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에티우스, 『철학의 위안』 5권 4장의 기술 논변에 대한 검토

        강상진 ( Kang¸ Sang-ji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9 가톨릭철학 Vol.0 No.33

        보에티우스 『철학의 위안』 5권에서 논의되는 신의 예지와 인간의 자유의지 사이의 양립가능성 문제에 대한 첫 번째 응답은 기술적 영역에 속하는 사안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한 이 기술 논변이 구체적으로 어떤 통찰을 전해주고 있는지, 또 이어지는 전체 논증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기술적 영역은 특정한 조건이 주어지면 기술의 투입을 통해 의도했던 효과가 발생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필연성에 대한 앎을 허락하지만, 이 필연성이 인간적 판단과 의지라는 조건에 의존하는 만큼 반드시 그런 결과가 나와야만 할 필연성은 없는 영역이다. 보에티우스는 이 모델을 토대로 미래 결과에 대한 앎은 성립하지만, 그 앎이 미래 사건이 자유롭지 않게 만드는 필연성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기술 논변은 짧은 논증 속에서 자신에게 기대되는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response to the problem of compatibility between divine foreknowledge and human free will in Boethius’ Consolation of Philosophy, Book 5, starts with the examples from the craftsmanship. This article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nsights this short argument provides, and which role it plays in the subsequent and whole argumentation. The realm of craftsmanship permits us the knowledge of future effects on the basis of mechanism put by the craftsmanship itself. However, this knowledge of future effects depends on the will and judgment of human beings to use the craftsmanship. Boethius’s argument from the craftsmanship shows a prima facie compatibility between the foreknowledge and the not-compelled event. Although his argument doesn’t solve all the problems, we can evaluate it as successful.

      • KCI등재

        「13세기 이성의 자율성과 한계 의식 ― 보에티우스 다치아를 중심으로」논평문 : 계시에 대립하는 학문의 명제가 현실을 옳게 규정할 수 있는가?

        서병창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61 No.-

        자연학에서는 세계는 영원하지만 그리스도교 교리에서는 세계는 시작을 갖는다고 한다. 이에 대해 보에티우스는 자연학의 원리에 따라서는 세계는 영원하지만 상위의 원리에서는 세계는 시작을 갖는다고 한다. 그래서 양자는 어떤 모순이라고 할 수 없고, 자연학자는 계시에 상관없이 자기 학문의 원리에 따라 증명된 이론을 주장해야 한다. 이러한 가언적 필연성으로서의 학문의 이론은 현실을 옳게 규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계시에 대립하는 학문의 명제가 아무리 가언적 필연성이라고 하더라도 현실을 옳게 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현실에 적용되는 명제라고 한다면 실제적 필연성을 가져야 하고 그런 한에서 계시에 어긋날 수 없다. 자연학의 원리에 따라 세계가 영원한 것도 실제적 필연성을 가져야 하고, 그런 한 계시를 어길 수 없다. 자연학에서는 한 물체가 움직이기 위해서는 다른 물체에 의존하면서도 무한퇴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물질적인 제1운동자가 있다고 한다. 이 경우 한 물체가 다른 물체에 의존하면서 어떤 물체에도 의존하지 않게 된다. 제1동자는 어떤 물체도 아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생긴다. 이점에서 세계의 영원성이 필연적인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된다. 이성적 학문의 영역과 계시적 신앙의 영역을 분리하지 않고 양자를 종합할 수 있다. 진리는 하나이며, 서로 다른 주장인 것 같지만 다른 차원임을 보임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과학 이론이 계시를 위협하는 시대에 양자의 분리만을 선언하는 것은 소극적이다. 과학 이론이 진리라고 하더라도 양자가 서로 다른 차원이라는 것을 밝혀서 양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 적극적 해결책이라고 본다. The world is eternal in physics, but the world has the beginning of time in christianity. Boethius asserts that the world is eternal, and also that the world has the beginning ― The first one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physics, and the second one is on the principle of the highest. That is, they don't contradict each other but belong to a different dimension. From this view, He argues that a physician should insist on his theory's adequacy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of his own academic domain, and this, not real, but hypothetical theory can recognize realties rightly. However, a scientific theory, which has a hypothetical necessity, if it contrasts to a revelation, cannot get the proper recognition toward realities. If there is a proposition that is applied properly to the reality, it has a real necessity and could not contradict to revelation. Therefore, for an argument based on physics that the world is eternal to be applied rightly to the reality, it must obtain a real necessity, that means, could not contradict to revelation. In physics, for an object to move, it depends on another object, which in turn depends on another one again and again. Also, for the infinite regress is not possible, the existence of the first mover is required, which is non-physical. Consequently an object depends on another object and does not depend on another object. The fact that the first mover is non-physical leads to this problem. At this point, the question ― is the eternity of the world logically inevitable ― occurs. Both the reason of science and the faith of revelation cannot be separated but should be synthesized. Only to argue that each belongs to its own category and not to consider whether they are compatible is not enough. Now, on this time of faith- threatened-by-science-era, we must show that each belongs its own dimesion and also verify that they are one truth, which are compatible.

      • KCI등재

        보에티우스 다치아의 『최고선에 관하여』

        손은실(Son, Eun-S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1 No.-

        이 글은 오랫동안 13세기 라틴아베로에스주의 행복론의 모델 텍스트로 알려져 온 보에티우스의『최고선에 관하여』라는 작품의 성격을 규명하려는 시도이다. 중세철학 연구의 수많은 거장들이 걸작으로 평가받는 이 소책자를 연구하였지만 이 작품의 성격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주된 쟁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이 책의 관점이 그리스도교 신앙과 충돌하는가 아닌가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 책의 성격이 순수하게 철학적인가 혹은 철학의 학문적 자율성을 방어하는 것인가 아니면 신앙 차원의 논의를 포함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이 작품의 성격이 순수하게 철학적인 것이고 이 작품에서 전개된 보에티우스의 행복론은 그리스도교 신앙과 충돌하지 않음을 규명한다. 그의 행복론은 물론 당시 회자되던 아리스토텔레스-아랍 철학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리스도교 행복론과 충돌하는 아베로에스의 행복론을 수용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보에티우스의 작품을 겨냥한 1277년 단죄 조항도 라틴아베로에스주의 행복론의 모델 텍스트로 평가한 기존의 해석도 작품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 기초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최고선에 관하여』가 쓰여진 시대의 역사적 배경인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아랍 철학자들의 주석과 함께 라틴 그리스도교 사회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인간의 최고선에 대한 이해 문제가 철학과 신학 사이에 긴장을 야기하는 쟁점이 되었음을 밝힌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De summo bono of Boethius of Dacia, which has been known as the model text of the concept of happiness of the thirteenth-century Latin Averroism. Though numerous scholars of medieval philosophy have already worked on this treatise, its nature is the object of controversy as ever. There are two principal issues. One is whether the viewpoint of this treatise conflicts with Christian beliefs or not. The other is whether this treatise is purely philosophical, defends the scientific autonomy of philosophy, or includes theological discussions. This paper argues that the treatise is purely philosophical in nature and does not conflict with Christian beliefs. The eudaemonics of Boethius underwent the influence of Aristotelico-Arab philosophy during the period in question, but Boethius did not accommodate the eudaemonics of Averroes, which conflicts with Christian belief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at neither the Condemnation of 1277 nor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f the treatise as the model text of the eudaemonics of Latin Averroism hold after tho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work. It also elucidates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highest good became an issue that caused tension between philosophy and theology during the process of accommodation through which the Latin Christian community absorbed the Aristotelic philosophy, which served as the backdrop of the treaties along with the commentaries of Arab philosophers.

      • KCI등재

        보에티우스 『철학의 위안』에서 행복과 자유 의지: 메니포스 풍자 문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오지은 범한철학회 2017 汎韓哲學 Vol.87 No.4

        A recent interpretation of De Consolatione sees it as one of Menippean Satire, which satirises philosophy. This interpretation is based on the reading according to which Philosophy did not reveal any fruitful paths to happiness, and her insistence on the existence of free will was ultimately not maintained. In this paper, I claim that this interpretation does not provide us reasonable evidences. Firstly, I argue that Philosophy presented praxis and theōria as methods of attaining happiness, and helped Boethius to participate in theōria. Next, I demonstrate that her insistence on the existence of free will did not reach an impasse. I explain the meaning of exordium(Ⅳ.6.19), and make clear that the God described in this book is not the one who compels us to act in a certain way, but the one who weaves ‘the acts performed by ourselves’ and ‘the (mis)fortunes we are going to meet.’ 최근 몇몇 연구자들은 『위안』이 메니포스 풍자 문학에 속하는 것으로서 철학 풍자를 목표로 하는 책이라 해석하며 다음의 두 이유를 내놓았다. 하나는 보에티우스라는 구체적 개인이 어떻게 참된 행복을 달성할 수 있는지에 관해 철학이 말해주는 바가 없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유 의지가 존재한다던 철학의 기존 주장이 맨 끝에서 번복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철학이 프락시스와 테오리아를 행복에 가까워지는 길로서 제시했을 뿐 아니라 보에티우스로 하여금 테오리아를 직접 실행하도록 안내했음을 보인다. 다음으로 필자는 exordium(Ⅳ.6.19)의 의미를 구체화함으로써, 이 책에 묘사된 신은 우리를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게끔 강제하는 자가 아니라 ‘우리가 자유롭게 한 행동’과 ‘우리가 마주치게 될 운’을 엮는 자임을 설명하며, 자유 의지의 존재에 대한 철학의 옹호는 변함없이 유지됨을 밝힌다. 결국 본고는 앞의 두 이유 때문이라면 『위안』을 메니포스 풍자 문학으로 분류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과 보에티우스의 삼단논법

        전재원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5 No.-

        본 논문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과 보에티우스의 삼단논법을 비교하는 것이다. 정언삼단논법과 가언삼단논법에 집중하기 위하여 양상적 삼단논법은 우리의 논의로부터 배제하였다. 논리학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과 관련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언삼단논법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연구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분석론 전서에서 다수의 타당한 정언삼단논법의 식들이 왜 타당한지를 증명하고 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가언삼단논법에 관한 한 그렇게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에서 가언삼단논법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대목을 발견할 수가 없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들이 이 간극을 메우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 이론을 발전시킨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에티우스가 자신의 저서 가언삼단논법에 관하여의 제1권에서 강조하고 있듯이, 페리파토스학파는 가언삼단논법에 대한 연구를 막 시작했을 뿐이었고 나머지의 보다 더 상세한 연구는 어쩔 수 없이 보에티우스 자신이 할 수밖에 없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을 번역하는 가운데 보에티우스로서는 불가피하게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약간 변형시키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이유는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언어적 차이에 있었다. 우리는 보에티우스의 번역 때문에 주사와 빈사의 순서가 바뀜으로써 정언삼단논법의 격이 변형되었고,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삼단논법의 격은 보에티우스가 제시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또 삼단논법에 관한 보에티우스의 저작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을 통해서 정언삼단논법은 거의 전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에 의해서 발전했던 반면에 가언삼단논법을 광범하고 세밀하게 연구한 사람은 보에티우스였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보에티우스가 가언삼단논법을 간결하게 설명한 역사상 최초의 인물은 아니었다.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syllogisms from both fronts : Aristotle and Boethius. We mainly focus on th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categorical and hypothetical syllogisms in Aristotle and Boethius. Regarding Aristotle’s works on logic, it is not unusual to claim that Aristotle extensively worked on categorical syllogisms. In Prior Analytics, Aristotle gave proofs for many valid moods. However we cannot find a similar treatment for hypothetical syllogism in his works. Thus, it might be a reason for his students to improve Aristotle’s theory of syllogisms by filling the gaps in hypothetical syllogisms. As Boethius already emphasized in the Book I of De Hypotheticis Syllogismis, the Peripatetic School only initiated the start. The remaining and detailed treatise was due to Boethius himself. The impression we got from Boethius’s and Aristotle’s works on syllogisms is that the categorical syllogism is almost entirely developed by Aristotle himself, whereas the extensive and the detailed study of the hypothetical syllogism was carried out by Boethius, although he was not the first figure in the history who gave concise expositions on hypothetical syllogism. Boethius’s translations of syllogisms in medieval era were the primer resource and textbook for Aristotelian logic during the early Medieval ages. Therefore, the scholars of those times had no other chance but to work from Boethius’s commentaries. So, the evident properties of Aristotelian figures were not then visible. Boethius wrote several textbooks in logic. A detailed investigation might yield significant information on Boethius’s logic compared with the influence of Aristotle on Boethius.

      • KCI등재

        『이사고게』에서 제시된 보편자에 대한 질문

        허민준(Min-Jun Huh) 한국서양고전학회 2014 西洋古典學硏究 Vol.53 No.2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과 논리학 과목의 입문서로 구상된 포르피리우스의 『이사고게』는 서문에 전개되는 보편자에 대한 질문으로 유명하다. 포르피리우스는 다섯 개의 속성, 즉 유, 종, 차이, 고유성, 우유성을 다루는 본문에 앞서 ‘유’ 와 ‘종’의 실체에 대한 세 가지 질문을 제시하지만 구체적인 답은 피하기에 후대 주석가들에게 해설의 여지를 남긴다. 철학 사학자들은 『이사고게』에 대한 고대 주석서 ? 즉 암모니우스, 엘리아스, 다비드, 위(僞) 다비드의 4개의 희랍 주석서와 보에티우스의 2 개의 라틴 주석서 ? 를 바탕으로 보편자들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자 했다. 하지만 보에티우스의 일차 주석서는 보편자에 대한 논쟁의 역사적 기원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언어적, 그리고 철학적 난해함 때문에 지금까지 큰 주목을 받지 못 했다. 본 논문은 보에티우스의 일차 주석서와 『범주론』에 대한 심플리키우스, 그리고 덱시푸스의 주석서를 비교 분석하여 보편자에 대한 질문이 출현하게 된 철학적 배경을 재구성하는데 있다. 즉 보편자에 대한 질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에 대한 플로티누스 (Enneads, VI, 1)의 비판적인 견해를 반박하는 포르피리우스의 논증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이다. 지성계와 감각계를 모두 함유하는 단일한 유, 즉 ο?σ?α는 있을 수 없다는 스승의 견해와는 달리 포르피리우스는 모든 계층의 존재를 포용하는 보편적인 유로서 ο?σ?α는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결론은 현존하지 않는 『범주론』에 대한 포르피리우스의 주석서 Ad Gedalium에 근거한 보에티우스, 덱시푸스와 심플리티우스의 주석을 비교 대조해 얻을 수 있다. ο?σ?α를 지성계와 감각계의 유일한 유로 두는 형이상학적 체계는 소위 ‘포르피리우스의 나무’ 꼭지에서도 암시된다. 보에티우스가 일차 주석서에서 시사하듯 보편자에 대한 마지막 두 개의 질문은 동일한 형이상학적 체계를 묘사한다. 둘째 질문은 ο?σ?α의 종으로 분류되는 모든 실체를 ‘물체적인 것’과 ‘비물체적인 것’ 이등분으로 나누고 셋째 질문은 ‘물체와 완전히 분리된 비물체적인 것’, ‘물체와 때로는 분리되고 때로는 관계하는 비물체적인 것’ 그리고 ‘물체와 연관되어 존재하는 비물체적인 것’, 즉 삼등분으로 나누지만 포리피리우스의 철학에 따르면 ‘물체적인 것’은 ‘물체와 연관되어 존재하는 비물체적’인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 두 체계는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 결국 보편자에 대한 질문은 플로티누스의 형이상학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의 조화를 목적으로 한 포르피리우스의 철학을 반영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Isagoge, a short treatise written by Porphyry and aiming to introduce Aristotle’s Categories and other logical disciplines, is best known for the questions about universals it formulates in its preface. Indeed, at the very beginning, Porphyry sets out three questions about the ontological status of genus and species, but without giving further explanation, thereby leaving room for commentators to come. For a long time, scholars had recourse to the ancient commentaries on Isagoge - four in greek (Ammonius, Elias, David, Pseudo-Elias) and two in latin (Boethius) -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 nature of the five predicabilia. However, among those sources, Boethius’ first commentary, because of its obscurity, had rarely drawn attention of researchers, even though it contains a major clue for u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genesis of the problem of universals. In this article, I show how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Boethius’ first commentary (ed. Brandt 26, 15-27, 18) and those of Simplicius and Dexippus on the Categories (respectively ed. Kalbfleisch, 40, 28-41, 3 and ed. Busse, 77, 12-27) allows us to reconstruct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that gave birth to these questions about universals. Thus, we discover that these questions were elaborated in response to Plotinus’ criticisms on Aristotle’s categories (Enn. VI, 1). Indeed, unlike his master for whom the existence of a single common genus ο?σ?α that embraces both the intelligible and sensible realms is not possible, Porphyry seemed to have had the idea that ο?σ?α can rightly be considered as a universal genus for all classes of beings. This is the conclusion that can be drawn from the testimonies of Boethius, Dexippus and Simplicius, given that their commentaries depended obviously on Porphyry’s lost commentary on the Categories called Ad Gedalium. The metaphysical structure that makes the ο?σ?α a genus of intelligible and sensible realities is also suggested by the top of the Porphyrian tree. In fact, as it appears from Boethius’ first commentary, we realize that last two questions about universals describe in reality the same ontological structure : the division of realities into ‘corporeals’ and ‘incorporeals’, two species of ο?σ?α (2nd question), is perfectly in accordance with the division of realities into ‘things that are separated from the matter’, ‘things that are sometimes separated, sometimes joined’, and ‘things that are always separated’ (3rd question). Indeed, according to Porphyrian incorporeal theory, the corporeals can be identified with incorporeals that cannot exist without any corporeal foundation. In sum, the questions on universals synthesize nothing less than an Porphyrian attempt to harmonize Plotinus" metaphysics with Aristotle"s doctrine of categories.

      • KCI등재

        이중진리론과 전제의 차이 : 라틴 아베로에스주의자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대립

        이경재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61 No.-

        이 논문은 라틴 아베로에스주의자들이 실제로 이중진리를 주장했는지의 여부를 살펴보려는 것이 아니라, 이중진리 혐의의 배후에서 그것을 일으키게 한 보다 근본적인 이유 즉 그 배후에 놓인 세계관적 갈등 내지는 전제의 대립을 확인해 보려고 한다. 13세기 라틴아베로에스주의자들은 이러한 신앙과 이성의 분리의 길을 걸어가기 시작했다. 이들은 신앙과 이성의 관계 속에서 진리가 신앙이 아니라 자신들에게 있다는 것을 주장하려는 데 관심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신앙의 목소리와는 무관하게 자신들의 방식대로 세계에 대한 이해를 추구해 나가는데 관심이 있었다. 이러한 이들의 태도는 사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유입으로 인해 스콜라학계가 겪게 되는 근본적인 지각변동을 반영한다. 그 이전의 서양 중세사상에서 세상은 신의 흔적으로서 항상 신과의 관계 속에서만 언급되고 이해될 수 있을 뿐 그 자체로서 고유한 가치를 지니는 독자적인 것이 아니었다. 하지만 새롭게 유입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는 그 자체로서 독립적이고 독자적인 가치를 지니며, 신의 도움 없이도 이성이 그 안에서 자신만의 진리를 발견할 수 있는 그런 세계였다. 결국 라틴아베로에스주의자들을 둘러싸고 벌어진 이중진리론 혐의는 신과 무관하게 세상을 말하려는 사람들과 신과 무관하게는 세상을 말할 수는 없다는 사람들, 그리고 신과 무관하게 세상을 말할 수 있지만, 그것은 신과의 관계에서 보완되어야 온전할 수 있다는 사람들 사이의 사고방식 차이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The main concern of this article is not to decide whether Latin Averroists could be counted as the so-called double truth theorists or not, but to confirm the premise Latin Averroists had have which might have caused them be to charged with double-truth theory. Latin-Averroists of the 13th century cared just about the independent philosophical explanations on the matters they concerned, regardless of the theological or ecclesiastical doctrine on them. They did not intend to claim that the truth consists not so much in the Christian faith and doctrine as in the philosophical and rational knowledge. Either to revaluate or to criticize truth-values of the Christian faith in the name of reason and rationality is out of their eyes. They just pursued their own way of understanding the universe, apart from the voice of the church. They were those who deeply impressed and influenced by the newly introduced Aristotle's philosophy at that time which had been unknown for a long time to the western latin Christian world. Unlikely the world of Christian faith which was predominant in those days, that of Aristotle was the world without the Creator God, in which the reason could find the truth all alone without any help from above. Latin Averroists did not seem to claim the double truth theory. They were only faithful and sincere followers of Aristotle and Averroes the Commentator. They just tried to speak about the world in terms of strict Aristotelian principles, in totally rational way, instead of under the guidance of God the Creator. The conflict between those speaking about the world and searing for the truth with God and those doing the same without God, that was the real point of the so-called double truth charge of 13th century.

      • KCI등재

        죽은 몸과 되살아난 몸의 수적 동일성 문제를 통한 1277년 단죄의 재조명

        정현석 ( Chung¸ Hyun S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6 가톨릭철학 Vol.0 No.27

        본 논문은 가톨릭신앙의 핵심을 다루는 1277년 3월 7일 파리대학 단죄 항목들인 “사멸한 신체가 수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되돌아오는 일은 생기지 않으며, 수적으로 동일한 것이 되살아나지도 않을 것이다”와 “미래의 부활에 대해 철학자가 동의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이성으로 <미래의 부활을> 탐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이것은 오류다. 왜냐하면 철학자는 그리스도에게 순종토록 지성을 다잡아야하기 때문이다”를 중심으로 1277년 단죄 조치의 목적과 성격을 재조명한다. 이 과정에서 본 논문은 먼저 이 두 명제가 13세기 파리대학에서 활동하던 사상가들이 견지했던 사상과 일치하는 대상이 엄밀한 의미에서 없음을 보에티우스 다치아와 시제브라방의 주요저작들을 분석하면서 밝힌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1277년 단죄 목록 전반의 특징인 익명성과 그에 따른 문헌학적 불명료성이 텅피에의 의도를 반영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그리고 그 의도와 관련하여 텅피에의 단죄 조치를 특정사상가 혹은 입장에 대한 단죄보다는 파리대학의 교육과정에서 거론될 수 있는 심각한 오류에 대한 예방조치로 이해해야 한다고 제안하려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examine the tenets and the nature of the Condemnation at the University of Paris in 1277, especially centering on the two propositions touching core values of Christianity in the Decree promulgated by Etienne Tempier: “Quod non contingit corpus corruptum redire idem numero, nec idem numero resurget”; and “Quod resurrectio futura non debet concedi philosopho, quia impossibile est eam investigari per rationem. - Error, quia etiam philosophus debet capivare intellectum in obsequium Christi”. This research first shows that those two articles corresponds none of the University members’ thoughts(including those of such figures like Boethius of Dacia and Siger of Brabant) in the strict sense of the terms. And we attempt to suggest that the anonymous character and the lack of philological and doctrinal precision of the decree reflect certain intentions of Etienne Tempier, the censor, and to pave a way to re-illuminate the Decree of 1277 not as a condemnation of some specific members of the University or their position, but as a prescriptive or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crucial errors which some might or would teach in the University of Paris.

      • KCI등재

        호모 파티엔스(Homo Patiens)를 위한 보에티우스의 행복론: 『철학의 위안』 2, 3권을 중심으로

        장미성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문화 Vol.- No.40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Boethius' theory of happiness for Homo Patiens, which he argues in The Consolation of Philosophy. In The Consolation of Philosophy, book 2-3, the goddess of philosophy heals Boethius by explaining what true happiness is, how true happiness results in true goodness, and how this true good ends with God and how happiness can be obtained. The characteristic of Boethius' theory of happiness lies in awareness of human existence and is based on rationality. Also, happiness is not about fear of losing what I have, but having peace of mind, not about physical, but about intelligence, not opposition to pain, but through pain. When we accurately recognize our destiny and realize that happiness is God and the best while realizing my own existence, we can get healing and comfort by finding the answer to life by ourselves through internal dialogue. Complaining that we are unhappy while having the best thing in me, that is the cause of our illness, taking off false happiness, and reaching God with the love of the universe, we become truly happy. 본 논문은 불행을 호소하는 호모 파티엔스 현대인들을 위한 보에티우스의 답변으로서, 철학의 위안 에서 주장하는 그의 행복론을 검토하는 것이다. 철학의 위안 2-3권에 철학의 여신은 거짓 행복과 구별되는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 참된 행복이 어떻게 참된 선의 문제로 귀결되며, 이 참된 선은 다시 신으로 종결되는지, 그리고 행복을 어떻게 획득할 수 있는지 설명하면서 보에티우스를 치유하고 있다. 보에티우스 행복론의 특징은, 인간 존재에 대한 자각에 있으며, 철저한 이성주의를 바탕으로 한다. 행복은 내가 가진 것을 빼앗긴다는 두려움이 아니라 마음의 평안을 가지는 것이며, 육체적인 것이 아닌 지성에 관련된 것이고, 고통의 반대되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우리는 자신의 운명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내 자신의 존재를 자각하면서 행복이 신이며 최고선임을 깨달을 때, 내적 대화를 통해 스스로 인생의 답을 찾아가는 치유와 위로를 얻을 수 있다. 내 안에 가장 좋은 것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불행하다고 불평하는 것, 그것이 우리 병의 원인이며, 거짓된 행복을 벗어버리고, 우주의 사랑으로 신에 다다를 때 우리는 진정으로 행복해지는 것이다.

      • KCI등재

        보에티우스의 『데헵도마디부스』(De Hebdomadibus)에 나타난 프로클로스의 영향 연구

        박규희 ( Park Kyu Hee ) 한국중세철학회 2023 중세철학 Vol.- No.29

        『신학 소품』(Opuscula sacra)의 세 번째로 실린 짧은 논고 『실체들이 실체적인 선이 아님에도 그 자신인 한에서 선할 수 있는 방식』에서 보에티우스는 정확히 제목에 드러난 것을 해명한다. 중세에 『데헵도마디부스』라고 알려진 이 책은 실체의 선성을 존재와 존재자의 구별 또는 존재와 본질의 구별, 그리고 관여사상을 통해 다룬다. 공리적-연역적 서술 방법으로 쓰여진 이 책은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으로나 신플라톤주의의 전통에 놓여 있다. 하지만 작품의 역사적 맥락이 충분히 해명되지 않아 『데헵도마디부스』에서 보에티우스의 의도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한편 토마스 아퀴나스의 『데헵도마디부스 주해』는 거기에 담긴 사변적 풍부함과 깊이 때문에 텍스트를 이해하는 한 가지 타당한 해석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토마스는 보에티우스의 존재 개념에서 분여되지 않는 존재와 분여되는 존재를 구별함으로써 보에티우스의 관여사상을 조리있게 해명한다. 만일 토마스의 해석이 정당하다면, 보에티우스에게서 나타나는 분여되지 않는 존재와 분여되는 존재의 구별은 프로클로스의 관여구조 분석과 일치한다. In the third treatise in Opuscula sacra titled “Quomodo substantiae in eo quod sint bonae sint, cum non sint substantialia bona” Boethius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revealed in the title: the way in which substances are good insofar as they are not substantial good. This treatise, also known as “De Hebdomadibus” to medieval philosophers, deals with the goodness of substance through the distinction between existence and the existent, using an axiomatic method. This book, both in content and form, is situated within the tradition of Neoplatonism. However,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work is not sufficiently explained, making it challenging to understand Boethius’ intentions in De Hebdomadibus. On the other hand, Thomas Aquinas’ Commentary on De Hebdomadibus is recognized as a valid interpretation due to its rich and profound analysis of the text. In particular, Thomas elucidates Boethius’ philosophical ideas by distinguishing between unparticipated and participated being in Boethius’ theory of participation. If Thomas’ interpretation is valid, Boethius’ distinction between unparticipated and participated being corresponds with Proclus’ analysis of structures of metaphysical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