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복지인식이 사회서비스 이용과 사회복지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복현,황윤희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8

        본 연구는 고령층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과 사회복지정책 만족도에 주목하여 고령자의 사회복지 인식이 사회복지서비스와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에서 조사하여 축적하고 있는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근거로, 가구용, 가구원용, 복지인식 부가조사용을 결합한 머지데이터(merge data)를 활용하여 부가조사에 응답을 완료한 60세 이상 465명을 연구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 인식(복지지출 인식, 복지대상 인식, 복지증세 인식)”은 “사회서비스 이용”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복지 인식(복지지출 인식, 복지대상 인식, 복지증세 인식)”은 “사회복지정책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교육수준, 소득수준, 학력, 성별)”에 따라 노인복지인식이 사회서비스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교육수준, 소득수준, 학력, 성별)”에 따라 노인복지인식이 사회복지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차원적인 복지인식과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을 사회복지정책 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에 있다. 즉,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개인의 가치와 주관적 인식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복지인식에 주목하였으며, 고령자의 복지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복지정책과 복지현장의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how elderly people's perception of social welfare affects social welfare service and social welfare policy satisfac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465 people aged 60 or older who completed responses to the additional surve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research target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which is accumula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s Social Welfare Research Institu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wareness of welfare for the elderly (recognition of welfare expenditure, recognition of welfare targets, recognition of welfare tax increase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use of social services." Second, "Awareness of welfare for the elderly (recognition of welfare expenditure, recognition of welfare targets, recognition of welfare tax increase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Third, the impact of the recognition of welfare for the elderly on the use of social services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educational background, gender). Fourth,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educational background, gender)" the impact of the recognition of welfare for the elderly on the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was shown to be differ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we looked at multi-dimensional welfare awareness and social service use experience together as factors affecting social welfare policy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t is meaningful that the government focused on welfare awareness based on individual values and subjective perceptions as an influence on social welfare policy satisfaction, and sought practical alternatives to welfare policies and welfare sites by examining whether the experience of using social services in relation to welfare awareness and social welfare policy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이용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상윤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 No.-

        노인의 인간다운 삶, 만족스러운 노후 생활 등이 향후 사회적인 중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노년 인구의 빠른 증가 속도는 노인들에 대한 국가적, 사회적으로 시급한 대책 마련을 요청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노인복지정책이 수립되고 있고, 노인관련시설 또한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현재 노인복지시설들은 재정자립도가 낮고 복지프로그램 역시 매우 단편적이기 때문에 이용대상인 노인들의 복지 및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사회활동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많지만 노인복지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지원하는 사회활동 프로그램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With the aging population, the human living and satisfactory declining years of the aged is emerging as one of important social issues. In particular, the rapid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the aged is demanding urgent national and social measures for them. For this reason, various senior welfare policies are being devised, and the number of senior facilities are on an increasing trend. However, due to the low fiscal self-reliance ratio of local governments and limited welfare programs, some say that senior facilities are not playing an effective role in improving the welfare and standard of living of the aged. Whil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aged and their standard of living,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ograms provided by senior welfare center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activity programs in senior welfare center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In this way, this study has a purpose to seek measure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through senior welfare center programs.

      • KCI등재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의 복지제도 변경 전ᆞ후 직무만족도 분석

        박은미,한동일,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2 시각장애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양질의 활동보 조서비스 제공과 서비스 제공인력의 근무여건 개선 및 전문성 제고와 함양에 목적을 두고 연구가 수행되 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의 배경 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복지제도 변경 후 직무만족도에서 남자집단이 여자집단보다 평균 이 높게 나타났고, 나이에 따라 복지제도 변경전과 후에서 직무만족도에 차이를 보인다. 결혼 유무에 따 라서는 복지제도 변경전과 후에 직무만족도는 미혼집단이 높게 나타났고, 학력 변인은 직무만족도에 영 향을 미치지 않는다. 소속기관에 따라서는 복지제도 변경전과 후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고, 소득 에 따른 복지제도 변경전과 후의 직무만족도는 최저 임금 미만인 집단이 높다. 근무기간에 따라서는 2년 미만 근무한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이 2년 이상 근무한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보다 복지제도 변경 후 직 무만족도가 더 높다. 둘째, 업무특성(업무 중요도), 조직특성(보상, 직원능력 개발기회, 리더십), 개인특성 (자기효능감) 중에서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리더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의 복지제도 변경 전 직무만족도와 변경 후 직무만족도 차이는 복 지제도 변경 후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의 복지제도 변경 전ㆍ후직무만족도 분석

        박은미,한동일,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2 시각장애연구 Vol.28 No.3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provide visually impaired persons with high quality services of activity assistance by identifying the job satisfaction of visually impaired activity helper, and enhance and cultivate the expertise of service providing work force by improving their work conditions. As for study subjects, 160 persons were selected as subjects from among the individuals who are affiliated with activity assistance service providing organizations in Daegu Gyeongbuk region and servicing as activity helper for visually impaired before and after the change of activity assistance service system through telephone interviews with the staffs in charge of human resources in the relevant organizations. Also,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with the use of questionnaire sheet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m, and after the questionnaire sheets of totally 126 copies(79%)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the use of SPSS 19.0 software. In summar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First, as for the degrees of job satisfaction of the activity helpers for visually disabled by gender, male group was found higher than female group in average after change of welfare system, and depending on age, job satisfaction differed before and after change of welfare system. As for marital status, job satisfaction was found higher in unmarried group before and after change of welfare system, and the factor of education background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affiliated organizations, job satisfaction differed before and after modification, and as for income level, groups with income level below minimum were found high in job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change of welfare system. Regarding work period, visually impaired activity helpers who worked for less than 2 years were higher than those who worked for 2 years or longer in job satisfaction after change of welfare system. Second, as for the factor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visually impaired activity helpers among work characteristics(work importance degree),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compensation, employee capability development opportunity and leadership)and personal characteristics(sense of self efficacy), leadership was found the highest. Third,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job satisfactions of visually impaired activity helpers before and after change of welfare system, job satisfaction after the change was found higher.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양질의 활동보조서비스 제공과 서비스 제공인력의 근무여건 개선 및 전문성 제고와 함양에 목적을 두고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복지제도 변경 후 직무만족도에서 남자집단이 여자집단보다 평균이 높게 나타났고, 나이에 따라 복지제도 변경전과 후에서 직무만족도에 차이를 보인다. 결혼 유무에 따라서는 복지제도 변경전과 후에 직무만족도는 미혼집단이 높게 나타났고, 학력 변인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소속기관에 따라서는 복지제도 변경전과 후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고, 소득에 따른 복지제도 변경전과 후의 직무만족도는 최저 임금 미만인 집단이 높다. 근무기간에 따라서는 2년 미만 근무한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이 2년 이상 근무한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보다 복지제도 변경 후 직무만족도가 더 높다. 둘째, 업무특성(업무 중요도), 조직특성(보상, 직원능력 개발기회, 리더십), 개인특성(자기효능감) 중에서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리더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의 복지제도 변경 전 직무만족도와 변경 후 직무만족도 차이는 복지제도 변경 후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사회복지종사자의 직무만족이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

        표갑수(Pyo, Kab-Soo),김혜정(Kim, Hye-Jeo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1

        본 연구는 사회복지종사자를 대상으로 직무만족 수준, 복지의식 수준, 직무만족이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을 위하여 충북 청주지역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를 직무분야별, 연령별로 할당표집하였다. 조사항목은 사회복지종사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 직무만족척도와 복지의식척도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종사자의 직무만족 정도는 동료관계가 비교적 높았고 보수 및 승진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복지의식은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사회복지종사자의 직무만족은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생활수준에 대한 만족도와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과 동료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함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whether social workers" level of job satisfaction, their level of welfare attitude, and their job satisfaction might influence welfare attitude, and to review related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Cheongju-city were sampled by the method of allocated sampling according to their job fields and ages. Resultingly. 19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items surveyed were social workers" general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scale of job satisfaction and welfare attitude.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followed: Social workers"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revealed to be higher in colleagueship but be lower in wage and promotion. And,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t in welfare attitud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also it appeared that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their welfare attitude. The factors which had an effect on welfare attitude were suggested to b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economic living standard,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job, itself, and colleagueship. Finally, the undertone and proposal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welfare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의 전공관련 만족도가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안병덕,이근홍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5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2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ajor related satisfaction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elfare and provide basic materials in discovering it.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re is the static effect to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elfare resulted from the age and the grade but the sex. Secondly, there is not the static effect to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 resulted from the total volunteer works duration and the field-practicum experience or not. Thirdly, there is the static effect to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elfare resulted from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major, the altruism, the self-efficacy, and the general satisfaction with field-practicum. As a result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work students with satisfaction with major, the altruism, the self-efficacy, the general satisfaction with field-practicum lead them to achieve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elfare.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들의 전공관련 만족도가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 형성에 바람직한 사회복지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교육적 실습만족도, 행정적 실습만족도, 지지적 실습만족도, 전반적 실습만족도, 이타성 및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학년별 및 연령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의 유ㆍ무는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셋째, 각 변인들이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타성이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 전반적 실습만족도, 전공만족도 순으로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의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이타적인 요인인 사명감이란 동기요인을 강화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사의 직업의식을 고양시키거나,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을 전공필수로 하여 철저하게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복지현장실습의 교육시간을 확대하거나 실습슈퍼비전을 강화해야 하며,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을 연구하고, 사회복지전공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노인관광객이 인식하는 관광가치와 경험이 노인복지관광 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사영 동북아관광학회 2016 동북아관광연구 Vol.12 No.3

        노인관광객이 인식하는 관광가치와 관광경험이 노인복지관광 만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는 노인관광객이 인식하는 관광가치와 관광경험 영역을 외생변수로, 노인복지관광 만족을 매개변수로, 그리고 삶의 질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할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복지관광 만족에 대한 효과에서는 관광가치, 관광경험이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관광가치가 관광경험에 비해 더 효과가 높았으며, 이들 변수는 노인복지관광 만족을 48.4%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노인관광객의 삶의 질에 대한 효과에서는관광가치, 관광경험, 그리고 노인복지관광 만족이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또한 관광가치와 관광경험은 유의한 간접효과도 있었다. 이들 가운데 삶의 질에 대한 총 효과가 가장 높은 것은 노인복지관광 만족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관광가치, 관광경험순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삶의 질을 61.0% 설명하였다. 따라서 노인복지관광정책개발 및 노인복지관광상품개발을 위해서는 노인관광객이 인식하는 관광가치 및 관광경험과 노인복지관광 만족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이들 요소들이 노인관광객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분석 결과에 대한 세밀한 검토도 필요하겠다. 향후 노인복지관광정책 대안 도출 및 노인복지관광서비스 차별화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elderly tourist's perceived tourism value and experience on elderly welfare tourism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This study us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n those who are interested in elderly welfare tourism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22, 2015 to July 30, and 396 samples were utilized as effective samples during the empirical analysis process. The result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elderly welfare tourism satisfaction showed that tourism value and tourism experience variabl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Second, the effect of quality of life of elderly tourists showed that tourism value, tourism experience, and tourism satisfaction variabl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According to above finding, it was proven that tourism value, tourism experience, and tourism satisfaction variables were a mechanism having a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tourists.

      • KCI등재후보

        선택적 복지제도의 만족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수찬(Soo-Chan Choi),최보라(Bo-Ra Choi),임은정(Eun-Jung Y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선택적 복지제도를 도입해 실시하고 있는 기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선택적 복지 제도의 항목별 만족도가 조직유효성, 즉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근로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더불어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선택적 복지제도를 발전시키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선택적 복지제도 도입기업 근로자 85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건강관리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개발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조직몰입이 증가하였으며, 건강관리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증가하였고, 가족친화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택적 복지제도에 대한 근로자들의 만족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국내에서는 최초로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적 복지제도에 대한 만족도를 항목별로 살펴봄을 통해 향후 선택적 복지제도의 발전방향에 대한 근거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조직유효성을 높일 수 있는 선택적 복지제도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how the workers satisfaction with flexible benefits plans impacted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endeavors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individual workers quality of lives and effective achievements of organizational goals. For the analysis, 855 surveys which had been collected from workers in the companies carried out flexible benefits pla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flexible benefits plans was positively influential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all. Based on the findings, sophisticated flexible benefits plan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occupation in order to enhance both the quality of lives of the work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ompanies.

      • KCI등재

        노인의 미용복지서비스 이용실태와 삶의 만족도

        이승자,이순희 대한미용학회 2018 대한미용학회지 Vol.14 No.4

        Jeollabuk-do for identifying status of the usage of beauty welfare service by the elderly and the relation between such status and the satisfaction on their life. For the period using the service among the features of usage of beauty service, the highest percentage of female and male respondents selected ‘less than 2 months’. The kinds of service which the respondents used were haircut, dyeing in the sequence of higher ratio. The service which respondents desired were dyeing, skin care in that sequence of higher ratio. For satisfaction after experiencing beauty service, 53.1% selected ‘satisfied’ and 46.9% answered “very satisfied”. It indicates that all respondents in this survey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beauty service. In case of the satisfaction on life, 46.0% was very satisfied, 42.6% was satisfied and 10.0% expressed the service was good. 1.4% was not satisfied with the beauty service. The satisfaction on the place for beauty service was very high in the senior welfare center which was followed by the welfare center and the nursing home. Next is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f beauty service participant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e group showing satisfaction on service, 65.7% was satisfied with life and 12.9% was very satisfied with life. In case of the group showing high satisfaction on service, 16.5% was satisfied with life and 83.5% was very satisfied with life. The results indic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of those who experienced the beauty service and their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노인들의 미용복지 서비스 이용 실태와 삶의 만족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전북 지역의 노인 관련 시설 17곳의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은 여성 288명(65.6%)로 여성의 참여가 많았으며, 연령은 70-79세(46.5%)로 참여가 가장 많았다. 미용서비스 이용 특성은 이용 기간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 2개월 미만이 가장 많았고, 미용서비스 이용 경험 서비스 종류 및 희망하는 서비스는 이용 경험 미용서비스로 커트, 염색 순으로 나타났으며, 희망하는 미용서비스는 염색, 피부관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용서비스에 경험 후 만족도는 매우 만족 46.9%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모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삶의 영향에 미치는 만족도 역시 매우 만족 46.0%로 높게 나타났다. 미용서비스가 이루어진 장소가 노인복지관이 매우만족이 높았으며, 종합복지관, 요양원 순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미용서비스 참여자의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은 서비스 만족군의 경우 삶의 만족도가 만족은 65.7%, 매우 만족은 12.9%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의 매우 만족군의 경우 삶의 만족도는 만족 16.5%, 매우 만족은 83.5%로 나타나 미용서비스 경험자의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노인들의 미용복지 서비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련성이 있으며 특히 미용서비스 경험 만족도가 매우만족 한 경우 삶의 만족도 역시 매우만족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삶의 질은 본인이 생각하는 주관적인 평가를 의미하며 노인의 삶의 질은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요인 중 다양하게 변화하는 요인 중 특히 신체적 노화를 지연하며 청결 및 아름다움을 유지하는데 미용적 요소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추후 체계적인 교육과 다양한 미용복지 프로그램개발 및 노인들의 수요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문적인 인력를 양성하여, 고령화시대에 복지 분야 중 미용복지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기여하고자 한다. 단,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특정지역 노인관련 기관을 방문하여 실제 노인들에게 설문 문항에 대하여 설명 한 후 설문에 참여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전국으로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을 가지고487 있다. 따라서 사회가 고령화 되어감에 미용복지서비스 중 노인 미용복지 연구의 활성화로 다양한 후속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호남지역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

        정명혜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3

        호남지역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 정 명 혜 연구 목적: 호남지역의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적관계가 매개변인으로 영향을 끼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2022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에서 실시한 패널자료를 활용, 총 13,144명 중 호남지역 노인 1,229명의 자료를 SPSS 22.0 통계 프로그램과 AMOS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호남지역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이 건강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호남지역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이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호남지역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가 매개역할을 하는가?결론 및 제언: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이 건강만족도에 정적(+)영향,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이 건강만족도의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를 통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복지서비스의 이용이 노인의 건강만족도를 향상시키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관계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노인들의 건강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노인복지 프로그램 운영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노인의 사회적 관계와 건강 만족도 사이의 상관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해야한다. 또한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이 협력하여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학제간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어: 노인, 노인복지서비스, 사회적 관계, 건강만족도, 삶의 만족도 The Impact of Using Senior Welfare Servicesin the Honam Region on Health Satisfaction:Social Relationship Mediation Effect Myunghye Jung**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use of elderly welfare services in the Honam region affects health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and examines whether social relationships act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these variables.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panel data from the 2022 Korea Welfare Panel Survey was utilized, analyzing data for 1,229 elderly individuals from the Honam region out of a total of 13,144 responden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AMOS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elderly welfare services had a positive (+) effect on health satisfaction and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relationships. Furthermore, social relationship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health satisfaction. This confirms that the use of welfare services improves the health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tionships in this proces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customized services and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health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dditionally, education programs for welfare program operators should emphasiz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satisfacti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llaborations among scholars from various fields are also needed to improve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Key Words: Elderly, Ederly Welfare Services, Social Relationships, Health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 접수일: 2024년 5월 12일, 수정일: 2024년 6월 5일, 게재확정일: 2024년 6월 20일* 이 논문은 2024년도 남부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남부대학교 교수(Professor, Nambu Univ., Email: jmh2011@namb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