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봉준호(奉俊昊) 영화(映畵)에서 집의 공간성(空間性): -<플란다스의 개>와 <기생충>을 중심으로-

        김강원(金江元) ( Kim Kang-w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2

        봉준호의 영화에서의 공간은 상징적이다. 이 글은 봉준호 영화에서 집의 공간성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집은 봉준호 영화가 갖는 공간의 일상성을 가장 집약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메타포이자, 한국의 지금, 여기를 가장 적확하게 보여주는 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집의 공간성을 독해하는 과정이 봉준호 영화에서 집이 갖는 담론의 의미와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 봉준호 영화에서 집, 그 자체가 직접적으로 핵심 갈등과 담론의 공간으로 등장하는 영화는 <플란다스의 개>와 <기생충> 두 편인데, 공교롭게도 <플란다스의 개>는 감독의 장편영화 데뷔작이고, <기생충>은 가장 최근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두 작품의 시차(時差)를 통해 오히려 봉준호 영화의 시작과 지금을 아우르는 의미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플란다스의 개>(2000)와 <기생충>(2019)을 비교함으로써 봉준호 영화에서 집이 갖는 상징성에 대해 공간을 중심으로 분석해보고, 그 의미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Bong Joon-ho’s space in the movie is symbolic.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pay attention to the spatiality of the house in Bong Joon-ho’s movie. The house is a metaphor that shows the daily life of Bong Joon-ho’s movie. And it is the most accurate discourse of Korea’s “now, here.” Therefore, the process of reading the spatiality of the house can explain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discourse of the house in Bong Joon-ho’s movie. In Bong Joon-ho’s film, < A Higher Animal > and < PARASITE > are two movies that directly appear as a place of core conflict and discourse. Coincidentally, < A Higher Animal > is the director’s debut feature film. And < PARASITE > is the latest work. Through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ks, we can secure meaning that encompasses the beginning and present of Bong Joon-ho’s film. Therefore, in this article, by comparing < A Higher Animal >(2000) and < PARASITE >(2019), we will analyze the symbolism of the house in Bong Joon-ho’s film, focusing on space, and try to derive its meaning.

      • KCI등재

        영화 〈플란다스의 개〉 내러티브 구조 분석 - 봉준호식 알레고리 구축과 푼크툼

        서정남(Jeong-Nam SEO)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1 씨네포럼 Vol.- No.39

        봉준호는 자신의 이야기를 펼쳐감에 있어 알레고리를 구축해내는 일의 달인이다. 그가 온갖 종류의 비유적 기제를 동원하고, 수사적 기교를 통해 구축해낸 약호들에는 관객이 세밀하게 관찰하며 적극적으로 침투해 들어갈 수 있는 균열과 틈새가 반드시 있다. 그는 자신이 만든 영화들 속 거의 모든 장면(sequence, scene, 그리고 때로는 개별 shot에서도) 속에서 그와 같은 일을 펼쳐낸다. 그리고는 관객의 안목을 믿고, 관객의 발견과 해독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봉준호 감독이 과거에 했던 한 인터뷰로부터 힌트를 얻어 진행하게 되었다. 이른바 ‘봉테일’이라는 별명에 관한 질문과 답변이었는데, 놀랍게도 그는 그 이전이나 이후, 어디서도 자신의 이야기 직조방식이나 영상(연출)미학에 대해 이보다 세밀하게 언급한 바가 없었다. 자신의 모든 작품, 모든 장면에서, 봉준호는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지혜와 자료들을 통해 ‘온갖 비유의 기제들’을 ‘약호화(codage)’해 감추고, 얼핏 드러내며 관객이 그 속으로 깊이 들어가 의미 발견과 해독(decoding)에 이를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음을 밝혔던 것이다. 그 결과로 관객의 마음속에서 ‘푼크툼(감정의 격동)’이 발현될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모든 장면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알려주었다. 그와 같은 의미에서 그의 장편 데뷔작인 〈플란다스의 개〉가 그의 다른 작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돼 있고, 완성도 면에서도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매우 안타깝다. 따라서 본 논고는 롤랑 바르트가그의 저서, 『밝은 방-사진에 관한 노트(La Chambre Claire-Note sur la photographie)』에서 제공한 ‘푼크툼’ 개념을 좀 더 크게 확장해, 영화 〈플란다스의 개〉를 세밀하게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탁월한 이야기꾼 봉준호는 과연, 거의 모든 장면에서 관객의 발견을 기대하며 온갖 유형의 읽을거리를 구축해 놓고 있었고, 그것을 해독할 때 맞닥뜨릴 수 있는 다양하고 특별한 감정의 격동, 즉 푼크툼을, 텍스트 읽기의 즐거움을 우리에게 선물로 예비해 두고 있음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Bong Joon-ho is a master of building allegory in unfolding his story. In the codes he mobilized all kinds of figurative mechanisms and constructed through rhetorical techniques, there must be cracks and crevices through which the spectator can closely observe and actively penetrate. He does the same in almost every scene (sequence, scene, and sometimes even individual shots) in his films. Then, he believes in the eyes of the spectator and demands the spectator"s discovery and deciphering. This study was organized with hints from an interview conducted by director Bong Joon-ho in the past. It was a question and answer about the so-called “bongtail”, but surprisingly, he has never mentioned in detail the way he weaved the story or the aesthetics of the film directing anywhere before or after that. In all of his works, in all scenes, Bong Joon-ho ‘codage’ hides the ‘mechanisms of all kinds of metaphors’ through all the wisdom and materials he can mobilize, revealing them at a glance, and letting the audience go deep into them and discover the meaning. He revealed that he was expecting to be able to reach over-decoding. As a result, he announced that he is doing his best in every scene, hoping that ‘Punktum’ will emerge in the minds of the spectator. In that sense, it is very regrettable that his feature debut, 〈Barking Dogs Never Bite〉 is relatively undervalued compared to his other works, and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erms of completeness. Therefore, this study expands the concept of ‘Punktum’ provided in ‘Roland Barthes’; La Chambre Claire-Note sur la photographie, and expands the film 〈Barking Dogs Never Bite〉, has been analyzed in detail. As a result, Bong Joon-ho, an excellent storyteller, has built up all kinds of reading materials in anticipation of the spectator"s discovery in almost all scenes, and the various and special emotional turbulences that can be encountered when deciphering them, ‘punctum’ of text reading. One could clearly see that joy was reserved for the audience as a gift.

      • 봉준호 영화의 장르 연구: <살인의 추억>과 <괴물>을 중심으로

        김경욱 한국영화학회 2022 Vol.0 No.94

        2019 wa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Korean films have achieved remarkable industrial growth over the past 20 years, and are widely known internationally. As the Korean film industry developed with Hollywood as a model, films influenced by the Hollywood genre were placed at the center of the box office success of Korean films. As a result, in the 2000s, most of the directors who were successful at the box office and were evaluated for their work were able to catch two rabbits by utilizing the genre. In this study, I try to examine Bong Joon-ho’s film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focusing on Memories of Murder(2003) and The Host(2006). Genre films tend to have conservative attributes as they aim to appeal to the public and succeed at the box office. In the case of detective films and monster films in which normal social order is disturbed by crimes or monsters, the protagonist eventually eliminates the cause of the problem. In this way, the threat of criminals and monsters, albeit temporary, is resolved in the end and society is restored to a normal state. However, the protagonists of Memories of Murder and The Host do not achieve their goals and end in failure. Although both films are genre films, they are skeptical about the restoration of social order. In addition, if the points that deviated from the convention of the genre are a symptom of the text,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result of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2000s as well as the Korean society in the era of authoritarian regimes. In this way, Bong Joon-ho’s films reveal the reality of history through the signs of text under the cover of genre. This is the result of the transition from the unconscious to the conscious and from the implicit to the explici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istorical necessity. If Frederick Jameson valued literature as the most important form of mediation in modern society, Bong Joon-ho’s films can be said to be important as an mediating form that reveals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Korean society. In other words, by using genres, Bong Joon-ho has secured ‘popularity’ so that audiences familiar with Hollywood films and foreign film officials can approach his films in a familiar way.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genre and the symptoms of the text,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Korean society from the 1980s to the 2000s was supported. Through the use of genres and historical perspectives on Korean society, Bong Joon-Ho's films achieved great success in terms of box office success and evaluation of the work. In this way, it can be evaluated that it greatly contributed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ccess of Korean films in the 2000s. 2019년은 한국영화사 100주년의 해였다. 한국영화는 지난 20여 년간 산업적으로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고,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할리우드를 모델로 한국영화 산업이 전개되면서, 한국영화 흥행의 중심에 할리우드 장르의 영향을 받은영화가 자리하게 되었다. 그 결과 2000년대에는 흥행에도 성공하고 작품으로도평가를 받은 감독 대다수가 장르의 활용을 통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는 봉준호 영화를<살인의 추억>(2003)과 <괴물>(2006)을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장르 영화는대중에게 어필해서 흥행에 성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에, 보수적인 속성을 갖기마련이다. 범죄 또는 괴물에 의해 정상적인 사회질서가 교란되는 형사영화와 괴수영화 장르의 경우, 주인공은 결국 문제를 일으킨 원인을 제거한다. 그럼으로써범죄자와 괴물의 위협은 비록 일시적이라고 해도 결말에서는 해소되고 사회는정상 상태로 복원된다. 그러나 <살인의 추억>과 <괴물>의 주인공은 끝내 목표를이루지 못하고 실패하는 결말에 이른다. 두 편 모두 장르 영화인데도 불구하고사회질서의 복원에 회의적인 태도를 드러낸다. 이와 더불어 장르의 컨벤션에서벗어난 지점들이 텍스트의 징후라고 한다면, 권위주의 정권 시대의 한국사회 뿐만 아니라 2000년대 한국사회의 정치적 무의식이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봉준호 영화는 장르의 외피 아래 텍스트의 징후를 통해 역사의 실재를 드러낸다. 이것은 역사적 필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무의식에서 의식으로, 내포적인 것에서 명시적인 것으로 이행한 결과이다. 프레드릭 제임슨이 문학을 현대사회의 가장 중요한 매개 형식으로 중요시했다면, 봉준호 영화는 한국사회의 정치적 무의식을 드러내는 중요한 매개 형식으로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봉준호는 장르를 활용함으로써 할리우드 영화에 익숙한 관객들과 해외 영화관계자들이 그의 영화를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성’을 확보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장르의 변형과 텍스트의 징후를 통해, 1980년대 이후2000년대 한국사회의 정치적 무의식을 담지해냈다. 장르의 활용과 한국사회를 바라보는 역사적인 관점을 통해, 봉준호 영화는 흥행 성공과 작품의 평가라는 대대적인 성과를 이루었다. 그럼으로써 2000년대 한국영화의 양적, 질적 성공에 크게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Analyze the Narrative Mode of Bong Joon-ho’s Film Through “Okja”

        Jia Yin(가음)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5

        봉준호는 한국에서 첫손가락에 꼽히는 영화감독이다. 그의 영화는 마치할리우드 체계 속에 있는 반(反)할리우드영화와 같고, 영화산업 작품의 특징과 성숙도를 지니고 있으며, 장르영화의 서사적 껍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동시에 문화 반성 및“작가주의 영화”의 입장에서 장르영화모델을 비난하며, 전통적인 장르영화를 초월해 일종의 독특한 개인적인 스타일을 만들었다. 한국괴수 영화의 대표작인 〈괴물〉, 연쇄살인사건을 각색한 스릴러미스터리영화인 〈살인의 추억〉, 또는 인간성 회복을 탐구하는 〈마더〉 등의 영화들을 살펴보면 봉준호는 일종의 사회적 의제를 “영화화”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작가주의영화”와 대중문화 생산을 접목시켰다고 할 수 있다. 서사모델에 있어 봉준호는 장르영화의 요소 특징과 할리우드 영화의‘3막식’서서구조를 참고했지만 그대로 옮기지 않고 이를 바탕으로 관례를 돌파하고 혁신을 함으로써 자신이 감독한 영화에‘봉씨영화’의 태그를 붙이는 데 성공했다. 본고는 봉준호가 감독한 영화인 〈옥자〉의 주제선택, 인물창조와 서사구조에 대해 분석하고 봉준호 영화가 할리우드 영화의 서사모델을 어떻게 운용하고 초월하는지 분석한다. Bong Joon-ho is one of the most famous Korea film director. His films just like the type of anti-Hollywood movie that operates in the Hollywood system. It has the qualities and maturity of the film industry as well as the genre of narrative surface. It also stands in the cultural reflection and the "author movie" position to attack the type pattern, transcending traditional genre films to get a unique personal style. Regardless of the Korean representative monster type film--"The Host", a horror suspense film from the real serial killing case--"Memories of Murder", or "Mother" that has returned to the talk of human nature, Bong Joon-ho has always had an ability of "picturizing" the social issues. In terms of narrative mode, Bong Joon-ho makes reference to the element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films and Hollywood film narrative structure of "three-act structure" , not blindly copy, but broke through the routine and made bold innovation, and successfully labeled all the films directed as "Bong Joon-ho’s films" on this basis. This pap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spects of subject selection, characterization and narrative structure for the movie "Okja" , explored Bong Joon-ho"s film for the use and surpass of Hollywood movie narrative system.

      • 인지적 차이·윤리적 시련·시공간 한정 : 봉준호 영화 속 서스펜스 설정

        장저화 ( Zhang Zehua ) 한국영화교육학회 2022 영화교육연구 Vol.16 No.-

        봉준호 감독은 교묘한 서사 수법을 통해 한국 사회의 현실 문제를 영화로 녹여내는데, 깊은 의미를 나타내는 동시에 영화의 스토리성을 풍부하게 만들며, 충분한 서스펜스 설정을 통해 관객의 이목을 사로 잡아 대중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외 포스트 히치콕 시대 서스펜스를 가장 잘 조성하는 감독 중 하나로 봉준호 감독의 영화는 이색적인 서스펜스 설정 매력을 보인다. 인지적 시각 차이를 통해 생성된 서스펜스, 극 중 캐릭터에 윤리적 도덕을 가해 생성된 서스펜스, 그리고 영화의 시간과 공간을 한정하여 생성된 서스펜스가 봉준호 영화에 가장 흔히 등장하는 서스펜스 설정 방식이다. 봉준호의 뛰어난 서사 기교 아래, 이 몇 가지 서스펜스는 단독적으로 등장하거나 콘텐츠에 따라 융통성 있게 혼합 사용되어 서스펜스 조성 및 서스펜스 업그레이드 목적을 달성하며 영화를 더욱 빛나게 한다. Director Bong Joon-ho integrates the re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into the film through ingenious narrative techniques. While explaining the profound meaning, he does not forget to enrich the story of the film, and fully creates suspense to firmly grasp the audience's attention and win the public's attention. At the same time, as one of the most suspenseful directors in the post-Hitchcock era, Bong Joon-ho also showed a different kind of suspense setting charm in the movie.the suspense generated by different cognitive perspectives, the suspense caused by the pressure on the ethics and morality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and the suspense generated by the limitation of the time and space of the film are the suspense setting methods that often appear in Bong Joon-ho's film. Under Bong Joon-ho's superb narrative skills, these suspense techniques can appear alone or flexibly mixed according to different contents, so as to achieve the purpose of creating or escalating suspense and adding luster to the film.

      • KCI등재

        영화 <설국열차>와 봉준호의 서사전략: 알레고리적 성향을 가진 인물 캐릭터의 수사학

        서정남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8 No.-

        This paper is based on the film <Snowpiercer> which was pursued as the first global project of director Bong Joon-Ho. Also, the in-depth personalities of the characters are read so the modified narration strategies of the storyteller Bong Joon-Ho is investigated, and demonstrates the symbolization, effectiveness, and value that manifests. The allegoric symbolism and multiple complex properties of the characters in Bong Joon-Ho’s movies are indeed the core of the narrative strategy he commands. If you do not read carefully about dramatic nature of the characters, and the series of events those characters make, it would only be an unsubstantial peripheral story. Therefore in this debate, I closely observed the series of events the characters make, and the multiplicity of the characters. In particular, the personalities and roles of the two core characters “Curtis” and “Nam-Goong-Min-Soo”, is carefully designed so the essence of the narrative that the movie wants to tell can change completely depending on approaching who/which point of view. “Curtis” is the main character without a doubt, in the development of the surface structure. However, inside the deep structure of the text, he is only a helper of the true main character. It is “Nam-Goong-Min-Soo”. He is the only person who realistically perceives the nature of the “Snowpiercer” which is in the state of absolutely no vision and alternative, only striving after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the system. He is the true revolutionist with the thought that with the current state and system, correspondence to the sudden change in outer environment would be impossible and everyone would codestruct, therefore he tries to blow up the doors of the train and tries to storm out to the outside world. In addition, also in the primary characters like “Wilford”, “Gilliam”, “Mason” and “Jonah”, Bong Joon-Ho has planted several disputable issues in multiple layers. Through strategies like these, he plants the real interior story he wants to tell inside outer stories which everyone can understand and accommodate. In <Snowpiercer>, also, we can clearly identify he has been continuing and showing his special rhetoric. 이 논문은 봉준호 감독의 첫 번째 글로벌 프로젝트로 추진되었던 영화 <설국열차>를 텍스트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영화 속 주요 등장인물들의 캐릭터를 심층 독서함으로써 이야기꾼 봉준호의 서사변형 전략을 검증하고 그것이 발현하는 상징성과 효용성, 가치를 논증하고 있다. 봉준호의 영화들에서 인물들이 갖는 알레고리적 상징성과 캐릭터의 다중 복합적 속성이야말로 그가 구사하는 서사전략의 핵심이다. 그의 영화들 중에서 인물들이 가진 극적 성격과 그가 일으키는 사건들을 제대로 보지 않고 읽지 않는다면 알맹이 빠진 주변 이야기가 될 뿐이다. 따라서 이 논의에서 나는 주요 인물들이 벌이는 일련의 사건들과 그들의 다중성을 세밀하게 살펴보았다. 특히 ‘커티스’와 ‘남궁민수’라고 하는 두 핵심 인물의 성격과 역할은, 누가/어떤 위치나 관점에서 접근하느냐에 따라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본질 자체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도록 치밀하게 설계돼 있다. 표면적인 극적 상황의 전개과정에서 ‘커티스’는 의심의 여지가 없는 주인공이다. 그러나 텍스트의 심충구조 속에서, 그는 다만 주인공의 도우미일 뿐이다. 이 영화의 진정한 주인공은 바로 ‘남궁민수’이다. 그는 아무런 비전과 대안이 없이 단지 체제 유지와 보전에만 급급한 상태에 처해 있는 ‘설국열차’의 본질을 냉철하게 인식하고 있는 단 한 사람이다. 그는 현 상태와 체제로는 외부 환경의 급변에 대응하지 못하고 모두가 공멸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에 열차의 문을 폭파하고 밖으로 뛰쳐나가려 하는 진정한 혁명가이기 때문이다. 이 밖에 ‘윌포드’와 ‘길리엄’, ‘메이슨’과 ‘요나’ 등, 주요 인물들의 캐릭터 속에도 봉준호는 논쟁이 될 만 한 여러 요소들을 다층적으로 심어 놓고 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그는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겉 이야기 속에 자신이 진짜로 하고 싶은 속 이야기를 심어 놓는다. 영화 <설국열차>에서도 그만의 특별한 수사학을 계속해서 이어가고, 또 보여주고 있음을 우리는 명백히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문턱세대의 역사의식 : 봉준호의 세편의 영화

        문재철 영상예술학회 2008 영상예술연구 Vol.12 No.-

        오늘날 한국을 대표하는 봉준호 감독의 영화는 90년대 중반이후 변화한 한국영화 의 새로운 경향 속에 있다. 이러한 경향의 가장 큰 특징은 탈정치적이며 탈역사적이 라는 것이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역사적인 것에 대한 사유의 끈을 놓치지 않고 있다. 봉준호의 이와 같은 역사적 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대론적으로 접근할 필요 가 있는데 그는 이른바 386세대로서 일종의 문턱세대에 해당된다 하겠다. 80년대 격 렬한 정치적 저항의 경험과 90년대 중후반 탈정치적인 흐름의 사이에 존재하는 이들 세대는 역사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롭지만 그러나 동시에 역사에 대한 고민을 완전 히 떨쳐버리지는 않았다. 봉준호는 이와 같은 문턱세대의 역사의식을 바탕에 깔고 있 으며 이를 통해 특히 80년대 집단적 무의식을 다루고 있다. 그는 이와 같은 역사고찰에 있어 전통적인 리얼리즘보다 알레고리에 의존한다. 이 와 같은 알레고리는 탈-정치, 탈역사의 시기에 역사를 다루는 유력한 방법이 될 수 있 다. 알레고리적 방법과 관련해 주목할 것은 이들 영화에 나타는 특정한 대상들이다. <플란다스의 개>의 개, <살인의 추억>의 보이지 않는 살인범, <괴물>에서 괴생물체 들이 그것으로 이 애상들은 최근 한국역사의 맹목성과 욕망을 반추하게 한다. 이들 영화에서 드러나는 역사에 대한 태도는 불안과 웃음이다. 80년대를 규정했던 역사철학이 소진된 그 공백에서 우리가 마주한 것은 역사의 가치에 대한 회의와 불안 이다. 역사의 불안을 마주하여 주체는 그에 대해 거리를 두게 되는데 과거의 경우 그 거리가 역사의 숭고함을 말해주는 것이었다면 이제 오히려 그 거리는 역사의 불가해 에 대해 웃음을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에서 확인되는 것은 오늘날 역사의 위치 이다. 봉준호 영화는 최근 한국의 역사를 알레고리적으로 반추함과 동시에 오늘날 역 사에 대한 주체의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The films by Bong, Joonho, a representative director in Korea these days, are in the middle of a new tendency for Korean cinema, which has been changed since the middle1990’s. The biggest feature of this tendency can be mentionedasde-politicization and post-history. Director Bong, however, has not missed at hread for the his torical. In order to understand his historical attitud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generation theory; it might be said that he belongs to the one called a between generation or a threshold generation right after Korean 386 generation (in their 30’s at that time this term appeared in the 1990’s, attending colleges in 1980’s, and born in 1960’s). This genera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strong political resistance in the 1980’s and the de-politicizing trends are relatively liberal towards history, but it has not entirely freed from their agony on history. Bong Joonho has a basi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threshold generation, through which he deals with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the 1980’s. He counts on allegory rather than traditional realism as for his historical inquiry. Likewise, allegory could become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deal with history in de-politicizing and post-historical period of our time. What to be noted regarding allegorical approaches are particular objects in his films. The objects including the dogs in Barking Dogs Never Bites, the invisible murdererin Memories of Murder, and a monster in the Host leadustoruminate over blindness and desire in recent Korean history. The attitude towards history in these films is anxiety and laugh. What we confront in blank space where historical philosophy which prescribed the 1980s has been exhausted is skepticism and anxiety on the value of history. Facing the anxiety of history, the subject keeps it at a distance. In the past, the distance would tell a sublime of history, while now it brings about laughs about incomprehensibility of history. What can be confirmed from this analysis is the position of history these days. The films of Bong Joonho ruminate upon recent Korean history allegorically, and at the same time show the attitude of subjects about history these days.

      • KCI등재

        봉준호의 <기생충>에 나타난 역설적 한(恨)의 공간학에 관한 연구

        송만용 ( Song Man-yong ),송진열 ( Song Jin-yeul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0 No.-

        본 소고의 목적은 2019년 칸영화제의 대상을 받은 봉준호의 영화 <기생충>을 후기 롤랑 바르트의 텍스트론으로 소외와 억압 그리고 체념에 의한 역설적 한의 공간학으로 살펴보자는 것이었다. <기생충>에서 보면, 방법은 차이가 있을지 몰라도 자신이 처한 문제적 상황에 대한 해결보다는 두 가족 모두 박사장에게 기생하고 있다. 나아가 현재의 공간, 즉 반지하와 지하공간을 유지하고픈 나약하고 역설적인 상황에 처해 있는 현대인의 모습을 대비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문제적 영화라고 생각한다. 특히 <기생충>의 공간은 ‘사회적 고립감’과 ‘가치 소격감(疏隔感) 즉 “유의미한 가치나 공통목표의 상실감”감으로 인하여 희망이 아닌 기생만이 체념과 순응-선, 리스펙드-만이 있는 은폐와 도피 그리고 자기 방어적 기제의 유머라는 한국사회의 역설적 한의 개념이 있을 뿐임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봉준호의 영화는 영화적 결말을 넘어서는 하나의 텍스트로써 담론을 생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 결과 봉준호의 <기생충>에서 지하공간은 한국의 현실과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미장센의 주요 공간으로 장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ong Jun-ho's film < Parasite >, which was ‘Palme d'Or, Golden Palm’of the Cannes Film Festival in 2019, as a text theory of late Roland Barthes, with paradoxical spatialism by alienation, oppression and resignation. In Parasites, the space of < parasite > has paradoxical concept of ‘Han' in Korean society, which is 'social isolation' and 'value sense of disregard', that is, 'loss of meaningful value or common goal', that is, 'concealment and escape with only resignation, conformity-good, and esteem-man' and humor of self-defense mechanism. So Bong Jun-ho's film is creating discourse as a text beyond the cinematic end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underground space in < Parasite > of Bong Jun-Ho acts as a place as the main space of Mise-en-scene that creates the reality and atmosphere of Korea.

      • KCI등재

        봉준호의 〈기생충〉에 나타난 장르적 융합과 창의성

        송만용(Song, Man Y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본 소고는 2019년 “칸 영화제 Cannes Film Festival” 황금종려상수상과 미국 “아카데미상 4개(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영화상)부분 수상한, 영화 〈기생충〉의 장르적 융합과 변용 그리고 창의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비영어권 영화가 칸과 미국의 아카데미상을 수상할 수 있는 이유를 살펴볼 의미있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기생충〉은 먼저 가장 한국적이라고 할 수 있는 상황, 즉 반지하라는 이국적 공간을 통해 서구사회에서 친숙한 “빈부갈등”이라는 주제를 설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전체적으로는 서스펜스적 스릴러인 〈기생충〉에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적 단초인 하마르티아와 봉준호식 유머를 섞어내어 국제적인 호응을 얻어낼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생충〉은 도입부에 IPtime, 유튜브 등 시대적 공감 아이템을 사용하여 국제적인 동시성과 소통성을 확보한 영화임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봉준호의 〈기생충〉은 구로자와 아키라, 알프리트 히치콕 등의 거장의 스릴러적 장르방식을 따르면서도 장르적 융합과 변용, 즉 비극적 구성과 블랙코미디적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동시대 미디어적 아이템을 사용한 창의적인 영화이면서 2020년 한국사회의 모순적 단면을 넘어 글로벌적 보편성을 담고 있는 문제적 영화임을 알게 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의식과 장르적 요소의 결합으로 소위 봉준호식 장르를 만든 창의성을 볼 수 있다. This article will study Bong Joon-ho’s film 〈Parasite〉, which won the Palme d’Or, Golden Palm, 2019 Cannes Film Festival, and four Academy Awards (Article, Director, Screenplay, and International film awards). The reason why 〈Parasite〉 could win the Academy Award for changes in the academy and non-English films was to be considered through English subtitles, genre convergence and dissolution. Therefore, I think it is a meaningful work to examine the reasons why non-English-speaking films can win the Academy Awards in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Parasite〉 can summarize the genre transformation and creativity in two point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through the exotic space of our own world, the theme of “the rich and poor” familiar in Western society was set, and the suspense-like thriller and black comedy were introduced, and Bong Joon-ho-sik humor was mixed and international response was obtained. Next, I learned that it has a familiar tragic structure, a Hamartian composition. Finally, I found out that 〈Parasite〉 is a film that secures international synchronicity and communication by using contemporary sympathetic items such as IPtime and YouTube in the introduction, despite the most Korean situation. Therefore, Bong Joon-ho’s “Parasite” is a creative film that follows the genre style of master craftsmen such as ’Akira Kurozawa’ and ‘Hitchcock Alfred’... and it is a problematic film that contains contradictory aspects of Korean society in 2020’s.

      • KCI등재

        기억과 망각: 봉준호의 〈마더〉

        심은진(Sim, Eun Ji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0 씨네포럼 Vol.0 No.37

        봉준호의 〈마더〉(2009)는 어둡고 충격적이며 강렬하다. 이 영화는 ‘엄마’가 지닌 이면의 모습, 혹은 엄마의 내면세계를 보여준다. 이 영화는 기억을 하는 것과 애써 기억을 지우는 것, 시간의 문제를 다룬다. 봉준호 감독은 시간을 통해 엄마의 내면을 표현한다. 〈마더〉가 만들어 낸 강렬함은 시각적 연출에서 나온다. 이야기의 내용뿐 아니라, 이야기를 보여주는 탁월한 연출이 영화의 강렬함을 만든다. 왜냐하면 관객은 엄마의 기억 속에, 엄마의 내면으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마더〉는 대사가 아닌 시각적인 요소, 영화적인 연출을 통해 관객을 영화에 몰입시키고, 관객 스스로 영화를 해석하고 사유하게 한다. 편집과 시점을 통한 연출은 엄마의 기억을 표현하는 영화적 장치이다. 질문과 대답으로 이어지는 편집은 마치 증거와 흔적을 더듬어가며 탐문 수사를 하듯 쇼트를 연결한다. 플래시백을 통해 비밀이 밝혀지는 장면들은 엄마가 시간이라는 미로를 빠져나오는 여정이다. 이러한 편집은 추적의 이야기를 형상화한다. 〈마더〉의 편집은 관객을 추적의 여정에 끌어들이고 시간의 미로 속에 집어넣는다. 편집은 〈마더〉의 이야기가 어떻게 복잡한 시간의 미로처럼 구성되어 있는지, 기억이 어떻게 떠오르고 은폐되어야 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마더〉의 시선은 복잡한 시간의 미로를 보여준다. 관음적인 시선, 카메라의 자의식적인 움직임은 진실이 응축된 폐가와 골목길의 장면들을 과거를 회상하는 이야기로 만든다. 흘러가는 현재의 시간처럼 보이던 1부의 이야기도, 과거를 추적하는 2부의 이야기도 실은 모두 과거를 회상하는 엄마의 이야기이다. 우리가 본 영화는 흔들리는 버스 안에서 미친 듯이 몸을 흔드는 엄마의 기억이다. 〈마더〉는 정교한 시간의 배치를 통해 관객을 통제한다. 영화의 처음과 끝을 뫼비우스 띠처럼 연결하고 장면의 반복과 변주를 통해 관객의 기억을 지우고 다시 꺼낸다. 영화를 본다는 것은 앞에서 본, 그러나 곧 잊게 되는 것들을 다시 기억해내서 미로와 같은 공간을 헤쳐 나오는 것이다. 영화는 미궁 같은 것이다. 봉준호 감독은 <마더>에서 망각과 기억이라는 관객의 정신을 조정하고 통제하며 관객과 놀이를 즐긴다. Bong Joon-ho"s 〈Mother〉 (2009) is dark, shocking, and intense. This film shows another side of the mother, or the inner world of the mother. This film deals with remembering and erasing memories, namely the matter of time. Bong Joon-ho expresses the mother"s inner world through time. The intensity created by 〈Mother〉 comes from visual direction. It is not only the content of the story but also the outstanding directing that shows how the story builds the intensity of the film. This is because the audience can enter the mother"s memory and the mother"s inner world. Instead of dialogue, 〈Mother〉 immerses the audience through visual elements and cinematic directing and allows the audience to interpret and think about the film themselves. Directing through editing and point of view is a cinematic device that expresses the mother"s memory. The editing, which leads to questions and answers, connects shorts as if they are searching for evidence. The scenes where secrets are revealed through flashbacks are the mother"s journey through the maze of time. This editing embodies the story of a chase. The editing of 〈Mother〉 draws the audience into the journey of pursuit and places it in a maze of time. The editing shows how the story of 〈Mother〉 is structured like a complicated maze of time and how memories should be remembered and hidden at the same time. The gaze of 〈Mother〉 also shows a complicated maze of time. It is because of the voyeuristic gaze and the self-conscious movement of the camera that make scenes of abandoned houses and alleys condensed with truth and stories that recall the past. The story of Part 1, which seems like the passing of present time, and the story of Part 2, which traces the past, are both stories of the mother who recalls the past. The film we watched is the memory of the mother who wildly dances in a tourist bus. 〈Mother〉 controls the audience through elaborate time arrangements.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film are connected like a Mobius strip, and through repetition and variation of the scene, the audience"s memories are erased and brought out again. To watch a movie is to navigate a maze-like space by recalling but also forgetting the things you saw before. Movies are like labyrinths. In 〈Mother〉, Bong Joon-ho adjusts and controls the audience’s memory and oblivion - and as a result, plays with the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