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영집성』 가곡 중 변조 악곡 고찰 - <율당삭대엽>, <농>, <(계)낙수조>, <편락>을 중심으로 -

        신혜선 한국국악학회 2016 한국음악연구 Vol.60 No.-

        소영집성(韶英集成)ꡕ에는 1822년 편찬된 거문고 악보로 가곡 한바탕이 수록되어 있다. ꡔ소영집성ꡕ의 가곡 수록체계는 우조 10곡과 계면조 10곡을 악조별로 나누어 수록하였으며, 한 악곡 내에서 변조가 이루어지는 4곡의 악곡이 수록된 점이 특이하다. 본 연구는 ꡔ소영집성ꡕ의 가곡 체계 특징을 먼저 살펴보고, 특히 변조 악곡인 <율당삭대엽(栗糖數大葉)>, <농(弄)>, <(계)낙수조(落水調)>, <편락(編樂)> 등을 분석하여 19세기 전반 가곡의 연창방식(連唱方式)의 면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율당삭대엽>의 실제 내용은 <우롱(羽弄)>에 해당된다. 이것은 ꡔ삼죽금보(三竹琴譜)ꡕ와 같은 예로 ꡔ삼죽금보ꡕ에서는 <우롱>이란 명칭 아래 악곡을 수록한 반면, ꡔ소영집성ꡕ은 <율당삭대엽>이란 명칭 아래 <우롱>의 곡을 수록하고 있는 것이다. 이 곡이 <율당삭대엽>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중여음부터 계면조로 변조하여 4장과 5장을 <(계)이삭대엽(二數大葉)>으로 연주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연주방법을 중여음 한 장단의 선율과 주(註)로 설명해 주고 있으며 이것 또한 ꡔ삼죽금보ꡕ의 예와 비슷하다. <농>은 현행 남창 <평롱(平弄)>으로 5장 이두 제 6박부터 변조하는 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즉, <농>으로 연주하다가 5장 이두 제 6박부터 <우락(羽樂)> 5장 선율로 연주하는 것이다. 이것은 현행 여창 <평롱>에서 연주하는 양상과 일치하며 현행 여창 <평롱>도 5장에서 우조로 변조한 후, 그 다음 <우락>으로 넘어가고 있다. 즉, 이 당시에는 남창 <평롱>에서 5장을 우조로 변조하는 예가 있었으며 현행으로 오며 남창은 <평롱>에서 변조하지 않고 여창 <평롱>에서 변조하는 경우만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계)낙수조>도 <농>과 같이 5장 이두 제 6박부터 우조로 변조를 하는데, 그 변조 양상이 <농>과 동일하다. <(계)낙수조>를 <농>과 비교한 결과 초장 선율만 다르고 2~5장의 선율 전체가 동일하다. 즉, 19세기 초반의 <농>과 <(계)낙수조>는 모두 <우락>의 선율로 진행할 수 있는 곡임을 알 수 있다. <편락>은 2장에서 <우락> 2장의 선율을 10박으로 축소하여 연주하고 3장 후반부 계면조로 변조되는 부분부터는 <(계)편삭대엽(編數大葉)>을 연주한다. 이것은 현행 <편락>의 변주 양상으로 19세기 초반에 이미 현행 <편락>의 모습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편락>은 18세기 후반에 이미 생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ꡔ소영집성ꡕ의 가곡 수록 체계는 악조별로 되어 있으나 그 안의 변조 악곡을 통해 19세기 연창방식을 살필 수 있었다. 특히 <율당삭대엽>의 명칭을 분명히 부여받은 <반엽>이 19세기 초반에 존재하였으며, 이 곡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농>과 <(계)낙수조>가 초장만 다를 뿐 동일한 곡이며 변조의 양상 또한 같은 곡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거(中擧)>와 <평거(平擧)>가 파생되기 이전인 19세기 초반 가곡의 연창방식은 현행처럼 <농>은 여창에서 <계락>은 남창에서만 변조하는 것이 아니라, 남창과 여창 모두 <농>이나 <계락>에서 변조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Soyeong jipseong, the music score of geomungo published in 1822, compiled dozens of gagok pieces. The gagok system in Soyeong jipseong is made up of 10 pieces in ujo mode and 10 pieces in gyemyeonjo mode, separately compiled based on its melodic mode. Moreover, there are four pieces of modulating music that feature the change of a melodic mode within a pie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formance style of gagok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gok system in Soyeong jipseong first, and then analyzing the musical modulation including “Yuldang sakdaeyeop”, “Nong”, “Gyemyeonjo Naksujo”, and “Pyeollak”. The actual content of Yuldang sakdaeyeop is same as the one of Urong. Whereas it was compiled under the name of Urong in Samjuk geumbo, it was compiled under the name of Yuldang sakdaeyeop in Soyeong jipseong. So to play a role as Yuldang sakdaeyeop, it requires modulation into gyemyeonjo from jungyeoeum part playing “Gyemyeonjo Isakdaeyeop” in the 4th and 5th movement; such playing techniques were explained with a melody and annotation of one rhythmic pattern of jungyeoeum, which is similar to the example of Samjuk geumbo. “Nong”, as the one currently called namchang (male) “Pyeongnong”, indicates the modulating part from the idu of the 5th movement. In other words, it plays “Nong” and begins to play melody of the 5th movement of “Urak” from the idu of the 5th movement. This parallels to the current practice of yeochang (female) “Pyeongnong” ; the latter shifts from “Nong” to “Urak” in the 5th movement. At the time male “Pyeongnong” used to modulate in the 5th movement, but nowadays female “Pyeongnong”, not male “Pyeongnong”, features the modulation. “Gyemyeonjo Naksujo” shows the same modulation as “Nong” in that it modulates into ujo mode in the idu of the 5th movement. Comparing “Gyemyeonjo Naksujo” and “Nong” shows that they share the same melody from the 2nd to 5th movement except for the 1st movement. This seems to prove that “Gyemyeonjo Naksujo” and “Nong” were the same piece in the 19th century. That is, both “Nong” and “Gyemyeonjo Naksujo” can be proceeded to the melody of Urak. The 2nd movement of “Pyeollak” plays the melody of the 2nd movement of “Urak” by reducing it into 10 beats and then it plays “Gyemyeonjo pyeonsakdaeyeop” modulating it into gyemyeonjo from the second half of the 3rd movement. This, as the current aspect of “Pyeollak”, seems to have already shown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refore, “Pyeollak” is estimated to have already been created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performance style of gagok in the early 19th century through examining the four pieces of modulating music compiled in Soyeong jipseong can be inferred as follows. First, “Banyeop” was played in the process of passing from ujo to gyemyenjo mode. Second, when music was played in gyemyenjo mode, there was the performance style that “Nong” was followed by “Gyerak”, then modulated into either “Urak” or “Pyeollak”. Third, when music was played in gyemyenjo mode, there was the performance style that “Nong” is modulated into “Urak”, then followed by “Gyerak” or “Pyeollak”. The system that Soyeong jipseong compiled gagok was based on melodic modes, but its modulating music manifests the performance style of gagok in the early 19th century. Particularly, it is considered that “Banyeop” clearly granted the title of Yuldang sakdaeyeop existed and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arly 19th century. “Nong” and “Gyemyeonjo Naksujo” were basically the same piece featuring the same modulation except that they had a difference in the 1st movement. That is, in the early 19th century, when “Junggeo” and “Pyeonggeo” were not derived yet, both male and female gagok were able to modulate in “Nong” and “Gyerak”, as opposed to the current practice that female gagok modulate only in “Nong” and male gagok in “Gyerak”.

      • KCI등재

        WiMAX 망에서 계층적 비디오 멀티캐스트를 위한 적응적 변조 및 코딩의 적용

        한민규(Minkyu Han),홍진표(Jinpyo Hong)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7 No.2

        WiMAX는 기본적으로 7가지의 적응적 변조 및 코딩 레벨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높은 비트율로 변조, 코딩 된다면 전파 도달범위가 적어서 수신자의 수는 줄어들게 되고, 반대로 낮은 비트율로 전송된다면 전파 도달범위가 커져서 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자 수는 증가하게된다. WiMAX의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는 서비스가입자 그룹에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위해, 일대다 접근 서비스를 제공한다. WiMAX 표준에 따르면, 유니캐스팅에서는 적응적 변조 및 코딩을 적용할 수 있으나, 멀티캐스팅에서는 하나의 변조 및 코딩 방식만 채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H.264/SVC (Scalable Video Coding), MPEG-2등 계위적 비디오는 계층적 멀티캐스팅(Layered Multicasting)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신자는 네트워크 혼잡이나 수신기 해상도에 따라 비디오 계층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비디오 계층에 대해 송신할 때 변조 및 코딩 레벨을 달리 적용하여 계층적 멀티캐스팅을 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다양한 전파 지연모델을 활용하고 WiMAX 환경변수를 가정하여 변조 및 코딩방식에 따라 전파 도달범위를 계산하고, 수신자가 균일하게 분포된다고 가정할 때, 계층이 없고 QPSK 1/2로 변조 및 코딩방식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표준 WiMAX 멀티캐스트에 비해 수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Basically, WiMAX supports the seven levels of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In general, if a system communicates with a high bitrate modulation and coding, the number of users may be decreasing due to the small coverage of radio signals. Otherwise, if the system transmits a low bitrate, the number of users may be increasing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coverage will be expanded. In order to transmit multimedia data to group of subscribers, the MBS mechanism of WiMAX provides one-to-many service for users likely multicasting services. According to the WiMAX standard, we can apply to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in unicasting, but it’s supposed to adapt for only one modulation and coding in multicasting. On the other hand, The scalable layered video (i.e., H.264/SVC, MPEG-2) is enable to layered multicasting, so subscribers will be received selective video layers based on information of network congestion, the resolution of receiver’s devices and so 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layered multicasting to apply for different modulation and coding for layered video streaming at base station of WiMAX networks. We assume that there are the various radio propagation models and the users are uniformly located themselves, the system transmits a video layer and it demonstrates the increase of received data rate over non-layered video streaming and only QPSK 1/2 modulation and coding.

      • KCI등재

        판소리 계면조의 일시적 변조 및 변청 연구

        김혜정 한국국악학회 2012 한국음악연구 Vol.52 No.-

        남도의 향토민요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토리는 육자배기토리이다. 육자배기토리가 판소리나 산조와 같은 예술음악으로 수용된 이후 계면조라 불리게 되었고 육자배기토리와는 다른 특성들을 갖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판소리가 계면조라 하는 비교적 익숙한 육자배기토리의 민요 음계를 활용하지만 민요와 다른 세련성과 다양성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판소리 계면조 대목에서 구사하는 음계 다양성 확보 방법들을 찾아 유형화하고자 한다. 또 본격적인 변조와 변청은 계면조의 음계 내적 논의가 아니라고 판단되므로, 본고에서는 음계의 일부로 녹아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일시적 변조와 변청에만 집중해 보려 한다. 연구 대상은 계면조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진양조 장단 대목으로 한정할 것이며 일시적 변조와 변청이란 1장단을 넘어서지 않는 것으로 규정할 것이다. 판소리 계면조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법에는 계면조를 옥타브 위와 아래로 확대하여 사용하는 음역 확장과 일시적으로 우조로 변조하는 경우, 4도 위와 5도 아래의 계면조로 변청, 5도 위와 4도 아래의 계면조로의 변청의 네 가지 요소가 있다. 판소리 계면조의 음역확장과 일시적 변조 및 변청은 판소리 내에서 일종의 양념처럼 역활한다. 남도잡가 육자배기의 경우에도 음역확장이나 일시적 변조 및 변청을 메기는 소리의 초반부에 활용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 역시 분위기 변환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일부 판소리꾼들은 이러한 일시적 변조나 변청을 자주 활용하지 않는 경우가 발견된다. 이는 음계적 변화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판소리를 다양한 어법으로 만든 경우라 할 수 있다. 또 고제소리를 고집했던 명창들 가운데에는 일시적 변조 및 변청이 남도잡가에서 많이 사용된 것이므로 판소리에서 같은 방식을 활용할 경우 소리가 가벼워진다고 여겼을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일시적 변조나 변청을 자주 사용한 사람이 주로 여성 창자들이며, 근대의 창자들이라는 점에서 그러한 가능성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아마도 이러한 경향성에 대한 것은 앞으로 많은 사례 연구를 통해 검증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판소리가 반드시 다양한 어법을 활용해야 하고, 그것이 최선의 길이라 할 수는 없다. 다만 여러 가지 판소리의 음악어법 가운데 한 부분인 음계 운용방식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들을 유형화하여 정리해 본 것에 본고의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각각의 소리꾼들이 어떻게 활용하였는지를 살펴본다면 개인적 취향이나 유파별 특성, 대목별 특징, 시대적 지향 등을 보다 세밀히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The Tori used most in the folk songs of Namdo is Yukjabaegitori. Accepted as an art music as Pansori and Sanjo, Yukjabaegitori came to be called Kyemyenjo, and it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Yukjabaegitori. Focusing on the fact that Pansori utilizes the folksong scale of Yukjabaegitori, called Kyemyenjo, and that it established such sophistication and diversity, this article attempts to look for ways to obtain diverse scale performed in Pansori Kyemyenjo and categorize them. In addition, Full-scale transposition and modulation is deemed to be beside the point, this article focuses on temporary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recognized as a part of scale. The object for study will be limited to Jinyangjo Jangdan, and only the first Jangdan, which is temporay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will be covered. There are four elements to utilizing Pansori Kyemyenjo in various ways: musical expansion which expands Kyemyenjo to an octave high and an octave low; modulating to Ujo temporarily; transposing to Kyemyenjo 4 notes up and 5 notes down; Transposing to Kyemyenjo 5 notes up and 4 notes down. Expansion and temporary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in Pansori Kyemenjo spice up Pansori. Namjojapga Yukjabaegi shows characteristics which expands range and utilizes temporary transposition and modulation at the beginning of lead song. This serves to refresh atmosphere.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is kind of temporary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is not found. This can be a case in which Pansori is transformed into different styles, not through a change in the music scale. Among master singers who stuck to Gojesori, temporary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is used in Namdo Japga,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ound could be felt lighter if the same way is used in Pansori. Female singers used temporary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often, and they are modern-time singers: such possibility can be speculated. Therefore, it does not mean Pansori must use various styles, and it cannot be the best way.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is article examined and categorized different ways in employing scale, a part in Pansori musical language. Examining how each singer utilizes it, personnel preference, characteristics for school, features, and orientations for different ages can be examined in more depth.

      • EDGE 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변조 검출기의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박홍원(Hong-Won Park),문홍열(Hong-Youl Moon),우성현(Sung-Hyun Woo),김진희(Jin-Hee Kim)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0 항공우주기술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EDGE 시스템에서 변조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블라인드 변조 검출기의 알고리즘이 제시되었다. EDGE는 기존 GSM에 8PSK 변조를 도입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률을 높인 시스템이다. 송신단에서는 채널상태에 따라 적절한 변조 및 코딩 기법을 다이내믹하게 바꾸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수신단에서는 데이터 복조를 위해 송신 시에 사용된 변조 방식을 알고자 훈련신호 만의 정보를 이용하여 변조 방식을 검출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열악한 채널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4개의 버스트로 구성되는 1 radio 블록의 특성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1개의 radio 블록 내에서 이전 버스트에서 구한 기준값에 현재 버스트에서 구한 기준값을 축적하여 통계적으로 검출 오류를 최소화시킨다. 또한 통계적으로 가장 신뢰성이 높게 결정이 되는 4번째 버스트의 변조 방식과 다른 변조로 결정된 이전 버스트 데이터는 제로 패딩을 통해 복조 확률을 높이고 있다. In this study, an algorithm for blind modulation detection in EDGE systems is presented. EDGE introduces an 8PSK modulation to provide high-speed data rate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GSM system. A transmitter may switch dynamically th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s for transmission of data according to the channel quality. To decode the data correctly, the receiver has to detect using only training sequence which modulation is being used. Basically the property of one radio block composed of four bursts to detect effectively the modulation scheme even under severe conditions is used. More specifically, the reference value calculated for received burst is accumulated with previous reference value to minimize statistically the false detection probability in one radio block. Also each burst data having different modulation from the modulation of the fourth burst is set to zero to improve the decoding performance because the reference of the fourth burst has the highest reliability.

      • KCI등재

        딥러닝 기반 자동 변조 인식 성능 분석

        강종진,김재현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3

        본 논문에서는 미상의 통신신호에 대한 자동 변조 인식을 위하여 심층신경망인 딥뉴럴네트워크를 적용하여 변조형태를 식별하고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신경망 입력 데이터는 변조된 신호의 시간영역 디지털샘플 데이터,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적용한 주파수영역 데이터, 시간 및 주파수영역 혼합데이터를 사용하여 각각의 변조인식 성능을 확인하였다. 아날로그 변조 및 디지털 변조 신호 11종에 대하여 –20~18 dB 까지 다양한 SNR(Signal to Noise Ratio) 환경에서 변조인식 성능을 확인하고 그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입력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학습 속도를 확인함으로써 제안한 방법이 실제적인 자동변조 인식 시스템 구축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 하였다. In this paper, we conduct performance analysis in automatic modulation classification of unknown communication signal to identify its modulation types based on deep neural network. The modulation classification performance was verified using time domain digital sample data of the modulated signal, frequency domain data to which FFT was applied, and time and frequency domain mixed data as neural network input data. For 11 types of analog and digitally modulated signals, the modulation classification performance was verified in various SNR environments ranging from -20 to 18 dB and reason for false classification was analyzed. In addition, by checking the learning speed according to the type of input data for neural network,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for constructing an practical automatic modulation recognition system that require a lot of time to learn.

      • KCI등재후보

        OWC-MIMO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극좌표 변조기법

        김정현,문성재,김영우,홍성훈 조선대학교 IT연구소 2018 정보기술융합공학논문지 Vol.8 No.2

        The polar modulation(PM) scheme of the OWC-MIMO system is well known to be an effective modulation method to increase the data rate by converting QAM or PSK modulated symbols to positive real symbol compared to the QCM schem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PM symbols is uneven in constell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rror probability of a specific symbol.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PM method which uses CR to uniform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PM symbols. Simulation result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BER gain and power consumption compared with general PM technique. Also proposed method has better performance of BER gain and BPCU compared with QCM method. OWC-MIMO 시스템의 변조를 위한 극좌표 변조 기법은 기 제안된 QCM기법[11]에 비해 QAM 또는 PSK로 변조된 심볼을 복소수에서 양의 실수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송율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극좌표 변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선형성으로 인해 변조 이후 심볼 간 유클리디언 거리가 균일하지 못해 특정 심볼의 오류 확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극좌표 변조 이후 심볼간 균일한 유클리디언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Constellation Rearrangement (CR) 기법이 적용된 극좌표 변조 기법을 제안한다. 모의 실험 결과 제안된 극좌표변조 기법은 QCM 변조방식[11] 대비 BER 성능과 전송량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일반적인 극좌표 변조방식 대비 동일한 전송량에서 BER 성능과 소비전력 측면에서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판소리 계면조의 일시적 변조 및 변청 연구

        한국국악학회 2012 한국음악연구 Vol.52 No.-

        <P>&nbsp;&nbsp;남도의 향토민요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토리는 육자배기토리이다. 육자배기토리가 판소리나 산조와 같은 예술음악으로 수용된 이후 계면조라 불리게 되었고 육자배기토리와는 다른 특성들을 갖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판소리가 계면조라 하는 비교적 익숙한 육자배기토리의 민요 음계를 활용하지만 민요와 다른 세련성과 다양성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판소리 계면조 대목에서 구사하는 음계 다양성 확보 방법들을 찾아 유형화하고자 한다. 또 본격적인 변조와 변청은 계면조의 음계 내적 논의가 아니라고 판단되므로, 본고에서는 음계의 일부로 녹아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일시적 변조와 변청에만 집중해보려 한다. 연구 대상은 계면조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진양조 장단 대목으로 한정할 것이며 일시적 변조와 변청이란 1장단을 넘어서지 않는 것으로 규정할 것이다.</P><P>&nbsp;&nbsp;판소리 계면조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법에는 계면조를 옥타브 위와 아래로 확대하여 사용하는 음역확장과 일시적으로 우조로 변조하는 경우, 4도 위와 5도 아래의 계면조로 변청, 5도 위와 4도 아래의 계면조로의 변청의 네 가지 요소가 있다. 판소리 계면조의 음역확장과 일시적 변조 및 변청은 판소리내에서 일종의 양념처럼 역활한다. 남도잡가 육자배기의 경우에도 음역확장이나 일시적 변조 및 변청을 메기는 소리의 초반부에 활용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 역시 분위기 변환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P><P>&nbsp;&nbsp;그런데 일부 판소리꾼들은 이러한 일시적 변조나 변청을 자주 활용하지 않는 경우가 발견된다. 이는 음계적 변화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판소리를 다양한 어법으로 만든 경우라 할 수 있다. 또 고제소리를 고집했던 명창들 가운데에는 일시적 변조 및 변청이 남도잡가에서 많이 사용된 것이므로 판소리에서 같은 방식을 활용할 경우 소리가 가벼워진다고 여겼을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일시적 변조나 변청을 자주 사용한 사람이 주로 여성 창자들이며, 근대의 창자들이라는 점에서 그러한 가능성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아마도 이러한 경향성에 대한 것은 앞으로 많은 사례 연구를 통해 검증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P><P>&nbsp;&nbsp;따라서 판소리가 반드시 다양한 어법을 활용해야 하고, 그것이 최선의 길이라 할 수는 없다. 다만 여러 가지 판소리의 음악어법 가운데 한 부분인 음계 운용방식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들을 유형화하여 정리해 본 것에 본고의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각각의 소리꾼들이 어떻게 활용하였는지를 살펴본다면 개인적 취향이나 유파별 특성, 대목별 특징, 시대적 지향 등을 보다 세밀히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P>

      • 자기정렬공정에 의한 GaAs/ AlGaAs 광위상변조기의 제작 및 특성 측정

        김병성,정영철,변영태,박경현,김선호,임동건 광운대학교 신기술연구소 1996 신기술연구소논문집 Vol.25 No.-

        MOCVD(metal-organic chemical vapour deposition) 방법으로 성장시킨 이중 이종접합구조GaAs / AlGaAs 웨이퍼를 이용하여 광위상변조기를 제작하였다. 제작과정에서 도파로와 절연층의 형성시 동일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하는 자기정렬공정을 개발하여 그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Fabry-Perot 간섭법을 이용하여 변조기의 위상변조효율을 측정하였으며, 1.31㎛ 파장에서 TE 편광의 경우 22.5˚/Vmm의 위상변조특성을 얻었다. An optical phase modulator is fabricated in GaAs / AlGaAs double heterostructure wafer grown by MOCVD. A self-aligned process, in which the same photoresist pattern is used for both the waveguide etching and the insulation layer formation, is developed and is found to be very useful. Fabry-Perot interference technique is applied to the measurement and the phase modulation efficiency is measured to be 22.5˚/Vmm at 1.31㎛ for TE polarization.

      • 2차 가진 제어 변조분사 특성 및 액체제트의 분무특성

        강영수(Youngsu Kang),이인철(Inchul Lee),구자예(Jaye Koo) 한국추진공학회 2010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본 연구에서는 저주파영역의 가진분무에 대하여 추가적인 내부가진을 수행함으로써 변조분사되는 분무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회전식 가진장치를 사용하여 1차 가진을 생성한 후 2차 가진원인 마그네틱 밸브를 사용하여 변조하였다. 변조분무의 FFT결과와 분무패턴의 가시화를 통하여 관찰한 결과, 2차 가진 제어가 있는 변조분사의 경우 1차 가진만 있는 분사보다 분무의 상하 운동 진폭이 작으며 분무 하단류의 침투깊이가 증가하는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Spray characteristics for the modulation with a pulsed spray in low-frequency region were investigted by performing with additional internal pulsed injection. The 1st perturbative flow was generated by rotating-type pulsed device and the 2nd pulse source generated by the magnetic valve was used to modulate the 1st flow. A pattern of the modulated spray was observed through FFT result and visualization. In case of modulated spray with the 2nd pulse control, the width of up and down motion of the modulated spray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pray without the 2nd pulse. Also, the depth of penetration of the down stream is higher than that of spray without the 2nd puls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