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베토벤(L. v. Beethoven) 현악4중주 Op. 133의 박자에 대한 연구: 크렙스의 박자 불협화 이론을 중심으로

        연윤숙 ( Yoonsuk Yeon ) (사)음악사연구회 2021 음악사연구 Vol.10 No.-

        본 논문은 베토벤 만년 작곡기법 총체인 현악4중주 Op. 133 대푸가의 박자와 리듬기법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이 작품의 2중 푸가에서 당김음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당김음의 체계적인 전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도구의 부재로 인해 2중 푸가의 명확한 해석은 어려웠다. 그러나 박자와 리듬에 대한 최근 이론인 해럴드 크렙스(Harald Krebs, 1955~ )의 박자 불협화(metrical dissonance) 이론으로 당김음의 체계적 전개에 대해 설명할 수 있고, 이 이론을 사용하여 Op. 133 2중 푸가의 박자와 리듬기법 특징을 밝힐 수 있었다. 그 주요한 특징은 주로 조성에 관련된 주제, 동기 발전 기법이 박자, 리듬에도 정교하게 적용된 것과 2중 푸가의 주제에 새겨진 박자 불협화가 점차 체계적으로 강화된 것이었다. 그리고 강화된 주제의 박자 불협화는 발전부에서 정점에 도달했지만 박자 협화로 해결되지 않았고, 재현부에서도 유지, 강화되고 있었다. 즉 박자 불협화를 박자 협화로 해결하는 원리와 박자 불협화들의 병존 형태를 대립시킴으로써 형식상 상충의 의미를 부여하였고, 이로 인해 나타난 형식의 확장 가능성도 이 작품의 주요한 특징이었다. 이렇게 베토벤은 Op. 133의 2중 푸가에서 박자와 리듬을 혁신적이며 독창적인 방법으로 사용했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논의는 크렙스의 박자 불협화 이론을 통해 가능한 것이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er and rhythm technique of Grosse Fuge Op. 133. In the double fugue of this work, syncopa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but a clear interpretation of the double fugue was difficult due to the absence of a tool that could explain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syncopation. However, a recent theory on rhythm and meter, Harald Krebs' metrical dissonance, can explain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syncopation. And using this theory, it was possible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rhythm and meter technique of double fugue of Op. 133. Its main characteristics were that the composition technique of the theme and motive mainly related to tonality was elaborately applied to the rhythm and meter, and the dissonance of the meter engraved in the theme of the double fugue was gradually strengthened systematically. And although the metrical dissonance of the gradually strengthened theme reached its apex in the development section, it was not resolved by metrical consonance, and was maintained and strengthened in the recapitulation as well. In other words, by opposing the principle of resolving metrical dissonance with metrical consonance and the coexistence of metrical dissonances, the possibility of extension of the form was also revealed by giving the meaning of a formal conflict. This was also a major characteristic of the work. So Beethoven uses rhythm and meter in an innovative and original way in double fugue of Op. 133, and all these discussions were possible through Krebs' metrical dissonance (theory) in time.

      • KCI등재

        슈만 《유머레스크》(Humoreske, Op. 20, 1838-1839)의 들리지 않는 노래

        서정은 ( Seo Jeong-eu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이화음악논집 Vol.27 No.2

        변위 불협화를 통한 성부 간 박절적 불일치는 로베르트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독특한 작곡기법의 하나로, 《유머레스크》(Humoreske, Op. 20)의 ‘내적 성부’ 섹션은 상이한 선율 간 그리고 ‘부정확한 유니즌’ 또는 ‘헤테로포니’라 불리는 동일한 선율 간의 박절적 불일치라는 특징을 지닌다. 이는 《유머레스크》의 작곡 직후인 1840년에 탄생할 많은 가곡에서 선보이게 될 위 두 가지 특징의 전조를 보여주는 듯하다. ‘내적 성부’의 의미, 그리고 피아노곡에서 가곡으로의 작곡기법적 연속성을 살펴보기 위해 본고에서는 슈만 《유머레스크》의 ‘내적 성부’ 섹션과 1840년 여러 가곡에 나타나는 공통점을 고찰한다. 이로써 《유머레스크》의 주선율로서 ‘들리지 않는 노래’가 이듬해 작곡된 가곡들을 통해 ‘들리는 노래’로 외면화되었음을 논의한다. The metrical dissonance between voices by displacement dissonance is one of Robert Schumann’s characteristic compositional techniques. The ‘Innere Stimme’ section of his Humoreske Op. 20 contains displacement dissonances between both different melodies and the same melodies, the latter of which is also called ‘Ungenaues Unisono’ or ‘Heterophony.’ This seems to be a precursor to the above two characteristics that will be presented in many of Schumann’s Lieder composed in 1840, shortly after the composition of Humoreske.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 of ‘innere Stimme’ and the continuity of compositional technique from the piano piece to Lieder, this article compares the ‘innere Stimme’ section of Humoreske and various Lieder of 1840. It is also discussed that the ‘soundless song’ as the principal melody of ‘innere Stimme’ section is externalized as ‘audible songs’ in the Lieder composed the following y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