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행 점유공간을 이용한 보행자도로 서비스수준 분석방법론 개선 연구

        전성욱,손영태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지 Vol.34 No.2

        pedestrian capacity, pedestrian LOS, pedestrian space, pedestrian walkway, generalized traffic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산정방법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행점유공간을 주 척도로 하고 기존의 방법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양방향 보행류에 따른 상충개념을 도입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 시 보행상충 공간을 산정하였으며, 방향별 보행자 수에 따른 상충공간과 평균보행시간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시간흐름에 따른 유효보도면적을 산정하여 시공간개념의 보행 점유공간을 통해 서비스수준을 재조정하였다. 산출된 보행점유공간은 0.68상태에서 용량상태를 보이며 이때의 보행교통류율은 80인/분/m로 산정되었고 추가적으로 보행점유공간을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기울기가 변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서비스수준을 분류하였다. 서비스 수준별 통계적 검증을 수행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모든 서비스수준 범주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보행자작동신호기 설치 기준에 관한 연구

        윤승섭(YOON, Seung Sup),양재호(Yang, Jae Ho),김남석(KIM, Nam Seok)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2 No.-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기하구조와 보행자, 포화교통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행자지체와 차량지체를 산출하여 동등하게 비교함 으로써 경우에 따른 보행자작동신호기와 고정식신호기의 설치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황색신호시간, 보행자 녹색시간, 보행자 녹색불 가시간의 합을 보행자작동신호기 주기라 정하고, 차로 폭에 따른 시나리오를 나누어 보행자 작동신호기가 고정식신호기와 운영효과가 같 아지는 지점을 찾아내었다. 보행자 교통량이 2차로인 경우 171인/시, 3차로인 경우 150인/시, 4차로(설계속도 80km/h)인 경우 112인/ 시, 4차로(설계속도 100km/h)인 경우 109인/시 보다 많으면 고정신호주기로 운영하는 것과 보행자작동신호기로 운영하는 것의 지체 차 이가 없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고, 작다면 보행자작동신호기로 인한 지체감소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기준은 최초 보행자 작동신호기를 설치할 때 가장 효율적일 것이며, 기 설치되어 운영되던 단일로 횡단보도에 적용하여 신호횡단보도로의 전환을 검토한다면 지체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이족보행로봇의 비평탄지형 보행 및 자세 안정화 알고리즘

        김용태(Yong-Tae Kim),노수희(Su-Hee Noh),이희진(Hee-Jin Lee)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5 No.1

        이족보행로봇을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평탄지형에서의 안정적인 보행 및 자세 안정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족보행로봇의 비평탄지형 보행알고리즘과 외력에 대한 자세안정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먼저 다양한 형태의 장애물, 계단, 경사면의 비평탄지형에서 안정적 보행이 가능한 이족보행로봇의 기구부 및 원격제어 가능한 제어시스템 설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러한 비평탄지형에서 발에 부착된 적외선센서 및 FSR센서, 머리에 장착된 카메라를 사용한 안정된 지능보행 및 원격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발바닥에 장착된 FSR센서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들어오는 외력에 대처하는 자세안정화 알고리즘도 제안하였다. 제안된 비평탄지형 보행 및 자세안정화 알고리즘, 원격제어기법은 실제 제작된 이족보행로봇을 다양한 장애물을 포함한 환경에서 실험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In the paper, we propose an intelligent walking algorithm of biped robot on the uneven ground and a posture stabilization algorithm against external forces. At first, the mechanics and the control system of biped robot that can walk on the uneven ground and stand external forces are designed. We propose obstacle hurdling, incline walking, and going-up stairs algorithm by using infrared sensors and FSR sensors. Also, posture stabilization algorithm against external forces is designed using FSR sensors. Infrared sensors are used to detect the obstacl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FSR sensors are used to obtain the ZMP of biped robot. The developed biped robot can be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vision system and RF modul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biped robot performs obstacle avoidance, obstacle hurdling, walking on the inclined plane, and going up stairs using the proposed walking and stabilization algorithm.

      • KCI등재

        보행보조기 사용자 경험에 따른 디자인 만족도 및 요구에 관한 연구

        문철웅 ( Moon Chel Woong ),김규현 ( Kim Gyu Hye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근력 저하로 독립적인 보행이 어려운 고령자들이 사회적 고립에서 벗어나고 적절한 여가활동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행보조기의 요구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의 안전한 보행을 지원하는 보행보조기의 필요성과 사용자 경험에 초점을 두어 제품 만족도와 소비자 요구사항을 분석하였으며, 보행보조기 개발에서 시장 저변확대를 위한 제품 유형별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그 가능성을 확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고령화와 노인 보행에 대한 기존 문헌자료 고찰을 통해 보행보조기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제품의 유형과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심층면접을 활용하여 현재 보행보조기를 사용하고 있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제품 유형별 사용경험을 분석하였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모집된 22명의 고령자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보조기 유형별 연구 참여자의 주요 활동 영역은 ‘사회적 활동 지향형’, ‘일상 활동 지향형’, ‘야외활동 지향형’으로 구분되었으며, 둘째, 참여자들의 심리적 ‘창피함’, ‘늙음’, ‘낙인’효과에 대한 거부감 해소를 위해 제품 개발 시 컬러, 재질, 패턴 등 디자인 측면에서 우선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사용자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사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보행보조기 사용자의 사용목적과 활동영역에 따른 보행보조기 유형별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보행보조기 사용자 증가를 고려할 때, 보행 중 낙상 방지를 위한 도로정비가 필요하며, 고령자의 원거리 이동을 위한 대중교통 접근이 용이하도록 고령친화적인 환경조성이 함께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mands for walking devices are increasing to preserve seniors’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design concept for a walking frame, and expand its design possibilities by analysing product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based on user experiences. For its purpose, this study proceeded in-depth interviews for seniors, and analysed the results from 22 chosen seniors. As its results, the first, the users of walking frames are divided into social activity oriented, daily activity oriented, and outdoor activity oriented. The second, on product development process, color, material, and pattern should be more considered to prevented users`` embarrassment, aging, and Stigma effect. The third, this study proposed some design directions for walking frames to enhance us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based on the objects of them and activity range. The fourth, because the users of walking frames are increasing, road maintenances are needed to for safe walking, and senior-oriented environments should be also prepared to make seniors’ long-distance movements comfortable for public transportation.

      • KCI등재

        기계학습을 이용한 보행환경 정성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거리영상 특성분석

        이지윤 ( Jiyoon Lee ),강영옥 ( Youngok Kang ),김지연 ( Jiyeon Kim ),박지영 ( Jiyoung Park ) 한국지리학회 2022 한국지리학회지 Vol.11 No.3

        보행은 녹색교통수단의 하나로 지속 가능한 도시로의 전환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걷기 좋은 보행환경은 지역민의 건강증진에도 긍정적 효과를 나타냄이 확인되면서 세계 많은 도시들이 친환경적이고 사람중심의 보행환경 조성을 도시 계획에 있어 최우선 아젠더로 추진하고 있다. 보행환경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보행환경을 구성하는 물리적 구성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와 함께, 사람들이 걷기 좋다고 판단하는 보행환경이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도 이루어졌다. 정성적 보행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에는 주민이나 전문가를 통한 설문조사가 주를 이루면서 대표성의 한계를 보이고 있었지만, 최근 고해상도의 거리영상과 딥러닝 기술의 발전은 거리영상에 대한 쌍체비교 데이터를 훈련셋으로 하여 가로단위의 상세한 정성적 보행환경 평가점수 획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하지만 딥러닝 기술에 기반한 정성적 보행환경 평가 점수 예측은 왜 이러한 평가점수를 얻게 되었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거리영상을 기반으로 사람들이 걷기 좋다고 느끼는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경관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거리영상의 정성적 보행환경 점수를 종속변수로, 거리영상의 시멘틱 세그먼테이션 비율 값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양한 기계학습 모델을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서포트 벡터 머신 회귀식이 가장 정확도가 높았고, 정성적 보행환경 점수를 예측함에 있어 도로와 보행로, 건물, 나무, 하늘 등의 순으로 객체 중요도가 도출되었다. 보행로(sidewalk), 가로등(streetlight), 길(road), 잔디(grass), 나무(tree) 등은 세그먼테이션 값이 높을수록 정성적 보행환경 평가를 높게 만들며, 쓰레기통(ashcan), 산(mountain), 트럭(truck), 담벼락(wall) 등은 세그먼테이션 값이 높을수록 평가점수를 낮게 만듦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계학습모델을 통해 보행환경에 대한 정성적 평가에 영향을 주는 중요 객체와 객체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딥러닝 모델을 통해 예측한 보행환경 정성평가 점수를 일부 설명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Walking, one of the green modes of transporta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transition to a sustainable city. In addition, as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pleasant walking environ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health of local residents,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are promoting the creation of an eco-friendly and people-centered walking environment as the top agenda in urban planning. As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walking environment has increase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physical components that constitute the walking environment and to find out what kind of walking environment people consider good for walking. Existing methods for analyzing the qualitative walking environment based on surveys targeting residents or experts showed limitations in their representativeness. On the other hand, the recent development of high-resolution street view images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obtain detailed perceived walkability scores by using paired comparison data for street view images as a training set. However, perceived walkability score prediction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has limitations in providing an answer to why such evaluation score was obt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landscape that affect the perceived walkability based on street view images. In this study, we tested various machine learning models with the perceived walkability score of the street imag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semantic segmentation ratio value of the street view imag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ccording to our study, the regression equation of the support vector machine was the most accurate. And in predicting the perceived walkability score, the importance of the object was in the order of roads, sidewalks, buildings, trees, and the sky. Our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segmentation value, the higher the perceived walkability score for sidewalk, streetlight, road, grass, and tree. On the contrary, the higher the segmentation value, the lower the score for ashcans, mountains, trucks, and wal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important objects and their direction that affect the evaluation of the walking environment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model, and to partially explain the perceived walkability score predicted by the deep learning model.

      • KCI등재

        횡단보도 보행신호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

        안계형,김영찬,김은정,이용일,정준하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지 Vol.24 No.5

        본 연구에서는 보행신호시간에 대한 국내외 사례 분석, 광범위한 보행자특성조사, 보행신호시간 운영방법에 대한 설문조사 등을 통해 보행자수요, 보행자특성 및 주변지역 특성 등을 고려한 보행신호시간 산정식을 제안하였으며, 실제 현장 자료를 이용하여 현재의 보행신호시간과 본 연구의 제안식에 의해 산출된 보행신호시간을 비교, 분석하였다.보행자특성조사는 횡단보행속도와 인지반응시간에 대해 실시하였다. 서울시 총 16개 지역을 선정하여 토지이용, 도로폭, 연령, 개인/그룹, 성별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였다.분석결과 서울시 보행자의 평균 횡단보행속도는 1.30m/s, 15th percentile속도는 1.11m/s로 나타났다. 인지반응시간은 평균 2.24초로 조사되었다. 횡단보행속도는 토지이용, 도로폭, 연령, 개인/그룹,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인지반응시간은 도로폭, 연령, 개인/그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각 분석결과에 대한 통계 점정을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조사된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따라서 이 자료들은 추후 관련 연구에 기본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보행자특성 현장조사 및 보행자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현재의 보행신호시간과 그 운영방법은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수요, 보행자특성 및 횡단보도 기하구조 등을 고려한 합리적인 보행신호시간을 산출할 수 있는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new pedestrian signal timings considering pedestrian demand, pedestrian characteristics, and land use which were obtained by pedestrian characteristics field survey and pedestrian signal operation survey. Pedestrian signal timings suggested were compared to the existing pedestrian signal timings by using real field data.Pedestrian characteristics field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pedestrian crossing speed data and reaction time data. Sixteen areas in Seoul were selected for the data collection.The average pedestrian crossing speed was 1.30 m/sec and the 15th percentile speed was 1.11 m/sec. The average reaction time was 2.24 seconds. Pedestrian crossing speed differs by land use, road width, pedestrian age, sex, and number of pedestrians. Reaction time also differs by road width, pedestrian age, and number of pedestrians. Statistical testing was performed to secure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 KCI등재

        보행신호 1주기 2회 부여 운영 방안 연구

        채희철,엄대룡,윤일수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3

        Pedestrian deaths account for a high percentage of deaths in traffic accidents in Korea, raising interest in pedestrian safety policy. However, since the walk signal time is applied based on the length of the crosswalk without considering the walker and the signal cycle, the walk waiting time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crosswalk, causing pedestrian jaywalking. In this study, due to an unreasonable signal time plan during a road crossing where a signal is installed, the pedestrian's walk signal was given twice a cycle of crossings, and the operational and safety effects of the signal system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and the operational effects of the signal interval and jaywalking rate were assessed by different signal intervals. The results showed that jaywalking and waiting time decreased, and the shorter the interval between the application of the walk signal time, the less jaywalking is analyzed. However, there is a risk of vehicle conflict due to pedestrian exposure, and measures for expanding safety for operation were proposed. 우리나라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자 사망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정책적으로 보행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보행신호시간 계획의 경우 보행 편의 및 신호주기를 고려하지 않고 횡단보도 길이를 기준으로 보행신호시간을 적용하다 보니, 신호기가 설치된 폭이 좁은 부도로 횡단보도의 경우, 횡단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행대기시간이 길어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유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호기가 설치된 부도로 횡단보도 중 불합리한 신호시간 계획으로 인해 보행자의 무단횡단이 많은 교차로를 대상으로 보행신호를 1주기2회 부여하고 신호체계에 따른 운영적·안전적 효과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결과, 무단횡단과 보행대기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행신호시간 적용간격이 짧을수록 무단횡단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보행자 노출에 따른 차량 상충위험이있어 보행신호 1주기 2회 부여 운영에 대한 안전성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보행자 우선 출발신호의 적정 시간 산출 연구

        김대경,윤수영,윤진수,김상옥,윤일수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3

        비보호좌회전 및 우회전 차량으로 인해 보행신호 시 보행자가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되어있는 신호교차로에서 보행자의 안전이 담보될 수 있는 교통신호체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보호좌회전 및 우회전 차량과 보행자 상충 예방을 위한 보행자 우선출발신호(leading pedestrian interval, LPI) 교통신호체계의 국내 도입에 따른 적정 운영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객관적이고 현실성 있는 연구 수행을 위해 전문가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보행자 우선 출발신호 도입이 필요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 여건에 맞는 보행자 우선 출발신호 도입을 위한 현장 적용 조건을 수립하고 비보호좌회전 및 우회전 시범운영 대상지를 선정하여 산출된 보행자 우선 출발신호의 적정시간을 대상교차로에 적용하였다. 횡단보도 내 도착차량 속도 분석과 보행신호 위반율을 분석한 결과 보행신호 등화 시 횡단보도 내 도착차량 속도가 감소되었고, 보행신호 위반율이 개선되어 보행자가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보행하는 것이 현장에서도 확인되었다. When pedestrians cross a pedestrian crossing during a pedestrian signal, there is a problem that pedestrians are exposed to the danger of traffic accidents due to permissive-left turning and rightturning vehicl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to improve the traffic signal system to increase pedestrian safety at the signal cross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a leading pedestrian interval(LPI) to prevent conflict between unprotected left and right turn vehicles and pedestrians. In this study, the need for LPI was surveyed by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As a result of the survey, many opinions indicated that the introduction of LPI was necessary. In addition, after selecting the non-protected left and right turn pilot operation targets, LPI was installed on two signal intersections. After installation, the speed analysis of the arrival vehicle in the pedestrian crossing and the violation rate of the pedestrian signal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when the walking signal was equalized, the speed of the arriving vehicle in the pedestrian crossing was reduced, and the violation rate of the walking signal was improved.

      • KCI등재

        일반 보행자와 피난자의 보행행태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이준 한국교통연구원 2013 交通硏究 Vol.20 No.1

        This study basically aims to investigate the pedestrian behavior to apply it to the pedestrian simulation models, which highlight evacuees behavior patterns during a catastrophe.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observed human walking behaviors were categorized into: Intellectual Walking based on acknowledged facts; and Instinctual Walking based on intuition or perception. Intellectual Walking is observed during normal condition. It was characterized as either of (1) Automatic Walking based on habits; or (2) Intelligent Walking based on efficiency. Instinctual Walking is observed during emergency condition when people are in panic. It is characterized as (1) Fast and Straight Walking based on adrenaline response; (2) Frozen Walking based on immobility impeded by certain restrictions; or (3) Tizzy Walking based on fear and reluctance. Patterns of human walking behavior under normal condition is revealed by collecting trajectory data from video clips. It also assumed that, at least, there are similarities in escaping behavior of human and animal, alike, in disaster situations.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will serve as a useful tool in planning evacuation strategies that accommodate susceptible panic behavior in time of emergency. 본 연구는 보행행태에 관한 기초연구로 향후 보행시뮬레이션 개발과 대피 시 전략적인 사용을 위한 선행연구이다. 보행행태를 인간의 지적보행(지적행동에 주로 기인된 보행)과 본능적 보행(본능적행동에 주로 기인된 보행)으로 나누어 평상시의 보행행태와 피난행태를 구분하였다. 평상시에 발생하는 지적보행은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동구사보행(습관적보행)과 순지적보행(최단거리와 최대속도를 유지해야 하는 보행)으로 세분화할 수 있었으며, 실제 패닉상태의 탈출행동에서는 본능적 보행은 빠른 직선보행(추종보행), 보행불능(움직이지 못함), 망설임보행(움직이고 있지만 탈출하지 못함)이 관측되었다. 영상자료를 바탕으로 보행행태를 분석하였으며, 일상생활의 보행은 궤적자료(Trajectory Data)를 이용하였고, 긴급 상황에서의 보행행태는 인간의 피난행동과 동물의 본능적 생존 행동간에 유사성이 있음을 가정하고 관찰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보행시뮬레이션의 이동, 회피 규칙을 적용함에 있어서, 보다 세밀한 보행자의 이동행태를 정의할 때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긴급 상황 발생 시 피난행태를 설명하는 대피시뮬레이션의 개발에도 피난통행 발생단계에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구광역시의 고령자 보행취약지역 도출 및 안전성 측면에서의 보행환경 평가

        진수인,김은정 국토연구원 2022 국토연구 Vol.11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vulnerable areas for elderly pedestrians and evaluate the pedestrian environments in terms of safety in Daegu. In order to derive vulnerable areas, density-based clustering and hotspot analyses are performed, and the pedestrian environments is evaluated for the derived areas. The evaluation items are classified into street environment and walking network environment, for a total selection of 22 detailed items. The results of deriving vulnerable areas for elderly pedestrians are Cluster 3 (around Daegu Station and Chilseong Market Station) and Cluster 4 (around Daegu-Gonggo Intersection). In addition, the vulnerable areas are evaluated at a low level for the level of illegal parking, existence and adequacy of resting spaces and information signs, and adequacy and condition of pedestrian safety facilities. Also,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items of the crossing facility and openness of lower floor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reating a safe pedestrian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본 논문은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고령자 보행취약지를 도출하고 안전성 측면에서의 보행환경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밀도기반 군집과 핫스팟분석을 실시하여 보행취약지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행환경을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은 크게 가로환경 및 보행네트워크 환경 아래에 총 22개의 세부항목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군집 3(대구역 및 칠성시장역 일대)과 군집 4(대구공고네거리 일대)가 고령자 보행취약지로 나타났다. 한편, 보행취약지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결과는 가로환경의 불법주정차 수준, 휴식공간 유무 및 적정성, 보행안전시설 적정성 및 상태, 안내표지판 유무 및 적정성, 횡단보도 상태, 신호등 유무 및 상태, 저층부 개방감 등의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행네트워크 환경에서는 A-1구역(대구역 일대)과 A-2구역(칠성시장역 일대)의 환경이 비교적 열악한 것으로 보였으며, 특히 보행장애물 수준, 도로 끊김 수준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향후 안전한 고령자의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