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세 스페인문학에 나타난 안달루시아의 다원적 정체성 - 『루까노르 백작 Libro del conde Lucanor』에 나타난 남성의 여성 지배 환상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5

        <P>&nbsp;&nbsp;13-14 세기 국토회복전쟁을 치르면서, 알 안달루시아 지역의 아랍 문화를 기독교 문화권 속으로 통합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있게 된다. 돈 후안 마누엘의『루까노르 백작』은 기독교적 이데올로기나 도덕관을 심어주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이슬람과 기독교 세계가 함께 공존했던 스페인 남부지방의 대중적이고 세속적인 인간사를 전하고 있다. 51편에 달하는 단편적인 이야기들 중에서 반항적이고 불순종적인 여인과 그 여인을 길들여가는 남편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여 기독교적 가치관과 이슬람의 결혼관에 비추어 서사의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을 통해 돈 후안 마누엘의 서사의도가 기독교적 세계관에 나타난 가부장적 가치관과 지참금 제도와 관련된 이슬람적 결혼관이 함께 어우러져 안달루시아 문화적 전통과 기독교적 전통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혼종적 문화 정체성에 있음을 알 수 있다.</P><P>&nbsp;&nbsp;『루까노르 백작』의 서사 구조가 아랍의 대중 구술 문학적 특성을 띠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바흐찐의 다성성의 원리를 적용시켜 가부장제에 따른 남성의 여성지배 환상을 지적해보고자 한다. 바흐찐의 다성성 원리를 적용시켜 분석해보면 중세서사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적극적인 자아 해체의 욕망에 따라 여성의 언어 행위를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사회적 규범이나 터부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같은 분석을 통해 언어가 지배 계층의 의지에 따라 그 의미가 결정되고 왜곡되면서 남성들은 자신만이 담론의 주체인 것처럼 여성의 언어활동을 제약하고 왜곡시키고 있다. 한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이 지배 담론이나 지배 세력에 의해 허구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함과 동시에 안달루시아 무슬림 문화전통을 따라 통일성보다는 다원적이고 초국가적인 문화형태를 이루는 『루까노르 백작』에 나타난 다원적 목소리가 남성의 언어지배에의 환상을 어떻게 전복시키는지 확인하게 된다.</P>

      • KCI등재

        샤프츠베리 백작과 18세기 영국 담소화의 등장

        전동호 ( Dong Ho Chu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4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4 No.-

        제3대 샤프츠베리 백작(Earl of Shaftesbury)인 안토니 쿠퍼(Anthony Ashley Cooper, 1671-1713)는 서양사상사에서 상당히 중요한 인물이다. 명문귀족가문 출신으로 1711년 『인간, 예의범절, 의견, 시대의 특징(Characteristics of Men, Manners, Opinions, Times)』이라는 책을 출간한 샤프츠베리는 이후 서양철학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인물로 평가받아 왔다. 본고는 독특한 사상가인 동시에 전형적인 영국 귀족의 표상이었던 제3대 샤프츠베리 백작에 대한 필자의 개인적인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본고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이다. 우선 문화사적 해석을 추구하는 근래 영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참고하여, 샤프츠베리와 그의 사상을 단순히 철학사속에 등장하는 추상적 대상이 아니라 정치적 소용돌이를 목격하며 그 속에서 당대 영국을 귀족적 진보주의에 맞추어 개조하고 새로운 사회질서를 제시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파악하고, 이를 위해 샤프츠베리가 제시했던 핵심 논제로 ‘고상함(politeness)’의 담론을 소개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고상함이 현실 사회생활에서 발현되는 매개체인 동시에 고상함을 성취할 수 있는 사회적 실천행위의 근간은 담소(conversation)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18세기 초반 담소가 갖는 사회적 의미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샤프츠베리 형제의 초상화 분석을 통해 18세기 초반 영국에서 담소화(conversation piece)라는 미술 장르의 출현을 조명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필자는 담소화란 단순한 미술 장르가 아니라 샤프츠베리가 촉발한 담론 및 이의 현실적 구현인 고상한 담소라는 사회적 현상 및 이데올로기가 시각적으로 발현된 결과일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시하고, 샤프츠베리가 주문한 형제초상화는 주문자가 그림속으로 깊이 들어가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설계한, 즉 스스로의 운명을 스스로가 결정하는 진정한 시민 인문주의의 화신인 동시에 평등한 인격체 상호간의 고상한 담소라는 휘그적(Whiggish) 이데올로기가 회화라는 매체를 통해 성공적으로 시각화된 진정한 담소화의 효시라는 주장을 펼친다. Anthony Ashley Cooper (1671-1713), third Earl of Shaftesbury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significant thinker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His contributions, in particular, to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theory have often been hailed as founding the discipline of modern aesthetics: he is credited to have originated the notion of ‘disinterestedness,’ the backbone of aesthetic experience. Studies of him, however, have been narrowly focused on his somehow vexed contributions to individual disciplines such as ethics, religion, and aesthetics. Drawing on recent revisionist perspectives in British eighteenth-century historiography, especially, the discourse of ‘politeness,’ this article seeks to argue for the importance of Shaftesbury and his ideas in the formation of aristocratic taste and the emergence of the genre of ‘conversation piece’ in eighteenth-century Britain. Via a series of pamphlets assembled in his magnum opus Characteristicks of Men, Manners, Opinions, Times, published in 1711, Shaftesbury refined the notion of politeness, a civil discourse for the betterment of virtually every human conduct. In the course of his arguments, he laid much emphasis on the cultivation of polite conversation since he considered it the foundation of politeness itself. Trying to incorporate ethics and aesthetics into the formation of the gentleman, Shaftesbury intended to revamp the cultural politics of contemporary English society in the mould of his Whiggish ideologies. Deep inside, his conception of politeness was essentially patrician and he never imagined anybody but the landed aristocracy entering the society of the truly polite. In this regard, he was a genuine heir to the British version of civic humanism whereby public virtue was only to be entrusted in the hands of independent propertied people. Visual arts were conferred a role to play in his vision of aristocratic polite society, not on account of their capacity to move people in their own but on account of their usefulness to cultivate public taste. Analyzing the double portrait of Shaftesbury and his brother, Maurice, this paper concludes to suggest that the portrait is both an unassailable personification of civic humanist ideal of polite conversation and a signifier of doomed aristocratic hegemony.

      • KCI등재

        켈뤼스 백작의 미술비평을 통해 본 18세기 중반 프랑스 미술비평과 애호가

        김한결 한국미술이론학회 2021 미술이론과 현장 Vol.- No.31

        18세기 중반 프랑스 미술계는 ‘대중’의 탄생, 고전고대 예술에 관한 새로운 시각의 태동, 왕립회화조각아카데미의 이론적·교육적 재편성에 따라 전환기를 맞이한다. 여기서 풍부한 교양, 학식, 그리고 ‘안목’과 더불어 때로는 기예까지도 갖춘 애호가(amateur)라는 특수한 직업군은 동시대 예술 창작뿐만 아니라 서술의 영역에서도 점차 고유의 영향력을 확대해간다. 켈뤼스 백작(Comte de Caylus)는 본래 고고학자, 판화가, 작가로 더 잘 알려진 인물로서 답사 여행과 유물 수집, 그리고 유럽의 여러 고문헌학자·수집가·감식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획득한 고전고대에 대한 지식, 열정적 강연과 집필 활동을 바탕으로 아카데미라는 제도적 틀 안에 애호가로서 안착한다. 본 논문은 애호가이자 미술이론가로서 켈뤼스의 초상을 그려보고, 그의 주요 강연과 출판물을 미술비평이라는 새로운 글쓰기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어서 과연 애호가가 미술비평의 정당한 주체가 될 수 있는지, 또 미술비평의 관점에서 과거를 대하는 방식을 논의하는 데 켈뤼스라는 ‘보편적 지식인’이 이바지한 바를 그의 아카데미 강연과 저작을 통해 탐구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과거를 파악하고 활용하는 일련의 지적 작업의 변천을 추적하는 데 미술비평이 어떠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지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The artistic world in the 18th century France experienced a turning point due to the doctrinal and educational reconstruction of the Académie, the emergence of the “public”, and a new perspective on ancient art. A group of amateurs, endowed with rich culture, knowledge, and taste, gradually spread their influence as much in the writings on art as in the creation of art. Le comte de Caylus, an archaeologist, engraver, and novelist, entered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Académie as an honorary amateur where he displayed his extensive knowledge of antiquity. We set out to the goal of sketching a new portrait of Caylus and analyzing his conferences and writings in the light of the then emerging art criticism. Then we will question the legitimacy of art criticism by amateurs and investigate the contributions by Calyus, an all-embracing intellectual, in the debate on how to appropriate the past in art criticism.

      • KCI등재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본 「클레브 공작부인」의 현대적 수용 : 「도르젤 백작의 무도회」와 <아름다운 연인들>을 중심으로

        김화영(KIM, Hwa-Young) 프랑스학회 2015 프랑스학연구 Vol.72 No.-

        Le roman classique La Princesse de Clèves de Mme de Lafayette est une œuvre évoquée comme modèle de récit qui est inspiré plusieurs auteurs et cinéastes. La réception de ce roman comme une source est d’autant plus importante que le phénomène de «one source muti-use» s’aggrandit par les divers genres et média. Le but de notre étude est de réfléchir sur la réception moderne de La Princesse de Clèves, autour d’un roman moderne de Radiguet, le Bal du comte d’Orgel et d’un film d’Honoré, . Il semble que ce roman moderne et ce film nous fassent penser fortement au roman classique et particulièrement à La Princesse de Clèves. Cette impression de reconnaissance que nous éprouvons en lisant ce roman classique n’est peut-être donc pas tout à fait fortuite. Tout d’abord, nous avons trouvé dans les Carnets de Radiguet, des passages montrant qu’il était intéressé par La Princesse de Clèves, et que les personnages crées par Madame de La Fayette étaient souvent présents à son esprit. R. Radiguet, «Carnets», Œuvres complètes, éd. Grasset, Paris, 1952, p. 478. Il faut noter que le récit du Bal du Comte d’Orgel soit semblable à celui de La Princesse de Clèves. On y trouve le même problème psychologique de la reconnaissance de l’amour. Mais le dénoument du Bal du Comte d’Orgel surprend, alors que, dans La Princesse de Clève, l’aveu est la péripétie décisive qui entraîne d’abord la mort de M. de Clèves et puis la rupture définitive avec Nemours dont le retraît au couvent de Mme de Clèves provient. Mais le récit du Bal du Comte d’Orgel s’arrête là. Ce roman serait, en quelque sorte, un raccourci, une synthèse de La Princesse de Clèves, parce que Ce récit moderne se termine avant que n’éclate la véritable crise. Radiguet a trouvé bon de terminer son histoire avec l’aveu de Mahaut. Le caractère moderne de cette fin a été le nouveau commencement : rien n’empêche le lecteur de le continuer. Le récit d’un "triangle amoureux” de l’original est métamorphosé d’une façon moderne dans le Bal du Comte d’Orgel. Le coup de foudre, dans ce roman de Radiguet, est d’un autre ordre que celui de l’original. La première rencontre entre les protagonistes est en présence du mari de l’héroïne. Ce couple paraît à François «tendrement uni». Il est normal qu’une telle harmonie de ce couple lui déplaise et le rende jaloux. En revanche, elle l’attire : «Cette union lui faisit plaisir.» Nous pouvons examiner ce que cache cette version moderne du triangle. Cette liaison triangulaire qui est à la fois moderne et étrange, devient la source du romanesque psychologique. Dans ce roman, l’analyse n’est plus, chez Radiguet, l’instrument d’une recherche. Elle serait l’objet même du récit. Ensuite, le film est une reproduction du roman La Princesse de Cleves dont Chrisophe Honoré transpose l’intrigue dans une cour de lycée. Malgré tous les changements entre les siècles, Honoré conserve le cœur du récit pour substituer de nouveaux codes à ceux du dix-septième siècle. Honoré réussi à montrer que l’on cherche toujours l’amour vrai, éternel et pur. En interprétant l’amour sous différents angles, il fait une représentation de l’amour comme il peut paraître actuellement, notamment l’amour entre deux personnes

      • KCI등재

        『몬테크리스토 백작』의 몽골어 번역 소고

        유원수 한국알타이학회 2019 알타이학보 Vol.0 No.29

        In this paper, five different Mongolian translations of The Count of Monte Cristo are compared with the Russian translations, which are practically the original texts of the Mongolian translations, and the French versions which are the original texts of this roman to find out that Mongolian versions were well translated for the Mongolian readers to grasp the contents of the roman, and appreciate it. Some features of the retranslated versions from Russian translations of the French original were observed through certain facts such as the date in the very beginning of the roman, Russian style transcription of certain proper names, direct translation from the free Russian translation(s) of the French text(s), almost mechanical translation of the Russian second person singular pronouns into Mongolian pronominal systems.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wrong translations and try to set up the types of them. Reduced translation is classified as wrong translation as well as the omission of the translation. Author points out the retranslation tradition of Mongolia especially from Russian translations and tries to figure out the reasons expecting the direct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works in the nearest future. 이 글에서는 『몬테크리스토 백작』의 몽골어 중역본 5종을 그 실질적 저본이라 할 수 있는 러시아어 번역본들, 그리고 러시아어 번역본들의 저본인 프랑스어 본들과 대조한다. 몽골어 중역본들은 독자들이 충분히 그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을 만큼 잘 번역되었음을 확인한다. 프랑스어 문학 작품의 러시아어 번역을 다시 몽골어로 번역한 데서 나타나는 현상을 소설이 시작하는 날짜, 고유명사의 러시아어식 표기, 러시아어 번역의 직역, 거의 기계적으로 대응 번역되는 2인칭 단수대명사 등에서 찾는다. 논문은 번역 상 오류를 발견하고 그것을 유형화하려고 시도한다. 축소 번역이나 번역의 누락은 오역으로 취급된다. 몽골의 러시아어 중역 관행, 특히 인구 문학의 중역 관행에 대해 언급하고 이유를 찾아내려 시도한다. 가까운 장래에 외국 문학이 원어에서 직접 번역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낭만주의 시대 희곡과 알레산드로 만초니 비극의 시학

        최정윤 ( Jung Yun Choi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구 한국이어이문학회) 2015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45

        낭만적 열정과 풍부한 감성을 중시하던 낭만주의 시대에 희곡 장르는 독일의 괴테, 실러, 프랑스의 빅토르 위고, 영국의 바이런과 쉘리 등의 당대의 위대한 극작가들의 노력에 힘입어 전성기를 맞았다. 당시의 낭만주의 작가들과 신 고전주의 작가들은 역사와 신화를 소재로 많은 비극 작품을 선보였으며 이러한 유럽의 낭만주의 흐름은 이탈리아의 알레산드로 만초니에게도 영향을 미쳤고 『카르마뇰라 백작』과『아델키』라는 두 작품으로 희곡 장르의 새로운 유행의 대열에 합류했다. 19세기 이탈리아 비극 장르에 일어난 두드러진 현상은 작품의 형식적인 성향이 두 갈래로 양분되었다는 것이다. 18세기의 보수적인 경향의 작품들로 알피에리V. Alfieri를 모방하는 성향이 나타났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영국과 독일의 두 극작가 셰익스피어와 실러의 작품 형식을 모방한 것이었다. 만초니는 두 가지 흐름 중 후자를 선택했으며 고전주의 형식에 맞서 새로운 양식의 비극작품을 쓰고자 했다. 그 당시는 1816년으로 『카르마뇰라 백작』를 구상 중이던 때인 동시에 여전히 고전주의 자들과 낭만주의자들 간에 논쟁이 격렬히 일어나고 있었을 시기이다. 이러한 혼란한 시기에 현대적 성향을 표출한 만초니의 선택은 이탈리아 비극 역사상에서 중요하면서도 의미 있는 에피소드로 꼽힌다. 고전 규범에서 탈피해 비극 작품을 완성한 작가의 선택에 대해 괴테를 비롯하여 많은 작가와 평론가로부터 적지 않은 찬사를 받았지만, 동시대 작가들과는 달리 오랫동안 인습처럼 굳어진 전통 방식을 고수하지 않았다는 비난도 피해갈 수 없었다. 특히, 만초니의 첫 번째 비극 작품은 고전주의 자들에게는 비난의, 낭만주의자들에게는 모범의 상징으로 꼽히며 고전 주의-낭만주의 논란의 중심이 되었다. 만초니 비극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 째는 고전 비극 시학의 골격을 이루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삼 일치 법칙의 거부, 두 번째는 신화적인 소재를 벗어나 역사적 사건의 삽화화, 마지막으로 완벽한 영웅의 제시의 거부를 들 수 있다. 이에 덧붙여 만초니 비극만의 참신 함이 있다면 작가의 공간으로 탈바꿈 된 서정성을 띈 합창의 도입이다. 만초니는 비극 작품을 도덕 윤리와 가치를 가장 풍부하게 담아낼 수 있는 이상 공간으로 바라보았다. 작가는 기독교 윤리를 위배하지 않으면서 도덕적으로 교훈을 주는 비극 작품을 완성할 수 있으리라 확신하였다. 만초니는 에토스보다는 에로스적 요소를 지나치게 담고 있다는 이유로 루소와 보수에로부터 도덕적인 요소가 결여됐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었던 프랑스 고전주의 극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했다. 이러한 이유로, 프랑스 고전주의 방식을 과감히 벗어나 셰익스피어, 괴테 그리고 실러의 작품을 모델로 삼아 역사적 소재를 이용한 작품을 쓰기로 결정했다. 특히, 만초니는 셰익스피어가 보여준 수준 높은 도덕의식을 이탈리아 독자들에게도 심어주고자 했다.

      • KCI등재

        『아바타 Avatar』의 환상성 : 등장인물 연구

        전광호(JUN Gwang-Ho)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5 프랑스문화연구 Vol.31 No.-

        Differente des histoires fantastiques largement appuyees a la peur, a l’inquietude, ou a la merveille, Avatar est une nouvelle fantastique elaboree de Gautier, n’ayant ni intrigue populaire comme pacte faustien conclu avec le diable, ni pourparler malin entre les antagonistes. La tension dans cette nouvelle se maintient en grande partie dans les relations etroitement liees entre les personnages. Deux protagonistes Octave de Saville et comte Olaf Labinski echangeant leurs corps suscitent une tension extreme durant le duel auquel chacun devrai tuer son propre corps. L’effet fantastique, qu’est conduit a donner la scene du duel singulier, remplace l’effroi ou le merveilleux. Le ro?le du personnage extravagant, docteur Cherbonneau qui parvient d’effectuer la transmigration des a?mes humaines, est la primodial ; son intervention au conflit d’Octave avec comte Labinski amene l’intrigue au revirement imprevisible. De cet evenement, l’histoire de la nouvelle se divise en deux parties : premiere partie assez morose et streotypique ou le heros se desespere de ne pas avoir obtenu la faveur de la belle comtesse Prascovie ; deuxieme partie tourbulente, conflictuelle ou la confusion d’identite entre deux rivaux, Octave et comte Labinski aboutit au duel paradoxal et absurde. A la fin du recit se prepare le denouement saisissant, au moment ou l’a?me du docteur Cherbonneau s’infiltre dans le corps d’Octave dont l’a?me, resortie du corps du comte Labinski, abandonne de se reintegrer dans le sien. Le ro?le du docteur est tisseur relationnel ; son ro?le se montre imposant et diabolique. Ce personnage a une statue magistrale, etant a la fois declencheur de la tension et mediateur du conflit. Il devient finalement le dernier beneficie du prodige qu’il a appris en Inde.

      • KCI등재

        Representation of Women Nationalists in the Poetry of W. B. Yeats

        Priyanka Maral 한국예이츠학회 2014 한국예이츠 저널 Vol.43 No.-

        본 논문은 예이츠 시 속의 모드 곤, 마키에비치 백작 같은 여성민족주 의자들의 모습을 다룬다. 영국의 지배에서 독립하기 위해 저항하는 민족주의자 모드 곤은 예이츠가 사랑했고 수차 청혼하여 뜻을 이루지 못한 여인이다. 그녀는 예이츠의 시에서 중요한 인물이며, 본 논문은 아일랜드의 정치를 다른 시를 논한다. 또 한 명의 민족주의자 마키에비치 백작은 아일랜드 국회에 최초 여성 국회의원이 되었고, 그녀도 아일랜드 독립을 위해 투쟁했다. 예이츠는 그녀의 적극적인 정치 참여가 나타나는 시 를 썼다. My paper deals with the representation of women nationalists like Maud Gonne and Countess Markiewicz in the poetry of Yeats. Maud Gonne, an Irish nationalist who took part in the Irish struggles for freedom from the British rule, was the woman Yeats loved and many times proposed to, which resulted in failure. She is an important figure in the poetry of Yeats; I refer to those poems, which deal with her involvement in the politics of Ireland. Another woman nationalist is Countess Markiewicz, the first woman to be elected the member of the Irish Parliament. She was one of the leading figures in the Irish struggles against the British rule. Yeats wrote poems which show her active participation in politics.

      • KCI등재

        원주민들은 어디로 갔을까?: 17세기 초 얼스터 플랜테이션 시기 원주민의 이주

        강미경 영국사학회 2023 영국연구 Vol.50 No.-

        ‘백작들의 도피(Flight of Earls, 1607)’ 이후 “아일랜드의 가장 거칠고, 개혁되지 않은 지역, 거대한 반란의 온상”으로 여겨지던 얼스터가 엘리자베스를 계승한 제임스 1세(James Ⅰ, 1603-1625)에게 남겨졌다. 제임스와 그의 측근들은 튜더 시기 진행된 식민정책의 실패 원인이 정복자와 원주민이 함께 거주하면서 지속된 동화가 아일랜드의 잉글랜드화를 방해한 것, 그리고 식민지 원주민에 비해 신교도 이주민의 숫자가 너무 적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런 이유로 제임스는 얼스터의 몰수된 6개 카운티에서 원주민을 완전히 제거하고 그 지역을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신교도들로 가득 채우려 했다. 당연히 몰수된 지역들은 대부분 신교도에게 할당되었고 원주민의 이주는 법으로 확정되었으며 그 땅을 경작할 소작농들도 신교도로 충원될 계획이었다. 그러나 식민시행자들은 정부가 처음 제시한 기한까지 얼스터로 이주하지 못했고 당연히 식민과 관계된 어떤 행동도 취해지지 않았으며 원주민들 대부분은 그들의 근거지를 떠나지 않았다. 왜 정부의 계획과 다른 결과가 나타난 것일까? 이 글은 17세기 초반을 중심으로 얼스터로 이주한 신교도들이 아니라 얼스터에서 쫓겨나도록 예정되었던 원주민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아일랜드에서 가장 크고 유명한 영국의 식민정착지인 얼스터의 기원과 현실 및 결과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조금의 도움이 되고자 한다. After 'the Flight of Earls,' Ulster, previously regarded as 'the most rude and unreformed part of Ireland, the nest of the great rebellions,' came under the rule of James I, succeeding Elizabeth I. James and his associates believed that the failure of Tudor colonial policies was due to the ongoing cohabitation of conquerors and natives, as well as the insufficient number of Protestant immigrants compared to the colonial residents. For this reason, James sought to completely remove the natives from the confiscated six counties of Ulster and intended to fill the region with Protestant settlers from England and Scotland. Naturally, most of the confiscated areas were allocated to Protestants, and the migration of natives was legally confirmed, with the intention of replenishing the land with Protestant tenants. However, the undertakers did not migrate to Ulster by the government's initially proposed deadline, and naturally, no actions related to colonization took place. So, where did the natives who lived here go? Did they all leave Ulster as the government originally intended? This essay examines the migration of the natives who were planned to be expelled from Ulster, rather than Protestant immigrants who migrated to Ulster during the early 17th century. It is an effort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the origins, reality, and outcomes of Ulster, the largest and most famous British colonial settlement in Ireland during the early 17th century.

      • KCI등재

        「바라죠프 백작부인」 속 올컷이 재건한 미국 재건시대

        장기윤(Ki Yoon Jang) 19세기영어권문학회 2021 19세기 영어권 문학 Vol.25 No.1

        Louisa May Alcott’s literary life is one very exciting and thrilling suspense of its own. Her initial reputation as ‘the children’s friend’ came from one of the all-time favorites in English literature, Little Women. That reputation underwent a surprisingly shocking turn when her anonymous and pseudonymous publication of blood-and-thunder stories were discovered by Leona Rostenberg. The discovery soon paved the ground for rediscovering Alcott as one of the leading feminist writers of 19th-century America. Though a huge contribution to enriching Alcott studies as well as women’s studies, her rediscovery as such has seriously thwarted many other non-feminist approaches to her stories. This essay intends to widen the ground in Alcott scholarship by proposing to read her stories in a historicized way and tracing her unconventional view of the most influential event that happened in her life and career: the Civil War followed by Reconstruction. As much as critical were gender issues at the time, mid- and late-19th-century America was literally and figuratively overwhelmed by the conflict and reunion of the North and the South over slavery. So far, the history of the war and reconciliation has been recorded in favor of the North, who were to abolish racial discrimination in opposition of anachronistic Southern planters. Yet a recent generation of historians launched on rewriting it with equal consideration of the Southern causes while decentralizing racial issues from the position of the primary reason of the war as the North used to insist. This essay places Alcott’s much-overlooked story, “Countess Varazoff,” in relation with that rewriting and shows how Alcott the Northerner tries to look at the American policies of Reconstruction as a set of the North-directing imperialist projects of colonizing the South in that story. Alcott’s representation of the Polish countess’s persisting resistance to the despotic possessiveness of the Russian prince in “Countess Varazoff” turns out to be a call for unbiased and objective acceptance of differences within one nation of ‘democratic’ Ameri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