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요 스프레이 품종의 탄수화물 함량과 변이계수, 유전력 및 유전자 전이율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심성임,임기병,김창길,정미영,김경민,정재동 한국화훼학회 2016 화훼연구 Vol.24 No.1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coefficient of variation, heritability and genetic advance and that of as percentage of mean were carried out to estimate variability and genetic parameter of carbohydrate content including soluble and insoluble sugar in the tissues of 10 commercial spray chrysanthemum cultivars cultivated for cut flower. Insoluble sugar including sucrose, fructose and glucose were contained in tissue of inflorescence and stem, and leaf tissue in inflorescence and stem. On the other hand, only fructose and glucose except sucrose were detected in leaf tissue derived from two kinds of tissues. Fructose content in the most of cultivars was the highest, compared with that of sucrose and glucose. Soluble sugar content in 10 different genotypes of spray chrysanthemum cultiva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1% level. Coefficient of variation (CV), Coefficient of phenotypic variation (PCV), Coefficient of genotypic variation (GCV), heritability and genetic advance as percentage of mean (GAM) were very high regardless of kinds of insoluble sugars, while coefficient of environmental variation (ECV) and genetic advance (GA) were lower than the others. Starch content in 10 different genotypes of spray chrysanthemum cultiva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1% level. CV including PCV, GCV and ECV in both tissue of inflorescence and stem were intended to be moderate value of variations. But leaves derived from inflorescence were high. On the other hand, heritability which was ranged from moderate to higher value was lower in leaf tissue derived from inflorescence and was higher in leaf tissue derived from both tissue of inflorescence and stem. GA and GAM were very lower level in general. 절화용으로 재배중인 스프레이 국화의 탄수화물 함량과 각 품종 별 함량에 대한 변이계수, 유전력 및 유전자 전이율 등의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화서 조직, 줄기조직, 화서에 부착된 엽조직, 줄기에 부착된 엽조직의 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 줄기조직 및 화서 부분의 줄기는 sucrose, fructose 및 glucose 등 3종류의 당이 모두 검출되었으며대부분의 품종에서 fructose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반면 줄기와 화서에 부착된 잎 조직에서는 sucrose는 전혀 검출할 수 없었으며, fructose 및 glucose 등 2종류의 당만이검출되었고 대부분의 품종에서 fructose 함량이 높았다. 아울러 이들 조직 내의 유리당의 함량은 품종 간 상당한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통계학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변이계수, 표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 유전력 및 유전자 전이율은 유리당의 종류에 관계없이 매우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오차 또는 환경 변이계수와 유전자 전이는 대단히 낮은 편이었다. 화서와 줄기 조직 내 전분함량은 품종 간 통계학적 유의차는 인정되었으며 표현형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 오차 또는 환경 변이계수를 포함한 변이계수는 중정도 수준의 변이율을 나타내었으나, 화서를 포함한 줄기 조직은 변이율이 낮고 화서 내 엽조직은 높은 편이었다. 유전력은 중정도에서 다소 높은수준까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화서 내 엽 조직이 낮은편이었고 화서와 줄기 내 잎의 조직이 높은 편이었다. 유전자 전이는 대단히 낮았고 유전자 전이율 또한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 KCI등재

        주요 스프레이 국화 품종의 착생 부위별 형태 생리적 특성과 관련된 변이계수, 유전력 및 유전자 전이율

        심성임,임기병,김창길,김경민,정재동 한국화훼학회 2016 화훼연구 Vol.24 No.1

        절화용으로 재배중인 스프레이 국화 10 품종을 재료로사용하여 각 착생 부위별 소화경의 길이와 줄기와 화서내 엽면적 등의 형태적 특성, 절화 시 수분 흡수 및 절화수명 등과 관련된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품종 별 형질들의 변이 계수, 유전력 및 유전자 전이율 등의 유전 분석을 통하여 금후 국화의 육종 계획수립에 활용코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착생 부위별 줄기와 화서내 엽면적은 거의 모든 품종에서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갈수록 엽면적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품종 간 통계학적 유의차는 인정되었다. 변이계수와 표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는 줄기 내 엽면적에 비해 화서 내 엽면적이 상당히 높은 편이었고 오차 또는 환경 변이계수 또한 같은 경향이었다. 유전력은착생부위에 관계없이 현저히 높았다. 유전자 전이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며 유전자 전이율은 줄기에 비해 화서 내 엽면적이 현저히 높은 편으로 모든 착생 부위의엽면적에서 100% 이상이었다. 소화경의 길이의 경우 모든품종에서 상부로부터 하부 화서로 내려감에 따라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각 부위별 화서의 길이의 평균치는 품종 간차이를 나타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 변이계수, 표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오차 또는 환경 변이계수는 낮은 편이었다. 유전력은 높은반면 유전자 전이와 유전자 전이율은 낮은 편이었다. 꽃목의 직경은 대부분의 품종에서 1번째 소화경의 꽃목의직경이 가장 굵었고 아래쪽으로 내려 갈수록 가늘어지는경향이었으며 품종 간 꽃목 직경은 거의 2배 정도로 차이가 있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나, 착생 부위별 직경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변이계수, 표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는 다소 높은 편이었으나 오차 또는 환경 변이계수는 낮은 편이었다. 유전력은 대단히 높았고 유전자 전이와 유전자 전이율은 대단히 낮은 편이었다. 꽃목의 경도는 착생부위별로 일정한 경향치를 나타내지 않았고 꽃목 경도의 평균치는 품종 간 통계학적유의차가 인정되었다. 변이계수, 표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는 다소 높은 편이었으나 오차 또는 환경 변이계수는 낮은 편이었다. 유전력은 대단히 높았고 유전자 전이와 유전자 전이율은 중정도였다. 절화한 꽃을 화병에꽂은 후 기간별로 생체중을 계측했을 때 품종 간 생체중의 차이가 2배 이상에 달하였으며 품종 간 통계학적유의차는 인정되었다. 변이계수, 표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환경 또는 오차 변이계수는 대단히 낮았다. 유전력은 대단히 높은 편이었고유전자 전이는 낮은 편이었고 유전자 전이율은 중정도인편이었다. 물의 누적 흡수량은 흡수량의 정도에 따라 3 개의 품종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물의 흡수 속도는1.5cm ~ 3.9cm/minute였으며 절화 수명은 ‘Pink Pride’가21.3일로서 상당히 긴 편이었고 ‘Arctic Queen’이 9.3일로서 대단히 짧았다. 물의 흡수량, 흡수 속도 및 절화 수명 실험 결과, 모든 평균치의 품종 간 통계학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변이계수, 표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는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나, 오차 또는 환경 변이계수는 낮았다. 유전력은 높은 편이었으나, 유전자 전이는비교적 낮았다. 유전자 전이율은 중정도 또는 높은 경향이었으나 특히 절화 2~3일째 수분 흡수량의 전이율은100%이상으로 대단히 높았다.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coefficient of variation (CV), heritability and genetic advance as percentage of mean (GAM) were carried out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y individual part of each pedicel length and/or leaf area in stem and inflorescence, etc. and physiological ones related with vase life and water uptake velocity in vase with 10 commercial spray genotypes of chrysanthemum to apply as a tool for the breeding programs. Leaf areas of individual part of each leaf in stem and inflorescence were increased, by the leaf derived from basal to top in almost varieties tested, and were clearly differen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V, phenotypic coefficient of variation (PCV) and genetic coefficient of variation (GCV) were much higher in leaf area on inflorescence, compared to that on stem, but error coefficient of variation (ECV) was the same tendency as the formers. Heritability was very high regardless to individual part of each leaf in stem and inflorescence. Genetic advance (GA) was comparatively low and GAM of leaf areas in inflorescence were sharply higher as above 100% than that of leaf in stem. Lengths of inflorescence by individual part of each inflorescence derived from top to basal became longer in all the varieties tested, and were clearly differen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V, PCV and GCV were comparatively higher in lengths of inflorescence, but ECV was lower. Heritability was very high too. On the other hand, GA and GAM was also relatively low. Diameter of the first flower neck in most varieties was thicker and that toward down side was inclined to become thinner, and those diameter among genotypes was much different and high significance was observed. But no differences of diameters of flower neck by individual part of each pedicel were shown. CV, PCV and GCV were, more or less, higher, but ECV was lower. Heritability were very high too. On the other hand, GA and GAM was also relatively low. Certain tendency of hardness by individual part of each pedicel was not shown and were different and significant variations were observed. CV, PCV and GCV were comparatively high, but ECV was low. Heritability were very high. GA was low, but GAM was moderate. When measuring fresh weight of stem with leaves and flowers, at the same interval in vase, fresh weight of each genotype was 2 fold different between that of light cultivar and heavy one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CV, PCV and GCV were comparatively high, but ECV was very low. Heritability were very high. GA and GAM was also very low. Genotypes according to accumulated amount of water uptake were fell into 3 groups, velocity of water uptake was ranged 1.5 cm to 3.9 cm/minute and vase life of ‘Pink Pride’ was the longest as 21.3 days, on the other hand, that of ‘Arctic Queen’, the shortest as 9.7 days. Significant different was revealed, when based on mean value of genotypes tested for the amount of water uptake, velocity of water uptake and vase life. CV, PCV and GCV were comparatively high, but ECV was very low. Heritability were very high. GA was low but GAM was moderate and/or high, especially, that of amount of water uptake was very high above 100%.

      • KCI등재

        주요 스프레이 국화 품종의 착생 부위별 형태 생리적 특성과 관련된 변이계수, 유전력 및 유전자 전이율

        심성임,임기병,김창길,정미영,김경민,정재동 한국화훼학회 2016 화훼연구 Vol.24 No.1

        절화용으로 재배중인 스프레이 국화 10 품종을 재료로 사용하여 각 착생 부위별 소화경의 길이와 줄기와 화서 내 엽면적 등의 형태적 특성, 절화 시 수분 흡수 및 절 화수명 등과 관련된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 초로 품종 별 형질들의 변이 계수, 유전력 및 유전자 전 이율 등의 유전 분석을 통하여 금후 국화의 육종 계획 수립에 활용코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착생 부위별 줄기와 화서내 엽면적은 거의 모든 품종에 서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갈수록 엽면적이 증가하는 경 향이었으며 품종 간 통계학적 유의차는 인정되었다. 변 이계수와 표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는 줄기 내 엽 면적에 비해 화서 내 엽면적이 상당히 높은 편이었고 오 차 또는 환경 변이계수 또한 같은 경향이었다. 유전력은 착생부위에 관계없이 현저히 높았다. 유전자 전이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며 유전자 전이율은 줄기에 비해 화 서 내 엽면적이 현저히 높은 편으로 모든 착생 부위의 엽면적에서 100% 이상이었다. 소화경의 길이의 경우 모든 품종에서 상부로부터 하부 화서로 내려감에 따라 길어지 는 경향이었다. 각 부위별 화서의 길이의 평균치는 품종 간 차이를 나타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 변이계수, 표 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오 차 또는 환경 변이계수는 낮은 편이었다. 유전력은 높은 반면 유전자 전이와 유전자 전이율은 낮은 편이었다. 꽃 목의 직경은 대부분의 품종에서 1번째 소화경의 꽃목의 직경이 가장 굵었고 아래쪽으로 내려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향이었으며 품종 간 꽃목 직경은 거의 2배 정도로 차 이가 있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나, 착생 부 위별 직경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변이계수, 표현형 변 이계수, 유전 변이계수는 다소 높은 편이었으나 오차 또 는 환경 변이계수는 낮은 편이었다. 유전력은 대단히 높 았고 유전자 전이와 유전자 전이율은 대단히 낮은 편이 었다. 꽃목의 경도는 착생부위별로 일정한 경향치를 나 타내지 않았고 꽃목 경도의 평균치는 품종 간 통계학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변이계수, 표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 이계수는 다소 높은 편이었으나 오차 또는 환경 변이계 수는 낮은 편이었다. 유전력은 대단히 높았고 유전자 전 이와 유전자 전이율은 중정도였다. 절화한 꽃을 화병에 꽂은 후 기간별로 생체중을 계측했을 때 품종 간 생체 중의 차이가 2배 이상에 달하였으며 품종 간 통계학적 유의차는 인정되었다. 변이계수, 표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 이계수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환경 또는 오차 변이 계수는 대단히 낮았다. 유전력은 대단히 높은 편이었고 유전자 전이는 낮은 편이었고 유전자 전이율은 중정도인 편이었다. 물의 누적 흡수량은 흡수량의 정도에 따라 3 개의 품종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물의 흡수 속도는 1.5cm ~ 3.9cm/minute였으며 절화 수명은 ‘Pink Pride’가 21.3일로서 상당히 긴 편이었고 ‘Arctic Queen’이 9.3일 로서 대단히 짧았다. 물의 흡수량, 흡수 속도 및 절화 수 명 실험 결과, 모든 평균치의 품종 간 통계학적 유의차 가 인정되었다. 변이계수, 표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 수는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나, 오차 또는 환경 변이계 수는 낮았다. 유전력은 높은 편이었으나, 유전자 전이는 비교적 낮았다. 유전자 전이율은 중정도 또는 높은 경향 이었으나 특히 절화 2~3일째 수분 흡수량의 전이율은 100%이상으로 대단히 높았다.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coefficient of variation (CV), heritability and genetic advance as percentage of mean (GAM) were carried out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y individual part of each pedicel length and/or leaf area in stem and inflorescence, etc. and physiological ones related with vase life and water uptake velocity in vase with 10 commercial spray genotypes of chrysanthemum to apply as a tool for the breeding programs. Leaf areas of individual part of each leaf in stem and inflorescence were increased, by the leaf derived from basal to top in almost varieties tested, and were clearly differen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V, phenotypic coefficient of variation (PCV) and genetic coefficient of variation (GCV) were much higher in leaf area on inflorescence, compared to that on stem, but error coefficient of variation (ECV) was the same tendency as the formers. Heritability was very high regardless to individual part of each leaf in stem and inflorescence. Genetic advance (GA) was comparatively low and GAM of leaf areas in inflorescence were sharply higher as above 100% than that of leaf in stem. Lengths of inflorescence by individual part of each inflorescence derived from top to basal became longer in all the varieties tested, and were clearly differen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V, PCV and GCV were comparatively higher in lengths of inflorescence, but ECV was lower. Heritability was very high too. On the other hand, GA and GAM was also relatively low. Diameter of the first flower neck in most varieties was thicker and that toward down side was inclined to become thinner, and those diameter among genotypes was much different and high significance was observed. But no differences of diameters of flower neck by individual part of each pedicel were shown. CV, PCV and GCV were, more or less, higher, but ECV was lower. Heritability were very high too. On the other hand, GA and GAM was also relatively low. Certain tendency of hardness by individual part of each pedicel was not shown and were different and significant variations were observed. CV, PCV and GCV were comparatively high, but ECV was low. Heritability were very high. GA was low, but GAM was moderate. When measuring fresh weight of stem with leaves and flowers, at the same interval in vase, fresh weight of each genotype was 2 fold different between that of light cultivar and heavy one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CV, PCV and GCV were comparatively high, but ECV was very low. Heritability were very high. GA and GAM was also very low. Genotypes according to accumulated amount of water uptake were fell into 3 groups, velocity of water uptake was ranged 1.5 cm to 3.9 cm/minute and vase life of ‘Pink Pride’ was the longest as 21.3 days, on the other hand, that of ‘Arctic Queen’, the shortest as 9.7 days. Significant different was revealed, when based on mean value of genotypes tested for the amount of water uptake, velocity of water uptake and vase life. CV, PCV and GCV were comparatively high, but ECV was very low. Heritability were very high. GA was low but GAM was moderate and/or high, especially, that of amount of water uptake was very high above 100%.

      • KCI등재

        주요 스프레이 품종의 탄수화물 함량과 변이계수, 유전력 및 유전자 전이율 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심성임,임기병,김창길,정미영,김경민,정재동 한국화훼학회 2016 화훼연구 Vol.24 No.1

        절화용으로 재배중인 스프레이 국화의 탄수화물 함량 과 각 품종 별 함량에 대한 변이계수, 유전력 및 유전 자 전이율 등의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화서 조직, 줄기조직, 화서 에 부착된 엽조직, 줄기에 부착된 엽조직의 당 함량을 분 석한 결과, 줄기조직 및 화서 부분의 줄기는 sucrose, fructose 및 glucose 등 3종류의 당이 모두 검출되었으며 대부분의 품종에서 fructose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반면 줄 기와 화서에 부착된 잎 조직에서는 sucrose는 전혀 검출 할 수 없었으며, fructose 및 glucose 등 2종류의 당만이 검출되었고 대부분의 품종에서 fructose 함량이 높았다. 아 울러 이들 조직 내의 유리당의 함량은 품종 간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통계학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변 이계수, 표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 유전력 및 유 전자 전이율은 유리당의 종류에 관계없이 매우 높은 경 향을 나타내었으며 오차 또는 환경 변이계수와 유전자 전 이는 대단히 낮은 편이었다. 화서와 줄기 조직 내 전분 함량은 품종 간 통계학적 유의차는 인정되었으며 표현형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 오차 또는 환경 변이계수를 포 함한 변이계수는 중정도 수준의 변이율을 나타내었으나, 화서를 포함한 줄기 조직은 변이율이 낮고 화서 내 엽 조직은 높은 편이었다. 유전력은 중정도에서 다소 높은 수준까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화서 내 엽 조직이 낮은 편이었고 화서와 줄기 내 잎의 조직이 높은 편이었다. 유 전자 전이는 대단히 낮았고 유전자 전이율 또한 전반적 으로 낮은 편이었다.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coefficient of variation, heritability and genetic advance and that of as percentage of mean were carried out to estimate variability and genetic parameter of carbohydrate content including soluble and insoluble sugar in the tissues of 10 commercial spray chrysanthemum cultivars cultivated for cut flower. Insoluble sugar including sucrose, fructose and glucose were contained in tissue of inflorescence and stem, and leaf tissue in inflorescence and stem. On the other hand, only fructose and glucose except sucrose were detected in leaf tissue derived from two kinds of tissues. Fructose content in the most of cultivars was the highest, compared with that of sucrose and glucose. Soluble sugar content in 10 different genotypes of spray chrysanthemum cultiva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1% level. Coefficient of variation (CV), Coefficient of phenotypic variation (PCV), Coefficient of genotypic variation (GCV), heritability and genetic advance as percentage of mean (GAM) were very high regardless of kinds of insoluble sugars, while coefficient of environmental variation (ECV) and genetic advance (GA) were lower than the others. Starch content in 10 different genotypes of spray chrysanthemum cultiva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1% level. CV including PCV, GCV and ECV in both tissue of inflorescence and stem were intended to be moderate value of variations. But leaves derived from inflorescence were high. On the other hand, heritability which was ranged from moderate to higher value was lower in leaf tissue derived from inflorescence and was higher in leaf tissue derived from both tissue of inflorescence and stem. GA and GAM were very lower level in general.

      • KCI등재

        주요 스프레이 국화 품종의 형태적 특성과 변이계수, 유전율 및 유전자 전이율

        심성임(Sung-Im Shim),임기병(Ki-Byung Lim),김창길(Chang-Kil Kim),정미영(Mi-Young Chung),김경민(Kyung-Min Kim),정재동(Jae-Dong Chung) 한국원예학회 2016 원예과학기술지 Vol.34 No.2

        절화용으로 재배중인 주요 스프레이 국화 10품종의 형태적 특성과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평균치를 이용하여 변이계수, 유전율 및 유전자 전이율 등의 통계학적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형태적 특성을 보면 줄기의 길이 46.4-54,9㎝, 줄기의 최대 직경 5.6-8.5㎜, 줄기의 경도 0.17-0.70㎏·m<SUP>-2</SUP>, 줄기의 생체중 7.5-17.5g, 줄기의 건물중 1.6-3.3g, 줄기의 생체중:건물중의 비율 15.9-23.1%, 줄기 내 엽수 8.4-12.2매, 줄기 내 엽면적 17.8-37.8㎡, 줄기 내 잎의 생체중 5.3-18.6g, 줄기 내 잎의 건물중 0.5-1.4g 줄기 내 잎의 생체중:건물중의 비율 7.6-11.5%, 화서의 길이 10.1-18.6㎝, 화서의 생체중 7.3-26.7g, 화서의 건물중 1.2-2.8g, 화서의 생체중:건물중의 비율 10.4-17.1%, 화심 직경 8.2-13.3㎜, 꽃잎 폭 5.7-14.0㎜, 꽃잎 길이 12.9-33.1㎜, 꽃잎 두께 157.8-354.4㎛였으며 각 특성별 품종 간 DMRT와 LSD를 검정한 결과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변이계수, 표현 변이계수, 유전 변이계수는 줄기의 길이 4.79-5.15%로서 가장 낮았으며 엽면적 62.97-65.21%로 가장 높았으나 환경 또는 오차 변이계수는 엽면적 1.71%로 가장 낮았고 잎의 건물중 19.30%로 가장 높았다. 유전율은 줄기의 생체중:건물중의 비율 68.69%로 가장 낮았고 줄기 내 엽면적 99.67%로 가장 높았다. 유전자 전이는 줄기의 경도 0.30으로 가장 낮았고 화서 내 잎의 두께 156.65로 가장 높았으며 유전자 전이율은 줄기의 길이 9.17%로 가장 낮았으며 엽면적 134.27%로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이 위에서 언급한 높은 값을 나타내는 형질들은 부가적으로 유전자 작용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경종의 개량을 위해 만족할만한 선발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atistical analyses of coefficient of variation, heritability, and genetic advance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differences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tem and inflorescence length, of 10 major commercial cultivars of spray chrysanthemum (Chrysanthemum morifolium). F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tem lengths ranged from 46.4 ㎝ to 54.9 ㎝, the maximum diameter of stem was 5.6 to 8.5 ㎜, the hardness of the stem was 0.17 to 0.70 ㎏·m<SUP>-2</SUP>, the fresh weight of stem was 7.5 to 17.5 g, the dry weight of the stem was 1.6 to 3.3 g, the ratio of dry weight/fresh weight of stem was 15.9% to 23.1%. Also, the number of leaves on the stem was 8.4 to 12.2, the stem leaf area was 17.8 to 37.8 ㎡, the fresh weight stem leaves was 5.3 to 18.6 g, the dry weight was 0.5 to 1.4 g and the ratio of dry weight /fresh weight of stem leaves was 7.6% to 11.5%. The inflorescence length ranged from 10.1 to 18.6 ㎝, the fresh weight of inflorescence was 7.3 to 26.7 g, the dry weight of inflorescence was 1.2 to 2.8 g, the ratio of dry weight /fresh weight of inflorescence was 10.4% to 17.1%. For flower, the diameter of the flower center was 8.2 to 13.3 ㎜, the petal width was 5.7 to 14.0 ㎜, the petal length was 12.9 to 33.1㎜, and the petal thickness was 157.8 to 354.4㎛. The mean values of each character in each cultivar were very different, and DMRT and LSD value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10 cultivars were highly significant. For variability and genetic parameters, the lowest CV (coefficient of variation), PCV (phenotypic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GCV (genotypic coefficient of variation) were 4.79% to 5.15% in stem length, and the highest variations were 62.97% to 65.21% in leaf area. ECV (error or environmental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the lowest for leaf area (1.71%) and it was the highest for leaf dry weight (19.30%). Heritability also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characteristics, ranging from 68.69% to 99.67%, the lowest value was shown in ratio of dry weight /fresh weight of stem and the highest value was for leaf area of stem. The value for genetic advance was the lowest in hardness of stem at 0.30 and the highest in leaf thickness at 156.65. The lowest genetic advance as percentage of mean of stem hardness was 9.17%, while the highest percentage of stem length was 134.27%. Thus the characters which had the highest values indicated above show the influence of additive gene action and may provide useful resources for selection programs for agronomic improvement.

      • KCI등재

        발레 글리샤드 쥬떼 동작 시 숙련도에 따른 운동역학적 분석

        권지영,우병훈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숙련도에 따른 글리샤드 쥬떼 동작 수행 시 동작의 신체 안정성에 미치는 변인을 신체중심의 변위, 하지관절의 각변위, 신체중심 및 압력중심의 변이계수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여성 프로 발레무용수 13명(연 령: 28.0±3.8 yrs, 신장: 162.0±2.8 cm, 체중: 45.9±2.8 kg, 무용경력: 16.6±5.8 yrs)과 대학교 무용학과 발레전 공 학생 10명(연령: 24.0±1.4 yrs, 신장: 164.8±2.6 cm, 체중: 48.6±3.0 kg, 무용경력: 11.0±1.4 yrs)이 본 실험 에 참여하였다. 3D 동작분석을 위하여 6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였으며, 지면반력 분석을 위하여 한 대의 지면반력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신체중심의 변위 결과, Z축의 event 3에서 숙련자가 비숙련자보다 신체중 심의 수직변위가 낮게 나타났다. 오른쪽 고관절의 각변위는 event 1에서만 비숙련자가 숙련자보다 신전이 크게 나타났 고, 왼쪽 고관절의 각변위는 event 2와 3에서 숙련자가 비숙련자보다 굴곡이 크게 나타났다. 왼쪽 발목관절 각변위는 event 2와 3은 숙련자가 비숙련자보다 저측굴곡이 크게 나타났다. 몸통기울기는 event 1에서만 비숙련자가 숙련자보 다 전방굴곡이 크게 나타났다. 신체중심 변위의 변이계수 결과, X축과 Z축에서 숙련자가 비숙련자에 비해 변이계수가 낮게 나타났고, 압력중심의 변이계수는 X축과 Y축 모든 event에서 숙련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글리샤드 쥬떼 동작은 착지 시 하지관절의 적절한 굴곡을 통하여 신체중심을 낮게하여 안정성을 증가시켜 신체동요를 최소화하 는데 중점을 두는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splacement of body center of mass(CM), angular displacement of lower limb, coefficient of variation(CV) of body center of mass and center of pressure(COP) on the stability of the motion in the glissade jetѐ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13 female professional ballet dancers(expert-age: 28.0±3.8 yrs, height: 162.0 ± 2.8 cm, weight: 45.9 ± 2.8 kg, dance career: 16.6 ± 5.8 yrs) and 10 university ballet major students(nonexpert-age: 24.0± 1.4 yrs, height: 164.8 ± 2.6 cm, body weight: 48.6 ± 3.0 kg, dance career: 11.0 ± 1.4 y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ix cameras were used for 3D motion analysis and one force plates were used for ground reaction for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displacement of CM, in event 3 of the Z axis of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CM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nexpert. In angular displacement of the right hip, expert in event 1 were more extended than nonexpert, and angular displacement of left hip, expert in event 2 and 3 was more flexed than nonexpert. In left ankle joint angular displacement, expert in events 2 and 3 were more plantar flexed than nonexpert. In trunk tilt, nonexpert in events 1 were more forward flexed than expert, In CV of displacement of CM, CV of the X and Z axis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nexpert, and CV of COP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in all the events of X and Y axis.

      • KCI등재

        통합창원시 출범 이후 경남지역 산업경쟁력 비교분석 - 창원과 창원외 경남지역의 산업구조와 경쟁력 분석을 중심으로-

        신원섭 ( Shin Wonsub ),최경욱 ( Choi Kyongwook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8 지역산업연구 Vol.41 No.2

        본고에서는 사업체의 경영실태에 대한 광범위한 전수조사가 이루어지는 2010년과 2015년 두 시점의 비교 분석을 통해 통합창원시 출범 이후 경남경제의 산업구조와 경쟁력 변화를 창원과 창원외 경남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분석방법으로는 지역경제분석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입지계수와 변이-할당계수를 이용하였으며 경제활동 인구조사와 경제총조사에 기초하여 고용과 매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남지역은 농림어업과 제조업에 특화되어 있는데 경남지역 내에서 창원은 중화학공업의 특화도가 높은 반면 창원외 경남지역은 농림어업, 제조업과 일부 서비스업에 보다 폭 넓게 특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이-할당 분석 결과를 보면 경남의 종사자수 및 매출액 감소는 주로 경쟁요인에서 발생하였는데 지역 내에서는 창원은 마이너스(-), 창원외 경남지역은 플러스(+)로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창원에 소재해 있는 제조업과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 일부 서비스업종에서의 고용 및 매출이 전국과 창원외 경남지역에 비해 크게 저조하였던 데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창원에 소재한 산업의 고용 흡수력 제고와 매출 증가가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산업구성요인은 창원과 창원외 경남지역이 모두 마이너스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타산업에 비해 고용증가율이 낮은 건설업, 운수업, 금융보험업, 공공행정 및 교육서비스업과 매출 증가세가 상대적으로 약한 제조업 및 금융보험업 등의 비중이 높은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남의 산업구조를 감안할 때 고용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농림어업의 구조조정과 함께 고용 및 매출이 부진한 일부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비중축소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서비스업의 경우 종사자수 기준에 비해 매출액 기준 입지계수가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남의 서비스업 종사자 1인당 매출액이 전국의 70%초반 수준에 머물러 있기 때문인데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한 매출확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economy and industrial structure of Gyeongnam Province in years 2010 and 2015 in order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Changwon, the Province’s capital, and the remaining area. We use location quotient and shift-share analysis methods to analyze these economies in terms of the employment and sales with data from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and the Economic Census. Our results show that Gyeongnam Province overall is specialized in (a)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and (b) manufacturing. Within the province, Changwon is highly specialized in heavy chemical industry, whereas the remaining Gyeongnam area is more broadly specialized in (a)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b) manufacturing and (c) some service industries. In the shift-share analysis, the overall decrease in employment and sales of the province is mainly due to the competitive component; by region, the capital city displays a decrease while the remaining Gyeongnam area displays an increase in employment and sales. We attribute this result to Changwon’s low employment and sales in some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compared to the entire South Korea as well as the remaining Gyeongnam area. The result suggests that it is urgent for the industries in the region to absorb greater employment and increase its sales. Meanwhile, the industrial mix component is negative in both areas.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ndustry - which has experienced declining employment - and reduce the share of som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whose employment and sales are suffering.

      • KCI등재

        변이할당분석과 입지계수를 이용한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경쟁력 분석

        이광배,모수원,박정환 한국산업경제학회 2019 산업경제연구 Vol.32 No.6

        The main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industrial production change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using the shift-share techniques. This paper also incorporates the location quotient into the BCG matrix, because the former provides a measure of the relative concentration (or specialization) of each sector in Gwangju, and the latter takes into account the effect of time exposure and point on the dynamism of the regional specialization. The shift-share analysis shows that regional competitive componen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for most of changes of industrial production, of which regional competitiveness is overwhelmingly greater than national and industrial component for chemicals products, rubber products, non-metallic mineral products, basic metals, electrical equipment, other machinery and equipment, and motor vehicles. This study shows that food products, chemicals products, medical and precision instruments, other machinery and equipment, and wood products with positive IC and RC belong to growth or mature area, so it is recommended to let those manufactures continue carry out their activities and promote them for a further. Beverages, rubber products and motor vehicles with a high level of LQ but with a declining trend with its negative LQ growth rate are recommended to direct the development policy towards promotion of these manufactures with the aim to progressively move them towards the sector ‘MATURE’. It is also recommended that paper wearing apparel, paper products and printing would be transformed to the more promising industry, since they are not only on the area with negative RC and IC, but have low level of LQ and falling growth rate of LQ. 본고는 변이할당분석, 입지계수, 보스턴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광주 제조업의 고용자수 변동을 요인별로 분해한다. 변이할당의 정태적 분석을 실시하여 16개 제조업 중 국가요인이 주요 변동요인이며 부문요인이 지역경쟁력요인보다 더 큰 효과를 갖는 자동차 제조업을 제외하고 지역경쟁력요인이 가장 큰 요인이라는 것을 밝힌다. 변이할당분석과 입지계수 그리고 BCG를 결합하여 부문요인과 경쟁력요인이 양의 값인 식료품, 화학물질, 의료정밀기기, 기타 기계장비, 목재 제조업은 지원이 없어도 스스로 성장할 수 있으며, 부문요인은 양의 값을 가지나 경쟁력이 음의 값인 산업에서 음료, 고무, 전기장비, 자동차 제조업은 쇠퇴영역에 속하나 입지계수가 크고 산업의 전망이 좋기 때문에 지원을 통해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인다. 섬유제품, 1차금속, 전자부품 제조업은 경쟁력이 있으나 부문전망이 밝지 않고 특화정도가 낮기 때문에 지원 여부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의복, 종이, 인쇄업은 도입영역에 위치하고 있고, 지역과 산업의 경쟁력이 약하기 때문에 타 산업으로의 전환을 고려해야 함을 밝힌다

      • KCI등재

        광주와 전남의 산업경쟁력 분석

        모수원(Soo-Won Mo),이광배(Kwang-Bae Le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7 산업경제연구 Vol.30 No.2

        호남경제권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는 전국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공통점과 더불어 산업구조가 다르다는 차이점도 함께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광역시와 전남의 산업구조를 입지계수, 변이할당분석, 성장률시차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두 지역에 대한 입지계수분석을 통해 광주의 기반산업이 전남의 비기반산업과 일치하며, 전남의 기반산업은 광주의 비기반산업과 일치하여 광주와 전남이 상호 보완적 산업구조를 보유하고 있음을 보인다. 변이할당분석을 이용하여 광주가 성장가능성과 경쟁력을 함께 갖춘 산업은 3개에 불과하며, 더욱이 성장률 시차분석을 통해 가중요인과 경쟁력요인이 양의 부호를 갖는 산업은 존재하지도 않는다는 것을 밝힌다. 전남의 산업구조에 대한 변이할당분석에서도 산업구조가 유리한 산업에서는 경쟁력이 약하고, 산업구조가 불리한 산업에서는 경쟁력이 높아 1개 산업에서만 성장가능성과 경쟁력을 함께 가지고 있으나, 성장률시차분석을 통해 가중요인과 경쟁력요인이 모두 양의 부호인 산업은 전남에 존재하지 않음을 밝힌다. The aim of this work is to decompose the effects influencing the growth performance of Gwangju and Jeonnam for the period 2005 and 2015. With this aim, three techniques are employed: location quotient, shift share techniques and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The data used in the location quotient analysis are the same as those used for the shift-share analysis and the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The location quotient, which provides a measure of the relative concentration (or specialization) of each sector in the nation, indicates that the industrial structures of Gwangju and Jeonnam are complementary each other. The shift-share analysis shows that three sectors have positive industry-mix effect and regional competitive effect for Gwangju, and one sector for Jeonnam. Specifically, only financial and insurance activities, human health and social work activities and business services have strong competitiveness as well as rapid growth for Gwangju, while business service is categorized as a sector that has a rapid growth and high competitiveness for Jeonnam. The regional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furthermore, reveals that both Gwangju and Jeonnam have no sector with positive weight part and positive competitiveness part. This implies that Gwangju and Jeonnam are less competitive in promising industrial sectors, while they have relative competitive advantage in slower-growing industries. Many sectors’ contribution to the regional economy lags the same sectors’ contribution to overall economy.

      • KCI등재

        변이계수에 대한 영향함수

        이윤희,김홍기,Lee, Yun-Hee,Kim, Hong-Gie 한국통계학회 2008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5 No.4

        본 논문에서는 변이계수에 대한 영향함수를 유도한다. 경험적 영향함수와 표본영향함수를 이용하여 유도된 영향함수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이를 위하여 정규분포 $N(20,1^2)$와 $N(20,5^2)$에서 각각 확률표본을 추출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유도된 변이계수에 대한 영향함수가 한 개의 관찰치가 제거되었을 때 변이계수의 변화량을 매우 정확히 추정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We derive the influence function o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Empirical influence function and Sample influence function are us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rived influence function. To show the validity of the influence function, we carry out simulations with random samples from normal distribution $N(20,1^2)$ and $N(20,5^2)$, respectively. The simulation result proves that the derived influence function is very accurate in estimating changes i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hen an observation is dele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