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bscisic acid의 처리시기 및 횟수가 포도 '거봉'의 착색에 미치는 영향

        한동현,Han Dong-Hyeon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2

        포도 '거봉'의 착색을 조장하기 위해 적절한 ABA의 처리시기와 처리 횟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AL 효소의 활성은 변색기 처리구와 변색기 10일 후 처리구에서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색기 10일후 처리구가 변색기 처리구보다 약간 더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냈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 처리구 공히 생육기간 동안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든 ABA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훨씬 높은 안토시아닌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변색기 10일후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안토시아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가용성당 함량에 있어서 과당과 포도당만이 검출되었으며, 처리구간에 함량의 차가 그다지 크지 않았다. 처리 횟수에 있어서 PAL 효소의 활성은 각 처리구 공히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회 처리구는 변색기 10일후의 2회째 처리 이후에도 급속한 PAL 효소 활성 증가가 이어져 최종수확기에서도 비교적 상당히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다. 변색기와 변색기 10일 후의 2회 처리구에서 안토시아닌 함량 증가가 가장 높아 최종수확기에 가서는 무처리구에 비해 5배 이상, 1회 처리구에 비해서는 2배정도 많았다. 1회 및 2회 ABA 처리구 모두 과당과 포도당 함량 공히 무처리구에 비해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냈지만 그다지 큰 차이는 없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time and times of abscisic acid (ABA) treatment for the coloration in 'Kyoho' grapes. The L-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enzyme activities were showed highly in both ABA treatments at veraison and 10 days after veraison. However, PAL enzyme was slightly higher in ABA treatment at 10 days after veraison than in that at veraison. Anthocyanin content showed a tendency that were increased during fruit development after veraison in all treatments, and was the highest in ABA treatment at 10 days after veraison. Fructose and glucose as soluble sugars were detected by HPLC and showed little differences in all treatments. In times of ABA treatment, PAL activity showed a tendency that decreased after increased in all treatments. PAL activity in 2 times treatment of ABA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Also, anthocyanin content was highest in 2 times treatment of ABA, as 5 folds of control and folds of 1 time treatment of ABA. Both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in all ABA treatments was slightly higher than control.

      • KCI등재

        Abscisic acid의 처리농도가 포도 '거봉'의 착색에 미치는 영향

        한동현,Han Dong Hyeon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2

        본 실험은 착색 불안정 때문에 재배적 어려움이 있는 '거봉'포도를 이용하여 변색기에 ABA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봄으로써 착색증진을 위한 최적의 처리 농도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BA의 처리 농도에 따라 과방중량과 과립중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물과 적정산 함량 역시 생장기간 내내 처리구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PAL 효소의 활성은 각 처리구 공히 처리후 급속히 증가 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ABA 처리농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증감의 폭은 더욱 커졌다. 또한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최종수확기에 가서도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기간 동안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ABA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ABA 1000 mg/L 처리구는 최종수확기에 무처리구에 비해 2.5배 이상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과피의 전페놀 함량은 안토시아닌 함량과 마찬가지로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기간 내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ABA의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가용성당 함량은 과당과 포도당만이 검출되었으며, 자당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과당과 포도당 함량 역시 변색기 이후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구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abscisic acid (ABA) treatment for enhancing fruit coloration of 'Kyoho' grapes. Cluster and berry weights showed a tendency that increased in proportion to concentration of ABA treatment, but were not significant in all treatments. Also, soluble solids and titratable acidity were not significant during fruit development in all treatments. L-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activity showed a tendency that decreased after rapidly increased in all treatments, and was the highest in 1000 mg/l ABA treatment at final harvest. Anthocyanin and total phenolics contents were high in proportion to ABA treatment concentration, and anthocyanin content in 1000 mg/l ABA treatment was 2.5 folds of that in control. Fructose and glucose as soluble sugars were detected, but sucrose was not detected. Both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increased during fruit development, but showed little difference in all treatments.

      • KCI등재

        포도 ‘흑구슬’에서 1차지 및 2차지 착생 과실의 특성 및 품질 비교

        박서준(Seo Jun Park),손인창(In Chang Son),정성민(Sung Min Jung),노정호(Jung Ho Noh),김승희(Seung Hui Kim),최인명(In Myung Choi),박교선(Kyo Sun Park)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0 No.2

        본 실험은 포도 ‘흑구슬’ 품종의 l차지 및 2차지에 착생된 포도 품질을 경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2차지 착생 포도의 품질 특성 및 상품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꽃송이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신초당 화 수수는 1차지가 1.1개로 2차지의 0.6개에 비해 많았다. 화뢰수는 2차지가 169.5개로 1차지의 228.8개에 비해 적었던 반면, 착립률이 21.7%로 1차지의 17.4%보다 높았다. 수확기 과실특성을 조사한 결과, 과립중은 1차지 착생 포도가 12.1g으로 2차지의 8.9g에 비해 높았다. 과당과 포도당 함량은 변색기 동안 2차지 착생 포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민개 후 90일부터 감소하여 수확기에는 1차지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산함량은 만개 50일부터 1, 2차지 착생 포도 모두 빠르게 감소하였으나 2차지 착생 포도는 만개 후 70일부터 감소율이 완만해졌다. 과피착색도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2차지 착생 포도가 변색기 중 급속한 증가를 보여 단기간 내 높은 착색도를 보였으나, 1차지 착생 포도는 변색기 초기에 착색장해를 받아 수확기 착색도가 2차지 착생 포도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in order to define the characteristic and quality of the fruits set on primary and secondary shoots in ‘Heukgoosul’ grape. The numbers of flower clusters per shoot were 1.1 and 0.6 in primary shoots and secondary shoots, respectively. The fruits of primary shoot showed 12.1 g of higher berry weight than 8.9 g of the fruits set on secondary shoots.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ruits of secondary shoots during veraison, but the levels gradually decreased, reaching a similar level with those of primary shoot at the harvest stage. The acid content decreased rapidly from day 50 after full bloom in both primary and secondary shoots, but the rate of decrease slowed down from day 70 after full bloom in secondary shoots. Berries of secondary shoots showed rapid increase of skin coloration during veraison and reached a high degree of coloration within a short period when compared with those of primary shoots.

      • KCI등재

        괘대시기가 ‘거봉’ 포도의 과피 특성과 열과에 미치는 영향

        손인창(In-Chang Son),김대일(Daeil Kim)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3

        과립 비대기 동안의 괘대시기가 ‘거봉’ 포도의 열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포도 과립의 생육 및 과피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포도 과립중은 만개후 7-9주간 괘대한 후기 처리구에서 13.4g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기간 괘대구가 12.3g으로 가장 낮았다. 한계팽압에서 포도 과립의 열과율이 무대구에서 53.3% 이상 발생하여 가장 높았던 반면, 처리구에서는 전기간 괘대구(42.7%), 초기 괘대구(37.3%), 중기 괘대구(33.3%), 후기 괘대구(18.7%)의 순으로 열과가 경감되었다. 과피의 조직학적 특성을 관찰한 결과, 무대 처리에 비해 괘대 처리구에서 과피 표면의 과점의 크기가 작았으며 형태가 건전하였다. 특히 후기 괘대구에서는 기공 주변이 코르크화와 미세균열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과피의 아표피층과 세포벽의 두께가 증가하여 과피가 구조적으로 강화되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일조시간이 길고 광도가 높은 변색기 직전에 2주간 괘대처리가 ‘거봉’ 포도의 과피 구조를 강화시켜 열과 겸감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berry growth and pericarp characteristics were characterized to confirm the effects of bagging periods on berry cracking during berry development in ‘Kyoho’ grape. The berry weight was the highest at 13.4 g in late period of bagging treated at 7 to 9 weeks after full bloom (WAFB) as compared with the lowest of 12.3 g in total period bagging. The berry cracking rate under critical turgor pressure in the non-bagging control was 53.3%, while those of bagging treatments were decreased in the order of 42.7%, 37.3%, 33.3%, and 18.7% in bagged during 3 to 9, 3 to 5, 5 to 7, and 7 to 9 WAFB,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observation on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ericarp, berry lenticels of whole bagging treatments had smaller and normal shape compared with non-bagging control treatment. Especially on the pericarp of late period bagged during 7 to 9 WAFB, suberization around stomata and micro-cracking were not observed and structural strength of pericarp was increased with thicker sub-epidermal layer and cell wall.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bagging treatment for two weeks just before the veraison when the day length and daylight is relatively longer and stronger can effectively reduce berry cracking by strengthening structure of pericarp in ‘Kyoho’ grape.

      • KCI등재

        괘대봉지의 칼슘 코팅농도가 ‘거봉’포도의 과피구조와 열과에 미치는 영향

        최효민(Hyo-Min Choi),손인창(In-Chang Son),김대일(Daeil Kim)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4

        칼슘 코팅 봉지의 괘대처리가 포도 ‘거봉’의 과피 강화 및 열과 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효과적인 열과 방지용 괘대봉지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무대구의 가용성당함량과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각 18.1°Brix, 2.56㎍?㎝?²로 칼슘코팅 괘대구에 비해 높았다. 과피의 경도는 무대구에서 1.18㎏?5㎜?¹Ø으로 괘대처리구의 12.3, 1.24, 1.27, 1.35㎏?5㎜?¹Ø 보다 낮았으며 고농도의 칼슘코팅 봉지를 사용할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피의 형태적 관찰을 수행한 결과, 고농도의 칼슘코팅 괘대구일수록 표피 및 아표피층의 세포벽 두께가 증가하여 과피가 구조적으로 강화되었으며, 한계팽압 하에서의 열과 발생률은 고농도의 칼슘코팅한 봉지를 처리할수록 열과 발생이 감소하여 열과 경감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처리구 중 열과 경감에 가장 효과적이었던 9% 칼슘 코팅 괘대구에서는 칼슘에 의한 과피 미려도저하가 문제되었다. 따라서 열과 경감효과와 과실의 상품성을 고려했을 때 ‘거봉’ 포도의 경우에는 6%의 칼슘코팅 봉지 처리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s of calcium concentrations of coating bag treatment to reduce berry cracking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changes of pericarp structure and berry cracking rate in ‘Kyoho’ grape. The soluble solids and anthocyanin contents in harvested grapes were highest at 18.1 °Brix and 2.56 ㎍?㎝?² in non bagging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calcium coating bag treatments. The firmness of pericarp was lowest in non bagging group (1.18 ㎏?5 ㎜?¹Ø) compared with bagging treatments (1.23, 1.24, 1.27, 1.35 ㎏?5 ㎜?¹Ø) which increased effectively in proportion to calcium concentration. As a result of histological observation of the fruit skin, the bagging with higher calcium concentration developed thicker epidermal and sub-epidermal layer of cell wall than that of non bagging. Moreover, the strengthened berry skin of calcium treatments effectively decreased berry cracking rate under critical turgor pressure. However, the 9% calcium coating bag treatment which was the most effective for cracking reduction seriously decreased marketability of harvested grape with white color staining on berry skin caused by eluted calcium from the coated paper bag. Based on our results, we recommend that 6% calcium coating bag be available for berry cracking reduction and higher quality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