지지만, 부모의 합리적 설명은 시간에 따른 감소추세를 보여주었다. 둘째, 무동기 초기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의 합리적 설명 초기값이고, 무동기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업스트레스 변화율이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에서 무동기에 이르는 경로에서 부모의 합리적 설명 변화율과 초기값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학업스트레스가 올라감에 따라 무동기가 증가하는 종단적 관계에서 이를 중재하기 위한 방법으로 부모의 합리적 설명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매개요인임을 확인하여 실천적 적용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longitudinal changes of in academic stress and amotivation as they grow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tries to verify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parents rational parenting behavior.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4th~6th data of the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GELS) were analyzed using a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 Results First, although academic stress and amotivation gradually increased as the grades went up, the rational parenting behavior of parents showed a decreasing trend over time. Secon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itial value of amotivation was the initial value of rational parenting behavior of parents, an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rate of change in amotivation was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stress. Third, the change rate and initial value of parents rational parenting behavior in the path from academic stress to amotivation were identified as mediating factors.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practical application by confirming the influence of parents rational parenting behavior as a method to mediate academic stress in a relationship that affects amotivation.

      • KCI등재

        학습 무동기 변화 양상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의 합리적 설명, 교사관계 및 또래관계의 변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전환기를 중심으로

        권예지,이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ing patterns of students' academic amotivation in relation to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uring the school year. This longitudinal study examined changes in students’ patterns of amotivation from 6th to 7th as their academic burdens increased. This study used 3rd (6th grade) and 4th (7th grade)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Participants were 1,495 males (51%) and 1,439 females (49%). After analyzing the profile of each grade, 3 groups were found based on their changes of amotivation: “Amotivation In” group(n=202), “Amotivation Stay” group(n=109), “Amotivation Out” group(n=60).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analyze how changes in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related to changes in “Amotivation”.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motivation changing patterns and changes in personal, environmental factors. Compared to the “Amotivaton Stay”group, the “Amotivation In” group’s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parents' explanation of rationa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decreased, while those of the “Amotivation Out” group’s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parents' explanation of rationa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may influence learners’ motiva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무동기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무동기 변화에 따른 개인적・환경적 요인들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경기교육종단연구의 3차(초6)와 4차(중1)년도에 참여한 2,93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무동기의 변화양상을 구분하기 위해 초6과 중1 시점 각각의자기결정성 동기유형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무동기를 제외한 다른 동기유형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는 프로파일 집단을 무동기 집단으로, 무동기는 낮고 다른 동기유형은 낮지 않은 프로파일 집단을 동기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무동기 진입’, ‘무동기 유지’, ‘무동기 이탈’의 3개 집단으로 무동기 변화유형을 구분하였다. 무동기 변화유형별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의 합리적 설명, 교사-학생 관계, 및 또래 관계에서 두 시점 간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무동기 유지집단은 모든 요인에서 변화가 없었다. 반면 무동기 이탈집단은 초6에 비해 중1시기 모든 요인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무동기 진입집단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나타났다. 두 시점 간 변화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무동기 유지집단에 비해, 무동기 이탈집단의증가는 유의미하게 컸으며 무동기 진입집단의 감소는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무동기 학생의 탈무동기 및 동기 증진에 도움이 되는 지도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