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文全体のテーマを表す「に関し(て)」「に対し(て)」に関する研究

        劉マルグム(유맑음)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4

        본 논문은 한일양어의 테마를 나타내는 복합조사 가운데, 문 전체의 테마를 나타내는 용법에 대해서 고찰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의 지적대로 테마를 나타내는 한일 복합조사에는 「단일격조사+동사연용형+접속조사」「단일격조사+동사중지형」의 2종류의 형태가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에는「に?して」「に?して」「에 관해서」「에 대해서」, 후자에는 「に?し」「[に?し」「에 관해」「에 대해」가 속한다. 이처럼, 상기의 한일 복합조사는 어구성 면에서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고, 2종류의 형식이 있다는 점에서도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용법의 한일 복합조사의 용례 수를 조사한 결과, 실제 사용경향이나 출현빈도 등 세부적인 면까지 일치하지는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 문 전체의 테마를 나타내는 복합조사의 사용경향은 이하와 같다. 1. 일본어의 경우, 「に?して」「に?し」「に?し」의 해당 용법은 총 용례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に?して」의 해당 용법의 용례는 총 용례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총 용례수 면에서 「に?し」가 나머지 3개의 복합조사에 비해 매우 적은 경향이 보인다. 2. 한국어의 경우, 「단일격조사+동사연용형+접속조사」보다 「단일격조사+동사 중지형」의 총 용례수가 압도적으로 많다. 또한,「에 관해서」의 총 용례수가 매우 적고, 「에 관해서」이외의 3개의 복합조사는 해당 용법이 전체의 4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3. 한일양어의 복합조사는 총 용례수, 중심적인 용법 및 2가지 형태의 복합조사의 사용경향 등에 있어서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어구성 면에서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는 한일 복합조사가 실제의 사용경향에 있어서도 반드시 일치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 KCI등재

        강릉방언의 복합조사 `으는` 연구

        김옥영 ( Kim Ok-young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5

        어휘 형태소의 복합어 형성과 마찬가지로 문법 형태소 또한 복합 형태가 생성되고 단일화의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전제 아래 강릉방언에서 실현되는 복합조사 `으는`의 구성과 그 형성 원리를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그런데 선행 연구에서는 강릉방언의 `으는`뿐만 아니라 `이가`도 조사끼리의 결합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가`는 접미사와 조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법 구성이다. `이가`를 복합조사로 보기에는 `이가`가 결합할 수 있는 선행 체언이 지나치게 제한적이다. 또한 `체언+조사(이)+조사(가)` 구성으로 볼 경우 `체언+이`가 목적격 조사에도 통합된다는 점, `체언+조사(이)`보다 `체언+접사`의 형태론적 재구조화가 더 자연스러운 분석이라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이가`와 달리 강릉방언의 `으는`은 보조사 `은`이 중복된 구성의 복합조사이다. 이 복합조사의 생성에는 이형태 `는`의 형태 유지라는 동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조사 목록 내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진 결과 복합조사 `으는`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조사 목록이 좀 더 복잡해진 듯한 양상을 보이나 `으는`은 목록 내의 조사들과 형태적 유사성을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으는`의 생성은 어휘부의 최적화에 기여한다. As lexical morpheme forms complex word, grammatical morpheme would form complex word and go through the process of univerb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omposition and formation principle of the complex Josa `euneun` which is realized in Gangneung dialect, based upon above premise. `iga` has been considered to be combination of Josas in the earlier studies, but it is grammar composition which is composed of combination of suffix and Josa. Preceding substantive with which `iga` can combine is too restrictive to consider `iga` to be complex Josa. There are also following reasons not to consider `iga` to be combination of Josas: (ⅰ)If `iga` is analyzed as the composition of `Noun+Josa(i)+Josa(ga)`, then `Noun+i` is united into objective Josa. (ⅱ)It is more natural to analyze `iga` as morphological restructuring of `Noun+suffix` than to consider it to be `Noun+Josa(i)`. Unlike `iga`, `euneun` in Gangneung dialect is complex Josa. It seems that a motivation to retain the morph of grammatical morpheme `neun` operated to form these complex Josas. It seems that inventory of Josa has been more complicated by the generation of `euneun`. But since it retains similarity of morph in the inventory of Josa, consequently the generation of `euneun` contributes to the optimization of lexicon.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서강보,정해권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5

        Purpose: Korean is a highly complex language because it has many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ostpositions. From the beginning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having difficulties in acquiring postpositions due to their various types and usa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mor- phological complexity and usage patterns of postpositions and to propose some reformation for teaching compound postposition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lex combination of Korean postpositions, calculates syntagmatic complexity using entropy, and identifies postpositions as a multidimensional network. The usage patterns of compound postpositions in corpus and textbooks was confirmed. Results: 73 single postpositions with high frequency were found, and not only compound postpositions of two or more combined but also periphrastic postpositions appeared not a few. And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compound postpositions are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but not based on statistics. Conclusion: Although learners use much more than the compound postpositions being taught, they are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list of postpositions for teach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list of compound postpositions based on frequency and co- occurrence. 목적: 조사와 같은 첨가 요소가 많은 한국어는 복잡도가 높은 언어에 속하는데, 조사의 다양한 종류와 용법으로 인하여 한국어 학습자는 학습 초기부터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사의 형태 복잡도와 사용 양상을 밝히고 복합 조사 제시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어에서 조사가 복합적으로 결합되는 양상과 통합 복잡도(syntagmatic complexity)를 산출하여 조사를 다차원적 네트워크로 파악하고, 실제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에 반영되는 복합 조사의 노출 양상을 확인하였다. 결과: 말뭉치에서 73개의 단일 조사가 고빈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2개 이상의 복합 조사는 물론, 우언 조사도 적지 않게 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 교재에서 복합 조사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 객관적인 통계에 근거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실제 생활에서 학습자들은 교재에 제시된 것보다 훨씬 많은 복합 조사를 사용하고 있지만 한국어 교육용 조사 목록에는 이러한 복합 조사들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출현 빈도와 공기 관계를 바탕으로 한 객관적 기준에 따라 복합 조사 목록을 제시하고 이를 교재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어 복합 조사의 개념 정립

        유경화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3 No.-

        본고는 현대 한국어의 복합 조사와 관련한 문제를 검토하여 복합 조사의 개념을 정립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 었다. 현대 한국어에는 둘 이상의 조사가 선행어에 이어서 쓰인 경우가 많이 있다.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구성을 복 합 조사라고 부른다. 하지만 공시적으로 조사와 조사의 결합은 조사와 결합하는 선행어가 실사이어야 한다는 조건에 위배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기술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형태, 통사, 의미적으 로 복합 조사의 특성을 밝히고, 나아가 복합 조사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defines Korean compound particle through studying some related questions on modern Korean compound particle. The structure that an antecedent following with more than two particles in sequence among modern Korean is called compound particle by most scholars. Obviously, the combining of particles goes against with the term, which was determined that the combination with a particle should be an from the perspective of Synchronic. So from the very beginning with the discussion of those questions, the article will illustrate the features of compound particle from different aspects, like morphology, syntax and semantics, etc. Based on it, an definition on compound particle will be concluded.

      • KCI등재

        중등 교사의 융복합교육 연수 만족도 및 요구 조사

        주미경,문종은,박모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융복합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의 준비도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융복합교육 관련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교사의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융복합교육 준비도에 대하여 현장교사의 평가 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융복합교육 준비도에 대하여 가장 낮은 평가를 한 것은 ‘융복합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 설계’와 ‘교사 및 전문가 집단과의 협력적 관계속에서 융복합교육 실천’ 항목이었다. 중등 수학교사들의 경우 준비도 평가 수준이 중등 과학교사의 준비도 평가 수준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어서 중등 수학교사들이 융복합교육 실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수학교사의 융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중등 수학교사는 융복합교육실행에 필요한 교육과정 범위와 계열에 대한 지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 그리고 융복합교육의 교수-학습 지원에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고 평가하여 수학교사의 융복합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과정과 교과 내용 측면과 연결된 연수가 보강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교사들의 연수 만족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만족도 평가가 학생에 대한 지식에 대하여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융복합교육이 학생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고려하는 교육을 지향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교사 연수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수 만족도 수준에서도 수학교사의 연수 만족도가 중등 과학교사의 연수 만족도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요구 분석 결과는 교육 내용의 현장 적합성과 융복합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교육전문가 사이의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활용 방안에 대한 탐색이 효과적인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다루어져야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장 교사의 융복합교육에 대한 준비도와 연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탐색이 요구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존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및 운영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비롯하여 연수에 참여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질적 탐구를 통한 원인분석이 후속 연구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involved in designing a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enhance teachers’ competence for Yungbokhap education. The researchers administered a survey questionnaire to discover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ir competence in teaching in class based on Yungbokhap education, and their opinion of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develop teachers’ competence in Yungbokhap education.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relevant to the teachers’ practice of Yungbokhap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school level. Moreove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based on the work of a solid network of diverse types of education specialists who shar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of Yungbokhap education. Finally, Yungbokhap education needs to be conceptualized to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Yungbokhap education.

      • KCI등재

        소위 복합격조사(複合格助詞) ‘엣’의 통시적(通時的) 고찰(考察)

        조재형 ( Cho Chae-hy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2

        이 글의 목적은 소위 복합격조사 ‘엣’을 通時的으로 관찰하여 그 문법 機能과 문법 意味의 變化 등을 考察하고 지금까지의 先行硏究와 比較·論議하는 데에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엣’은 ‘에+ㅅ’의 複合格助詞라는 개념으로 설명되어왔다. 그러나 本稿에서는 15C ~ 20C의 문헌을 조사하여 ‘엣’의 형태적 특성을 재논의 하였으며, ‘엣’은 복합조사가 아닌 融合形態의 관형격조사임을 증명하였다. 이를 위해 本稿에서는 조사 간의 결합 형태에 대해 논의하면서 기존의 ‘複合形態, 融合形態’외에 ‘單一化形態’를 提示하였다.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엣’이 근대국어시기에 그 형태가 소멸, 변형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고는 말뭉치 자료의 분석을 통해 이 논의의 문제점을 指摘하고 ‘엣’이 20C 초까지 사용되었음을 문헌자료를 통해 증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change of 엣's function and meaning diachronically on the basis of the works which deal with ‘엣'. ‘엣' has been described as a compound case in the works. However, this article proves that ‘엣' is not a compound case but an adnominal case through researching into Korean documents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Also, this article proposes a unification form in the course of discussing the compound forms between case markers. While the previous works explain that ‘엣’ became extinct or its form was changed in modern Korean, this article caught lots of trace that ‘엣' was used on Korean documents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means that their explanations about ‘엣' are wrong.

      • KCI등재

        複合助詞「上で」の用法と助詞「で」について

        신의식 ( Shin¸ Yi-shick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日本硏究 Vol.- No.89

        본고는 일본어 복합조사 「上で」의 용법과 조사 「で」에 대해서 해당형식이 가진 문법적인 특징들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上で」는 선행연구에서 그 의미와 용법이 다양하게 분석되고 있으며, 특히 馬場(2006)의 분석에서는 「上で」가 격성분적 용법과 동시용법(접속조사적)으로 나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는 용법을 나누는 기준이 간단한 면이 있고, 「上で」가 가진 문법적 특성을 고려하면 간단히 나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본고에서는 해당 형식이 복합조사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우선 「上で」가 가진 문법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上で」는 격성분적 특징과 접속조사적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고, 그러한 특징의 강약에 따라 격조사적 특징과 접속조사적 특징이 연속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그러한 연속성 상에서 격조사적 특징이 강한 「上で①」과 접속조사적 특징이 강한 「上で②」가 존재한다. 한편 복합조사를 이루는 조사 「で」에 관해서도 분석하여, 해당조사가 본래의 격조사 「で」의 성질이 희박화 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여기서도 「上で①」의 「で①」는 격조사의 성질이 남아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上で②」의 「で②」는 격조사의 성질이 희박화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사 「で①②」간의 격조사 성질의 희박화도 연속성을 가지고 파악되고 있어, 이러한 연속성이 「上で①」와 「上で②」의 용법상의 연속성에 관계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복합조사 「上で」를 「で」의 격조사성의 희박화와 함께 복합조사화 된 형식으로 파악하였다.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grammatical features of the usage Japanese compound particle ue-de and particle de in detail. The meaning and usages of form ue-de have analyzed by precedent researches. In research of Baba(2006), especially ud-de has two uses that are Case use and Concurrent use(conjunctive use). However the criterion to distinguish these uses was simple, when we consider the grammatical features of ue-de, it is hard to divide the usages of this form. First, I analyzed ue-de which is compound particle. As the result, ue-de has the two feathers of case particle and conjunctive particle. I noticed that there is the continuity of between feachers of case particle and feacher of conjunctive particle by the strength of the these feachers. Therefore, there are ue-de① which has the feacher of case particle and ue-de② which has the feacher of conjunctive particle. Second, I grasped that particle de, which is an component of compound particle ue-de, is weaken. It was cleared that the de① of ue-de① has a little property of case, and de② od ue-de② has been weaken its property of case. Furthermore, the particles between de① and de② are analyzed on the dilution in the property of case.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dilution of the property of case in de①② concerns the continuity of ue-de① and ue-de②. In conclusion, it is understand that ue-de is the form which becomes the compound particle with the dilution of property of case de.

      • KCI등재

        연안지역 화학공장부지의 부지환경평가를 위한 복합조사기법의 적응

        최승진,우남칠,Choi, Seung-Jin,Woo, Nam-Chil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7 자원환경지질 Vol.40 No.4

        최근 국내에서는 외국기업의 국내진출에 따른 M&A,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시장개방에 따라 부지환경평가 (토양환경평가)의 결과를 반영할 필요성이 점차 증가되어 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연안매립지역에 위치한 대규모 화학공장부지에 대한 실제적인 부지환경평가를 통하여 국내의 토양환경평가 지침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효율적, 경제적 평가를 위한 복합적 조사기법들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는 기초조사, 부지현황조사, 시료채취와 분석, 관측정 설치와 수리지질 조사, 자료 분석의 6단계로 진행되었다. 각각의 조사단계에서는 기존자료조사, 선구조분석, 지표지질조사, 지구물리탐사, 시추조사, 수리전도도, 지하수의 유향유속측정, 시료채취 및 분석 결과를 조합하여 복합적으로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부지환경평가를 위한 이러한 다양한 조사기법들의 적용은 부지의 오염현상, 지하매질에 대한 부지특성화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국내에서는 '토양환경평가 지침'에 의한 기초조사에 있어 기존자료의 이용, 가용한 자료의 보관상태, 평가를 위한 관계자 인터뷰 등에 있어 매우 열악한 여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부지환경평가'를 수행하는데 있어 이러한 복합조사기법의 적용은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며, 토양과 지하수오염을 연계하여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branch-out of foreign companies into domestic markets through M&A and the opened followed by the Free Trade Agreement(FTA) with America have made the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s of specific site more necessary. In this study, through case study of conducting actual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 by use of a toolbox approach at a large scale of chemical plant with various contaminants located in a coastal area, the problems of guideline of domestic environmental assessment of soil were complemented. And an efficient and economical assessment was achieved. All six steps such as basic investigation, environmental site history survey, sampling and analysis, installation of monitoring wells and hydrogeological survey, and data interpretation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All results of document survey, geological lineament analysis, field geology survey of surrounding area, geophysical prospecting of the site, hydraulic conductivity, measurement of groundwater flow rate and direction, sampling and analysis at each step were associated and estimated as an integrated tool box approach. As a consequence of this study, toolbox approaches were very useful techniques for contamination level and site characterization of subsurface media. The given conditions to conduct a basic survey for domestic soil environment assessment of site by use of existing documents, as well as interviews with the owner/manager/user of all adjacent properties and thorough review of all practically reviewable records pertaining to the property and surrounding properties within "Guideline for Soil Environment Assessment" radii are very poor.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toolbox approach in the environment site assessment of site is not only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but also could be very useful assessment to integrate the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 한국어 복합조사와 관련한 몇가지 문제점

        류경화(??花)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0 중국조선어문 Vol.226 No.-

        한국어에는 둘 이상의 조사가 선행어에 이어서 쓰인 경우가 많다.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구성을 복합조사라고 부른다. 하지만 공시적으로 조사와 조사의 결합은 조사와 결합하는 선행어가 실사여야 한다는 조건에 위배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고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이와 같은 복합조사와 관련한 몇가지 문제점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The Weighting Adijustment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손창균,류제복,홍기학,이기성 한국조사연구학회 2006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6 No.-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행태 연구나 사회의 변화가 개인의 행동양식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조사에서는 어느 한 시점에서의 구성원들에 대한 횡단면 조사와는 다르게 다년간 지속적으로 조사개체를 추적조사 해야 하는 종단면 조사 또는 패널조사를 수행해야 한다. 패널조사는 횡단면 조사와는 달리 최초 표본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사 대상 표본으로부터 탈락 함으로서 발생하는 표본의 마모와 그에 따른 대표성 상실의 문제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표본의 대표 성 상설 문제를 적절히 해결하기 위해 적용가능한 방법이 가중치 조정 방법이다. 횡단면 조사에서는 (1)추출가중치의 조정, (2)무응답 가중치 조정, (3)사후층화 가중치 조정과 같이 3단계의 가중치 조정 과정을 수행하지만I 패널 조사의 경우 이와 더불어 원 표본의 대표성을 유지하기 위해 종단면 가중치 (longitudinal weight)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패널형태에 따른 가중치 조정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향후 수행될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 KWPS)의 가중치 산정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현재 국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패널조사의 가중치 조정방법과 비교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