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낙청 비평에 나타난 ‘시적(詩的) 창조’의 의미

        강용훈(Kang, Yong-Hoon)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4

        이 논문은 백낙청 비평에 나타난 ‘시적 창조’(poetic creation)라는 개념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백낙청 비평이 문학과 역사,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어떻게 고찰했는지 분석하려고 했다. 백낙청은 시민계급의 중요한 층위를 이루는 중산계층이 시민 혁명을 달성할 만큼의 역량을 지니지 못하고 있다고 보았다. 백낙청은 그 부재의 자리를 메울 수 있는 지점을 모색했다. ‘민중’이 그 지점의 한 축을 가리키고 있다면, 다른 축에는 ‘시적 창조’라는 개념이 위치하고 있었다.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은 이 두 개의 지점을 포괄하는 담론 체계였다. 백낙청은 ‘시적 인간(poetic human)과 역사적 인간의 근원적 동질성’을 주장하며, 참여/ 순수, 예술 창작/정치적 행동을 구분하는 이분법에서 벗어나려 했다. 이러한 문제틀은 주체와 대상의 이분법에 기반을 둔 서구 형이상학을 근본적으로 비판한 하이데거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백낙청 비평은 ‘본질적 창조’라는 관점에서 역사와 시의 근원적 동일성을 주장했다. 백낙청에 따르면 ‘본질적인 창조’는 시, 행동, 사상 등의 어느 영역에서 이루어지든, ‘지식’과는 다른 차원에서 작동한다. 하이데거의 어법을 빌리면 ‘본질적 창조’는 은폐된 상태에 있던 진리를 드러나게 만드는 작업이며 역사의 근원적 변화를 만들어내는 동력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담론은 ‘시적 창조’의 다층적 가능성을 역사의식의 문제로 환원시켜 버릴 수 있다는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유사한 문제는 백낙청이 ‘시적인것’을규정하는과정에서도발견된다. 백낙청은‘감수성의분열(dissociation of sensibility)’에 대한 엘리어트의 견해를 수용하여 ‘시적(詩的)인 것’의 본질을 ‘통합된 감수성(the intergration of the sensitivity)’에서 찾으려 했다. 백낙청의 비평은 ‘시적 언어’가 만들어낼 수 있는 다층적 가능성을 탐색하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분열된 감수성이 지니는 창조적 활력을 사유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concept called ‘poetic creation’ appeared in the Paik Nak-chung’s criticism. Through the above this thesis was to analyze how the Paik Nak-chung’s criticismcontemplated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and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Paik Nak-chung thought that the middle class which constitutes important class of bourgeoisie could not carry so much capability that they can achieve people´s revolution. Paik Nak-chung sought the point that can replace the place of the absence. If ‘the people’ indicates one axis of the point, at another axis the concept of ‘poetic creation’ was located.Paik Nak-chung’s national literary theory was the discourse system that included these two points. Paik Nak-chung claimed the fundamental homogeneity of poetic human and historical human and was to get out of dichotomy that separates artistic creation and political action. Such problems are based on the Heidegger’s theory that basically criticized the western metaphysics based on the dichotomy of the subject and object. What is spotlighted this time is rightly the concept called ‘creation’. According to Paik Nak-chung, ‘essential creation’ works in the dimension different fromthat for ‘knowledge’ in whichever area of poem, action and idea etc. it is achieved. If we borrow the expression of Heidegger ‘essential creation’ is the job that reveals the truth which was in hidden condition, and is the power that makes fundamental change of history. Paik Nak-chung’s criticismclaimed the fundamental identity of history to poemin the viewpoint of the ‘essential creation’. However, such discourse has the problemthat can returnmultilayer possibility of ‘poetic creation’ to the problemof historical consciousness. Such limitation is revealing itself even in the process where Paik Nak-chung defined ‘poetic things’. Paik Nak-chung accepted Eliot’s opinion on ‘dissociation of sensibility’ and was to find the essence of the ‘poetic thing’ in ‘the integration of the sensitivity’.

      • KCI등재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을 통해 본 1970년대식 진보의 한 양상

        손유경 ( Son You-ky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5

        이 글은 1970년대 민족문학론의 한 기원으로 여겨지는 백낙청의 비평담론이 과연 어디에 닿아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기원의 기원을 탐색한다는 것은 기원 뒤에 숨은 진짜 기원을 찾아내려는 것이 아니라 지금껏 기원으로 간주되어 왔던 지점 바깥의 어떤 조건과 계기들에 주목함으로써 그 기원의 자리를 조금 낯설게 만들어 바라보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형성기의 백낙청 민족문학론에서 민족문학은 세계문학과의 ‘관계’로 존재한다는 특징을 지녔고, 세계문학에 참여하고 공헌하는 것이 민족문학론의 주요 의제로 등장했음을 알 수 있다. 세계문학을 알아야 바람직한 민족문학론을 개진할 수 있다는 그의 믿음은 우리와 같은 후진국에서 ‘오히려’ 훌륭한 민족문학의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일관된 신념과 맞물려 있었다. 이런 믿음이 심정적 차원에 머물지 않고 이론의 힘에 의해 뒷받침될 필요가 있을 때 등장한 것이 다름 아닌 민족문학론이라고 할 때, 중요한 것은 이 안에 숨은 보편적 세계문학과 특수한 민족문학의 관계에 대한 백낙청 특유의 사유를 비판적으로 점검해보는 데에 있을 것이다. 백낙청이 상정한 보편적 세계문학이 과연 누구/무엇/어디를 가리키고 있었는지를 추적하다 보면 백낙청 비평의 숨은 주역 F.R.리비스의 존재가 단연 눈에 띈다. 여기서 핵심은 그가 리비스의 ‘무엇’을 인용하고 있느냐가 아니라 그가 리비스와 자기 자신을 ‘어떻게’ 관련짓고 있느냐에 놓여 있다. 즉 리비스와 백낙청의 관계를 기원-파생의 영향관계가 아니라 상관성과 유사성을 본질로 하는 ‘유비관계’에 놓는 관점의 도입이 필요하다. ‘리비스:영문학 = 백낙청:국문학’이라는 유비관계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백낙청으로 대변되는 서구문학 전공자들뿐이다. 리비스 쪽을 모르거나 그와 어떤 관계도 형성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 자리에 들어설 수 없는 구조였던 셈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례관계에 머물지 않고 ‘오히려’ 우리가 더 나을 수 있음을 증명하는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백낙청과 『창비』 필진들은 ‘토속’이라는 이름의 한국적 특수성 발굴에 공을 들인다.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은 보편의 헤게모니적 본성을 충분히 인정하지 않은 채 ‘주어진 보편에 공헌하는 특수’라는 발상에 머묾으로써 보편의 수행적 번역이라는 탈식민 지식인 고유의 과제는 미완으로 남겨질 수밖에 없었다. 1970년대 한국의 진보적 지식인 사회는 결국 대역(代役)들이 주축이 되지 않고서는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그야말로 후진적이고 폐색된 시공간이 아니었을까 라는 것이 이 글이 마지막으로 던지려는 질문이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fresh perspective on Baek Nak-cheong’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70’s through the genealogical approach to his writings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origin of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Baek Nak-cheong tries to theorise his firm belief that national literature of undeveloped Korean society can be superior to that of developed western society. Understanding western literature properly, according to Baek, is crucial to achieving proper notion of national literature. More importantly, his understanding of ‘universal’ world literature and of ‘particular’ national literature plays a pivotal role in shaping Baek’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This paper pays close attention to the question of national literature as well as world literature in Baek’s writings so as to offer a fresh interpretation of progressive literary movement in the 1970’s. Baek’s deliberate effort to establish a tradition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reminds us of F. R. Leavis’s achievement in building a ‘great tradition’ of English literature. By examining how and where Baek introduces F. R. Leavis in his writings, we might demonstr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 R. Leavis and Baek Nak-cheong is not based upon the ‘origin-derivation’ relation but an ‘analogy to each other’. Baek goes on to discover Korean ‘folk’ culture thereby finding out the way to surpass elite western style of art and literature. Seen from today’s perspective, however, Baek’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has failed to reveal the hegemonic feature of ‘universality’ so that the postcolonial intellectuals’ duty of performative translation of universality has yet to be completed.

      • KCI등재

        백낙청 문학론의 헤게모니 정치성 연구-‘민중’ 정체성과 ‘민족’ 기표를 중심으로-

        조지혜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7

        이 논문은 1960~70년대의 백낙청 문학론이 ‘민족문학론’으로서 지닌 논리를 체계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백낙청 문학론에서 보편적 ‘민중’과 특수한 ‘민족’이 대변/재현을 매개로 관계하는 양상을 살펴보려 하며, 아울러 이를 통해 백낙청 문학론의 ‘보편지향성’을 해명하려 한다. 백낙청은 문학인이 문학인 자신을 포함한 어떤 집합적 의지를 ‘민중’이라 명명하고, 그 명명의 소급적 효과로서 ‘민중’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리얼리즘’ 문학은 특수한 어떤 것을 재현/대변을 통해 보편적으로 실감되게 만듦으로써 그것을 보편적 관심사로 구성하는 문학을 의미했다. 그는 그러한 보편적 관심사의 구성에서 비로소 ‘민중(people)’이라는 보편적 정체성이 가능하다고 간주한 것이다. 백낙청은 문학인이 구체적으로 ‘언론의 자유’를 요구하는 특수한 저항을 보편화함으로써 ‘민중’의 저항을 대변하는 존재라고 제시했다. 그리고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는 전체 체제가 궁극적으로 ‘분단’에 결부되었다고 지목함으로써, 그는 ‘분단 극복’이라는 요구에서 비롯되는 ‘민족’이라는 기표를 전체 ‘민중’의 이름으로 제출했다. ‘민족문학론’이라는 이름이 그의 저항 담론 전체에 대해 구심력을 발휘하고 그것의 이름이 되는 것은, 백낙청 문학론의 이러한 논리의 현상이다. 백낙청의 문학론에서 ‘민족’은 ‘분단 극복’이라는 특수한 요구에 대한 대변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그 특수성을 초월하여 ‘민중’이라는 보편적 정체성을 대변하고, 육화하도록 시도되었다. 그러나 ‘민족’은 복수의 특수한 저항적 요구들을 포괄하면서 연쇄할 뿐, 그 요구들을 개념화하지 않는 것이었다. 그로 인해 ‘민족’은 특수한 요구들을 총체화하면서, 그 요구들 위를 떠도는 것으로서 존재했다. 이는 억압적인 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저항이 힘을 얻기 위해서 통일체를 이루어야 하는 한편, 그것이 민주주의적 저항이기 위해서는 특수한 요구들이 억압되지 않은 채 남아야 하기 때문이었다. ‘민족’은 백낙청 문학론에서, 개념적으로 파악될 수 없는 저항적 요구 전체를 대변하고자 함으로써, 불가능한 것을 대변하게 되고, 따라서 텅 빈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민족’이 특수하게 대변했던 것 역시 정립될 수 없는 것으로 남는다. 보편적 ‘민중’과 특수한 ‘민족’의 관계에서 그러한 유동성과 개념적 파악의 불가능성이 백낙청 문학론의 핵심적인 작동원리였다. 한 체제에 의해 소외된 자들 일반이라는 보편적 정체성 즉 ‘민중’을, ‘분단 극복’의 요구라는 특수한 요구를 중심으로 접합한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은 엄밀한 의미에서 헤게모니적 담론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때 ‘민족’이란 자신의 특수한 내용을 보편화함으로써 특수한 한 내용에서 전체가 구현되게 하는 헤게모니적 기표에 해당한다. 헤게모니적 보편은 어떤 특수의 ‘보편화’를 통해 추구되는 보편이다. 이미 존재하는 차이의 체계로서의 사회 구조 내에서 어떤 것이 소위 선진적이거나 소위 후진적이라면, 어떤 특수의 새로운 보편화를 통해 차이의 체계를 새로 건설하고, 그 새로운 체계 내에서 새로운 자리들을 구축할 때, 그것은 전혀 없던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이며 그 행위자들은 전에 없던 인간상, 정체성을 가지게 된다. 현존하는 차이의 장에서 ‘후진국’, ‘제3세계’, ‘피해자’, ... This paper looks to examine how in Baek Nak-Cheong’s literature theory ‘people’ and ‘nation’ is each defined and how it is related within his logic of literature theory. Moreo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Baek Nak-Cheong’s literature theory referred to the universal in a unique method with regards to the discussing of ‘people’ and ‘nation’, this paper looks to handle the dynamics that function as resistance discourse for Baek Nak-Cheong’s literature theory in the meaning of the universal in the logic of his literature theory and related to its reference. Baek Nak-Cheong named the general people isolated from the ruling system as ‘people’ as of ‘the common people’. Regarding this, the ‘realism’ of Baek Nak-Cheong’s literature theory aims for the identity construction of ‘people’ and is a method to create ‘realistic sense’. Literary people were not exempt from having to self-identify as ‘people’, who were resistant subjects and historical progressive subjects against the ruling system. In such aspect, Baek Nak-Cheong’s literature theory calls the collective determination including the literary itself as ‘people’ and it was a discourse that was meant to be constructed in that way. Baek Nak-Cheong was perceiving clearly that the fundamental resistance as a construction of a totally new thing is possible through the new attempt of organizing the field itself which, functions as ‘perception that one is being isolated from reality itself’ or ‘reality’. Also, this was formed through the logic of ‘popular’ resistance that connects centering on the ‘nation’ in Baek Nak-Cheong’s literature theory. The fact that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is changed to diverse symbols by being connected with ‘people’ and ‘citizens’ raises such logic of ‘people’ resistance to the surface. To add, for Baek Nak-Cheong, the fact that the ‘citizen’, ‘people’ and ‘nation’ does not fix its scope or identity and exists as a flowing signifier, has an active significance in Baek Nak-Cheong’s literature theory. Through this, Baek Nak-Cheong’s literature theory opens up the possibility of multiple demands that connects as ‘people’ and gains dynamics. Whilst intrinsic resistance regarding social system gains power from deciding the resisting power as a unit, democracy is intrinsically ambiguous and uncertain. Thus for the resistance identity of ‘people’ to maintain its democratic personality, it cannot be conceptualized based on some essence. Ultimately, this mobility and impossibility of conceptualization of ‘people’ and ‘nation’ is the core operation principle of the logic in Baek Nak-Cheong’s literature theory’. By forming a universal resistance force of ‘the people’, centering on a particular demand,Baek Nak-Cheong’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was operated in a hegemonic way. He emphasizes strategically, the identity of a particular group that is oppressed as an ‘activist’ and if a ‘literary thinker’ is one that pursues universal value, we can say that the ‘activist’ and literary thinker’ in Baek Nak-Cheong’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were not hostile to each other.

      • KCI등재

        백낙청의 리얼리즘론과 로렌스, 하이데거, 불교의 관련성

        김미영(Kim Mee 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4

        백낙청 비평담론의 핵심은 ‘리얼리즘론’이다. 그런데 그의 현실 참여적 민족 문학론의 실질적 근간인 리얼리즘론은 로렌스의 소설론, 하이데거의 예술론, 불교적 진리관이라는 이질적인 세 요소에 기초해 있어 특이하다. 1969년 『시민 문학론』 이후 백낙청의 비평적 개성은 여기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이 세 요소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그의 리얼리즘론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백낙청은 리얼리즘을 ‘창작방법’의 차원이 아닌, ‘정신’의 문제로 간주하고, ‘시적 인간’과 ‘역사적 인간’의 접점에서 문학의 리얼리즘이 실현된다고 보았다. 사실적인 묘사보다 현실에 대한 정당한 인식과 실천적 관심을 강조한 그는, 리얼리즘문학의 좋은 예로 한국의 한용운과 영국의 로렌스의 문학을 꼽았다. 그는 로렌스의 장편소설론을 하이데거의 예술론에 연결시키고, 또다시 이를 불교적 진리관에 연관시켜 리얼리즘론을 구성하였다. 로렌스는 장편소설에서 디테일한묘사, 즉, ‘살아있는’ 것들의 ‘생생한’ 상호관련 하의 형상화를 중시하였고, 하이데거는 진리란 선재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적 형상화를 통해 ‘현현’ 또는 ‘탈은폐’되는 것으로 본다. 백낙청은 하이데거의 형상화를 통한 진리(본질)의 현현을 로렌스의 ‘~임(Being)’의 찰라적, 직관적 제시라는 소설관에 연결시켰다. 로렌스는 절대적 진리의 부재를 주장하여 진리관에 있어서는 하이데거와 유사한 측면이 있는데, 백낙청은 이를 ‘지공무사’, ‘돈오’라는 불교적 진리관과 상통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백낙청의 이러한 비평적 개성은 그가 루카치의 재현론이나 엥겔스의 발자크론, 레닌의 톨스토이론을 수용하여 민중적 민족문학론을 주창할 때에도 지속되고 있어 이해가 쉽지 않다. 분명한 것은 백낙청이 후기로 갈수록 한국적 현실 속에서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실천들이나 예술작품의 창작과 종교적 수행을 동일시하는 관점을 보인다는 점이다. 『창작과 비평』의 수장으로서 그는 예술의 현실적 실천력의 획득이라는 목적달성이 수용자의 감응력을 매개 하지 않고는 불가하다는 입장에서 문학의 사회적 실천력과 예술성을 포괄하고자 하였기에, 이질적인 이 세 요소의 지난한 접합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how to be connected the theories of D. H. Lawrence, Heidegger, and Buddhism in Baek Nak-Cheong"s theory of Realism. These 3 factors are so different in kind, but Baek Nak-Cheong said those were the bases of his all theories of Literature. Baek Nak-Cheong"s theories of national literature were constructed on those, too. So this article is aimed to show us how to be constructed on those 3 very different parts are connected in the Baek Nak-Cheong"s speciality of realism. First of all, Baek Nak-Cheong"s dissertation of Ph.D was dealed with D. H. Lawrence in Harvard University in 1972. Before that He had announced "The Theory of Citizen Literature"(1969). The that essay he had evaluated master pieces of D. H. Lawrence were based realism, in western culture of literature tradition. After that he always proclaimed D. H. Lawrence"s liberty & Han Young Woon"s love, Kim Soo young"s liberty & engagement as the comtemporary citizen spirit. The other hands, he quoted from Heidegger"s aesthetics. He regarded D. H. Lawrence"s thoughts about a long novel that is the unique genre being represented somethings are connected the other things, and being revived every things vividly. In the Heidegger"s aesthetics, the truth is exposed from time to time by giving shape artistically to revive. Baek Nak-Cheong said those truths are similar to thought of Buddhism"s truth. In the later period, He emphasized "Ji-gong-moo-sa 至公無私" as the supreme fairness and impartiality. That means his realism is located over the literature. Baek Nak-Cheong regards aesthetical creative works, participating in some social problems & some religious performances are same. That"s why Baek Nak-Cheong"s theory about literature are evaluated having aspects some metaphysical idealism.

      • KCI등재

        백낙청의 「시민문학론」에서 인식과 실천의 매개로서의 ‘사랑’ — 「티마이오스」에 대한 전유를 중심으로

        김대진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Baek Nakcheong’s intellectual practice in relation to the flow of knowledge field in the mid-1960s through a reading of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1969). Recent studies on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sought to clarify the text’s position in relation to the intellectual flows formed in knowledge fields outside literature, such as history and religion. However, discussion has tended to be about the influence or acceptance of knowledge formed outside the literature field. This paper argues that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is a response to the challenge left by Park Chung-hee’s ‘national democracy’ in the 1960s knowledge field. That challenge was the synthesis of ‘citizens’ and ‘nation’. Baek Nak-cheong’s answer was to abstract the concept of ‘citizen’ and present it as a kind of situation. Baek Nak-cheong’s mechanism of synthesising ‘citizen’ and ‘nation’ was formed through reference to Plato’s “Timaeus”. In the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Baek Nak-cheong, like Plato, implicitly presupposes that holistic recognition causes feelings of obedience. In that premise, Baek Nak-Cheong argues for the superiority of realism literature. After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Baek Nak-Cheong’ logic emphasized feelings of obedience rather than holistic recognition. This paper explains such changes from a point of view of inversion in the Platonic scheme. Finally, this study asks whether the Baek Nak-cheong’s theory achieved only the effect that he intend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ogic of Baek Nak-cheong emphasized the emotions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collective and may have paradoxically produced unintended results. 이 연구의 목적은 1960년대 중반 지식장의 흐름과 연관하여 백낙청의 지적인 실천이 지닌 의미를 「시민문학론」(1969)에 대한 독해를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시민문학론」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역사학계나 종교계 등, 문학장 외부의 지식장에서 형성된 지적인 흐름과 관련하여 「시민문학론」의 위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주로 문학장 외부에서 형성된 지식에 대한 백낙청의 영향 또는 수용이라는 측면에서논의가 이루어졌다. 이 논문은 「시민문학론」이 박정희의 ‘민족적 민주주의’가 1960년대지식장에 남긴 과제에 대한 하나의 응답이라고 주장한다. 그 과제는 ‘시민’과 ‘민족’의 종합이라는 문제였다. 백낙청의 해답은 ‘시민’ 개념을 추상화하여 그것이 일종의 상태를 의미하도록 제시하는 것이었다. ‘시민’과 ‘민족’을 종합하는 메커니즘은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 대한 참조를 통해 형성되었다. 「시민문학론」에서 백낙청은 플라톤과 같이 전체론적 인식이 그것에 대한 복종의 감정을 불러일으킨다는 가정을 암묵적으로 전제한다. 이러한 전제로부터 백낙청은 리얼리즘 문학의 우월함을 주장한다. 「시민문학론」 이후, 백낙청의 논리는 전체론적 인식보다 복종의 감정을 중요시하게 된다. 이 논문은 그러한 변화를 플라톤적 도식 내에서의 도착(倒錯)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를 통해 백낙청의 이론이 그가 의도했던 효과만을 일으켰는가에 대해 질문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백낙청의 논리가 집단보다 개인의 감정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역설적으로 그가 의도했던 바와 상반된 결과를 낳았을지도 모른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 KCI등재

        자유주제 : 백낙청 초기 비평 연구 -그 연속성 및 비평적 특성을 중심으로-

        박필현 ( Pil Hyeon Par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5

        본고의 목적은 1960년대에 이루어진 백낙청 초기 비평문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그 연속성 및 비평적 특성을 확인해 보는데 있다. 그간의 연구에서 ``전통단절론``은 백낙청 초기 비평의 한 특성으로 꼽혔다. 이로 인해 초기 비평은, ``민족문학론`` 등 1970년대 이후 전개된 비평과는 일정 정도 차이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본고는 우선 차이를 강조하는 이러한 시각에 대해 재고하고, 지속적으로 백낙청 비평을 유지해 온 특유의 입장을 확인하고자 했다. 백낙청 비평의 기저에 이분법적 세계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통합적 사유가 자리하고 있다고 보고 이러한 맥락 하에서 현실에 대한 강조나 문학인 및 잠재적 독자 혹은 리얼리즘 등의 논의들을 분석, 그 함의와 특성을 추적해보았다. 초기 비평 속에서 백낙청은 주체와 객체, 정신과 물질 등을 확연히 가르는 일련의 철학적 태도에 대해 비판하며 "궁핍한" 현실을 강조하는 한편, 당대 문학이 지고 있는 문제를 풀어갈 문학 주체로서의 문학인과 잠재적 독자를 제기하며 그 고민의 폭을 넓힌다. 그리고 그 발현의 방법으로 리얼리즘을 말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이 시기 제기된 전통 및 현실 참여 논의가 문제적 현실을 부각시키기 위한 일종의 선택과 집중의 문제에 가깝다는 점, 백낙청식 문학적 주체는 개인 주체 보다는 변화 가능한 것으로서의 집단 주체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잠재 독자``라는 개념이 더해지고 있다는 점, 방법론으로서의 리얼리즘이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재현적 리얼리즘이 아닌 특정의 이데올로기 및 개인과 사회의 구분을 뛰어 넘어 존재하는 것이라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시기 비평은 비평 활동의 출발점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이러한 지점들은 이후 계속된 그의 활동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추후의 과제로 남겨둔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all of Baek Nak-cheong`s early critiques written in the 1960s and the continuity running from his early critiques into the critiques he wrote later. Previous studies found that "the theory of disconnected tradition" is one of the features of his early critiques. In this regard, his early critiques are considered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e critiques, including his "theory of ethnic literature," he wrote since the 1970s. This study reexamined this view emphasizing the difference between his early critiques and his critiques since the 1970s and looked into the distinctive features running through all of his critiques. The findings showed that his argument in this period over tradition and involvement in reality were close to a matter of choice and concentration to underline the problems of reality. Also, his critiques are based on his critical stance on philosophical attitudes that sternly divide subjects from objects and spirits from materials. The study also looked into literary subject, one of distinctive features of his critiques, and the realism he presented as a methodology. As widely known, he regarded writers as intellectuals or highly educated people and the public as ones who should be led by intellectuals. Howeve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literary subject he presented is always a changeable group subject rather than an individual subject. And his realism is a combination of the realism in traditional meaning that reproduces the typical and the realism that expresses the fact itself beyond certain ideology. These should be more specifically examined in future studies through looking into his critiques written later.

      • KCI등재

        근대의 손님들 - 백낙청의 황석영론에 관한 비판적 검토

        손유경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論叢 Vol.80 No.4

        이 글은 황석영의 『손님』에 관한 백낙청 비평의 촉매라 할 수 있는 분단체제론을민족문학론 및 이중과제론과의 담론적 연관성 속에서 고찰하고, 그가 분단체제극복을 위한 문학의 대표적 사례로 손꼽은 황석영의 『손님』을 비판적으로 독해한 것이다. 신냉전 시대의 도래는 해방기 중도파 문인들의 꿈과 그것을 계승한 방북 작가 황석영, 그리고 그가쓴 장편소설 『손님』의 현재적 의의를 새삼 묻게 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백낙청의 『손님』론과 그 비평 대상인 황석영의 『손님』이 지금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가 무엇일지 고민해 본다. 2장에서는 분단체제론과 민족문학론의 비평적 절합 양상을 고찰하면서, 민족문학이 분단체제극복 문학의 대명사로 기능할 수 있다는 주장이 왜 양날의 칼과같은 전략인지를 살펴본다. 3장의 논의는 황석영의 『손님』에 관한 백낙청의 비평문과 그비평 대상인 『손님』을 분석하고, 그 결과 『손님』이 루카치 리얼리즘론의 전도된 형상처럼 보이는 까닭을 밝히는 데로 집중된다. 4장의 주요 내용은 백낙청의 분단체제론이 이중과제론이라는 아젠다와 접속하면서 얻어진 이론적 역능과 비평적 한계를 두루 짚어보는 것이다. 5장에서는 황석영의 『손님』을 이중과제론적 시각으로 ‘읽어보라’는 백낙청의주문이 도리어 이중과제론적 읽기의 ‘어려움’을 환기하는 양상에 주목하고, 『손님』 읽기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세대론적 관점의 도입을 제안하면서 논의를 마무리한다. 만일 『손님』에서 화해의 메시지를 찾는 일이 여전히 가능하거나 의미 있다면, 그 화해는 기독교라는 손님과 공산주의라는 손님 사이에서가 아니라 과거 세대와 미래 세대 간에 (앞으로) 일어날 일이라는 점을 논함으로써, 본고는 황석영의 『손님』과 백낙청의 『손님』론이 지니는문제성과 현재성을 지금 이곳의 감각으로 새롭게 드러내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This article examines Paik Nak-chung’s theory of the division system in discursive relation to both national literature theory and double project theory, offering a critical reading of Hwang Seok-young’s The Guest. In light of the challenges posed by the neo-Cold War era, this study contemplates the contemporary relevance of The Guest and the messages embedded within Paik’s literary criticism. Chapter 2 examines the critical intersection of division theory and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questioning the claim that national literature can serve as a surrogate for a literature that transcends division, while acknowledging its dual nature. Chapter 3 focuses on the analysis of Paik’s critical discourse on Hwang Seok-young’s The Guest, shedding light on why it can be seen as an inverted manifestation of Georg Lukács's realism. Chapter 4 assesses both the theoretical potential and critical limitations of Paik’s theory of division system within the context of the double project agenda. Chapter 5 concludes the discussion by highlighting how Paik’s call to ‘read’ The Guest through the lens of a double project highlights the challenges inherent in such an approach, and proposes the adoption of a generational perspective as a new methodology for interpreting The Guest. By positing that any potential reconciliation found in The Guest is not between Christianity and Communism, but rather between past and future generations (in the future), this paper illuminates the intricate and contemporaneous nature of Hwang Seok-young’s The Guest and Paik Nak-chung’s literary criticism with renewed immediacy and pertinence.

      • KCI등재

        1970년대 민족문학론과 반세속화의 징후들 백낙청의 초기 비평에 나타난 `본마음`을 중심으로

        이철호 ( Lee Chul-h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2 No.-

        백낙청의 초기 비평에서 비교적 두드러지게 사용된 어휘 중 하나가 `본마음`이다. 본마음은 때로는 인간본성이나 예술가적 양심을 의미하기도 하고, 또 때로는 민족의식을 함의하기도 한다. 민족문학론의 키워드로서 본마음이 보여주는 담론적 권능은 이를 통해 중심/ 주변, 선진/ 후진, 도시/ 농촌 등의 위상학적 위계를 해소한다는 데에 있다. 그런데 본마음을 가리켜 백낙청이 `벌거벗은 생명`이라 부르기도 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면, 이 표현에 내재된 민중담론의 영향력을 검토할 필요성이 비로소 제기된다. 백낙청의 시 분석에서 가장 주목되어야 하는 것은 죽음/ 생명의 변증법, 곧 부활이라는 사건(event)에 있다. 시적 화자가 처한 현재의 상황은 참담한 죽음과도 같으나 이를 직시하는 순간 오히려 생명의 계시가 도래하게 되는 예외적인 경험. 이러한 역설의 미학은 김지하의 「1974년 1월」 분석에 한정되지 않고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에 있어 중요한 해석학적 범례를 이룬다. 다시 말해, 죽음/ 생명이라는 의미 계열에서 파생 가능한 시적 언어들을 통해 민족문학의 위상을 직조해 내는 것이다. 그런데 1970년대 민중문학이 1960년대 씨□론의 계보 속에서 배태된 성과라는 박태순의 회고가 있으며, 백낙청의 본마음 또한 그러한 맥락에서 이해 가능하다. `True Mind` is one of the literary terms which has been used relatively and remarkably in the early criticism of Baek Nakcheong. The discursive authority that `True Mind` shows as a key word of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lies in the breaking down of hierarchical order, such as main /marginal, developed / underdeveloped, urban / rural, etc. Keeping in mind the fact that Baek Nakcheong would refer `True Mind` to `Naked Life`, it is needed to review the impact of Minjung Discourse which is immanent in this literary express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at `True Mind` is interrelated with the idea of `Ssial` through a medium of Minjung Theology. Like this, the reason why this paper emphasizes conceptual affinity between `Ssial` of Ham Seokheon and `True Mind` of Baek Nakcheong is to consider possibilities and limits which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of Creation and Criticism have shown in the process of appropriation of Christian vocabularies and discourse which were inherent in the Minjung Discourse. In other words, the so-called `Counter-Secularization` that truly and really exists in the hidden side of the Korean progress handed down from Ham Seokheon to Baek Nakcheong implies that their historical and literary prospect could be concluded in a kind of the discourse of sanctification.

      • KCI등재

        1970년대 제3세계적 시각과 세계문학론

        박연희(Park, Yeon Hee)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5 No.-

        이 논문은 김우창과『세계의 문학』을 중심으로 1970년대에 급부상한 제3세계적 시각이 한국의 문학계에 전유되는 과정을 고찰했다. 1970년대 초에 창간된『세계의 문학』의 성립배경과 여기에 발표된 김우창의 예술론에는 백낙청 또는『창작과 비평』에 대한 일종의 대타의식이 두드러진다.『창작과 비평』이 강단비평의 논객을 염두에 두고 외래지향적 분위기의 지면을 청산하고자 한 데 반해『세계의 문학』은 세계문학의 전체적 상황 속에서 한국문학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세계의 문학』의 창간 기념 권두대담에서 백낙청과 김우창은 외국문학과 민족문학 혹은 문학의 동시성과 비동시성의 상대적 관계가 논의되는 가운데 세계문학과 제3세계적 시각이 첨예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세계의 문학』과『창작과 비평』을 통해 세계문학론과 민족문학론이 구체화되는 과정을 살폈다. 세계 문학의 중심이 제3세계여야 한다는 것이 백낙청의 입장인 데 비해, 김우창은 그 보편성 자체가 끊임없이 유동하는 세계 문학을 상정한다. 또한 김우창은 민족문학론의 창작방법론인 ‘리얼리즘’에 관해 이의를 제기할 뿐만 아니라, 그 이론적 전거인 내재적 발전론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요컨대, ‘내재적 초월론’은 당대 한국학계의 쟁점이었던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김우창의 비판적 답변이라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rocess in which the Third World prospective is appropriated into the literary world of Korea. A kind of the substitute awareness for Baek Nak-cheong or Creation and Criticism stood out in the foundation background of World Literature and the art theory of Kim Woo-chang which was published in the book. In contrast to the stance of Baek Nak-cheong that the Third World should be the center of ‘world literature’, Kim Woo-chang postulated the flexible world literature in which universality itself moves incessantly. Moreover, not only raising a question on the ‘realism’, the creative methodology of national literature theory, Kim Woo-chang also took a critical position on ‘the Theory of Internal Development’ which was its theoretical authority of the realism.

      • KCI등재

        모국어의 심급들, 토대로서의 번역 - 유종호의 ‘토착어’와 백낙청의 ‘토속어’

        유승환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7 No.-

        이 논문은 1960년대 후반 이후 이루어진 모국어의 재편을 위한 의식적인 실천 및 그와 관련하여 나타난 모국어를 호명하는 개념들의 발생 조건을 한국(남한) 사회가 접속하고 있는 문화권의 변화 및 그로 인한 번역 상황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검토하려고 한다. 1960년대는 모국어에 익숙한 소위 ‘한글 세대’에 의해 한국어에 기초한 새로운 감수성이 나타난 시기였다는 것은 우리에게 익숙한 문학사적 평가이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모국어 문학어의 선험적인 존재를 자명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신화이다. 모국어라는 개념은 다른 외국어로의 번역을 염두에 둘 때에만 상상될 수 있는 유동적 개념이며, 또한 끊임없이 완성을 향한 도정에 있는 미완태로서만 상상되는 개념이기도 하다. 따라서 모국어 문학어 또한 끊임없이 상상되고, 창안되고, 재편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이 논문은 ‘토착어’, ‘토속어’와 같은 모국어 문학어의 존재 및 그 재편의 방향성을 동시에 지시함으로써 모국어 문학어의 심급을 지시하는 개념들의 발생과 분화가 해방 이후 변화된 번역 상황에 대한 인식과 그에 대한 대응 전략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을 유종호와 백낙청의 비평을 통해 확인하려 한다. ‘토착어론’을 중심으로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모국어에 대한 유종호 비평의 궤적은 모국어 개념이 재확립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토착어에 대한 유종호의 비평은 초기의 양가적 입장에서, 토착어가 한자어보다 효과적인 사유의 언어가 될 수 있다는 입장으로 돌아선다. 이러한 선회의 배후에는 번역의 원어가 일본어(한자어)에서 영어 등의 서구어로 교체되어 상상되는 상황, 즉 문화권의 이동에 따른 번역 상황의 변화에 대한 인식이 놓여 있다. 이 점에서 유종호의 토착어론은 번역 상황의 변화가 모국어의 재인식 및 재편을 위한 중요한 조건이었다는 점을 드러낸다. 한편 ‘토속어’에 대한 백낙청의 사유는 변화된 번역 상황에 대한 대응 전략의 차이가 모국어 문학어의 재편을 위한 모국어의 심급들을 지시하는 용어의 분화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본어-한자어의 매개를 거치지 않고, 일종의 ‘보편어’로서의 서구어 원어에 직접 소급하려는 새로운 번역의 감각은 보편어와 민족어로서의 모국어 사이의 번역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창출했으며, 서구과학의 보편어와의 관계에서 모국어를 통한 번역 가능성 혹은 불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은 근대한국사회와 그 문학의 성격을 가늠하는 중요한 방식이었다. 백낙청은 이러한 작업을 가장 성실히 수행한 비평가였으며, 동시에 ‘토속어’는, 보편어로의 환원 (불)가능성을 지닌 채 각각의 원어에 대응하는 대상의 실재성을 보증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작업에 있어 본질적인 중요성을 지닌 개념으로 자리매김된다. 이처럼 모국어의 심급들, 모국어 문학어의 존재와 가능성을 지시하는 개념들은 해방 이후 장기적으로 이루어진 번역 상황의 변화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발생하고 또한 동일한 상황에 대한 대응 전략의 차이에 의해 분화된다. 모국어에 대한 유종호와 백낙청의 비평은 실제로 1960년대 후반 이후 모국어와 모국어 문학어의 재편으로 이어진다. 이때 이러한 모국어 문학어의 재편은 방언, 속어, 은어, 고어 등 모국어의 특정 심급들에 대한 의식적 수집과 활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언어의 의식적인... This study aims to study conscious practices to reorganize mother tongue and occurence of notions to call mother tongue in the late 1960s. This study suggests that change of cultural area to which Korea was connecting and change of translation-situation was a major condition of this phenomenon. It is a familliar appraisal that new sensibilities based on Korean was formed in the late 1960s by ‘Hangul generation’ who were used to mother tongue. However, this appraisal is a kind of myth, because it supposes transcendental being of the mother tongue. A concept of ‘mother tongue’ could only be imagined in relation with translation to other languages. And it was always imagined as an incomplete and a fluid concept. Thus, literary language based on mother tongue was also formed in the process of imaging, creating, reorganizing language. This study pay attention to a few concepts such as Yu Jong-ho’s ‘aboriginal language’ and Paik Nak-chung’s ‘local language’ which implied the degrees of mother tongue in the late 1960s. These concepts suggested the being of ‘pure’ mother tongue and directions of reorganizing mother tongue at once. And the occurence and differentiation of these concepts were based on consciosness about altered translation-situation after the liberation and counterstrategy of this situation. Yu Jong-ho’s criticism on aboriginal language started in the late 1950s. The transition of his perspective about aboriginal language showed re-establishing the concept of mother tongue. He had ambivalent viewpoint on aboriginal language in the initial stages. However, he changed his mind hencefoward and suggested aboriginal language could be more effective language of the reason than Sino-Korean words. Awareness of translation-situation which changed because of change of cultural area to which Korea was connecting placed behind this transition. In other words, he could assert superiority of aboriginal language because he thought not Japanese but English as an orginal language in changed translation-situation. Yu Jong-ho’s criticism on aboriginal language showed that the altered translation-situation was an important condition of reorganizing of mother tongue. Paik Nak-chung’s criticism on local language showed counterstrategy against altered translation-situation was an important element of differentiation of the concepts which called degrees of mother tongue. New sense of translation which discarded mediation of Japanese and Sino-Korean words and reach western Europe language as an original language created new perspective on possibilities of translation. Examination of possibilities of translation between mother tongue and universal language of modern science was an important way to estimat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society and its literature. Paik accomplished these works sincerely. ‘Local language’ was magnified as an essential concept in this process, because it was imagined as a concept which has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to universal language and guarantees substantiality of equivalents to each original language. Thus, concepts which called degrees of mother tongue and literary language based on it altered translation-situation and were diffentiated by counterstrategy to this situation. Yu and Paik’s critism on mother tongue led to actual reorganzing of literary language based on mother tongue in the late 1960s. Intentional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specific sections in mother tongue such as dialect, slang, argot, archaic words were important methods to reorganize mother tongue in late 1960s. However these practices did not intend to restore existence which these languages instruct, but intended to reconsturuct equivalents to universal concepts which modern west European science suggested in new translation-situation. Thus, ‘archiving of languages’ is a useful concept to explain reorganization of literary language in the late 196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