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극권의 진출로 오호츠크 해와 베링 해 지역연구: 선적활동과 장애요인

        한종만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8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2 No.1

        Global warming in the Arctic region is twice as fast as that in other regions. Arctic sea ice in summer keeps renewing its lowest extent every year since 2010, which has been monitored by satellite observations since 1970s. This decrease of Arctic sea ice is expected to benefit the usage of the Arctic route, and developments and utilizations of energy, fishery, and ecotourism resources in the Arctic Circle. The vessels in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vessels of Korea, China, and Japan using Arctic shipping route, which includes the Northeast Passage, the Northwest Passage, and the Transpolar Sea Route, trail the Bering Strait, through the East Sea, the Sea of Okhotsk, and the Bering Sea. Therefore, developments in the Arctic region and shipping activities across the Bering Strait are expected to increase steadily. Although the developments and increased shipping activities can raise risks of accidents and harm the ecosystem, not only infrastructure for prevention and post-management of accidents is lacking, but also national, bilateral, and multilateral governance system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not been settled. Sustainable ecosystem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developments, uses of the Arctic route, and the governance. In this article, Chapter 2 outlines the physical and huma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a of Okhotsk and the Bering Sea. Chapter 3, the current status and analysis of marine activity in the study area, contemplates the trade structure and current status of importation and exportation, ports, and shipment through the Aleutian Islands and the Bering Strait. Chapter 4 explores the obstacles to the Arctic route and activation strategies for the route. 북극 지역의 온난화는 기타 지역보다 2배나 빠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1970년대 인공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2010년부터 여름철 북극해 얼음 규모는 매번 최소치를 갱신하고 있다. 북극해의 해빙으로 북극항로의 이용과 북극권의 자원/에너지 개발, 수산자원의 활동, 생태관광자원의 이용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러시아 극동지역과 한중일의 선박은 동해 , 오호츠크 해, 베링 해를 거쳐 베링해협을 통과해야만 가능한 북극항로는 북동항로, 북서항로, 북 극점 경유 항로로 구분된다. 북극개발과 베링해협 통과 선적활동은 꾸 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극권 개발과 선적활동과 증가로 야기되는 여러 형태의 사고 위험 성과 부정적 생태계의 변화 가능성도 병행되고 있으며, 사전 및 사후 사고 예방을 위한 인프라 시설의 부족과 부재뿐만 아니라 환경보호를 위한 국가별, 쌍무간, 다자간 거버넌스 시스템도 정착되지 않은 상황이 다. 개발과 항로 이용과 거버넌스는 지속가능한 생태계에 기반을 둔 차 원에서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 제2장은 오호츠크 해, 베링해협과 베링 해 남부와 북부 지역의 자연 및 인문 지리적 특성을 개관한 후 제3장 연 구공간 해양활동의 현황과 분석에서는 수출입 현황과 구조, 항구 현황, 알류샨열도와 베링해협 통과 선적 현황을 고찰한다. 제4장에서는 북극 항로의 장애요인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 KCI등재

        북극권 진출을 위한 해양공간 인문지리: 동해-오호츠크 해-베링 해

        김정훈,한종만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9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3 No.2

        As the accessibility of the Arctic Circle is increasing, researches on the Arctic Circle are very actively being carried out at home and abroad. However, these studies are mostly conducted in the individual areas of political, economic and scientific domains,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values at a comprehensive level as a space where geopolitical, geographical and geocultural problems work in combination. To realize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things need to be considered. First, the research area is a place where the interests in resource development and northern route management that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21st century as well as the Artic neighbors are concentrated. Second, the linkage of the research area requires systematic research, that is, each research topic is closely linked by the future development strategy (blueprint) of the relevant countries. Third, all research topics are integrated studies that are investigated in combination by closely linked geopolitical, geopolitical and geocultural approaches. In particular, since the study of the Ohotsk Sea and the Coast of Bering Sea, which are the gateways to the Arctic, is a necessary space for approaching the Arctic, the future growth engine of the Republic of Ko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growth in advance. Therefore,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comprehensive value and analysis contents & methods of the Artic from the views of humanities and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research space. 본 연구공간(동해-오호츠크해-베링해)은 한국사회에 에너지·자원 확보/수입원/공급처의 다변화, 물류유통,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으로의 확장, 생활공간의 확대, 해외 식량 기지의 확보(수산업 등), 환경과 생태에 대한 글로벌 이슈의 충족, 녹색성장의 토대, 남북한 통합 촉진과 북한경제 발전의 연착륙유도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미래 한국사회의 ‘기회의 공간’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국제사회와 우리의 기대에 부합하는 미래의 한국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선도적 준비로써 해당지역의 지정, 지경 지문화적 의미와 연구필요성 등을 제기해보고자 한다. 북극권의 접근성이 높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북극권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대부분 정치적, 경제 및 과학적 입장의 개별적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어 지정, 지경 및 지문화적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공간으로서 종합적 차원에서의 가치와 분석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항이 먼저 고려될 필요성이 있다. 첫째, 연구공간은 21세기 한반도뿐 아니라 해당국들의 미래를 결정할 자원개발과 북방항로 운용의 이해관계가 집중된 곳; 둘째, 연구대상지역의 연계는 시스템적 연구(Systemic Approaches)를 요구, 즉 각 연구 주제는 관련국의 미래 발전 전략(청사진)에 의해 상호 긴밀하게 연계; 셋째, 모든 연구 주제는 긴밀하게 연계된 지정학적, 지경학적, 지문화적 접근법들에 의해 복합적으로 연구되는 통합연구(Integrated Studies). 특히, 우리의 입장에서 북극을 향하는 관문인 오호츠크 해 및 베링 해 연안 지역연구는 향후 대한민국의 미래성장 동력 지역인 북극에 접근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공간으로 이에 대한 선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기에 본 연구를 통해, 연구공간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접근에서 지역의 종합적 가치와 분석 내용과 방법 등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반구대 암각화의 작살잡이와 우미악(Umiak)

        송화섭(Song, Hwa-Seob)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9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는 고래 문양이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되었다. 반구대의 고래암각화는 고래에 대한 생태 지식과 관찰력이 매우 뛰어난 집단의 작품임을 쉽게 판명할 수 있다. 고래 문양의 조각 기법과 표현 양식이 매우 정교하고 회화성(繪?性)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그림은 고래잡이 전문집단의 작품으로 추정한다. 고래잡이 전문 사냥꾼들은 바다에서 고래잡이를 생업으로 하는 해양수렵 집단이라 할 수 있다. 해양수렵은 바다동물을 전문적으로 사냥하는 집단의 생활방식을 말한다. 북아시아 내륙에서는 유목과 사냥을 하는 유목수렵민들이 있듯이, 북아시아 해안, 바다에도 바다동물을 사냥하는 해양수렵민들이 있다. 해양수렵민들은 1년 내내 바다에서 이동생활을 하면서 고래, 바다표범, 바다코끼리 등 포유류의 바다동물을 사냥하는 관습을 갖고 있다. 상시적으로 바다에서 포유류를 사냥할 수 있는 곳은 북극해(北極海)이다. 북극해는 자연 환경과 기후 여건상 雪原과 얼음지대로 덮혀있는 툰드라(tundra) 지대이기에 바다동물을 사냥하는 방법 외에 달리 생업 조건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기후환경의 바다에서 포유류를 사냥하는데 고안된 배가 우미악(umiak)이다. 우미악은 바다표범의 가죽으로 만든 가죽배이다. 우미악은 바다에서 고래잡이하는데 매우 용이하게 만들어졌다. 신석기시대에 북극해에서 우미악으로 고래잡이하는 작살잡이 암각화가 백해(white sea)에서 발견되었다. 반구대 암각화는 북태평양의 고래생업지대에 속한다. 북태평양의 고래생업지대는 알래스카와 베링해협인데, 이 해역의 고래들이 가을에 새끼를 번식하고 양육하기 위하여 溫帶 바다로 이동해와 겨울을 지낸다. 북태평양 아시아권에서는 베링해와 오호츠크해에서 서식하는 고래가 한반도 울산만으로 이동해와 겨울을 지내고서 다시 회유하는 고래 생태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고래 이동에 따라 북아시아 고래사냥꾼들이 울산만으로 내려와 고래잡이를 하였다는 기록이 반구대 암각화에 나타난다. 반구대 암각화의 배 그림은 우미악을 표현한 것이며, 우미악을 이용하여 작살잡이하는 그림은 북아 시아 고래잡이 암각화와 같은 계통이다. 따라서 반구대 암각화는 베링해협에서 고래잡이 전문집단이 도래하여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A whale is sculpted in detail in the petroglyph in Bangudae, Ulsan. The petroglyph shows that it is a work of people who had a knowledge on whales and observed them keenly. Collectively, it is considered to be a work of a group of professional whale hunters since the sculpturing techniques and expressions used in the petroglyph were very delicate and excellent. For the people hunting whales was their profession. In the inland of North Asia, there were nomadic people who lived by hunting land animals while there were people who hunted sea animals in the coast area of North Asia. People who hunted sea animals moved and caught whales, seals, walrus in the Artic Ocea around the year. There is tundra in the Artic regions which has no trees but snow and ice so the residents had to hunt sea animals. This environment made them develop Umiak, a special ship to hunt sea animals. Umiak is made of harbour seal skin and it was convenient to catch whales. There is a petroglyph on people who hunted a whale using Umiak in the Artic Ocean in the Stone Age. The Bangudae petroglyph is included into the art in whale hunting areas of the Artic Ocean which are Alaska and the straits of Bering. The whales live there give birth in the fall and move to the warm latitude in the winter to raise their babies. There are whales who come to Ulsan gulf for winter from the Bering Sea and Sea of Okhotsk and go back there after the winter in the Pacific Ocean near Asia. The Bangudae petroglyph also shows that whale hunters from North Asia came to the Ulsan gulf to catch whales. The ship in the Bangudae petroglyph is Umiak and it suggests that the petroglyph is classified as the same one found in the North Asia. Consequently, the Bangudae petroglyph is assumed to be sculpted by a group of professional whale hunters who were from the straits of the Bering.

      • KCI등재후보

        베링해협 터널의 구상과 전개

        심의섭,리 루이펑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5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9 No.2

        The Bering undersea tunnel considered more than 150 years is an international infrastructure. The construction of international infrastructure is related to an enormous cost, long time, pollution, urban and cultural problems, environmental destruction, climate change, technical problems, etc. and regarded transnational as well as intra-government project in terms of political, diplomatical, security and military issues. The special meanings for the Bering Strait are raised from the G2 super power Russia and USA, cold Arctic ocean, earth quake, climate change, technology and fund supply. It must find the cooperative ways for harmonizing conflicts between political and diplomatic interests of neighbouring countries even if is at initiating stage. However, all these limits and bottlenecks can be solved by our knowledge in this global era and the dream of Bering strait undersea tunnel will be realized in near future. The positive effects of Bering tunnel will be great by connecting Asia and America. By connecting America, Europe and East Asia it increases logistics, also develops Siberia, Primoria and Alaska, a new paradigm is foreseen for the international economy and policy relations. Russia and China have poured wonderful plans into the strategic development of Siberia, also this conception can be an opportunity associated with Eurasia Initiative in Korea. The initiative to connect Siberia and Alaska in the Bering Sea raised firstly in 1849, and specific various proposals were introduced intermittently or consistently in some times. The most concrete initiative was announced by the Moonie in 2005. Recently Russia announced a US$65 billion dollar TKM-World Link tunnel construction initiative (2011.8), and China also proposed a dreamlike initiative for the construction of 600km per hour high-speed bullet train railway connecting China-Russia-Canada-America. These kind of super gigantic projects include an international infrastructure between large and small Diodeme middle of the Bering Sea to Alaska and Siberia connection, the long term also includes the development of the hinterland. These proposals are very similar to the China’s dream ‘One Belt One Road’ or ‘Silk Road Economic Belt Initiative’. In the point of view the Bering tunnel construction surely will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Arctic marine route, the EurAmeriAasia crossing to America and Eurasia appeared naturally as new concept. 세기적 구상인 베링해협 터널은 국제 인프라이다. 국제인프라 건설은 공사자금이 막대하고, 공사의 구상에서 착공, 완공까지 공사기간이 길고, 거대한 공사에 따르는 공해문제, 도시문제, 문화오염, 환경파괴, 기상문제 같은 것이 당연히 거론되고, 기술문제와 건설후의 경제성 등 정치, 외교, 안보, 군사적인 문제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초국적이고 초정권이며 초정체적인 국제적 공사이다. 더구나 베링해협의 터널사업은 미국과 러시아라는 초강대국을 연결하는 사업이며 북극해 개발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혹독한 기후여건, 지진과 같은 자연환경, 지구 온난화, 기술, 자금조달, 각국의 전략 간의 조화와 충돌, 정치・외교적 갈등 등 온갖 난관이 얽혀 있지만 베링해협 터널에 대한 국제적 공론은 이미 가시권에 들어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제한은 인간의 한계 안에 있는 것이고, 역사는 글로벌 시대, 평화 시대로 역사는 진행되고 있으므로 베링해협 터널의 건설과 운영의 시대적 과제는 그 실현이 앞당겨지고 있다.베링해협 터널은 아시아와 아메리카를 연결하는 것이므로 파급효과는 직간접적으로 막대할 것이다. 미주, 유럽, 동아시아 3대 거대경제권을 연결하는 것이므로 직접적인 물류의 증가 뿐 만아니라 자원의 보고인 시베리아 개발과 연해주 개발은 비단 경제적, 정치적인 면에서도 새로운 패러다임이 예견된다. 러시아와 중국이 시베리아 개발에 전략적 열정을 쏟아 붓고 있지만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Eurasia Initiative)와 연계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1849년에 최초로 베링해의 시베리아와 알래스카를 연결하는 구상이 있었고 그 후 여러 차례에 걸쳐서 다양한 구상과 계획이 간헐적으로, 한 때는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것이 반복되다가 2005년에 문선명은 가장 구체적인 구상을 발표하였다. 뒤이어 러시아는 650억 달러짜리 TKM-세계연결터널(TKM-World Link tunnel) 건설 구상을 발표하고(2011.8), 중국도 중국-러시아-캐나다-미국(China-Russia–Canada-America)을 연결하는 시속 600km의 고속철도(bullet train railroad line)의 건설구상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구상은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연결을 위해 베링해 중간의 대·소 다이오메드 간의 인프라 건설을 포함하고, 장기적으로는 배후지역의 개발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일대일로(Silk Road Economic Belt Initiative) 계획과 유사한 것이며, 베링해협 터널의 건설은 북극항로의 개발을 촉진할 것이므로 유라시아를 넘어 아메리카까지 포함하는 유라메리아시아(EurAmeriAasia)라는 새로운 개념까지 등장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마지막 빙하기 동안 베링해 알류샨 분지 북부 지역의 점토광물 조성 변화

        김성한 ( Sung Han Kim ),조현구 ( Hyen Goo Cho ),김부근 ( Boo Keun Khim ) 한국광물학회 2011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4 No.1

        베링해 알류샨 분지의 북부 사면지역에서 채취된 피스톤 코아 PC25A의 퇴적물에서 점토광물의 반정량적 함량 분석을 통해 지난 마지막 빙하기 동안 퇴적물의 기원지와 운송 경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코아 PC25A의 연대는 방산충 L. nipponica sakaii의 마지막 출현 시기(48.6 ± 2 ka)와 인근 지역에서 채취한 연대가 잘 정립된 코아 PC23A의 퇴적물 색도(a*, b*) 및 퇴적 엽리층의 대비를 통해 설정되었다. 코아 PC25A의 최하단부가 약 57,600년 전으로 계산되었고, 코아 상부는 손실된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 마지막 빙하기 동안 스멕타이트, 일라이트, 캐올리나이트, 녹니석의 평균 함량은 각각 11% (5∼24%), 47% (36∼58%), 13% (9∼19%), 29% (21∼40%)이다. 코아 PC25A의 인근 지역에서 채취한 코아 MC24에서 분석된 홀로세의 점토광물 함량에 비하여 마지막 빙하기동안에 특징적으로 일라이트 함량이 증가하였고 스멕타이트 함량은 감소하였다. 따뜻한 기후의 홀로세 전기(Early Holocene) 동안 일라이트 함량이 높은 점토 퇴적 물이 알라스카 대륙의 북부 지역(Province 1)으로부터 유입되는 융빙수에 의해 운반된 것으로 판단된다. MIS 2의 후빙기(Bølling-Allørod)동안에도 융빙수에 의해 점토광물이 운반되었으나, 일라이트 함량이 홀로 세 전기에 비해 낮기 때문에 북쪽의 Province 1보다는 남쪽에 위치한 Province 2와 Province 3에서 점토입자들이 기원된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 최대 빙하기(Last Glacial Maximum)동안 나타나는 높은 스멕타이트 함량은 베링해 남동쪽 알라스카 반도 인근 지역(Province 4)에서 공급되는 점토 퇴적물의 양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MIS 3 초기에서 중기로 가면서 일라이트와 스멕타이트 함량이 감소하고, 녹니석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MIS 3 동안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Province 2와 Province 3에서 점토 퇴적물의 공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베링해 알류산 분지의 북부 사면지역에서 채취된 코아 PC25A에서 분석된 점토광물 조성의 변화는 마지막 빙하기동안 해수면의 하강으로 인하여 점토광물의 이동과 관련된 베링해의 표층 해류 순환이 현재와는 다른 양상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Clay mineral assemblages of core PC25A collected from the northern part of the Aleutian Basin in the Bering Sea were examined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s in sediment provenances and transport pathways. Ages of core PC25A were determined by both Last Appearance Datum of radiolaria (L. nipponica sakaii; 48.6 ± 2 ka) and age control points obtained by the correlations of a*, b*, and laminated sediment layers with the adjacent core PC23A, whose ages are well constrained. The corebottom age of core PC25A was calculated to be about 57,600 yr ago and core-top might be missing during coring execution. Average contents of smectite, illite, kaolinite, and chlorite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are 11% (5∼24%), 47% (36∼58%), 13% (9∼19%), and 29% (21∼40%), respectively. Clay mineral assemblages of the last glacial period are characterized by higher illite and lower smectite contents than those of core MC24 representing the modern values. Illite-rich clay sediments during the warm Early Holocene were transported from the northern part of Alaska continent (Province 1) through the ice-melt waters. During the deglacial period (Bølling-Allørod) of MIS 2, clay-sized particles seemed to be also transported by ice-melt waters mainly from Province 2 and Province 3 located farther south than Province 1. Higher smectite content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is attributed to increased amounts of clay particles from the adjacent Alaska Peninsula (Province 4). From the early to the middle MIS 3, illite and smectite contents decreased, whereas chlorite content increased. With the low sea level standing during MIS 3 the supply of clay sediments from Province 2 and Province 3 was most likely intensified. Changes in clay mineral assemblages of core PC25A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Aleutian Basin in the Bering Sea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of surface current system caused by sea level variation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 KCI등재

        ‘베링해 물개중재사건’과 생물자원보존을 위한 국제환경법 발전

        이재곤(Jae Gon Lee)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44 No.-

        베링해물개중재사건은 미국과 영국간에 미국의 베링해 상 해양물개잡이규제와 관련하여 발생한 분쟁을 중재재판에 의하여 해결하였던 사건이다. 중재판정은 사건이 발생하였던 시대적 경향과 사고를 뛰어넘지 못하고 인간중심적 환경윤리에 함몰되었고, 관련 생태계 전체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생태적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하였다는 점에서 국제환경법 발전 초기단계의 사건이라는 한계를 분명하게 보여 준다. 하지만 환경관련 국제분쟁을 법적으로 해결한 첫 번째 사건으로 국제중재제도의 발전을 비롯한 국제법의 발전과 함께 사건이후 해양생물자원을 중심으로 한 생물자원의 보호와 관련된 국제환경법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준 사건이고 오늘날의 국제환경법논의에서도 의미가 있는 사건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국제환경법에 있어서 이 사건이 갖는 중요성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유생물자원의 보호를 위한 공해상에서의 일정 수역에까지의 국가관할권의 확장이 간접적으로 인정됨으로써 오늘날 공해어족자원보호협약 등을 통한 공해상에서의 생물자원보호를 위한 국제적 규제에 근거를 제공하는 등의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오늘날 소위 지속가능개발원칙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경제개발과 환경보호의 통합이라는 요소가 미약하게나마 이미 이 판정을 통해서도 인정되어 이 개념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재판정에서 ‘물개’라는 생물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된 채취 또는 수렵제한기간 설정, 수렵 구역의 설정, 수렵방법의 규제, 수렵개체수 등 필요정보의 제공의무, 토착민을 위한 예외인정 등이 중재판정에서 도입되었고 이후 국제환경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Award of Behring Fur Seal Arbitration reveals obvious limitations,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the primitive development stage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such as anthropocentric approach to the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instead of biocentric approach and specific species centered approach instead of ecological approach. However, the Arbitration is the very first case in which a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dispute was settled by an arbitration, a newly developed dispute settlement institution, through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law. Then the case affected the development of arbitration and the international law for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especially marine resources and has been accepted a meaningful case in the discussion on relate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ssues. The following three points might be illustrated. At first, the extension of territorial jurisdiction over the marine area adjacent to the high sea was indirectly recognized by the award and has been affected the recent international regulation of conservation of marine natural resources in high sea such as 1995 Fish Stocks Convention. Secondly, a shy recognition of incorporation of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to economic developments in the award impacted on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irdly, introduction of newly developed means for the conservation of the specific marine species, such as the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 the limitation of period for catching natural resources and the limitation of catching methods and tools, the notification of related information, an exception for indigenous people etc. in the arbitration award, influenced subsequent developments of regulatory provisions of related treaties in the area of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 KCI등재후보

        명태어업과 중부베링해명태자원보존관리협약에 대한 고찰

        신용민(Yong-Min Shin)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010 해양비즈니스 Vol.- No.15

        Pollock is widely distributed in both temperate and arctic waters of the North Pacific, from the East Sea and Sea of Okhotsk in the west, across the Aleutian archipelago and south to California in the east. It is particularly abundant in the Bering Sea and Gulf of Alaska, where it is one of the dominant species. It is exploited by a variety of countries. In an effort to allow stocks to rebuild in the Central Bering Sea, following their collapse in the early 1990s, signatories to the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ollock Resources in the Central Bering Sea (China, Japan, Korea, Poland, Russia and the USA) have maintained a moratorium on commercial pollock in the Convention area since 1993. Despite the moratorium, pollock stocks beyond 200 mile coastal state limits remain in poor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tatus of the Korean pollack fishery and the analysis on the Convention. Traditionally, pollack and pollack fishery is very important in Korea. Currently, pollock prices are rising rapidly because there is no pollack fishing in Korea coastal fishery. Especially, Korea Pollack industry has been a pain in the moratorium by the Convention. Therefore, Korea should try to revise the agreement. In addition,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rial fishing.

      • KCI등재

        북극권의 진출로 오호츠크 해와 베링 해 지역연구: 지속가능한 개발협력과 시사점

        한종만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9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3 No.1

        The decrease of Arctic sea ice is expected to trigger the opening of the Arctic route, and the development & utilizations of energy, fishery, and ecotourism resources in the Arctic Circle. Arctic issues such as territorial problems, extended continental shelf, commercial shipping, resource development, fisheries activities, endangered species, environmental disasters, ship accident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creased military activities will soon be transformed into arena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or competition and conflicts in the near future. In this article, from the polito-economic perspective Chapter 2 and Chapter 3 outline the conflict and competition factors in the Sea of Okhotsk and the Bering Sea. In Chapter 4, I analyz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ooperation that can draw a win-win strategy in the Arctic countries as well as the non-Arctic countries by creating ideas that may alleviate conflicts and competitions. Chapter 5 explores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in the proc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cooperation, and draws implications for S. Korea’s entry into the Arctic. 북극해 얼음과 빙하가 녹으면서 영토문제, 대륙붕 외연 경계 문제, 상업적 선적, 자원개발, 수산 활동, 멸종위기 종, 환경재난, 선박사고, 지속가능한 개발, 증대되는 군사 활동 등의 북극 이슈는 가까운 장래에 북극이 국제 협력 혹은 경쟁과 갈등의 아레나로 변모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2-3장에서는 연구공간에서 갈등과 경쟁 요인을 정치경제 관점에서 고찰한 후 제4장에서는 갈등과 경쟁을 완화할 수 있는 아이디어 창출을 통해 북극권 국가뿐만 비북극권 국가들도 윈윈(win-win)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협력 내역을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지속가능한 개발 협력과정에 나타나는 역기능과 순기능을 고찰하면서 한국의 대북극 진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 KCI등재후보

        북서태평양 표층대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공간 분포 특성

        강진경,강선혜,이준,박지혜,황청연 한국수로학회 2022 한국수로학회지 Vol.11 No.2

        Marine microbes, as essential members of lower trophic leve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biogeochemical cycle and cause impacts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marine ecosystems.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rine microbe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the bacterial and viral abundances were measured for the epipelagic seawater samples (within 100 m), which were collected at 12 stations from the East Sea to the subarctic Bering Seaduring the R/V Aaron cruise in July 2012. Bacterial abundances were 0.2–1.9×106 cells ml-1 and gradu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latitude. The variability of bacterial abundance was well explained by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rathern than physical variables. Cyanobacterial abundances were highest in the East Sea (1.8×105 cells ml-1) and were not detected in low temperature of seawater (8℃) above 55°N. Viral abundances were 0.8–15.2×106 viruses ml-1, an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acterial abundances (r2=0.58, p<0.001, n=71).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transfer of dissolved organic matter (DOM) from phytoplankton to higher trophic levels via bacteria (microbial loop) and the process of returning particulate organic matter (bacteria) to the DOM pool via viruses (viral shunt) in the study area. This study suggests that lower trophic level organisms are tightly coupled and contribute to the energy transfer and matter cycling in the marine ecosystem of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