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인격의 형성과 발전 : 새로운 법인격 개념의 정립은 필요한가?

        송호영(Song, Ho-Young) 한국재산법학회 2021 재산법연구 Vol.38 No.2

        우리 민법은 자연인과 법인을 권리주체로 인정하고 있다. 즉, 자연인과 법인은 법인격을 가지며, 권리와 의무의 귀속주체로써 완전한 권리능력을 가진다. 법인격에 대한 관념은 인간의 평등과 존엄성에 기반을 둔 것으로써, 근대 민법에서 법인에게로 확대되었다. 그런데 법인격에 대한 이러한 통설적 설명은 오늘날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권리능력이 상대화거나 부분적으로만 인정될 수 있는 것인지에 관한 문제, 권리주체에게 귀속되는 권리능력과 의무능력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인지의 문제, 법률에 의해 인정된 법인의 법인격이 법률에서 규정되지 않은 사유에 의해서도 부인될 수 있는지와 법인의 권리능력은 설립목적 범위 내에서만 인정되는 것인지의 문제, 자연인과 법인 외에도 인공지능 로봇이나 동물 등에 대해서도 법인격을 인정할 수 있는 지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서 법인격 개념의 형성과 발전 혹은 도전에 대해 고찰하고자 작성되었다(Ⅰ). 법인격과 관련하여 최근에 제기되는 문제들에 답하기 위해서는 법인격 개념이 법제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고 현재까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에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Ⅱ.에서 법인격의 형성과정에 대해 법제사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Ⅲ.에서는 최근 법인격에 대해 제기되는 새로운 도전적 과제들에 대해 개괄하면서 필자의 견해를 개진하였다. Ⅳ.에서 필자는 결론적으로 인간중심적 인격에 기반한 전통적인 법인격 개념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인공지능 로봇이나 동물에 대해서도 법인격을 인정하려는 탈인간중심적 인격개념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이다. The Korean Civil Code recognizes natural person and legal entity as subjects of rights. In other words, natural person and legal entity have respectively legal personality and have complete legal capacity as legal subjects to which rights and obligations belong. The idea of a legal personality is based on the equality and dignity of human beings and has been extended to legal entities in the modern civil code. However, this orthodox explanation of legal personality is being challenged today. The question of whether legal capacities are relativizable or only partially recognizable, the question of whether the rights and obligations attributable to the legal subjec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question of whether the legal personality of a legal entity recognized by law can be denied even for reasons not stipulated in the law and whether the legal capacity of a corporation is recognized only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and the question of whether legal personality can be recognized not only for natural persons and legal entity, but also for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nd animals are the recently rising issues. This paper was written to consider the formation, development or challenge of the concept of legal personality with such a sense of problem(Ⅰ.). In order to answer the recent questions related to legal personali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concept of legal personality was formed in the legal historical context and how it has been developed.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of legal personality in II. from the point of view of legal history. Based on this, in Ⅲ. the author presented the views by outlining the new and challenging tasks that have been recently raised for legal personality. In Ⅳ.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traditional concept of legal personality based on human-centered personality is still valid today, and he is skeptical of the post-human-centered concept of personality that attempts to recognize legal personality eve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nd animals.

      • KCI등재

        세법상 법인격부인의 법리와 실질과세의 원칙의 관계

        박훈,이상신 한국세법학회 2010 조세법연구 Vol.15 No.4

        법인격부인의 법리는 회사법상의 이론으로, 실질과세의 원칙은 세법상의 원칙으로 주로 논해져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법인격부인의 법리에 대한 법문에 명확한 근거규정은 없지만, 대법원 판례에서는 사법분야에서 법인격부인의 법리의 인정과 그 요건에 대해 명확히 밝히고 있다. 문제는 세법분야에서 이러한 법인격부인의 법리 적용을 인정할 것인가이다. 이러한 법인격부인의 법리 도입은 실질과세의 원칙 및 조세법률주의와 관련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해 보아야 한다. 이 글에서는 법인격부인의 법리에 대한 사법 및 세법상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면서 세법상 법인격부인의 법리가 사법상 논의와 다른 점을 지적하였다. 법인격을 남용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제한은 사법분야뿐만 아니라 세법분야에도 필요하다. 그렇지만 세법분야의 경우에는 법인격이 남용되는 경우 실질과세의 원칙에 의해 조세회피 행위에 대한 규제가 가능하고, 실질과세의 원칙을 적용하여 과세가 어려운 경우 사법상 법인격부인의 법리를 확대하여 과세할 경우 납세의무자의 법적 안정성 및 예측 가능성을 해하여 조세법률주의에 위반될 수 있다. 과세권 행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법인격이 남용되는 유형을 입법화하는 과정을 걸쳐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구 지방세법상 대도시 내 법인 설립 시 휴면법인의 인수에 대해 대법원 2009.4.9 선고, 2007두26629 판결에서 조세법률주의 원칙에 따라 과세를 허용하지 않은 것은 타당하다. 지방세법 개정에 의해 동일한 유형의 경우 향후 과세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입법적 조치에 의해 과세권을 확보하여야 하는 것이다. 위 판례는 납세의무자의 주장과 같이 법인격부인론이 적용되는 경우는 아니지만, 과세권 행사의 필요가 있더라도 조세법률주의 제한에 따라야 함을 보여 준 사례라는 점에 판례의 의의가 있다. 모회사가 자회사를 통해 부동산 보유회사의 주식을 취득한 경우 모회사를 지방세법 제138조 제2항의 취득세 간주취득규정의 적용을 받는 과점주주로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최근 행정법원 판결 중 서울행정법원 2007.11.6 선고, 2007구합5349 판결은 사법상 법인격부인의 법리의 세법 적용을 긍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해당 사안의 경우 실질과세의 원칙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먼저 살펴보아야 하고 세법분야의 법인격부인의 법리를 적용하기 위한 요건이나 그 법리를 적용하는 경우 모회사와 자회사의 과세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는 법인격부인의 법리를 적용하는 데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조세법률주의의 원칙 위반이 문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legal principle of piercing corporate veil is a theory on corporation laws, and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is mainly discussed as principle of tax laws. In the case of Korea, though there is no clearly based definition in the laws on the legal principle of piercing corporate veil, preceding rules by the Supreme Court clearly acknowledges the legal principle of piercing corporate veil and its conditions in the private law sector. The problem is whether the legal application of such piercing corporate veil in the private law sector should be applied. Introduction of such legal principle of piercing corporate veil must be reviewed for its feasibility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and the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rule. This paper states the theoretical rationale of the private laws and tax laws on the legal principle of piercing corporate veil, and points out that the legal principle of piercing corporate veil on tax laws is different from the discussions on the private laws. When corporations are abused, restrictions on it is necessary for both private laws and tax laws. However, in the case of tax laws, when corporations are abused, restrictions for tax avoidance pursuant to the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rule are possible, an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when it is difficult to levy taxes, the legal principle of piercing corporate veil on private laws can be extended to this. When taxation is made on this, it may disrupt the legal safety and predictability of tax payers, which would violate the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rule. When it is necessary to be taxed on the types of abuses made by corporations, it must be legislated in tax laws. From this perspective, the Supreme Court Decision of April 9, 2009 case number 2007 du 26629 doesn't permit taxing pursuant to the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rule for acquiring dormant corporations when establishing corporations within metropolitan cities according to former provincial tax laws was feasible. The above decision is not a case in which the piercing corporate veil was applied as that of the claim of the tax payer, but even if there is a need to exercise tax rights, it is meaningful in the fact that it shows that the restrictions by the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rule must be observed. In the case that a mother company acquires the stocks of a company possessing real estate through its affiliated companies, the recent decision of the Seoul Administrative Court of November 11, 2007 case number 2007 guhab 5349 on whether to have the mother company recognized as an oligopoly shareholder applicable to the regulations on deemed acquisition of acquisition taxes pursuant to Article 138 paragraph 2 of the Provincial Tax Act, was positive in applying tax laws of the legal principle of piercing corporate veil according to private laws.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spective case, whether or not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must be first examined, and when applying the conditions and its legal principle for application of legal principle of piercing corporate veil in the tax sector, under such conditions where there is no clear standards for taxes of mother companies and affiliate companies, there is a need to be cautious in applying the legal principle of piercing corporate veil. This is because it may result in problems with violating the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rule.

      • KCI등재

        법인격부인의 요건 - 대판 2016. 4. 28, 2015 다 13690 의 평석을 겸하여 -

        김정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19 經營法律 Vol.29 No.2

        The author tried in this article to analyze the legal problems regarding the requirements of piercing corporate veil. He tried in especially a critical annotation on the stream of common law in Korea that permits lifting corporate veil whenever the legal entity of stock corporation becomes skeletonized or misused. At first he showed the facts and helds of the courts regarding the case of 2015 da 13690. In furthrance he scanned the legal debates in Japan surrounding the japanese supreme court case in the year of 1969. He criticized in the end the requirements of skeletonization showing the debates in academia. The author emphasized that the doctrine of piercing corporate veil could be more frequently applied in Korea due to the wide-spread holding company system in Korean conglomerates. The Fair Trade Commission of Korean Government demanded to demolish the circular rings, which have been frequently observed in conglomerates, and to establish the holding system. Not a few company groups in Korea like LG and SK have already met the demand of the Commission. Samsung has also erased the ring recently, when Samsung Electricity sold last September the stock of Samsung C&T through block deal. The autho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paring the domestic legal situations of major economic powers like U.S.A, U.K., Japan and Germany. He says that the courts of Korea need to introduce the common law rules of insider reverse veil piercing in U.S. or U.K. and need to import the theory of objective abuse of legal entity in Germany (=Institutsmissbrauch). He concluded that the requirements for piercing corporate veil should consist of two elements ; one is the skeletonization of the legal entity and the other is the necessity or imperativeness to lift the corporate veil. 본 논문에서 필자는 법인격부인의 요건론을 다루고 있다. 특히 2008년 대법원이 시도한 법인격의 형해화와 법인격의 남용이라는 이원적 접근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에서 이를 평석하였다. 즉 법인격의 형해화만으로 법인격을 부인할 수 없으며 법인격의 남용과 법인격의 형해화는 쉽게 구별하기도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법인격부인의 새로운 요건론을 모색하였다. 이에 있어 필자는 오늘날 세계 각국에서 시도되는 법인격부인의 유형을 네 가지로 나누었다. 책임실체파악, 귀속실체파악, 외부자 역부인 및 내부자 역부인이 그것이다. 이러한 유형구분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법인격부인의 요건으로서 법인격의 형해화와 법인격부인의 필요성 내지 당위성 등 두 가지를 공통요소로 추출하였다. 오늘날 우리 경제사회에 있어서는 특히 지주회사제의 본격시행을 눈앞에 두고 있어 본 이론의 적용사례가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즉 과거에는 주로 법인격이 형해화된 소규모 폐쇄회사를 대상으로 그 배후자인 개인에게 책임을 묻는 책임실체파악의 기법이 많았지만 이제는 기업집단에 있어 종속회사의 법인격을 부인하고 지배회사의 대외적 책임을 인정하는 사례들이 많아질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대비한 정치한 요건론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에 대한 소고 - 대법원 2021. 4. 15. 선고 2019다293449 판결을 계기로 -

        김태선 ( Tae-sun Kim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論集 Vol.25 No.4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은 배후자의 행위 또는 채무에 대한 책임을 법인에게 지우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배후자가 재산을 은닉하거나 채무를 면탈할 목적으로 회사를 설립하고 출자하거나 회사에 재산을 이전하는 경우, 회사는 배후자의 채무에 대한 책임을 진다. 학계에서는 회사의 채무에 대해 배후자가 책임을 지는 법인격 부인론을 인정하면서도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입장들이 있다. 우리 판례가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을 수용한 것으로 평가할지에 대해서도 명확치 않다는 평가가 있다. 평석 대상 판결은 채무자인 개인이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고 그의 사업상 자산을 신설 회사로 이전한 사안으로, 대법원은 개인의 채권자가 신설 회사를 상대로 채무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다고 판시함으로써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이 적용되는 사실관계를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적어도 채무면탈 목적 등 일정한 사안에서는 배후자의 채무를 법인이 책임질 수 있다는 점이 명확하게 확인된 것이다. 이처럼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이 판결을 통해 나타나고 또 앞으로도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는 바,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에 대한 앞으로의 논의는 해당 이론에 대한 법리를 섬세하게 검토하고 발전시키는 것으로 진전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대상 판결을 계기로, 법인격 부인의 역적용을 긍정하는 다수설과 입장을 같이하면서 당해 법리의 법리적 근거를 살펴보고 이를 보다 구체적화하려는 시도이다.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 사안에서 배후자의 지배적 지위는 법인격의 형해화 사안보다 완화된 기준으로 판단되어야 하며. 특히 형식적으로 제3의 주주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부정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이러한 사안에서는 기존회사의 자산이 신설회사로 부당하게 이전되었다는 점에서, 신설회사의 채권자나 다른 주주들의 이해관계가 기존 회사의 채권자보다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다고 보기 어렵고, 따라서 1인회사나 가족회사의 경우에만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이 인정된다는 견해에는 찬성하기 어렵다. “Reverse piercing of the corporate veil” means the holding a corporation liable for the obligation of the person behind the veil. For example, if a person behind the veil transfers property to a company for the purpose of concealing or escaping assets, the company would be responsible for the debt of the person behind the veil. Academics acknowledged the “piercing of the corporate veil”, but some were passive about reverse piercing. It was also not clear whether judicial cases would be considered to have accepted the reverse application of corporate denial theory. and also explained whether our case would be considered to have accepted reverse piercing. The Korean Supreme Court decision on April. 15(2019da29344920) is a case in which an individual, a debtor, established a new company and transferred his business assets to a new company.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an individual creditor could claim the debt from the new company. It has been clearly confirmed that the corporation can be responsible for the debt of the person behind it, at least in certain cases, such as the purpose of evading debt. The conclusion that can be seen as reverse piercing appears and is expected to emerge in the future. Therefore, future discussions on the reverse application of the theory need to be advanced by carefully reviewing and developing the legal principles of the theory.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legal basis of reverse piercing and to make it more concrete, sharing the position with the majority of those who affirm the theory. The dominant position of the person behind the veil shall be judged on a more relaxed basis than on the “shelling of the corporate legal entity” case. It should not be denied, especially on the grounds that there is a third shareholder in a formal manner. Given that assets of existing companies have been unfairly transferred to new companie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interests of creditors or other shareholders of new companies are absolutely superior to those of existing companie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view that reverse piercing is recognized only for single-person companies or family companies.

      • KCI등재

        법인격부인론의 적용요건과 법인격의 남용

        정완용(Chung, Wan-Yong) 경희법학연구소 2017 경희법학 Vol.52 No.3

        회사의 법인격이 남용된 경우에 회사의 행위로 인한 책임을 그 배후자에게 지우는 법인 격부인론은 우리나라 학설과 판례에서 법인격 형해화와 법인격 남용의 두 가지 유형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 두 가지 요건은 어느 한 가지만 충족되어도 회사의 법인격을 부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법인격부인론이 우리나라 회사법상 판례에 의하여 인정된 것은 미국과 일본의 학설과 판례의 영향을 받아 1980년대 후반에 편의치적선과 관련한 판례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법인격부인론에 관한 그 이후의 다양한 학설과 논의가 전개되어 온 반면에 법원 실무상으로는 법인격부인을 인정한 판례가 매우 적은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법인형태를 취 하고 있는 대다수의 회사는 주식회사이며 그것도 대부분이 소규모의 폐쇄적인 회사가 주류 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법인격의 남용 가능성이 높아서 그에 따른 불공정을 시정할 필요가 있고 여기에 법인격부인론의 적용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런데 법인격 부인론의 적용요건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학설과 판례에 의하여 제시되어 오고 있으나 대체로 그 기준이 법인격 형해화요건과 법인격 남용요건으로 귀결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법인격 부인이 인정된 대법원 2016.4.28.선고 2015다13690판결을 중심으로 하여 먼저 외국의 법인격부인론에 관하여 영미법, 독일법 및 일본법을 간략하게 고 찰한 후, 이어서 종래 우리나라에서 논의되고 있는 법인격 부인론의 적용요건과 판례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대상판결에 관하여 법인격부인론의 적용요건을 두 가지로 나누어 법인격 형해화를 인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요소)와 법인격 남용을 인정하기 위한 요소를 분석 하고 양자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법인격부인론이 적용될 수 있는 바, 특히 소규모 폐쇄 적인 형태의 주식회사에서 법인격 남용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경우 법인격부인론을 적용함으로써 불공정한 결과를 시정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법인격 부인론에 관한 외국의 법리와 우리나라의 판례를 분석하여 법인격부인론의 적용요건과 법인격의 남용기준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 글이 향후 법인격부인론의 요건에 관한 판례가 집적됨으로써 보다 세분화되고 정치하게 수립되어 갈 수 있도록 하는데 작은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The doctrine of piercing the corporate veil has been adopted under the reflections of U.S. cases, Japanese theories and cases on the doctrine in the Korea Company Law and Supreme Court Decisions since in the late of 1980. This doctrine refers to the judicially imposed exception to the limited liability principle by which courts disregard the separateness of the corporation and hold a shareholder responsible for the corporation’s action as if it were the shareholder’s own. The doctrine of lifting the veil plays a small role in Korea Company Law even though there are so many articles on the several issues on this doctrine. Even the case for applying the doctrine may seem strong, as in the undercapitalized one-person company, which may or may not be part of a larger corporate group, the courts are unlikely to do so. The requirements for the piercing the corporate veil is the most important issue of this doctrine. This article reviews two kinds of requirements for the piercing the corporate veil as following. The first requirement is a sham of the legal entity that is to say an empty or paper company issue and the second one is an abuse of th legal entity. There are two types of legal requirement cases on this doctrine. Some cases on piercing the corporate veil have applied the first requirement to disregard the legal entity and another cases have applied the second requirement to lift the veil of the legal entity. Nevertheless there are some cases which applied all of the two requirements to disregard the legal entity if it is the shareholder caused the corporation to be used for actual fraud to avoid his individual liability for the claimants. This study reviews especially the abuse requirement to lift the veil of the company about the Korea Supreme Court Decision 2015 da 13690 Decided April 28. 2016. This decision lifted the veil of the company which is newly established for the replacement of the existing company for the purpose of avoidance of his own debts. In this case the Court admitted the liability of the newly established company for the claimant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doctrin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sult of that case is a kind of expanding appliance of the doctrine of lifting the veil. In the future to remove the uncertainty in legal standard and to clarify the requirements, the additional specification through the accumulation of cases is needed.

      • KCI등재

        법인격론의 최근 연구 동향

        김건우 한국법철학회 2021 법철학연구 Vol.24 No.3

        Indeed,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conceptu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regarding the topic of ‘legal person(-hood)’ in legal philosophy, but actuall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it for a long time. In recent years, however, we witness increasingly more and hotter debates in the Western legal academics over the topic of ‘legal person’ in law. Two backround facts are available for this trend. First, while the non-human natural beings such as fetuses, animals, and the nature itself have traditionally not been recognized as legal persons, for the past decades lots of efforts have been made to change this tradition. Second, the recent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triggered new controversies over the legal personhood of non-human artificial entit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s well. Meanwhile, several notable works on the topic have emerged. (i) Ngaire Naffine, Law’s Meaning of Life: Philosophy, Religion, Darwin and the Legal Person (Hart Publishing, Oxford, UK, 2009), (ii) Visa A. J. Kurki & Tomasz Pietrzykowski (ed.), Legal Personhood: Animal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Unborn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 and (iii) Visa A. J. Kurki, A Theory of Legal Personhood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In this paper, I review these books in turn. Book (i) shows that persons and legal persons appear and play a role on their own in various senses and contexts in law. Book (ii) is a collection of papers that show that there are good reasons for ‘legal person’ to apply beyond natural persons to non-human beings such as animals. Book (iii) attempts to provide a new theory of legal person from a legalistic perspective. It attempts to separate ‘legal person’ from ‘rights’ or ‘capacity for rights’ and classify the former category into several subcategories in a sophisticated manner. In these books different perspectives of legal personhood point to different significant fundamental points of discussion, and each of the perspectives occupies a singularity as such. Today, the theory of legal personhood consists of the viewpoints from various intellectual sources, which open up a rich discussion on the fundamental subject in legal philosophy―although there remain lots of fundamental challenges for the discussion. 최근 서구 법학계 및 법철학계에서 “법인격론”이 의미심장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고는 관련 연구 동향을 스케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적 근래 출간된 세 권의 책을 소개하고 주요 논점을 검토하였다. (i) 호주의 법철학자 나이리 너핀(Ngaire Naffine)의 단독연구서 Law’s Meaning of Life: Philosophy, Religion, Darwin and the Legal Person (Hart Publishing, Oxford, UK, 2009)와 (ii) 핀란드의 소장 법철학자 비사 쿠르키(Visa Kurki)와 폴란드의 법철학자 토마츠 피에트르지코우스키(Tomasz Pietrzykowski)가 편집한 논집 Legal Personhood: Animal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Unborn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 ing, 2017), 그리고 (iii) 비사 쿠르키가 단독연구서로 내놓은 A Theory of Legal Personhood (Oxford University Press, 2019)가 그것이다. 이 저작들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법인격론의 최근 연구 동향을 정리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오랫동안 인격론, 권리론, 자유론, 소유론 등 법인격론과 밀접하다고 할 만한 주제들에 관해 법학적, 법철학적, 윤리학적 논의가 무르익어 왔다. 하지만 정작 법인격론이라는 주제는 집중적 관심을 받지 못했으며, 관련 논의는 그동안 다소간 잠복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시기를 지나, 근래 법인격론은 독자적인 법학적, 법철학적 주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법인격 일반에 대한 관심이 커짐은 물론, 자연인과 법인, 태아의 법인격성을 넘어 동물, 지구, 자연, 인공지능 등 다양한 비인간 존재자의 법인격성 여부에 대한 관심으로 그 주제를 넓히고 있기도 하다. 본고에서 고찰한 저작들은 법인격에 관한 새로운 논의의 지평이 현재 어디까지 와 있는지를 시사한다. 적어도 해당 저자들의 시도는 법인격을 단순히 권리담지자 혹은 권리능력으로 간주하는 기존의 단순한 견해(쿠르키의 용어로, ‘정통적 견해’)를 훨씬 뛰어넘는다. 저자들은 그 견해의 한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극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너핀은 법인격을 기본적으로 법률적 개념으로 보면서도, 궁극적으로는 법인격이 무엇이 정의(justice)인가에 관한 규범적·정치적 판단에 의해 좌우되는 개념임을 역설하였다. 반대로 쿠르키는 실정법제의 현실태와 그것에 기반한 직관을 최대한 살려 법률주의적 틀 속에서 법인격론 자체를 새로이, 더욱 정교하게 정립하려고 시도하였다. 법인격과 권리를 분리하는 한편, 법인격을 여러 세부 유형으로 나누는 것이 그 핵심이었다. 한편 이들 두 입장을 뛰어넘는 급진적 견해도 있었다. 두 번째 책 제3장으로 소개한 수산나 린드루스-호빈하이모(Susanna Lindroos- Hovinheimo)의 글에서, 법인격 개념은 프라이버시 법리가 그러하듯 다분히 개인주의적 근대법을 특징짓는 징표일 뿐이다. 그래서 저자는, 법인격 개념의 의의를 과대평가하는 것은 개인주의적 편향을 공고히 함으로써 공동체적 가치와 민주주의의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고 비판하였다. 필자가 볼 때, 이 책들에 나타난 상이한 법인격론은 제각기 의미심장한 근본적 논점을 겨냥하고 있으며, 저마다 자신만의 특이점(singularity)을 이룬다. 오늘날 법인격론은 다양한 지적 자양분으로부터 나온 관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관점들은 법철학적 근본 주제로서 법인격이라는 주제에 대해 풍성한 논의의 장을 열어젖히고 있다. 비록 그러한 탐구에는 수많은 근본 난제가 노정해 있을지라도 말이다.

      • KCI우수등재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 - 외부자의 법인격 부인론 역적용을 중심으로 -

        이종욱 한국민사법학회 2022 民事法學 Vol.98 No.-

        주주(사원)의 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해 법인격을 역(逆)으로 부인하고 법인(회사)에 주주(사원)의 채무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는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法人格 否認論의 逆適用), 엄밀하게는 그 중에서도 외부자의 법인격 부인론 역적용은 채무자가 현물 출자나 영업 양도, 회사 분할 등을 통해 자신이 지배하고 있는 법인(회사)를 이용하여 채무를 면탈하려는 시도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적 수단이 될 수 있음에도, 그동안 그 중요성에 비해서는 실무적으로 충분히 활용되지 못했던 측면이 있다. 최초로 외부자의 법인격 부인론 역적용을 정면으로 인정한 2021년 대법원 판결이 선고된 시점에서 법인격 부인론의 인정 여부 및 그 성립 요건에 대해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미국에서는 형평에 맞는 결론을 내기 위해서는 법인격 부인론의 적용을 인정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도 인정해야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을 인정하는 주가 다수이다. 주류적인 학설도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을 긍정한다.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을 인정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가령 자본 조달 수단으로서 회사의 유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비판 등에 대해서는 주로 기초 요건에 더해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을 인정하는 요건을 제한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고 본다. 주주의 구성과 관련해서는 회사의 다른 주주가 채무자와의 친족관계 등으로 경제적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점을 고려한 사례가 다수 있다. 채권자의 구성은 이익형량의 한 요소로만 참작되는 데 그친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이라는 개념을 명시적으로 사용하지는 않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법인격 부인론을 그 역적용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파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고도, 결과적으로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을 인정한 최고재판소 판례 및 하급심 판례가 다수 있다. 법인격 부인론이 역(逆)으로 적용된다는 등 비교적 명시적으로 그 법리를 긍정하는 학설을 포함해 주류적인 학설도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을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법인격 부인론의 일반 요건을 충족하면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도 가능하다는 취지로 읽히는데, 문제가 된 대부분의 사안은 1인 회사(실질적 1인 회사 포함)이거나 회사가 경제적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주주로만 이루어진 경우여서, 그 논의의 필요성이 크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경우에만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을 인정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과 사해행위 취소권 및 부인권의 경합을 인정한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다수설이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을 긍정했고, 판례도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 가능성을 시사하여 오다가, 최근 명시적으로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을 인정한 2021년 대법원 판결이 선고되었다. 위 판결은 법인격 부인론의 일반 요건 외에, 채무자와 회사의 주주들이 경제적 이해관계를 같이할 것을 추가 요건으로 요구하였다. 경제적 이해관계를 같이하는 주주는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이 인정된다 해도 부당하게 불이익을 입는 제3자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위 판시에 찬동한다. 한편, 회사의 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요건을 정립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그 필 ... In a 'Reverse piercing of corporate veil’, especially ‘Outside reverse veil piercing’, the plaintiff seeks to hold the corporation liable for the actions of its shareholder or someone who controls the entity. It has not been used in practice as extensively as it should have been despite its significance of being an effective remedy against a debtor attempting to avoid liabilities through investment in kind, split-off, business transfer and so on. As the Supreme Court of Korea explicitly recognized the concept of reverse piercing of corporate veil in 2021, it is timely and necessary to research on reverse piercing of corporate veil. As to the Untied States, the majority of states recognize the concept of reverse piercing of corporate veil on the grounds that traditional veil piercing and reverse veil piercing are substantially similar and both serve the purpose of achieving an equitable result. The mainstream scholars also support reverse veil piercing whereas the opposition concerns about the side-effects of applying reverse veil piercing. For instance, it insists that reverse veil piercing results in reducing the usefulness of the corporate form as a vehicle for raising and deploying capital. To defend this criticism, the advocates of reverse veil piercing suggest an additional standard to reverse pierce the corporate veil. There is an ample number of court cases where it considers the other shareholders of the corporation sharing the same economic interests with the debtor through familial relations and etc. Yet, the composition of creditors of the corporation itself has not been dealt with by the courts to the same extent. In Japan, it seems that the concept of ‘Piercing the corporate veil’ is understood in a broad sense to include the concept of reverse piercing of corporate veil. The Supreme Court of Japan and many lower courts recognize reverse piercing of corporate veil without applying the concept of reverse veil piercing. It appears that the majority of scholars also justify reverse veil piercing, including some scholars that explicitly support the concept of reverse veil piercing. As reverse veil piercing cases are mainly about one man companies (including substantial one man companies) or companies composed of shareholders having the same economic interests with the debtor, the courts seem to have ruled in favor of reverse veil piercing while requiring only the basic standards of traditional veil piercing. In other word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reverse veil piercing is recognized only on those circumstances. It is noticeable that fraudulent conveyance and avoidance do not rule out reverse veil piercing. In South Korea, reverse piercing of corporate veil has been supported by the mainstream school of thoughts and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s also suggested the recognition of reverse veil piercing. Finally, a recent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in 2021 has clearly recognized the concept of reverse veil piercing, requiring an additional standard of the other shareholders having the same economic interests with the debtor. The article agrees with the decision, as we cannot say that the other shareholders having the same economic interests with the debtor is unjustly prejudiced by reverse veil piercing. It is also justifiable for the Supreme Court of Korea to omit discrete requirements on the composition of creditors to the corporation, because it is not feasible nor necessary to frame appropriate standards for the creditors. To sum up, this article proposes as follows: reverse piercing of corporate veil should be recognized under circumstances that meet the traditional standards of veil piercing, plus an additional standard requiring the other shareholders to have the same economic interests with the debtor.

      • KCI우수등재

        법인격부인의 역적용과 조직격리

        송지민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4

        With the aim of better understanding the rationale for the reverse veil piercing doctrine, this article examines asset partitioning, both in terms of entity shielding and ownership shielding, which is more frequently referred to as limited liability. Limited liability shields the firm's owners from creditors' claims. And entity shielding protects firm assets from the owners' personal creditors, thus reserving the assets for the firm's creditors. According to Professor Hansmann, Kraakman, and Squire, entity shielding involves two distinct rules of law: priority rule and liquidation protection rule. While corporate veil piercing means denial of limited liability, reverse veil piercing is a denial of entity shielding. Although entity shielding creates essential economic benefits, such as a lower cost of credit for firm owners and reduced bankruptcy costs, it also imposes costs and invites personal and firm creditors' opportunism.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court should allow the reverse veil piercing only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by the costs of entity shielding exceed its benefits. Last year, the supreme court in South Korea outrightly recognized the doctrine of a reverse piercing corporate veil(2019da 293449). However, how the requirements for the doctrine should be interpreted remains a subject for further scrutiny. This article discusses the current developments in the requirements for reverse veil piercing in the US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court in South Korea. As reverse veil piercing could negatively impact innocent third parties, reverse veil piercing should be allowed more cautiously than corporate veil piercing. First, this article argues that reverse veil piercing means the denial of liquidation protection but not the denial of priority rule. Thus, the fact that there are the firm's creditors cannot be the reason to reject reverse veil piercing. On the other hand, the innocent shareholder could be unfairly prejudiced by allowing the reverse veil piercing. Thus, the standards of applying the reverse veil piercing revolve around how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legitimate claims of other shareholders against the need to do justice for shareholders' creditors who were unfairly prejudiced by the entity shielding. 대법원 2021.4.15. 선고 2019다293449 판결에서는 지배주주인 개인이 신설회사를 설립하여 개인자산을 신설회사로 이전한 사항에 대하여 대법원은 개인의 채권자에 대하여 신설회사에게 채무이행을 청구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이 대법원 판결은 법인격부인의 역적용을 정면으로 인정한 것으로 평가받지만, 해당 판결이 기존의 채무면탈 목적의 신설회사를 설립한 경우와 다른 사실관계인지는 의문이다. 또한 국내에서는 법인격부인의 역적용을 인정하는 요건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비교법적으로 미국 회사법상 법인격부인의 역적용과 관련된 조직격리 법리 및 관련 판례들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향후 법인격부인의 역적용 허용여부를 판단할 때 기여하고자 한다. 우선 법인격부인의 역적용은 법인격의 ‘재산분리’ 중 ‘소유자격리’, 즉 ‘유한책임’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의 재산을 회사의 소유자(즉, 주주 혹은 사원)나 소유자의 채권자로부터 격리하는 ‘조직격리’를 부인하는 것이다. 조직격리는 우선원칙과 청산방지 원칙으로 뒷받침되는데, 본고는 법인격부인의 역적용은 청산방지 원칙을 부인하는 것이지 우선원칙을 부인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조직격리는 유한책임보다 회사의 핵심적인 부분이기는 하나, 조직격리 역시 절대적인 개념은 아니며 조직격리의 편익과 비용을 고려하여 인정한 법정책적 산물이다. 따라서 채무자의 기회주의적 행동과 지배권자의 부당한 착취 등의 발생에 의한 조직격리의 비용이 그 혜택을 상회하는 경우에는 법인격부인의 역적용을 인정하여야 한다. 하지만 구체적인 적용방법은 미국 회사법에서도 일관적인 요건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은데 법인격부인과 동일한 요건을 적용하면 된다는 견해, 정의와 형평에 반하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적용기준에 포함하는 견해 및 동일한 이해관계 기준을 제시하는 견해 등이 있다. 위의 요건들은 일부 중복적 성격을 띄나, 본고는 법인격부인의 역적용의 기준으로 법인격부인에 대한 요건에 추가적으로 개인과 회사의 주주들이 회사의 동일한 이해관계 기준을 고려하여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 KCI등재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에 관한 판례 연구 - 대법원 2021. 4. 15. 선고 2019다293449 판결 -

        박준선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2 法과 政策 Vol.28 No.3

        Piercing the corporate veil is a doctrine that temporarily disregards the veil of limited liability when the corporate form is abused to avoid legal liability or when it has become a mere alter ago of the shareholders. This doctrine is not based on explicit statutory provisions. Therefore,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doctrine of the piercing of the corporate veil, and preced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structing legal principles. The issue of piercing the corporate veil can be raised in various cases. The piercing the corporate veil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to disregard the limited liability of a corporation and allow creditors to reach shareholders’ assets. This is the most basic application of the doctrine of the piercing of the corporate veil. The second type is to allow creditors of a corporation to reach the assets of another corpor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a shareholder completely controls the two corporations. The third type is to allow creditors of an individual shareholder of a corporation to reach the assets of the corporation. This is called the reverse piercing of the corporate veil. In Apr. 5, 2021,the Korean Supreme Court clearly acknowledged the revers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iercing of the corporate veil, making a corporation liable for the acts of an individual shareholder of the corporation(2019da293449). In this case, the Korean Supreme Court listed several requirements for the reverse piercing. Most of these requirements are the same as the requirements for the second type of piercing corporate veil, but additionally, the Supreme Court in this case demanded that other creditors in the corporation be considered. It is considered an appropriate change to demand that other creditors be considered.​ 법인격 부인론은 회사의 독립적인 법인격을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 유한책임제도를 악용하여 책임을 회피하고자 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법인격을 무시하고 회사의 책임을 사원에게 묻는 이론이다. 법인격 부인론은 명문의 법 규정에 근거한 이론이 아니다. 따라서 법인격 부인론의 근거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있어 왔고, 명문의 규정이 없기 때문에 판례가 법리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법인격 부인론은 다양한 사안에서 문제될 수 있지만, 그 원칙적인 모습은 법인격이 남용된 회사의 책임을 그 회사 배후에서 지배하고 있는 주주 개인에게 묻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가 가장 기본적인 법인격 부인론 적용 방식이다. 그 외에 변형된 법인격 부인론의 예로는 한 개인이 두 회사를 완전히 지배하고 있는 상태에서 한 회사의 재산을 다른 회사의 소유 재산으로 인정하여 책임을 지우는 경우이다. 여기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개인의 채무를 회사에 묻기 위한 경우에도 법인격 부인론이 이용될 수 있다. 개인이 자신의 채무를 면탈하기 위해서 회사를 설립하고 이 회사에 자금을 출자하는 사안에서 법인격을 부인하여 회사의 재산을 주주 개인 재산처럼 취급하여 책임을 지우는 세 번째 유형이 진정한 의미의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 사안이다. 그동안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을 명확하게 인정한 대법원 판결이 없었는데, 대법원 2021. 4. 15. 선고 2019다293449 판결에서 대법원은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을 명확하게 인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법인격 부인론에 관한 판례의 흐름을 살펴보고, 대상판결이 갖는 의미와 대상판결에서 제시한 법인격 부인론의 역적용 요건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특히, 대상판결에서는 법인격 부인론을 역적용할 때 실질적 동일성, 지배적 지위, 정당한 대가의 미지급 등 채무면탈의 목적, 회사 채권자의 존재 여부를 고려할 것을 요구하였는데, 이중에서 회사 채권자의 존재 여부는 종래에 기존회사의 채무를 면탈할 목적으로 회사를 설립한 사안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것이다. 회사 채권자는 회사의 재산을 통해서 자신의 권리를 실현할 수 있어야 하는데, 회사 채권자 자신과는 무관한 문제로 법인격을 부인함에 따라 회사 채권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은 또 다른 불공정을 야기할 수도 있으므로 대상판결에서 회사 채권자 존재 여부를 추가적으로 고려하도록 요구한 것은 바람직한 변화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회사의 법인격부인론에 대한 소고

        이종덕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39 No.3

        In modern society, companies play an important role of supporting the national economy. On the other hand, companies abuse their independent legal personality for illegal purposes. Most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have adopted the piercing the corporate veil and are solving problems caused by the abuse of corporate personality and limited shareholder liability. Since piercing the corporate veil was first recognized in Korea in 1988, there have been conflicting views on it in detail, but generally agree on its inevitability or usefulness. The view advocated by many scholars is merely a typology of precedents and cannot be regarded as a uniform application requirement. Other views do not provide satisfactory solutions. The doctrine is a product of the Anglo-American equity law, which inevitably recognizes an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legal personality for a reasonable resolution in individual cases. Attempts to derive general legal requirements are unlikely to succeed. In other words, it would be possible to classify and organize cases of application of precedents, bu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systematize them as general application requirements or to stipulate them as laws. Howeve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ories and precedents in other countries. Although our court basically distinguish between the skeletonizing and the abuse of legal personality, It has been criticized for lack of specificity and systematization of types and requirements. In addition, by excluding the subjective requirement from the doctrine, creditors must be protec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controlling shareholder intends to abuse it. 오늘날 회사는 자본주의 경제를 지탱하는 지주로서 많은 역할과 기여를 하고 있지만, 그에 못지 않게 독립된 법인격의 형식을 빌어 채무면탈 등 부정한 목적으로 법인격을 남용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미국, 독일, 일본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법인격부인의 법리를 통해서 법인격의 분리와 주주유한책임제도의 악용으로 인한 폐단을 시정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편의치적 사건을 통해서 법인격부인이 처음으로 인정된 이래 많은 세부적 내용에서 이견은 존재하지만, 다른 적절한 대안도 마련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그 불가피성 내지 유용성에 대하여는 대체로 인정하고 있다. 먼저 국내의 다수설인 법인격 형해화와 남용의 이분설은 판례의 사례를 유형화시킨 것일 뿐이지 통일적인 적용요건을 제시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그외에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으나, 어느 것도 만족스러운 해결책으로 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법인격부인은 영미의 형평법의 산물로 개별 사건에서 구체적 타당성이 있는 해결을 위해서 법인격 분리원칙의 예외를 불가피하게 인정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법률요건을 통일화하여 체계화하려는 시도 자체가 모순적인 것일 수 있다. 즉, 거의 모든 법영역에서 존재하는 적용사례들을 어느 정도 분류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를 일반적 적용요건으로 체계화하거나 성문법률로 구성요건화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난해하여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본다. 다만, 아직 우리의 법이론과 판례에서 미흡한 점이 지적되고 있으므로, 외국의 학설과 판례의 발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 대법원은 법인격남용의 사례를 기본적으로 법인격 형해화와 남용의 경우로 구별하면서 포괄적으로 언급함으로써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각각의 유형마다 요구되는 요건들의 구체화와 체계성이 부족하므로 이러한 점에 대한 개선이 요청된다. 또한 법인격부인의 법리에서 주관적 요건을 제외함으로써 회사채권자의 보호를 주주의 남용의사여부에 의존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