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신모티브영화에서 변신캐릭터의 조형특성으로 본 주체의 욕망

        정규호 ( Kyu Ho J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변신모티브영화에서 드러나는 변신캐릭터의 조형적 특성을 통해 주체가 욕망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읽어내고자 함이 목적이다. 르네 지라르의 삼각형의 욕망에 따르면 변신서사에서 주체는 욕망하는 대상과 같아지기 위해 욕망의 중개자를 모방하면서 중개자와 같아지거나 하나의 신체에 주체와 중개자가 공존하게 되면서 변신이 이뤄진다고 볼 수 있는데, 이때의 변신체는 그 둘의 형태가 합쳐진 하이브리드의 조형특성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변신체의 조형특성을 통해영화를 보는 관객들은 주체의 욕망에 대한 상징적 은유로 해석함으로서 그 욕망의 의미를 읽어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주체가 중개자와 합쳐지면서 중개자의 능력을 자신의 것으로 하여 소원성취 같은 행복한 결말의 변신서사를 생산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주체의 무의식적 욕망이나 탐욕스런 욕망이 영화라는 가상 세계 안에서 의도하지 않은 존재나 그릇된 모델의 중개자와 결합하는 변신서사는 그 둘 사이의 간접화된 욕망의 갈등으로 결국 비극으로 향하는 서사로 생산된다. 이처럼 변신모티브영화는 선과 악, 현실과 비현실, 노출과 억제, 본능과 이성 같은 이분법적 가치 사이에서 혼란을 겪는 주체의 욕망을 시각적 상징으로 재현하려는 변신캐릭터를 통해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공통의 결핍과 소망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는 동시대인의 욕망을 도출한다. This research is aimed for catching what is the desire of the subject to be presented by the formative features of transformed character in Metamorphosis-motif film. According to Rene Girard``s ``Triangle of the Desire``, the subject in narrative of Metamorphosis-motif, comes to be same with the mediator, imitating Mediateur du Desir in order to be same with desiring object, or can be seen completing transformation, coexisting the subject and mediator in a single body. At this time, the transformed body has the formative features of hybrid combining the double forms. The cinema audiences understood the meaning of desire by translating the formative features of this transformed body as the symbolic metaphor to the subject’s desire. In this process, the formative features of transformed character, making the mediator’s capability as mine by combining the subject’s capability with the mediator’s one, creates narrative of Metamorphosis-motif as like happy ending. On the contrary, transformed character, combining the subject of unconscious desire or greedy desire with unintended creature or the mediator of wrong model in the virtual world of cinema, has been created as the narrative finally aiming for the tragedy by the conflict of the two sides’ indirect desires. As like this, metamorphosis-motif film draw the desire of contemporaries sharing the experiences of common deficiency and hope in our society today, through the transformed character trying to represent the subject’s desire as a visual symbol confusing between the dichotomy values as like good and evil, reality and unreality, exposure and restrain, instinct and reason.

      • KCI등재

        오비디우스 『변신이야기』의 에필로그(15.871~9)에 나타난 오비디우스 변신의 의미

        김기영(Kim, Kee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1

        본고는 로마 서사시 『변신이야기』의 에필로그에 나타난 시인 오비디우스의 변신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규명하고자 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자는 우선 ??변신이야기??의 전체 구성을 관찰했다. 이 관찰을 바탕으로 작품 구성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 두 신화, 즉 아라크네의 변신과 오르페우스의 죽음의 서사를 분석하고 작품 후반부에서 부각된 아이네아스, 로물루스, 카이사르의 신격화를 고찰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 『변신이야기』의 두 가지 흐름이 작품의 에필로그에 수렴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나의 흐름은 아라크네 변신과 오르페우스 죽음이다. 아라크네와 오르페우스는 오비디우스적 문학 양식을 구현하는 예술가이지만 이 두 예술가는 모두 권력과 폭력에 희생되고 만다. 오비디우스의 자화상에 해당 하는 두 신화는 마침내 오비디우스가 시로 변신하는 에필로그와 연동된다고 하겠다. 또 다른 하나의 흐름은 아이네아스, 로물루스, 카이사르로 이어지는 신격화이다. 이러한 신격화는 자연스럽게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신격화를 기대하게 하지만, 에필로그에선 시인 오비디우스의 신격화가 등장하는 반전이 일어난다. 요컨대 이 두 가지 흐름은 시인 오비디우스의 불멸과 명성을 선언하는 에필로그에 수렴한 것이다. 따라서 변신이란 원리로 만물유전을 재현하고 여러 개별 신화들이 무질서하게 묶여져 있다고 본 『변신이야기』는 하나의 목표, 즉 권력에 대(對)한 예술의 불멸과 승리를 향한 움직임이라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poet"s metamorphosis in the epilogue of the epic Metamorphoses. To accomplish this plan,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whole structure of the work. Next, this paper analyzes not only the narrative of the two myths, i.e. Arachne"s metamorphosis and Orpheus" death, but also the narrative of the apotheosis of Heracles, Aeneas, Romulus, and Caesar, which appears successively in the progression from myth to Roman history. This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two main storylines converge in the epilogue of the work. One storyline depicts the metamorphosis of Arachne and the death of Orpheus. In this storyline, Arachne and Orpheus both represent artists configurating the Ovidian literary style. They both fall victim to power and violence, however, which signifies Augustan ideology. The other storyline is the successive apotheosis of Heracles, Aeneas, Romulus, and Caesar. In this narrative of apotheosis we are led to expect the impending apotheosis of the emperor August in the epilogue.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the apotheosis of the poet Ovid appears instead. Therefore, the convergence of the two storylines in the epilogue serves to proclaim the fame and immortality of the poet Ovid.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Metamorphoses, which appeared to represent the inorganic accumulation of many individual myths by means of the principle of metamorphosis, turns out to emphasize the immortality and victory of poetry over power and authority. 본고는 로마 서사시 『변신이야기』의 에필로그에 나타난 시인 오비디우스의 변신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규명하고자 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자는 우선 ??변신이야기??의 전체 구성을 관찰했다. 이 관찰을 바탕으로 작품 구성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 두 신화, 즉 아라크네의 변신과 오르페우스의 죽음의 서사를 분석하고 작품 후반부에서 부각된 아이네아스, 로물루스, 카이사르의 신격화를 고찰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 『변신이야기』의 두 가지 흐름이 작품의 에필로그에 수렴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나의 흐름은 아라크네 변신과 오르페우스 죽음이다. 아라크네와 오르페우스는 오비디우스적 문학 양식을 구현하는 예술가이지만 이 두 예술가는 모두 권력과 폭력에 희생되고 만다. 오비디우스의 자화상에 해당 하는 두 신화는 마침내 오비디우스가 시로 변신하는 에필로그와 연동된다고 하겠다. 또 다른 하나의 흐름은 아이네아스, 로물루스, 카이사르로 이어지는 신격화이다. 이러한 신격화는 자연스럽게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신격화를 기대하게 하지만, 에필로그에선 시인 오비디우스의 신격화가 등장하는 반전이 일어난다. 요컨대 이 두 가지 흐름은 시인 오비디우스의 불멸과 명성을 선언하는 에필로그에 수렴한 것이다. 따라서 변신이란 원리로 만물유전을 재현하고 여러 개별 신화들이 무질서하게 묶여져 있다고 본 『변신이야기』는 하나의 목표, 즉 권력에 대(對)한 예술의 불멸과 승리를 향한 움직임이라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poet"s metamorphosis in the epilogue of the epic Metamorphoses. To accomplish this plan,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whole structure of the work. Next, this paper analyzes not only the narrative of the two myths, i.e. Arachne"s metamorphosis and Orpheus" death, but also the narrative of the apotheosis of Heracles, Aeneas, Romulus, and Caesar, which appears successively in the progression from myth to Roman history. This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two main storylines converge in the epilogue of the work. One storyline depicts the metamorphosis of Arachne and the death of Orpheus. In this storyline, Arachne and Orpheus both represent artists configurating the Ovidian literary style. They both fall victim to power and violence, however, which signifies Augustan ideology. The other storyline is the successive apotheosis of Heracles, Aeneas, Romulus, and Caesar. In this narrative of apotheosis we are led to expect the impending apotheosis of the emperor August in the epilogue.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the apotheosis of the poet Ovid appears instead. Therefore, the convergence of the two storylines in the epilogue serves to proclaim the fame and immortality of the poet Ovid.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Metamorphoses, which appeared to represent the inorganic accumulation of many individual myths by means of the principle of metamorphosis, turns out to emphasize the immortality and victory of poetry over power and authority.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의 변신 플롯에 관한 연구

        임연택(Yeon Taek Lim)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0 애니메이션연구 Vol.6 No.3

        21세기는 디지털 사회로 전환되면서 영상 산업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OSMU(One Source Multi Use) 마케팅에 적합하여 많은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애니메이션이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한 애니메이션은 표현 영역이 넓고, 과장까지 할 수 있어 상상력을 보다 극대화하여 가상을 현실처럼 구현할 수 있다. 이런 특성에 의해 실재와 가상이 교차되는 이야기와 변신을 서술구조의 주요 요소로 사용한 애니메이션들이 수없이 제작되고 있다.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 시나리오 구성에 있어서 변신 플롯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 알아본 연구이다. 이에 따라 변신에 대한 선행 연구의 재고찰과 변신 플롯의 극적 구조와 유형들을 이론화하고, 디즈니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 〈공주와 개구리〉에서 변신 플롯이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지 심화 분석한다. 변신 플롯을 기본 구조로 삼고 작품성과 흥행성을 인정받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 〈공주와 개구리〉의 작품 분석 결과 변신 플롯은 애니메이션 시나리오를 구성할 때 작품성과 흥행성 이 두 가지 요소를 강화시킬 수 있는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상의 작품들에서 변신 플롯은 우선 인물의 심리와 내면을 주로 다루며 감성을 자극하여 관객들의 몰입감을 높이고 있다. 또 클라이맥스의 변신 장면은 관객들의 정서를 최고조로 고양시키며 극적 즐거움을 극대화시킨다. 그리고 이에 더해 변신 플롯은 외모와 마음을 변화시키는 사랑의 위대함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변신 플롯의 적극적인 활용이 애니메이션의 흥행성을 높이고 관객의 몰입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과 플롯의 체계적인 분석에 도움이 될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변신 플롯 애니메이션의 활발한 제작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s it is changing into the digital society in 21st century, visual entertainment is on the rise. Most of all, animations, which is proper to OSMU(One Source Multi Use) Marketing have received wide attention internationally as well as domestically because of a higher value added business. Animations, which are able to express freely, have wide forms of expression, and abilities to even exaggerate to realize fiction as reality by maximizing imagination. Like this, there are lots of animations which have mingled fiction and reality or have main structural narrative, transformation plot. This thesis is about analyses the importance of transformation plot and its roles. So, there are review on precedents and theory of dramatical structures and styles in transformation plot, and how to structuralize transformation plot in 〈The beauty and the beast〉 and 〈The princess and the frog〉. This thesis has studied on 〈The beauty and the beast〉 and 〈The princess and the frog〉, which are appreciated cinematical quality and money making works in Disney animation. It shows that transformation plot has narration structures to reinforce two factors both cinematical quality and money making works. With these, transformation plot treats human mentality and its internal change, so stimulate feelings of audiences to absorb deeper. Also, It has audiences’ sensibility reach their climax while they’re watching at the scene of transformation . At last, it shows the great power of love which can change appearance and menta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a proposal of theoric background which can helps vitalizing use of transformation plot get a higher box office record, audiences absorb deeper and plots analysed systematically. I hope that there will be more transformation plot animations to be appeared on the basis of this thesis.

      • KCI등재

        Komparatistik der Metamorphose:Ovid, Kafka, Cronenberg

        닐 스튜어트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3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2 No.-

        본고는 서양의 문학 및 조형예술의 주요 모티프인 변신을 주제로 한다. 아울러변신을 모티프로 한 문학작품 두 편과 영화 한 편을 근거로 하여 비교문학의대표적 연구방법과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비교문학은 시대와 문화의 장벽을 넘은 다양한 문학작품간의 비교 연구외에도, 문학과 타 예술매체 그리고 규범문학과 통속문학의 비교 연구 또한비교문학에 귀속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다룰 작품은 고대로마 시인오비드(BC 43년-AD 18년)의 서사시『변신 이야기』, 프란츠 카프카(1883- 1924)의 「변신」, 그리고 1980년대 캐나다 공포영화 <더 플라이(The Fly)>(감독: 데이비드 크로넌버그)이다. 1. 변신개념에대한일반적고찰변신은 다양한 형태를 보여준다. 이는 자연의 연속적인 변형, 대상의 비연속적초자연적인 변형, 심경의 변화 그리고 외형적인 변형까지 의미한다. 이외에도변신은 추상적인 의미로까지 확대되어 대상을 바꾸는 서술행위 자체를 변형범주에 포함하고 있다. 알라이다 아스만(Alaida Assmann)은 “변신의 문화”와“동일성의 문화”를 구분하고 있다. 2. 오비드의 『변신이야기』 오비드의『변신 이야기』는 변형을 주제로 한 원형 서사시로서 12000행의6운각 시구 형식이다. 작품은 천지 창조에서 시작해 로마의 전성기를 이끈아우구스투스 황제에서 끝나며, 변신은 신에 대한 도전과 불경을 범한 인간에게 신이 내린 형벌의 성격을 띄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여신 아테네의노여움을 사서 거미의 모습으로 바뀌어버린 아라크네의 이야기 그리고늑대의 모습으로 변한 포악한 왕 리콘의 이야기가 있다. 「변신 이야기」는이처럼 세계를 구성하는 동식물, 광물 등의 기원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오비드가 묘사한 세계는 투명하고 이해 가능하고, 의미 있고 연관성 있는상태에 있으며 비록 거미의 형상으로 변화되었지만 인간은 세계 속의 우연한존재가 아니며, 유의미한 기호로서, 하나의 메타포로서 계속 존재한다. 물론오비드의 작품 전체를 이 도식에 꿰맞출 수는 없다. 특히나, 우연히 목욕장면을 보았다는 이유로 디아나 여신의 노여움을 입고 사슴의 모습으로변하고 주인을 몰라보는 사냥개들에게 갈기갈기 찢긴 악타이온의 이야기는불가해·부조리의 주제를 잘 드러내고 있다. 3.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카프카의 「변신」과 오비드의『변신 이야기』간의 비교 연구는 거의 전무한실정이다. 두 작품은 매우 대조적인 특징을 보인다. 카프카의 「변신」에서 출장영업사원인 주인공 그레고르 잠자는 어느 날 벌레로 변해 있는 자신의 모습을발견한다. 하지만 벌레로의 변신은 그가 지니고 있는 특성에 대한 표현이아니며, 단순히 죽은 뒤에 쓰레기 처리되는 부정적으로 규정되는 “벌레”로의변형일 뿐이다. 오비드가 변신에 대한 뛰어난 묘사를 중시했다면 카프카의 작품에서주인공의 변신 자체는 아예 서술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소설의 첫 문장에앞서 변신이 이미 완료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변신」은 ‘내적 독백(erlebte Rede)'을 서술 기법으로 사용하고 있어서주인공의 내적 정체성이 벌레로의 변신 전후로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여부를 알기 힘들다. 4. 데이비드크로넌버그의공포영화 <더플라이> 1986년 극장개봉작 <더 플라이>는 오비드보다 오히려 카프카의 작품과 맥을같이 하고 있다. 「더 플라이」는 1957년 미국 「플레이보이」지에 게재된 죠지랑에란(George Langelaan)의 단편 ...

      • KCI등재

        인물의 변신과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 아동문학교육 연구

        홍인영(Hong, I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이 논문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변신 모티프에 대해 정체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인물의 변신과 정체성 문제를 통한 동화 읽기 교육을 모색한다. 방법 연구 대상으로 정체성을 탐색하기에 적합한 동화를 선택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인물 변신 모티프에 주목하였다. 동화는 아동의 성장과정에서 일어나는 정체성 문제를 세밀하게 다루고 있으며, 그것을 드러내는 장치로 변신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교육제재로 적합하다. 연구방법은 Marcia의 정체성 이론을 토대로 했으며, 정체성 상태의 네 가지 분류인 성취, 유예, 상실, 혼미를 기준으로 각 작품의 인물 변신에서 드러나는 정체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송미경의 「귀여웠던 로라는」, 「나를 데리러 온 고양이 부부」, 「어른 동생」을 대상으로 인물의 변신 양상 및 정체성 단계를 분석한 결과 ‘변신의 확장을 통한 정체성 ‘상실’의 탈출’, ‘변신 주도와 정체성 ‘성취’로의 노력’, ‘연기(演技, acting)된 변신으로 드러나는 정체성 ‘유예’’를 확인하였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한 동화 읽기의 방향으로는 ‘정체성 인식의 필요성 자각: 변신하는 인물의 심리에 주목하여 읽기’와 ‘정체성 ‘성취’의 조건 확인: 능동적 변신에 영향을 끼친 요소를 파악하며 읽기’, 그리고 ‘다중 정체성의 이해: 변신을 지향하는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며 읽기’를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al motifs in children s literature focusing on identity and to seek educational contents of reading fairy tales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characters and identity issues. Methods Fairy tales suitable for exploring identity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nd among them, character transformation motifs were focused on. Fairy tales are suitable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at they deal with the identity issue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children s growth in detail and effectively use transformation as a device to reveal them. The research methods were based on Marcia s identity theory, and the identity revealed in the character transformation of each work was identified based on the four classifications of identity status: achievement, moratorium, foreclosure, and diffusio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ansformation patterns and identity stages of characters in Song Mikyung s 「Cute Laura」, 「The Cat Couple Who Came to Pick Me Up」, and 「Adult Brother」, ‘Escape from ‘foreclosure’ of identity through the expansion of transformation’, ‘Leading transformation and efforts to ‘achievement’’ and ‘Identity ‘moratorium’ revealed through the pretending transformation’ were confirmed. Conclusions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reading fairy tales is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identity recognition: reading with attention to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 who is transforming’, ‘confirming the condition of identity ‘achievement’: reading with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d active transformation’, and ‘Understanding multiple identities: reading with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 beings toward transformation’ was proposed.

      • KCI등재

        Komparatistik der Metamorphose : Ovid, Kafka, Cronenberg

        닐 스튜어트 ( Neil Stewart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3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2 No.-

        본고는 서양의 문학 및 조형예술의 주요 모티프인 변신을 주제로 한다. 아울러 변신을 모티프로 한 문학작품 두 편과 영화 한 편을 근거로 하여 비교문학의 대표적 연구방법과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비교문학은 시대와 문화의 장벽을 넘은 다양한 문학작품간의 비교 연구외에도, 문학과 타 예술매체 그리고 규범문학과 통속문학의 비교 연구 또한 비교문학에 귀속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다룰 작품은 고대로마 시인 오비드(BC 43년-AD 18년)의 서사시『변신 이야기』, 프란츠 카프카(1883-1924)의 「변신」, 그리고 1980년대 캐나다 공포영화 <더 플라이(The Fly)>(감독:데이비드 크로넌버그)이다.1. 변신 개념에 대한 일반적 고찰 변신은 다양한 형태를 보여준다. 이는 자연의 연속적인 변형, 대상의 비연속적 초자연적인 변형, 심경의 변화 그리고 외형적인 변형까지 의미한다. 이외에도 변신은 추상적인 의미로까지 확대되어 대상을 바꾸는 서술행위 자체를 변형범주에 포함하고 있다. 알라이다 아스만(Alaida Assmann)은 변신의 문화와동일성의 문화를 구분하고 있다.2. 오비드의 『변신이야기 』오비드의『변신 이야기』는 변형을 주제로 한 원형 서사시로서 12000행의 6운각 시구 형식이다. 작품은 천지 창조에서 시작해 로마의 전성기를 이끈 아우구스투스 황제에서 끝나며, 변신은 신에 대한 도전과 불경을 범한 인간에게 신이 내린 형벌의 성격을 띄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여신 아테네의 노여움을 사서 거미의 모습으로 바뀌어버린 아라크네의 이야기 그리고 늑대의 모습으로 변한 포악한 왕 리콘의 이야기가 있다. 「변신 이야기」는 이처럼 세계를 구성하는 동식물, 광물 등의 기원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오비드가 묘사한 세계는 투명하고 이해 가능하고, 의미 있고 연관성 있는 상태에 있으며 비록 거미의 형상으로 변화되었지만 인간은 세계 속의 우연한 존재가 아니며, 유의미한 기호로서, 하나의 메타포로서 계속 존재한다. 물론 오비드의 작품 전체를 이 도식에 꿰맞출 수는 없다. 특히나, 우연히 목욕장면을 보았다는 이유로 디아나 여신의 노여움을 입고 사슴의 모습으로 변하고 주인을 몰라보는 사냥개들에게 갈기갈기 찢긴 악타이온의 이야기는 불가해·부조리의 주제를 잘 드러내고 있다. 3.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카프카의 「변신」과 오비드의『변신 이야기』간의 비교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두 작품은 매우 대조적인 특징을 보인다. 카프카의 「변신」에서 출장영업사원인 주인공 그레고르 잠자는 어느 날 벌레로 변해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한다. 하지만 벌레로의 변신은 그가 지니고 있는 특성에 대한 표현이 아니며, 단순히 죽은 뒤에 쓰레기 처리되는 부정적으로 규정되는 벌레로의 변형일 뿐이다.오비드가 변신에 대한 뛰어난 묘사를 중시했다면 카프카의 작품에서 주인공의 변신 자체는 아예 서술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소설의 첫 문장에 앞서 변신이 이미 완료되었기 때문이다.또한 「변신」 은 ``내적 독백(erlebte Rede)``을 서술 기법으로 사용하고 있어서 주인공의 내적 정체성이 벌레로의 변신 전후로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기 힘들다.4. 데이비드 크로넌버그의 공포영화 <더플라이>1986년 극장개봉작 <더 플라이>는 오비드보다 오히려 카프카의 작품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더 플라이」는 1957년 미국 「플레이보이」게재된 죠지랑에란(George Langelaan)의 단편소설 「더 플라이」이를 1958년 영화화한 작품(주연: 빈센트 프라이스)을 리메이크한 작품이다.카프카와는 달리 크로넌버그는 변신의 서술 불가능을 주제로 삼고 있지 않다. 반대로 그의 영화는 과학자 세드 브런들(Sethe Brundle)이 사람과 곤충이 융합된 형태의 존재로 변신하는 과정을 아주 세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카프카의 「변신」이 표현하는 염세주의적 세계관과 인식에 대한 회의주의를 함께 하지 않는다. 브런들은 물체를 분자 단위로 분석해서 다시 융합시키는 전송기라는 기계를 발명하는데, 그가 꿈꾼 투명성과 분석 가능성의 유토피아는 그가 완전히 거대한 파리의 모습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통해 파국적 결말을 맞는다.크로넌버그의 영화가 고전적 변신 담론에 기여한 바가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변신의 중요 전통적 요소들을 영화라는 매체적 가능성과 결합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는 점이 인정된다. (<더 플라이>는 1980년대의 급변하는 유전공학 및 컴퓨터공학의 발전에 대해 공공연하게 반응한 작품이다.)

      • KCI등재

        동물/인간의 경계와 욕망, 그리고 변신

        최원오(Choi, Wonoh)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본 논문은 한국과 북미 원주민의 구전설화 중에 동물신부 모티프가 들어 있는 네 편의 자료 ― 한국: <지네각시>, <우렁각시>. 북미 원주민: <성난 버팔로아내>, <여우부인> ― 를 대상으로 하여, 변신동물과 인간의 경계, 거기에 투사된 인간의 욕망, 그에 따른 변신에 대한 차별적 인식 등을 이론 검토 및 설정의 차원에서 논의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다윈(Charles Darwin, 1809~1882)의 진화론이나 데카르트(Rene Descartes, 1596~1650)의 동물기계론에 보이는 상반된 시각,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와 아감벤(Giorgio Agamben, 1942~ )이 바라보는 인간과 동물관계에 대한 상반된 시각, 그리고 조선시대의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등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담론이 체계적으로 제기되어 왔는데, 이는 구전설화 연구에서도 동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분석 및 비교분석을 시도하는 데 좋은 자극제가 된다. 논의 결과, 이론적 차원에서는 변신설화에서의 변신, 특히 동물신부가 등장하는 설화에서의 변신이 동물/인간의 경계와 어떻게 관련되고, 그러한 관련성의 정도에 따라 변신에 대한 인식의 층차가 달리 획정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한국과 북미 원주민의 설화에 적용해 본 결과, 네편의 구전설화는 인간과 동물의 경계를 분명히 하고, 그에 투사된 욕망도 남성적 결핍의 충족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 공통적 기반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변신동물이 여성이기에 나타나는 자연스런 결과이다. 그러나 한국의 설화는 인간계의 범주 내에서 바라보는 변신동물에 대한 이야기라면, 북미 원주민의 설화는 동물계의 범주 내에서 바라보는 인간에 대한 이야기라는 성격이 강하다. 이러한 차이점은 북미 원주민의 설화에서처럼 ‘변신’을 동물을 포함한 자연계를 이해하기 위한 소통 수단으로 받아들이는가, 아니면 한국의 설화에서처럼 동물을 포함한 자연계를 인간계의 한 부분으로 정립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하는가의 문제로 귀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표면적으로는 한국과 북미 원주민의 네 편의 설화가 보여주는 공통적 기반이 확고해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변신동물의 기능과 거기에 투사된 욕망의 내밀한 층차가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연구는 동물설화, 특히 변신동물이 등장하는 설화의 표면과 이면을 고려한 해석이나 비교 분석에 유효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With four pieces of work that have animal bride motifs among other native oral tales in Korea and North America ― Korea: Centipede Bride and Freshwater Snail Bride, North American natives: The Piqued Buffalo-Wife and The Fox Woman ―,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the border between transformed animals and human beings, human desires projected in it, and accordingly discriminative recognition of transformation. As is well known, philosophical discour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 have been raised in both the Orient and the Occident including the opposite views between Darwin’s evolutionism and Descartes’s philosophy of animal machine, Derrida’s and Agamben’s opposite view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 and the Inmulseongdongiron(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 Property) in the Choseon Period, which provide good guidelines for attempting at systematic and comparative analy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s and human beings in the study of oral folktales.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t has turned out that the four oral folktales make the border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 and show a common base in that the desires projected in it are for the satisfaction of male deficiency. However, while Korean folktales are about transformed animals seen within the category of the human realm, North American natives’ have strong characteristics as tales about human beings looked at within the category of the animal realm. Such a study can provide some effective suggestion for interpretation and comparative analyses in consideration of the surface and hidden sides of animal folktales.

      • KCI등재

        후안 호세 미야스 작품을 통해서 본 “성(性)의 변신”

        고슬기(Koh, Selgi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2

        인간은 누구나 남녀로 나누어진 두 가지 성(性) 중의 하나를 가지고 있다. 이는 순전히 우연적으로 부여된 정체성으로 이름, 국적 등과 같이 후천적으로 결정되는 정체성과는 다르게 마음대로 바꾸기 힘들다. 물론 성전환수술과 같은 현대의학의 발전된 기술로서 성의 변신을 성취할 수 있다고는 하나 그 변신은 불완전한 것으로 여겨진다. 스페인 현대 작가인 후안 호세 미야스 Juan Jose Millas는 그의 작품 속에서 남성과 여성의 정체성을 교환시킨다. 남성 작가인 작가 자신이 여성의 시점을 빌려 소설을 이끌어 나가기도 하고 남성 주인공이 카프카의 『변신』의 주인공처럼 갑자기 여성으로 변하기도 한다. 갑자기 변하는 경우 자신의 성기가 없어지거나 경험하지 못한 다른 종류의 성적 흥분을 느끼는 등 그 변화가 직접적이고 물리적이다. 그리고 짝과의 성별이 바뀌는 경우도 있는데 이 변화는 주로 심리적인 변화를 동반한다. 그리고 남성주인공이 자신의 어머니로 변신하기도 하는데 어머니로 바뀌는 경우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를 취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넘어서 어머니로의 변신을 이루기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가는 이런 모든 총체적인 성의 변신을 단편 「대중역학 La mecanica popular」에서 보여준다. 거기서 그는 다른 경계의 파괴와 함께 성의 경계파괴로 인한 성의 변신을 여러 차례 드러낸다. 미야스는 결국 여러 가지 개념들의 경계파괴와 함께 우리가 굳건하다고 믿는 성 정체성의 경계마저 파괴하는 것이고 그것은 또 우리가 허구의 산물인 소설을 읽는 주요 목적 중 하나인 타인이 되고자하는 호기심과 욕망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Commonly, an individual human being has only one sexual identity divided between man and woman which come into being spontaneously. A sexual and one fixed identity is quite different character and unchangeable compared with name, or nationality just liked acquired ones. Currently, even we accept the changeable character with a sex exchange operation balanced with advance of modern medical science, however, it still regard it as imperfect one. Juan Jose Millas, a modern Spanish writer, exchanges men"s identity for women"s identity in his works. Although he is a male writer, he is often saying in a female"s voice and sometimes male main characters suddenly change into women as a main character in The Metamophosis of Franz Kafka. When they change, their penises disappear or they feel new kinds of sexual excitement, which is physical and direct. And sometimes a person changes into his partner, this kind of change accompanies mental change. Main male characters become their own mothers, and it shows the extension of an Oedipus complex. The writer shows total sexual makeover in his work, La mecanica popular. He reveals sexual changes from boundary destruction along with identity destruction. Millas destructs lots of boundaries that are believed to be firm including sexual identity. This shows curiosity and desire to be another person, which is a main purpose of reading fictions. 인간은 누구나 남녀로 나누어진 두 가지 성(性) 중의 하나를 가지고 있다. 이는 순전히 우연적으로 부여된 정체성으로 이름, 국적 등과 같이 후천적으로 결정되는 정체성과는 다르게 마음대로 바꾸기 힘들다. 물론 성전환수술과 같은 현대의학의 발전된 기술로서 성의 변신을 성취할 수 있다고는 하나 그 변신은 불완전한 것으로 여겨진다. 스페인 현대 작가인 후안 호세 미야스 Juan Jose Millas는 그의 작품 속에서 남성과 여성의 정체성을 교환시킨다. 남성 작가인 작가 자신이 여성의 시점을 빌려 소설을 이끌어 나가기도 하고 남성 주인공이 카프카의 『변신』의 주인공처럼 갑자기 여성으로 변하기도 한다. 갑자기 변하는 경우 자신의 성기가 없어지거나 경험하지 못한 다른 종류의 성적 흥분을 느끼는 등 그 변화가 직접적이고 물리적이다. 그리고 짝과의 성별이 바뀌는 경우도 있는데 이 변화는 주로 심리적인 변화를 동반한다. 그리고 남성주인공이 자신의 어머니로 변신하기도 하는데 어머니로 바뀌는 경우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를 취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넘어서 어머니로의 변신을 이루기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가는 이런 모든 총체적인 성의 변신을 단편 「대중역학 La mecanica popular」에서 보여준다. 거기서 그는 다른 경계의 파괴와 함께 성의 경계파괴로 인한 성의 변신을 여러 차례 드러낸다. 미야스는 결국 여러 가지 개념들의 경계파괴와 함께 우리가 굳건하다고 믿는 성 정체성의 경계마저 파괴하는 것이고 그것은 또 우리가 허구의 산물인 소설을 읽는 주요 목적 중 하나인 타인이 되고자하는 호기심과 욕망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Commonly, an individual human being has only one sexual identity divided between man and woman which come into being spontaneously. A sexual and one fixed identity is quite different character and unchangeable compared with name, or nationality just liked acquired ones. Currently, even we accept the changeable character with a sex exchange operation balanced with advance of modern medical science, however, it still regard it as imperfect one. Juan Jose Millas, a modern Spanish writer, exchanges men"s identity for women"s identity in his works. Although he is a male writer, he is often saying in a female"s voice and sometimes male main characters suddenly change into women as a main character in The Metamophosis of Franz Kafka. When they change, their penises disappear or they feel new kinds of sexual excitement, which is physical and direct. And sometimes a person changes into his partner, this kind of change accompanies mental change. Main male characters become their own mothers, and it shows the extension of an Oedipus complex. The writer shows total sexual makeover in his work, La mecanica popular. He reveals sexual changes from boundary destruction along with identity destruction. Millas destructs lots of boundaries that are believed to be firm including sexual identity. This shows curiosity and desire to be another person, which is a main purpose of reading fictions.

      • KCI등재

        聊齋志異 속 변신에 내재된 욕망 연구― ‘인간이 동물로 변신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김경아(KyungA Kim) 대한중국학회 2016 중국학 Vol.54 No.-

        본 연구는 聊齋志异 속 ‘人化爲物型’ 고사 네 편( 阿寶, 向杲, 促織, 竹靑)을 대상으로, 주인공들이 인간에서 동물로 변신하게 된 동기와 양상을 분석하고, 변신을 통해 그들이추구한 욕망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다. 각 작품의 서사 전개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변신은 모두 변신 주체의 내적 결핍이 외부적 억압기제와 결합하면서 발생하게 된 것임을 알수 있었다. 인물의 변신을 推動하는 동기, 내적 결핍, 특정한 동물로 변신하는 변신의 방향성,이 세 가지 요소의 종합 분석을 통해 도출해낸 욕망의 구체적인 양상은 첫째, 진실한 사랑을얻고자 하는 욕망, 둘째, 사회적 제약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 셋째, 타자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 넷째, 현실에서 탈주하고자 하는 욕망이다. 이들의 욕망이 당시 사회와의 관계속에서 축적되고 분출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속에는 동시대를 살아간 인물들의 공통된 욕망 또한 일정부분 반영되어 있을 것이다. 즉, 요재지이 속 변신 서사에는 ‘변신’이라는 환상의 세계와 ‘욕망’이라는 현실의 세계가 공존하고 있다고 하겠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metamorphosis in LiaoZhaiZhiYi to identify whyand how characters are transformed into animals. It also aims to identify thecharacteristics of the ambitions on the subjects of the transformation which wantedto achieve through the action.As the introduction, the first chapter explains the correlations betweenmetamorphosis and human ambitions that can be found from myths and legendsto the novels, written in the Qing Dynasty.The second chapter analyzes the following four works; ABao, XiangGao, CuZhiand ZhuQing in which main characters (human) transforms into animals. Why themain characters are changed and how it has been happening are analyzed in thesecond chapter. What lacks inside them and the pressure from the outsidecombination formed them into animals in a magical way and helped them toachieve their goals.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mbitions which the maincharacters want to achieve through trans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in thesecond chapter. The first ambition was to achieve true love, while the second onewas to break from social constraints and the third one was to escape from thereality, and finally, the fourth one was to desire for recognition. Ambition hasmultiple layers. However, the main characters of the stories did not pursue sexualor material ambitions through the transformation. The ambitions were rather strictlygenerated in the social relations which they belong to. Therefore, social structuralviolence and people’s ambition to fight against such a structural injustice arereflected in the story and therefore fantasy and reality coexist in the stories in thatperspective.

      • KCI등재

        ‘遊戲’의 관점에서 본 『聊齋志異』 변신 서사의 의미 지향점 - 변신 존재를 중심으로 -

        정선경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2

        네덜란드의 역사학자 요한 하위징아(Johan Huizinga)는 호모루덴스라는 개념을 내세워 인간을 유희하는 존재로 파악했다. 하위징아는 『호모루덴스』에서 인간이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본질이 바로 놀이를 하는 점에 있고, 문화는 놀이에서 생겨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놀이 정신이야말로 문화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풍부한 창조력을 지닌 약속의 원천이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소설 속 변신 존재는 가변적 세계 속에서 타자와 관계를 형성하며 새로운 세상을 창조해 나가는 흥미진진한 놀이의 주체가 된다. 『聊齋志異』 속 변신 존재는 새로운 신체를 부여받아 타자의 삶에 개입하고 사건을 전개시키며 또 다른 삶을 체험한다. 몸의 변형을 통해 타자와 마찰을 일으키고 긴장과 화해를 경험하며 내면의 진솔한 가치관과 세계관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새로운 사회문화적 의미와 해석을 부여받을 수 있다. 본고는 『聊齋志異』 속 인간과 비인간의 교류에서 ‘변신’이라는 모티프가 관계 형성에 주요 원동력이 되었음에 주목하여 다양한 인간 군상에 대한 삶의 경험을 창조적 ‘놀이’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했다. 『聊齋志異』 변신 존재들은 자의적인 선택으로 몸을 변형하여 일탈의 즐거움을 만끽하고, 경계를 허물어 탈경계적인 소통의 유희를 즐기며, 물리적인 시간을 재구성하면서 결핍된 것을 보상받는다. 변신은 인간 안에 내재하는 동물이나 식물 등 비인간적인 특징을 이끌어내고 인식하는 메타포로 작동한다. 변신 서사는 자아의 정체성을 회복시키면서 이상적 자아를 창조해 가는 과정을 담아낸다. 근원적인 욕망과 현실적 결핍 사이의 균열을 채워주고 억압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삶을 즐기게 해 준다. 그런 의미에서 자아의 결핍을 극복하고 타자와 상생을 꿈꾸는 변신 서사의 뿌리는 생태적 상상력에 있다. 『聊齋志異』 변신 서사는 인간 이외의 것들을 소외시키지 않으려는 노력, 상생의 가능성을 문학적 유희로 재현해 낸다. Dutch historian Johan Huizinga used the concept of homoludence to identify humans as playful beings. In Homorudens, Huizinga argues that the essence that distinguishes humans from other animals lies in playing and that culture arises from play. In other words, the spirit of play is the source of the rich creativity that enables cultural development. In that sense, the novel’s transformative ability is the subject of exciting play that can create a new world through the formation of a relationship with the other in a variable world. The transforming being in Ghosts and Wizards (『聊齋志異』) is given a new body and then intervenes in others’ lives, drives events, and experiences another life. A new socio-cultural meaning and interpretation can be given in that the being causes friction with others, experiences tension and reconciliation, and reveals its true inner values and worldviews through bodily transformation.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various human groups’ life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e play, noting the motif of transformation as a major driving force in the exchange between human and nonhuman beings in Ghosts and Wizards ( 聊齋志異 ). The transforming beings in Ghosts and Wizards (『聊齋志異』) are rewarded for their deficiencies by being able to transform their bodies according to arbitrary choices. They are then able to enjoy the pleasure of deviating from each other as well as play facilitated by borderless communication and the breaking down of boundaries and can even reconstruct physical time. Transformation works as a metaphor that draws out and recognizes inhuman characteristics, such as those of animals and plants, that are inherent in humans. The transformation narrative contains the process of creating an ideal self and restoring the self-identity. It fills the gap between underlying desire and the lack of reality and allows individuals to enjoy a life free from oppression. In that sense, the roots of the transformation narrative, which overcomes the lack of self and dreams of coexistence with others, lie in the ecological imagination. The transformation narrative of Ghosts and Wizards (『聊齋志異』) reproduces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through literary play in an effort not to alienate nonhuman t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