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중심주의에서 내재적 가치 논쟁 - 도덕과 교육내용으로서 생태중심주의 분석과 제언 -

        김남준 ( Kim Nam-j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4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내재적 가치는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에 의존적인 것인지, 아니면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로부터 독립적인 것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캘리콧의 가치 주관주의와 롤스톤의 가치 객관주의를 비교·논구함으로써 내재적 가치에 대한 생태중심주의 내부의 논쟁을 분석하는 것이다. 캘리콧은 흄, 다윈, 레오폴드로 이어지는 학문적 흐름 속에서 탈인간중심적이면서도 인간 기원적인 내재적 가치로서 본래적 가치를 지지한다. 캘리콧과 비교할 때, 롤스톤은 가치 관찰자와 가치 담지자를 구분함으로써 인간중심적이지도 않고 인간 기원적이지도 않은 객관적이고 자율적인 내재적 가치를 옹호한다. 캘리콧과 롤스톤 모두 인간 이외의 존재와 생태계가 비도구적 가치를 갖는다는 입장에 서 있다. 그런데 캘리콧의 본래적 가치는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일부를 생략하여 줄인 의미에서의’ 내재적 가치로 평가되고, 롤스톤의 내재적 가치는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로부터 독립적이기 때문에 ‘문자 그대로의’ 내재적 가치로 평가된다. 캘리콧과 롤스톤의 가치론은 개체의 가치보다 생태계의 가치에 우선성을 두기 때문에 전체주의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개체의 가치가 생태계의 가치에 의존적인 측면이 있기 때문에 개체가 문자적 의미에서 내재적 가치를 지닐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캘리콧과 롤스톤의 가치론이 내재적 가치를 지닌 존재의 범위를 개체에서 생태계로 확장하고, 인간 이외의 존재와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도덕적 의무를 정당화함으로써 생태중심주의를 정립하는 데 기여한 바를 평가절하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구를 바탕으로 중등 교과서의 생태중심주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두가지 사항을 제언한다. 첫째, 생태중심주의에서 본래적 가치 또는 내재적 가치라는 용어는 개별 학자의 입장에 적확한 방식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둘째, 생태계의 안정과 질서, 선의 실현을 위한 인간의 역할에 대한 내용은 생태중심주의의 기본 입장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중등 교과서의 생태중심주의 관련 내용이 정확한 이론적 토대 위에 근거함으로써 인간 이외의 존재 및 생태계와 올바른 관계를 형성하고 지구적 수준의 환경 위기를 극복하려는 학생들의 도덕적 태도와 역량을 함양하는 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a debate on intrinsic value in ecocentrism. By doing so, I have compared Callicott’s value subjectivism with RolstonⅢ’s value objectivism focusing on the question “Is intrinsic value independent on consciousness and valuation of valuer?” In the academic tradition of Hume, Darwin and Leopold, Callicott advocates inherent value of non-human beings and ecosystem as the concept of nonanthropocentric and anthropogenic intrinsic value. Compared with Callicott, RolstonⅢ advocates the concept of nonanthropocentric, nonanthropogenic, objective and autonomous intrinsic value by distinguishing between value holder and beholder. They all insist that non-human beings and ecosystem have non-instrumental value. However, Callicott’s inherent value is called intrinsic value in a truncated sense because it is dependent on consciousness and valuation of valuer. Compared with Callicott’s inherent value, RolstonⅢ’s intrinsic value is called a literally intrinsic value because it is independent on consciousness and valuation of valuer. Although they are criticized because of totalism, individual’s intrinsic value etc, we should respect their contribution to ecocentrism. They have contributed to establishing ecocentrism by expanding the scope of intrinsic object from individuals to ecosystem, and justifying our moral duties to non-human beings and ecosystem. Based on this argument, I have reviewed the contents on ecocentrism in the textbooks for moral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I have given two suggestions. First, the term ‘inherent value’ or ‘intrinsic value’ in ecocentrism should be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each ecocentrist’s position. Second, the contents on our role for the realisation of the stability, order and good of the ecosystem should be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position of ecocentrism. As such, the contents on ecocentrism should be based on accurate theoretical foundation, thus contributing to fostering students’ moral attitudes and capabilities to build a right relationship with non-human beings and ecosystem, and to overcome the global ecological crisis.

      • KCI등재

        니체 윤리학에 있어서의 가치의 소재(locus of value) - 니체의 ‘창조성’에 대한 윤리학적 관점

        김효섭 한국니체학회 2010 니체연구 Vol.17 No.-

        It seems to be clear that Nietzsche has his own, substantive ethical standar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morality and traditional moral philosophies. And that standard can be construed as a rich, complicated and concrete system. The major part of the system is a theory of value, which is composed of two main axes: the theories of excellence or merit and of (a person’s) good or benefit. In the latter theory, namely, the theory of a person’s good, benefit, or interest,Nietzsche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at is good or desirable for us or of what we ought to possess. Now, this essay can be seen as an important part of the task of exploring Nietzsche’s theory of ‘value’ understood as a person’s good. As such, it discusses Nietzsche’s ethical perspective on ‘creativity’ as a central constituent of the theory. First of all, here, I argue that Nietzsche confers great value on creativity, and moreover, he considers it as an intrinsic value. That is to say,in Nietzsche’s view, creativity constitutes the locus of value, which can make other things valuable, and thus, is what we ought to possess or promote for its own sake. Next, I attempt to further analyse the notion of creativity as the locus of value and to determine its nature in more detail. Furthermore, it is claimed that Nietzsche posits creativity thus defined as the ‘sole’ intrinsic value for us. As I go on to say, Nietzsche holds an ‘individualistic’ perspective on value: according to him, in principle, only one’s own creativity matters to one,and it makes up the criterion for the value of the other things. Finally, based on these points, I argue that creativity is the unifying principle in Nietzsche’s theory of value and Nietzsche’s conferment of (intrinsic) value on creativity founds the other elements of the theory, that is, his judgments about the value of the other values. I close the essay, introducing other crucial Nietzschean values, e.g. virtues, and trying to illuminate their relationships with creativity more specifically. 니체는, 기성도덕과 전통적 도덕철학에 대안이 되는, 그만의 독특한 규범윤리학적 이론 틀을 지닌다고 보인다. 그리고 이 기준은 하나의 풍부하고, 복잡하며, 구체적인 시스템으로 재구성 될 수 있다. 그 체계 내에서 중심부를 이루고있는 것이 ‘가치 이론’이며, 그 가치 이론의 큰 한 축을 이루고 있는 것이 개인의선/이익(a person’s good)에 대한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 니체는 무엇이 우리에게선하거나 바람직한 것인지를, 그리고 우리가 무엇을 지녀야 하는 지를 묻는다. 본 논문은 바로 니체의 이 (개인의 선/이익으로서 이해되는) ‘가치’ 이론의조명작업의 일부로서, 그 이론의 요소로서의 창조성에 대해 논한다. 본문에따르면, 니체는 창조성에 가치를 부여하고, 더 나아가 그것이 우리에게 본래적가치라고 여긴다. 즉, 창조성은 니체가 보기에 다른 것들을 가치 있게 하는,그들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는 가치의 소재인 것이며 우리가 ‘그 자체로서’ 지녀야 할 것이다. 서, 니체는 ‘창조성’을 궁극적 가치로 여긴다는 것을 주장한다. 동시에, 이 글은 니체 가치 이론에서 가치의 소재로서의 창조성의 개념을 분석하고 그 본질의 규명을 시도한다. 아울러 필자는, 창조성이 니체의 개인의 선이론상의 ‘유일한’ 최고선이며-즉 오직 창조성만이 우리가 그 자체로서 지녀야할 것이고 -다른 이론의 구성요소들, 가치 항목들은 오직 외재적, 관계적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또한 필자는 니체가 ‘개인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며, 원칙적으로 ‘자기자신의’창조성만이 우리에게 본래적인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는 해석을 제시한다. 이런 주장들에 기반하여, 마지막으로, 필자는 니체 개인의 선/이익의 이론상에서 창조성은 통합원리를 이루고 창조성에의 니체의 가치부여가 가치 이론의다른 모든 구성인자들의 기반이 된다고 주장한다. 글을 맺으며, 필자는 다른주요 가치들을 소개하면서 그것들과 창조성간의 관계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조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진리의 다원성과 본래적 가치

        김동현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3 No.-

        본고는 진리가 지닌 본래적 가치와 진리의 본체성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의 질문에 대한 답을 모색한다. 진리의 본체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본고는 진리 개념이 불투명한 개념이라는 뜻으로 규정한다. 대표적인 진리 다원주의자인 마이클 린치(Michael P. Lynch)는 진리의 본체성과 진리의 본래적 가치를 모두 긍정한다. 본고는 린치가 제시하는 진리의 본래적 가치를 옹호하는 논증을 분석한 후, 그가 제시하는 진리의 본래적 가치 옹호는 진리의 다원적 발현을 주장하는 그의 이론과 독립적임을 논증할 것이다. 아울러 진리의 본체성을 부정하는 대표적인 견해인 폴 호리치(Paul Horwich)의 진리 축소주의에 따르면 어떻게 진리가 지닌 본래적 가치를 옹호할 수 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두 이론을 비교함으로써, 진리의 본래적 가치와 진리의 본체성이 서로 독립적인 논제인 이유를 자세히 해명할 것이다. 그리고 진리의 다원적 발현이 진리 가치의 다원성을 일반적으로 함축하지 않는다는 추가적인 귀결이 우리의 일상적인 진리 담론에서 어떤 함의를 가지는가를 간략히 제시할 것이다. This paper research an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intrinsic value of truth and substantiality of truth. The concept of substantiality can be variably defined, but I characterize it as being an opaque concept. Michael P. Lynch, who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luralists about truth, accept both that truth is substantial and that truth is intrinsically valuable. This paper analyzes Lynch’s argument for the intrinsic value of truth, and will show that his argument is independent of his theory which insists that truth is manifested plurally. Moreover I will discuss how Paul Horwich who is a deflationist denying substantiality of truth explains the intrinsic value of truth. And comparing these two views, I will elaborate the reason why intrinsic value of truth and its substantiality are logically independent each other. Finally, I will suggest a brief case which shows an implication included in the conclusion that plural manifestation of truth does not generally entails plurality of value of truth.

      • KCI등재

        특집 논문 : 생태철학과 생명 ; 환경윤리에서 생명 논의의 윤리적 함축과 전망

        김완구 ( Whan Ku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09 환경철학 Vol.0 No.8

        오늘날 문명의 발달로 전례 없는 환경이나 생명 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그것들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이 두 문제는 별개의 문제가 아니고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에 같이 논의되어야 한다. 환경은 생명을 가진 존재들을 둘러싼 것을 지칭하는 말이고 그 환경에 둘러싸인 것이 바로 생명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생명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은 간단치가 않다. 그럼에도 이런저런 이유들로 사람들은 보통 생명이라는 현상은 그 자체 소중히 여겨야 할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이야기한다. 그러한 가치를 사람들은 흔히 본래적 가치라고 한다. 환경 윤리와 철학에서 논의되는 주요 문제들의 큰 줄기는 바로 여기에서 출발한다. 생명이 가치를 가지고 그래서 소중히 여겨져야 한다면 그것을 유지시키기 위한 조건들로서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어떤 것들도 어떻게든 소중한 것으로 여겨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환경 윤리 및 철학적 논의에서 소중히 여겨야 하는 대상의 범위는 인간 생명에서 시작해서 그 생명을 가능케 하는 존재인 다른 생물적 환경이나 무생물적 환경에까지 점점 확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존재들의 위상 및 가치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환경 철학과 윤리의 핵심적인 주제가 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생명의 정의, 생명의 범위 그리고 생명의 가치와 관련한 여러 철학적 문제들이 등장하게 되지만, 무엇보다도 주목해보아야 할 문제 중의 하나는 그러한 것들에 가치를 부여하고 소중히 여기는 데서 발생하는 각 개체생명들 간의 갈등 또는 각각의 개체생명과 전체생명들이라고 할 수 있는 ‘온생명’이나 ‘생태계들’과 같은 전체들 간의 갈등의 문제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몇몇 철학적 논의들을 통해 검토해 볼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는 인간의 생존과 지구생존의 위기를 맞고 있는 오늘날 이러한 논의들이 가지는 윤리적 함축 및 그것의 실천가능성에 대해 간략하게 탐색하면서 이러한 문제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한 앞으로의 작업방향을 제시한다. These days, human beings face unprecedented problems occurring in the field of environment and life, with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So many peoples are much concerned about these challenges. However we must explore these together,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he term environment refers to conditions surrounding a life form, and so-called life is something surrounded by environment. But It is not so easy to define and identify life clearly. Nevertheless people say that life is valuable in itself and so we must treasure it. That is the very intrinsic value problem. The main issues in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ethics start from this point. First we confer intrinsic value to the human life and in turn to all other living things. But these individual lives on which intrinsic values are conferred can`t exist independently of other living things including non-living things. They have ne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o sustain their own life. If so, other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have to be conferred the same value. Therefore intrinsic value conferring objects are extended from human life to non-living things or life as a whole, that is, `global life`, `ecosystem` and the like. Several issues, such as the definition and the boundary of life, appear from this extensionism, but central to the process of extending intrinsic value to the several objects is th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an individual life and life as a whole. Thus in this paper I focus on these arguments some philosophers have made and examine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is arguments. But this work is not easy. And finally I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동물 윤리 기말고사: 요약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라

        최훈 한국윤리학회(8A3209) 2022 윤리학 Vol.11 No.2

        In this paper, I will argue in the form of an exam, structured with questions and answers, to summarize and critically evaluate Tom Regan’s claims on animal rights, focusing on his The Case for Animal Rights. To understand Regan’s animal rights, we have to understand his core concepts. Among them, Section 1 will explain how the concept of inhrent values and subjects-of-a-life is introduced. In Section 2, I will explain how animal rights are derived by applying the respect principle and the harm principle, and how to coordinate them with the miniride principle and the worse-off principle when the rights conflict. Sections 3 and 4 will critically evaluate Reagan’s arguments. The inherent value, the core concept of Regan, is often criticized as being ambiguous and mysterious. Contrary to such criticism, I would argue that it is acceptable to assign to animals their inherent values. On the other hand, contrary to Regan’s argument, I will show that the inherent values of humans and animals are not equal. 나는 이 논문에서 시험 문제와 답안의 형식을 빌려 톰 레건의 『동물권 옹호』를 중심으로 그의 동물권 주장을 요약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려고 한다. 레건의 동물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핵심 개념들을 이해해야 한다. 그중 1절에서는 본래적 가치와 삶의 주체 개념이 어떻게 도입되는지 설명하겠다. 2절에서는 거기서 존중의 원리와 해악의 원리가 적용되어 동물의 권리가 어떻게 도출되는지 설명하고, 권리들이 충돌할 때 최소 침해의 원리와 상황 악화의 원리로 어떻게 조율하는지 살펴보겠다. 3절과 4절에서는 레건의 주장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겠다. 레건의 핵심 개념인 본래적 가치는 모호하고 신비로운 것이라는 비판을 많이 받는다. 나는 그런 비판과 달리 동물의 본래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있다고 주장하겠다. 반면에 레건의 주장과 달리 인간과 동물의 본래적 가치가 평등하지 않음을 보이겠다.

      • KCI등재

        묵가 윤리학에 대한 연구의 한계와 과제

        김기현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2

        묵가의 경험주의는 서구적 사고방식과 현대적 삶에 가장 부응하는 전통사상으로 주목을 끌기에 충분한 가치를 갖고 있다. 묵가사상에 대한 근대적 연구가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묵가의 윤리사상에 대해 연구자들이 거의 견해를 같이 하고 있는 점은 묵가의 윤리체계가 뚜렷하게 공리주의 노선을 취한다고 보는 점이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가 묵가의 윤리사상을 하나의 정연한 공리주의 윤리체계로 정립해 내는 데 성공하였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이 논문은 묵가의 윤리사상을 공리주의로 규명한 기존의 연구가 안고 있는 결함 또는 보완해야 할 사항을 지적하고, 앞으로 연구자들이 해결해 주어야 할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하나의 공리주의 체계는 ``본래적 가치``의 설정을 대전제(大前提)로 하므로, 묵가의 윤리학설을 서양의 공리주의로 해명해 낼 때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원리에 맞추어 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반드시 묵가 공리주의 윤리체계에서는 무엇이 본래적 가치인지가 제시되어야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본래적 가치에 대한 언급조차 찾아보기 어렵다. 묵가의 윤리학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가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처럼 서양의 공리주의로 해명하는 방향으로 계속 나가든, 아니면 다른 방향을 모색하든 간에, 모든 연구는 묵가의 윤리학설이 갖는 고유한 특성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그것을 네 가지로 정리한다. 이상과 같은 검토와 정리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앞으로 탐구되고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이 제시된다. The empiricism of Mohist thought is worthy to be noticed as a thought in East Asian tradition, which is expected to match Western ways of thinking and modern life. Since quests for Mohist thought were started in modern times, it has been generally agreed upon that Mohist ethics was a utilitarianism. But there is as yet no full-length expository treatment of Mohist utilitarianism as a teleological ethical system. Although a utilitarian ethical system presupposes ``intrinsic value``, any quest of a Mohist utilitarian system did not present its intrinsic value, nor did it attempt to discuss the problem of intrinsic value in a Mohist utilitarian system. This essay`s purpose is to call upon Mohist ethical thought to re-explore in a sufficiently broad and deep context. All studies must begin with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Mohist ethics. The author establishes four principal characteristics of Mohist ethical thought. These must be a foundation for exploring the Mohist ethics. In dealing with these characteristics, some significant problems for the future study will be raised.

      • KCI등재
      • KCI등재

        종차별주의 비판의 한계와 도덕적 존중의 의미 - 피터 싱어와 마이클 샌델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광연(Kim, Gwang-Yeo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7 No.1

        전통적인 철학적 가치관에서 동물은 인간보다 못한 존재로 간주되었다. 이들은 인류 공동체에 속하지 못하고 자신만의 공동체에서 삶을 이어가는 존재였다. 인간이 동물보다 지위가 위에 있다는 과거의 가치관에 함몰된 채, 인간은 동물 지배를 정당화 했다. 근대 이후,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윤리적 논의들이 제기되고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관해 학자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피터 싱어는 󰡔동물해방󰡕에서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언급했다. 그는 인간이 동물을 차별하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 그는 일부 동물들은 인간처럼 고통을 느끼고 자의식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이에 그는 고통을 느끼는 동물의 지위를 인간과 동등하게 간주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그가 주장한 종차별주의의 비판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이 논문은 종차별주의 비판의 한계를 살펴보고, 도덕적 존중의 의미를 논의할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은 윤리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생명의 본래적 가치의 중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In traditional philosophical values, animals were considered to be less than human being. They did not belong to the human community, but they were regarded as the ones who continued life in their community. Humans have justified animal domination by the past values that human beings are above the animals. After Modern Age, Ethical discussions on the moral status of animals have been raised, and scholars have become interested in the moral status of animals. In particular, P. Singer raised the moral status of animals in his book, 󰡔Animal Liberation󰡕. He criticized humans for dominating and discriminating against animals. He insisted that some animals feel pain and has self-consciousness just like humans. So he asked to regard the status of the animal suffering as equal to man. However, there is a limit to criticism of that he advocate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limitations of criticism of species iscrimination and examine the meaning of moral respect. Finally, this paper will present the importance of the original value of human beings and life as ethical beings.

      • KCI등재

        신이 되는 인간: 심층생태주의의 경우

        이태수(Lee Tae-So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09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

        환경 철학의 한 강력한 입장인 심층생태주의는 인간을 넘어서서 자연 전체를 감싸 안는 입각점을 확보하고자 하는 탈 인간중심주의 기획이다. 심층생태주의의 주창자인 A. Naess는 인간을 포함한 자연세계의 모두가 상호의존적 존재이면서 동시에 평등한 권리를 지닌 존재라는 사실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일단 그와 같은 입각점이 확보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인간의 자연에 대한 윤리적 행위 규범의 확실한 근거가 마련되지는 않는다. 그 근거는 인간이 아닌 자연세계의 존재도 그 자체로 존중을 받을 만한 본래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상정을 통해서만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A. Naess에 따르면 결국 인간이 자연과 일체감을 느낄 수 있을 때 비로소 자연 자체의 본래적 가치를 인정할 수 있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과학적 인식보다는 느낌을 통한 접근이 자연전체를 감싸 안을 수 있는 입각점의 확보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다. 실제로 그와 같은 접근은 인간이 인간의 좁은 울타리를 벗어나 자연 전체를 아끼는 신과 같은 존재가 되게끔 해주는 단초를 제공한다. 그러니까 심층생태주의는 탈 인간중심주의라기보다 인간을 신적인 존재로까지 확장시키려는 기획이고 실제로 그런 규모의 기획만이 아마 인간의 환경문제에 대한 윤리적 규범의 궁극적인 정초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idea of deep ecology, as was put forth by A. Naess at first, can be summed up as an exhortation to pass beyond the anthropocentric limits of our attitude towards natural environment. He seemed to believe that this exhortation can be based on the insight into the fact that all the beings in the nature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in their mode of existence and they possess the equal rights in all respects as a member of the whole ecological system. However, the holistic and egalitarian viewpoint alone cannot serve as a sufficiently solid base for deriving effective ethical rules concerning our attitude toward natural environment. Only when intrinsic values of natural beings in ecological system are recognized, the possibility for an adequate environmental ethics opens up. And for the human beings the most-maybe the only-effective way to attribute an intrinsic value to others is surely to identify themselves with those others. It is because Naess is well aware of this fact that he later places more importance on the capacity of human beings to identify themselves with other non-human beings in the nature than on any other points of his deep ecology. One can say that maximally expanded self-identification of human beings with the whole nature constitutes the core of ethical thought based upon deep ecology. Then it seems to follow that what deep ecology aims at is not a categorical denial of anthropocentrism, rather it is by making human being a godlike being capable of embracing all other beings in its being that it can achieve its ultimate goal.

      • KCI등재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노희정 ( Hui Jeong Noh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윤리교육연구 Vol.0 No.28

        본 글은 사회생물학적 관점에서 자연의 가치와 자연에 대한 도덕적 의무의 문제를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환경윤리학의 이론적 토대를 구성하고 있는 도덕 감정에 대한 진화론적 윤리학과 사회생물학의 접근방식은 어떤 성격을 띠고 있는지 규명한다. 그리고 자연의 가치와 자연에 대한 의무의 문제에 대해 사회생물학적 접근방식을 수용하고 있는 환경윤리학이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지 논의한다. 진화론적 윤리학과 사회생물학에 기초한 캘리콧의 환경윤리학은 생물학적 사실과 도덕적 가치의 결합을 시도하지만 자연주의의 오류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는 못하고, 혈연이타주의와 호혜적 이타주의, 그리고 감정이나 친밀감에 따른 윤리적 선택을 정당한 것으로 수용한다는 점에서 이기주의나 집단 이기주의를 묵인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사회생물학에 기초한 환경윤리학은 사회생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도덕규범을 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기존의 인간 윤리를 확장하여 자연에 대한 도덕적 의무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있으며, 오늘날의 심각한 생태학적 위기를 극복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a sociobiological approaches in environmental ethic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olutionary ethics` and sociobiology`s approaches which constitut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Callicott`s environmental ethics are identified in this paper, Then there is an argument that what stance environmental ethics which accepts the sociobiological approach takes on the issues about the value in and the duty to nature. And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possibility of overlooking a naturalistic fallacy, egoism or collectivism in that evolutionary ethics accepts the ethical choices - with the kin altruism, the reciprocal altruism, and the emotions or intimacy - as justifiable though evolutionary ethics based on sociobiology attempts to combine biological facts with moral values. Despite this limitation, however, environmental ethics based on sociobiology can serve the establishment of the moral standard with practicality and reasonableness. Furthermore, environmental ethics is persuasive in that it puts emphasis on the moral duty to nature by expanding the existing human ethics, then it might make a valuable contribution towards overcoming the ecological crisis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