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0년대 북한 중앙음악단체의 민족악기 편성 양상

        배인교(Bae Ihn gyo) 국립국악원 2015 국악원논문집 Vol.31 No.-

        이 글은 남한과 북한이 반세기 이상 분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북한이 독자적으로 발전시켜온 음악 연주형태 중 현재 중앙에서 활동하는 음악단체들의 민족악기 편성 양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은하수관현악단의 2011년 2월과 2012년 3월의 파리공연, 그리고 민족관현악과 부분배합편성의 형태를 볼 수 있는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의 2013년의 4월과 9월 공연, 마지막으로 김정은의 세습이후 2012년에 창단된 모란봉악단의 2014년 9월 <신작음악회>를 살펴보았다. 은하수관현악단은 전면배합관현악편성으로 연주하였으며, 양악기와의 민족음악연주가 전혀 어색하지 않은 연주기술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 역시 전면배합관현악편성이 보이기는 하였으나 은하수관현악단의 것과 민족악기의 위치가 달랐다.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의 공연에서는 이 외에 소규모의 민족관현악편성과 배합편성이 있었는데 모두 아코디언을 넣어 화성을 표현하였으며, 민족죽관악기와 하모니카를 결합하여 화성이 표현되면서도 민족적인 흥취를 느낄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자음악 악단인 모란봉악단이 연주하는 민요풍의 노래에서 전자악기로 형상하는 민요의 음조도 그렇지만 전자악기에 꽹과리를 편성하여 민족적 정서를 표현하고 있었다. 북한에서 기본적으로 민족적 형식에 현대적미감과 인민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배합편성을 추구하고 있으나 민족음악에서 화성을 표현하기 위한 방편이었던 것을 알 수 있으며, 민족적 형식과 현대적 미감, 그리고 인민성은 북한의 정치적 의도와 맞물리며 향후 지속적으로 중앙 음악단체는 악기편성에서 화성을 위한 배합편성을 지향할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has a purpose to look into the orchestration of the national music instruments in the music organizations that are performing in the capital of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have been divided more than 50 years, and these organizations we are targeting are showing the original form of music of North Korea. To do this research, we examined the Paris concert of Eunhasu(Milky-way) Orchestra in February 2011 and March 2012, the concert of the Chosun People s Military Ensemble in April and September 2013, which show the ethnic orchestra and a part-mixed organizing, and lastly the <New Music Concert> of the Moranbong band in September 2014. The Moranbong band was established after the succession of Kim Jongeun in 2012. Eunhasu Orchestra played with the entire-mixed orchestration, and showed a performance technique that makes the western music instruments in the traditional music sounds not at all awkward. Also Chosun People s Military Ensemble displayed the entire-mixed orchestration, but different from that of Eunhasu Orchestra in the positions of the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Besides this mix, at the concert of Chosun People s Military Ensemble, there were small traditional orchestration and the part-mixed orchestration. Both of them expressed the harmony with accordion, and combined the traditional bamboo musical instruments with harmonica presenting the harmony and the ethnic taste. Lastly, the electrical music band, Moranbong band is presenting the ethnic, traditional sentiment through the folk song scale in the songs, which are also minyo(folksong)-style song with the electrical instruments, and also presenting through adding the kwaenggwari with other electrical music instruments. In North Korea, the music groups are pursuing the mixed-orchestration to achieve the traditional form, the modern sense of beauty, and the popularity at the same time, but it can be told as a way of presenting the harmony in traditional music. The traditional form, modern sense of beauty, and the popularity seem as though they will be pursuing the mixed orchestration continuously for the harmony, engaging with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 political

      • KCI등재

        북한 선군음악정치의 지향 -은하수관현악단을 중심으로-

        배인교 한국국악학회 2015 한국음악연구 Vol.57 No.-

        이 글은 2009년에 등장하여 2013년에 해체된 은하수관현악단에 구현된 북한 선군음악정치의 양상을 검토한 글이다. 은하수관현악단은 여러 면에서 북한 음악단체의 모범을 마련하고 구현한 연주단체였다. 즉, 은하수관현악단은 수많은 선군시대의 가요들을 전면 배합관현악 편성으로 연주함으로써 민족성과 주체성, 그리고 강성대국건설에 대한 희망을 안겨주는 연주회를 진행하였다. 또한 악기 편성을 전면 배합관현악 편성으로 배치하여 민족적인 미감과 조선민족제일주의를 표방하는 연주를 하였다는 점 역시 여타의 단체와는 구별된다. 또한 새로운 편곡에 의한 ‘가요연곡’이나 새로운 음악편성을 만들어 내었을 뿐만 아니라 매 연주회마다 주제를 제시함으로써 연주회의 사상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김정일이 주장해왔던 인민성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aspects of Military-first Music Politics of North Korea embodied by the Eunhasu(Milky-way) Orchestra that appeared in 2009 and disintegrated in 2013. The Eunhasu was a performance group that arranged a model and realized for Musical group of North Korea in many ways. In other words, the Eunhasu Orchestra progressed concerts that give national character, identity and hope about construction of the strong and prosperous country by playing lots of Military-first era songs as entire-mixed orchestration. And by arranging musical instruments organization as Entire-mixed orchestration to claims National Sense of Beauty, Korean People-first also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groups. In addition, they made not only ‘medley of songs’ by arrangement or New Musical Structure but also established well-known Program Music Concert every time to emphasize on thought of concert as they tried to realize popularity that Kim Jung Il had claimed.

      • 중국 조선족 기악음악창작고찰

        장진석(張振錫) 한국전통음악학회 2009 한국전통음악학 Vol.- No.10

        중국조선족음악예술은 이주민들에 의하여 중국 땅에 뿌리를 박고 발전해온 음악예술은 음악내용, 음악장르 및 음악의 표현수법 등에서 짙은 민족적인 동질성을 고수하여왔으며 아울러 타민족, 타지방 음악문화의 장점을 섭취하여 다양하면서도 다원적인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그 기악음악창작은 당대 중국 주류음악문화와 합류하여 일종 신생태(新生態)특징을 갖춘 음악예술형태를 잉태하였는바 민족특색을 체현함과 더불어 국민들이 접수할 수 있는 자체의 류형을 갖추게 되었는바, 말하자면 본 민족의 전통문화에 토대를 두고 중국조선족의 특색을 띠는 기악음악예술로 발전하였다. 중국조선족기악음악활동은 얼마만큼은 개량된 가야금, 해금, 장새납, 저대, 단소, 양금, 장고, 북, 꽹과리 등에 의하여 벌어지고 있다. 한편 중국조선족식 기악음악창작발전에 있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향이 가장 심후한바 양상, 구조, 선률진행, 장르특점 등 면에서 북측음악의 짙은 그림자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 악대구성, 짜임새구성, 창작기법의 운용 등에 있어서 우리음악의 전통을 전승함과 더불어 타 지역 음악의 장점을 수용하여 우리음악의 세계화를 부상하였다. 중국조선족음악예술은 조선반도의 음악예술문화와 차이를 보여줌과 더불어 중화 여러 민족 제반 음악문화와 차이를 보여주고 조선반도 전통음악과도 차이를 보여주는 전통정과 현대성을 동시에 지닌 음악예술문화를 구축하였다. 중국조선족음악예술은 이주민들에 의하여 중국 땅에 뿌리를 박고 발전하였다. 음악 예술의 주체가 모두 평민층이었기에 그들이 지니고 온 음악문화 본신 대부분이 민간, 민속음악예술 말하자면 궁중음악인 당악, 아악 등이 아닌 민요, 잡가, 농악 등 이였다. 음악문화주체가 대부분 평민층으로 인한 불균형적인 특징은 조선민족음악 전통의 뿌리가 깊지 못하고 전통음악 전수내용이 고르지 못한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특성은 특히 해방 전 민족음악전통의 전승에서 적지 않은 제약성을 초래하였다. 신중국(新中國)건립이후 당의 문예방침과 정책에 의해 연변조선족자치주정부와 해당부문에서는 전통 민족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전승하는 사업을 시작하여 우리 민족전통기악발전에 일정한 공간을 제공하게 되었다. 아울러 민간에 산재되어 있는 민속 음악을 발굴하는 한편 민속음악의 무대화, 말하자면 민속음악의 예술화 작업이 바야흐로 전개되었으며 그것을 위해 민간민속음악을 발굴하는 작업과 민간예인에 대하여 중시하고 극장을 건설한다거나 예술전문학교를 설립하며 예술극단들을 설립하는 활동들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등 제도적인 정비가 진행되었다. 중국조선족은 전통음악문화를 발전시킬 때에는 음악의 민족전통, 전통적인 미의식과 음악사상으로써 음악의 심미특성에 침투하는데 류의하였고 음악의 민족성을 논의할 때에는 민족전통을 이용한 바탕에서 부단히 새로운 양식을 창조해내는데 류의하였던 것이다. 중국조선족의 음악문화는 음악내용, 음악장르 및 음악의 표현수법 등에서 짙은 민족적인 동질성을 고수하여 왔으며 아울러 타민족, 타지방 음악문화의 장점을 섭취 하여 다양하면서도 다원적인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다원적인 양상을 보이는 원인의 하나는 중국에 이주한 조선족들은 조선반도의 부동한 지역에서 왔고 장악한 예술풍격이 일부 차이점을 보여주는데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 가지 중요한 원인은 조선족 이주민들이 전혀 새로운 생성(生成)환경 - 자연환경과 사회 환경 속에서 두터운 민족문화유산을 토대로 화하(華夏)문화의 자양분을 섭취하고 주변국가의 문화와 서로 교류하고, 서로영향을 주는 가운데서 점차적으로 선명한 특색을 갖는 음악문화를 구축화한데서 찾을 수 있다. 이러는 속에서 중국조선족 기악음악창작은 당대 중국 주류음악문화와 합류하여 일종 신생태(新生態)특징을 갖춘 음악예술형태를 잉태하였는바 민족특색을 체현함과 더불어 국민들이 접수할 수 있는 자체의 류형을 갖추게 되었는바, 말하자면 본 민족의 전통문화에 토대를 두고 중국조선족의 특색을 띠는 기악음악예술로 발전하였다.

      • KCI등재

        해방 후 남 북한의 혼종적 음악하기통속민요와 신민요, 그리고 창작민요를 중심으로-

        이소영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29 No.-

        The hybrid musicking of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ve been enormously popular after the emancipation from Japan in 1945. The historical origin of hybrid musicking is found in sinminyo (new folkso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South Korea, ‘Hanyang Hapju’(mixed orchestra between western instruments and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has been popular and accompanied sinminyo and tonsokminyo (traditional folk song) until 1970-80 as the succession of ‘Seonyang Hapju’ in colonial period. This ‘Hanyang Hapju’ is compared to ‘Baehapgwanhyeonak’(mixed orchestra between western instruments and Korean improved instruments from traditional instruments) in North Korea. In addition, in North Korea, the minyosic norae, as the succession of sinminyo is considered as a musical genre that had been contributed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ization of folksongs” during the post colonial period, while sinminyo is considered to play the same role during colonial period. Also this ‘minyosic norae’ can be compared to the Sinminyo in South Korea, that is new popular song composed of Korean folksong style since 1945. This paper examines how sinminyo and hybrid musicking has succeed after liberation from Japan. This paper also offers the socio-musical comparison of hybrid musicking including minyosic norae and sinminyo(newly created folk song after 1945), in addition to ‘Hanyang Hapju’ and ‘Baehapgwanhyeonak’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conclusion, this paper offers how hybrid musicking show up common and different mus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해방이후 분단체제하에 남한과 북한이 서로 다른 음악환경 속에서 음악적 담론과 실천이 전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음악적 요소와 서양음악적 요소가 만나는 제3의 혼종적 음악활동이 공통적으로 시도되었다. 혼종적 음악하기에 대한 남, 북한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첫째, 남한과 북한에서 해방이후 민요의 현대화의 출발점은 일제강점기의 신민요와 통속민요의 선양합주에 있다는 것이다. 북한의 민요식 노래나 남한 대중가요계의 신민요는 일제시대 신민요의 후예라 할 수 있고 선양합주는 남한에서 한양합주로, 북한에서는 배합관현악으로 이어졌다. 그 결과 한국음악적 특성과 서양음악적 특성이 함께 공존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한의 음악적 혼종성의 구체적 발현 형태는 그 사회체제의 상이함 만큼이나 다르게 나타났다. 남·북한이 동일한 출발점에서 각자 다르게 실현해온 음악적 혼종성은 ‘전통과 현대’라는 담론 차원에서 보면 남·북한 모두 ‘민요의 현대화’ 혹은 ‘전통음악의 비판적 계승’라는 과제를 껴안은 채 서양과 동양의 충돌 및 조화, 그리고 전통에 대한 ‘지양(止揚)’과 ‘지향(指向)’의 양가(兩價)적 태도를 기저에 깔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금강산가극단: 재일동포가 해외에서 유지한 한국전통음악문화

        박순아 ( Sun A Pak ) 세계음악학회 2011 음악과 문화 Vol.25 No.-

        People who cross national barriers will,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carry their cultural baggage, either big or small. It cannot be denied that our own culture and arts have sometime in the past been influenced from beyond our national boundary. In that sense, the Geumgangsan Theatre Troupe which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to us represent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dentity of North Korea, influencing the musicians in the South, and plays the role of a cultural ambassador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Geumgangsan Theatre Troupe is the only internationally performing center in the North and has a 55 year-old history. Its identity has been represented by political activities through art, having a constant purpose for the last 55 years; increasing the patriotic feeling among Japanese-Koreans in Japan, raising their national pride, promoting friendship with Japan, and ultimately contributing in Korean re-unification. Geumgangsan Theatre Troupe had its fist performance in Korea in 2000, since the "6.15 South-North Common Statement." This was followed by several concerts, which has been judged as a meaningful step in promoting exchange towards Korean unification. A research in 2008 states that as the movement for cooper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is proceeding now in our national history, we need to study more in our cultural cooperation, specifically providing the background, purpose, activities, and repertoire of the Geumgangsan Theatre Troupe. It further pointed out that as the Theatre is continuously engaged in exchange with the South, it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the arts of North Korea to the South and bridging the two countries. Also, it says that the Theatre is giving a great influence to the Korean musicians in the South. Since I have already discussed this issue in the introduction, I shall now explain further, based on my experience as an instrumentalist in the Theatre. Geumgangsan Theatre Troupe is a total art community, whose music is accompanied live by <Ethnic and Combined Orchestra>. This paper focuses on this Combined Orchestra, looking at the history and current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