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우자의 의미가 부부관계의 질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조설애(Seolae, Jo) 한국가족학회 2021 가족과 문화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부부관계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배우자의 의미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배우자의 의미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배우자의 의미가 부부관계의 질과 행복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전 연구에서는 231명을 대상으로 배우자의 의미를 측정하는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1에서는 사전 연구에서 개발한 문항을 이용해 성인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배우자의 부정적 의미와 긍정적 의미의 2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배우자의 의미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성인 초기, 중년기, 노년기 각 100명씩 총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령에 따라 배우자의 의미의 차이가 있는지 MANOVA를 실시한 결과,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배우자의 의미의 차이가 있는지 살핀 결과, 남편의 배우자의 긍정적 의미가 더 높았고, 여성의 부정적 배우자의 의미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의 의미가 부부관계의 질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배우자의 긍정적 의미는 결혼만족도를 높이고 부정적 의미는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배우자의 긍정적 의미는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고, 부정적 의미는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배우자의 부정적 의미는 심리적 안녕감을 감소시켰지만, 긍정적 의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부부관계를 심도 있게 연구할 수 있는 배우자의 의미 척도를 개발하고, 배우자의 의미의 효과를 규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re to develop the scale that masure to meaning of spouse,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meaning of spouse in age and sex, and effects of meaning of spouse to quality of marital relation and happiness. The items of scale were developed by pilot study which was surveyed in 231 married adults. By study 1,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examined in which participants were 214 subjects to identify contents and structure of meanings of spouse. The results of study 1 showed that meanings of spouse were constrcted by 2 subfactors which were positive meanings of spouse and negative meanings of spouse. The aim of study 2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age and sex, and impact of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s of spouse on quality of marital relation and happiness in 300 subjects. The results show no difference in meaning of spoouse in young adults, middle adults, and elders. And husband’s positive meaning of spouse was higher and also wife’s negative meaning of spouse was higher than others. And positive meaning of spouse affecte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s, subjective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ly. But negative meaning of spouse affecte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s, subjective happiness negatively. The results support that meaning of spouse was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 quality of marital relation and happiness.

      • KCI등재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연기 개념과 배우의 정체성

        김기란 한국드라마학회 2019 드라마연구 Vol.0 No.59

        This article studies the performer in the postdramatic theatre, in situations where the hierarchical order that has built drama theatre has collapsed and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performances have begun to reflect on their own identity. Especially I focused on the self-presence of actors appearing in Korean theaters and their new identity as performers. These actors reveal what was not seen and examine the way of acting to establish themselves as the subject on stage by expressing their own problems, not the problem given from the text. In shor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meaning of acting in the postdramatic theatre, which expresses a rejection of the hierarchy of performance creation, finding the actors’voice. This aims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performance which draws out social mimetic behavior. The major commentator on this phenomenon, Hans-Thies Lehman did not write on actors or acting as an independent chapter in his book, Postdramatic Theatre. However, this situation is not to deny the role or function of the actor, but rather to require a new reflection on the actor's situation and acting. The way that performers exist on stage and the way of acting are required to change. When the role of actors in the dramatic theatre was questioned, the actor's body became its own message and their words could present their viewpoint through authenticity, not as a proxy of the artist's intention. The reason why postdramatic theatre can be understood as a new `art of actors' paradoxically is because these actors can meta-reflect their identity on stage. This is also why acting in postdramatic thratre can not merely rely on abstract or negligent naturalness that achieves nothing. In this article, I will analyze a number of relevant postdramatic theatres : <Café Unfinished>(2013), which reflects the artistic activities as labor; <Méliès Illusion-Episode>(2013) and <Punctum>(2016), which deal with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non-art and art and what art’s subject is; and <I am my wife>(2013/2014), which shows the presence of the actor's body as a subject, not as an agent. 이 글에서는 드라마 연극을 구축해온 공연 무대의 위계적 질서가 붕괴가 되고, 공연을 구성하는 제요소들이 자신들의 의미를 성찰하기 시작한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나타나고 있는 배우 혹은 공연자의 새로운 정체성에 주목했다. 특히 최근 한국 연극에 나타나고 있는 배우들의 자기현존, 자기학습, 자기 말하기 등 무대 위 배우 자신을 주체로 정립시키는 구현 방식에 주목하여 새로운 현존의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했다. 요컨대 소위 제도적, 주류적 표현을 성찰적으로 해체하고 위계적 공연 창작 방식을 거부하며, 배우들이 주체적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찾아가는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의 연기의 의미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레만은 자신의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배우나 연기에 대한 내용을 독립된 장으로 할애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은 배우의 역할이나 기능을 부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배우의 상황, 연기라는 행위에 대해 새롭게 성찰하기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무대 위 행동하는 자, 배우(actor)로 명명되던 공연자들이 무대 위에 존재하는 방식과 연기의 표현 방식은 새로운 변화를 요구받고 있는 것이다. 드라마적인 것과 포스트드라마적인 것의 차이 속에서 극행동(action)을 하던 배우의 역할이 그 소임을 의심받기 시작했을 때, 배우의 몸은 도구적 지시관계의 기의-기표에 머물지 않고 그 자체 메시지가 되었고, 그들의 말은 작가의 의도를 대리하는 것이 아닌 주체적 진정성을 통한 자신들의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 될 수 있었다. 포스트드라마 연극이 역설적으로 새로운 ‘배우의 예술’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무대 위 배우의 정체성을 메타적으로 성찰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들의 연기는 스타니슬랍스키식의 매소드 연기로 제한되거나 추상적이거나 아무 것도 하지 않는 태만한 자연스러움에 의존하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메타적 자의식, 학습과 기획, 주체적 몸짓처럼 물리적 차원이라기보다 의식의 차원에서 설정되기에 전통적 연기론의 방식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형식으로 나타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노동으로서의 예술행위를 성찰한 <까페 미완성> (2013), 비예술과 예술을 구분하는 기준과 그 주체의 문제를 다룬 <멜리에스 일루션-에피소드>(2013)와 <푼크툼>(2016), 배우의 주체적 몸의 현존을 공연으로 보여준 <나는 나의 아내다>(2013/2014)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이론이나 개념이 아니라 무대 위 실천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기 때문에 이 글 역시 연기론이나 연기 개념이 아닌 무대 위 연기의 실천적 측면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들의 공연은 배역을 연기하는 것이 아니라 공연자의 자기현존이자 동시에 정체성 확인의 과정이다. 현존이 ‘내 앞에 있는 존재와 나 사이에서 교감되는 의식 현상’이라면, 자기현존은 내 앞에 있는 존재로 나 자신을 세워, 나와의 교감을 의식하는 것이다. 이는 공연자가 나 자신의 앞에 나를 세워 나를 생성하는 과정 곧 주체로 정립되는 과정이다. ‘공연하는 나’는 누구이며, 작가나 연출가 혹은 인물의 문제의식이 아닌 ‘내가 고민하는 문제’를 어떻게 무대 위에 현존시킬 것인가를 고민하고, 오직 자신의 말과 행동의 진정성을 통해 타자와 교감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는 이들 공연의 감동은 극행동의 핍진성이 아니라 실제 행동의 진정성에 ...

      • KCI등재

        현업 배우들의 배우요건 평가에 나타난 연기예술 교육 개선 방향

        김정섭 ( Kim Jeong-seob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3

        한류열풍과 디지털 및 첨단 영상 기술 발달 등으로 배우를 둘러싼 제작환경이 급변하여 배우교육이 달라져야 한다는 문제 제기가 많다. 학교교육에서 추구하는 배우상과 제작현장에서 요구하는 배우상의 차이가 있다면 이를 해소해야 시대에 맞는 교육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업 배우들이 이런 괴리를 느끼고 있다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배우들은 어떤 요소들을 이 시대 배우가 갖춰야 할 요건으로 보고 있을까? 본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에 착안해 제임스(James)의 ‘이중 정체성(dual identity)’ 모델을 적용해 현업배우 140명을 상대로 그들이 각각 배우와 관객으로서 인식하는 예술가로서 ‘훌륭한 배우’와 현재의 산업·제작 환경을 고려한 ‘흥행배우’의 평가요소 간 격차를 파악해 교육 개선의 모티브로 삼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훌륭한 배우와 흥행배우의 공통 요소로 연기 및 소통 능력, 신체조건과 이미지를 꼽았다. 그러나 훌륭한 배우의 요건이 연기 및 소통 능력, 연기와 작품에 대한 적극성과 열정 등 자질요소에 고정된 반면 흥행배우의 요건은 스타덤, 시청자 및 관객 동원능력 등 성과요소에 집중되었다. 이 결과는 두 평가 분야의 격차가 해소되도록 연기술 외에 관객과 팬덤 연구를 통한 흥행성의 보강, 새로운 매체환경 적응과 네트워크 능력 강화, 과학적인 성과관리 능력 배양을 위한 과목 신설등을 포함해 커리큘럼을 혁신하고, 배우역시 급변하는 제작환경에 적극 대처해 적응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re are issues raised that actor education must be changed as the Korean Wave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imaging technology lead to changes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If there is a actor`s image difference between in the trained at school and required by the production site, it should be solv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What is the qualification of the professional actors bridged such gap they think today? This study based on the question has focused on figuring out the gap of the actor`s and audience`s perspective criteria between “the great actor”(GA) as an artist and “the box office success actor”(BA) respectively carrying out the survey of current 140 actors. As a result, the respondents selected an acting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a physical condition and image as the common factors of GA and BA. And the requirements of GA are fixed on the quality factors such as an acting and communication skills, a positiveness and passion for their acting and work. On the other hand, the requirements of BA are concentrated on the performance factors, like a stardom and an audience scor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actor training and educ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blow such gap between the two factors. At the same time the actors must accept actively the current transilient production conditions.

      • KCI등재

        고대 그리스 비극이 배우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 연구

        이유경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3 No.3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을 통하여 비극의 위대함을 예찬하였고 ‘비극’ 원리에 대한 합리적이고 논리적 인 이론을 정립함으로써, 고대 그리스 비극은 2천 5백년이 넘도록 서양의 사상적 뿌리가 되어 지금에 이 르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으로 확고해진 그리스 비극의 철학적 계보는 서양뿐 아니라 동양으로 까지 그 영역이 확산되었고 이제 전 세계의 배우들은 고대 그리스의 비극적 원형의 전통으로 창작되어지 는 ‘비극적 주제의 텍스트’로 연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비극의 등장인물을 실감나게 연 기하기 위하여 배우는 자신이 겪은 과거의 가장 고통스러운 기억들을 끄집어낸다. 심지어 자기가 경험해 보지 못한 등장인물의 트라우마 조차 기꺼이 자기 것으로 받아들여야하기에 배우들은 상상 조차 할 수 없는 가장 끔찍하고 처참한 감정들을 만들어낸다. 매 공연마다 짧게는 몇 주, 길게는 몇 년에 걸친 작업 환경에서 비극 속 등장인물의 고통을 관객에게 실감나게 전달하기 위하여 배우는 자기의 몸과 마음을 온 전히 작품에 바친다. ‘뫼비우스의 띠’처럼 헤어 나올 수 없는 관계로 묶여있는 ‘텍스트의 비극적 주제’와 ‘비극의 등장인물’ 그리고 ‘겉으로 과장할 수 없어 내면으로 에너지를 향하게 할 수 밖에 없는 배우 연기’. 2천 5백년이 넘는 동안 배우의 내면 깊이 박힌 고통의 감정을 정화시켜내는 데에는 누구도 관심이 없었 던 것이다. 이러한 관계와 환경이 배우들의 심리적 어려움을 벗어나지 못하게 했던 요인 중에 하나는 아 니었을까? 본 연구자는 ‘그리스비극을 원형으로 하는 비극적 텍스트의 전통성과 그 비극적 텍스트의 등 장인물을 연기하는 배우들의 심리적 관계’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그리스 비극과 그 비 극을 옹호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의 이론이 배우가 겪는 심리적 어려움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증 명함으로써 배우들이 겪고 있는 심리적 어려움이 배우 개인의 책임이 아님을 밝히고자 한다. Aristotle glorified the greatness of the content and form of tragedy in <Poetics> and established a very scientific and systematic theory on a tragedy. Therefore Greek tragedy has been the root of Western ideologies more than 2,500 years until now. From by Aristotle's <Poetics>, Greek tragedy took hold not only the Western philosophical genealogy and was also spread to the Eastern cultures. Now it is not an exaggeration that all actors around the world are performing stories written in the traditional context of ancient Greek tragic archetypes. In order to perform the realistic character of the tragedy, actors try to recall the most painful memory of their lives. Moreover actors try to embody the traumas of the characters which they have not experienced themselves so that they can create the most painful and miserable emotions we can not even imagine. For every stage repeated over weeks to months, the actors sacrifice their own bodies and minds to the theatrical work so that they can deliver the realistic pain of the characters from the tragedy. There are three things combined together like a Möbius strip: ‘Tragic story of the text’, ‘Characters of the tragedy’ and the ‘Performance of the actor who can't express their emotions outwards in order to avoid the exaggerated expression. For more than 2,500 years, nobody has been interested in curing the psychological pain of the actors. This study starts from the questioning if these relationship and environment is one of the reasons why actors have trouble escaping from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is study shows the 'traditionality of tragic texts based on Greek tragedy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tors who play the characters of the tragic text'. Accordingly, this thesis aims to prove that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actors are not personal issues of the actors by proving that 'the theory of Greek tragedy and Aristotle's Poetics, which advocates the tragedy, can affect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actors'.

      • KCI등재

        배우 양성을 위한 연기교육 시스템 분석

        오진호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배우 양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점을 무엇인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탐색을 통한 질적 연구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검토한 내용들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배우란 연기를 배워서 작품에서 주어진 배역을 표현하는 사람이다. 시나리오에서 제공되는 배역은 배우의 역량에 따라 그 표현수준이 달라지며, 작품의 완성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의 또 다른 변수는 문화권에 있다.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정도 는 문화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배우에게 주어진 배역을 어떻게 소화하여 표현할 것 인가에 대한 문제는 배우가 주어진 배역뿐만 아니라 특정 작품을 보는 대중들이 어떤 문화권에 속해 있 는지, 어떤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배우는 시나리오에서 제공되는 대사 뿐만 아니라 해당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언어적 표현방식을 학습해야 한다. 동일한 내용이라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서 대중에게 정감을 주기도 하고, 부정적 인식을 주기도 한다는 점이다. 이렇 듯 특정 지역의 언어와 문화, 생활양식까지 모두 사전에 습득하고, 주어진 배역을 소화하기 위해서는 체 계적인 교육시스템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결국 배우의 성공이나 작품의 성공은 모두 배우의 역량에 따 라 결정된다고 볼 수 있지만, 그 토대는 교육시스템에 달려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결국 교육이 배우와 작품의 성공을 결정짓는 토대가 된다는 것이다. 좋은 작품이 만들어지기 좋은 배우 즉, 훌륭한 배 우가 있어야 하고, 훌륭한 배우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배우 양성 교육시스템이 훌륭한 배우는 만들어 내는 토양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배우 양성시스템에 대한 분석과 문제점에 대한 해소를 위한 노력은 아무리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배우 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의 문제점을 탐색하여 시대 상황과 선제적 대응을 위한 방향제시와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는데 목적을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educational system for actor training works and how to improve it. The research method was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literature search.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should be made. An actor is a person who learns acting and expresses the role given in the work. The roles provided in the scenario vary according to the ability of the actor, and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may vary. Yet another variable is in the culture. The extent to which human emotions are stimulated depends on the culture. Therefore, the problem of how to express the role given to an actor needs to be understood not only in the role given to the actor but also in what culture the public who is watching a particular work belongs and what language they are u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not only the dialogue provided in the learning scenario, but als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learn how to express it. It gives the public a feeling of appreciation and negative perception depending on how they express the same contents. Thus, a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 must be based on learning the language, culture, and lifestyle of a specific area in advance and digesting the given role. In the end, both the success of the actor and the success of the work can be seen as determined by the actor's ability, but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foundations depend on the educational system. Eventually, education becomes the basis for deciding the success of the actor and the work. A good actor to make a good work, that is, a good actor must be there, and a good actor is not born but made. In other words, the actor training system becomes the soil that good actors make.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actor training system and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are not excess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system for actor training and to bring about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awareness for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preemptive response.

      • KCI등재

        현존의 지각 과정에 있어 배우의 목소리에 내재한 실재성에 관한 연구 - 작품 <고스트 쉽 (Seance)>을 중심으로 -

        김형준 한국연기예술학회 2024 연기예술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최신 기술과 융합된 현대 공연에서 배우의 목소리에 내재한 실재성을 탐구함으로써, 현존 의 지각 과정을 배우 목소리의 관점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서사의 전달체로서 역할 하는 목소 리가 아닌, 실재하는 에너지로서 배우의 목소리가 현존을 지각시키는 요소로서 기능하는 가능성에 관한 탐구를 목적으로 두었다. 최신 기술과 융합된 사운드 이머시브(sound immersive) 공연은 더 이상 ‘보는’ 것이 아니라 청각적 자극을 통한 ‘듣는’ 것으로 옮겨갔다. 시각적 차원의 공연 예술이 청각적 차원으로 이동하며 관객의 수용미학적 관점은 배우의 목소리가 지닌 새로운 가능성에 재조명한다. 배우 목소리의 실재성은 발화하는 주체의 존재를 청자에게 지각시키며, 배우와 관객과의 상호 관계를 생산한다. 몸을 통해 발화하여 청각기관을 지닌 관객의 몸으로 인식되고, 배우의 몸과 관객의 몸을 연결하는 매개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인지신경학적인 관점에서 현존은 단순한 시공간의 근접함에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이로 인한 ‘상호 관계’의 형성과 그들만의 ‘공유된 순간’을 통해 이뤄진다는 것을 밝혔다. ‘다크필드 (Darkfield)’의 <고스트 쉽(Séance)>에 등장하는 ‘영매’는 관객에게 가까이 다가가 귓속말하고, 관객의 호 흡 속도를 조절하며 대답을 끌어낸다. 영매의 목소리는 관객의 생리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그들만의 ‘공유된 순간’을 형성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배우의 현존을 지각시킨다. 그리하여 배우의 신체가 존재하므 로 관객이 지각하는 배우의 현존과 같이 배우의 목소리를 통해서 관객이 배우의 현존을 지각하는 과정을 탐구할 뿐만 아니라 배우가 무대 위에 존재하지 않는 현대 공연에서 배우의 목소리는 기의로서의 역할을 넘어서 부재하는 배우의 존재를 관객에게 지각시키는 실재하는 에너지로서 기능하는 배우 목소리의 가 능성을 재조명시키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herent sense of existence conveyed through actors’ voices within contemporary performances integrated with the latest technology, examining the process perceiving prese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actors’ voices themselves. The objective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for actors’ voices serving as tangible energy that facilitates the perception of presence. Sound immersive performances integrated with the latest technology no longer emphasize ‘seeing.’ Rather, they transition towards ‘listening’ through auditory stimulation, shedding new light on the potentials of actors’ voices. The existence of actors’ voices enables listeners to perceive the speaker’s being, thereby fostering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tors and the audience. From a cognitive neuroscience perspective, it was revealed that existence is not solely influenced by temporal and spatial proximity but is also shaped by the formation of ‘mutual relationships’ and the ‘shared moments’ they cultivate. In Darkfield's Séance, the ‘medium’ interacts with each audience member, whispering closely and engaging in conversation. The medium's voice influences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audience, creating ‘shared moments’ and facilitating the audience’s perception of the actor’s existence. Therefore, this study will reassess the potential of actors’ voices as tangible energy within contemporary performances integrated with digital technology, enabling the audience to perceive the actors’ existence despite their absence on stage. This study is an exploration of the reality inherent in the actor's voice in the existing perception process, and attempts to look at the existing perceptio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tor's voice. Therefore, since the actor's body exists, the process by which the audience perceives the actor's presence through the actor's voice is examined. In other words, it is to re-examine the possibility of an actor's voice that functions as energy to perceive an absent character, not a voice as a means of conveying a narrative.

      • KCI등재후보

        동시대 연극에 나타난 배우 매체성 연구: 재매개 이론을 중심으로

        신광민 ( Shin Kwang-min ),조준희 ( Cho Joon-hu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4

        20세기 이후 디지털 혁명은 우리 사회 전반을 변화시켰다. 공연예술 역시 급변하는 환경 속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기 시작하였다. 디지털화된 미디어가 연극 속에 개입하여 기존 연극이 가지고 있던 표현수단을 해체하였다. 특히 연극예술의 주체로 존재하던 배우 역시 명확한 경계를 잃어가며 그 역할이 모호해지고 있다.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배우의 매체성은 변화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상호매체성에 관한 연구는 이뤄지고 있지 않다. 특히 배우 매체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찾기가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동시대 연극에 나타난 배우 매체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재매개 이론을 바탕으로 공연예술에서 배우의 매체적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뉴미디어 연극에 나타난 변화된 배우 매체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는 볼터(Jay David Bolter)와 그루신(Richard Grusin)의 재매개 이론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여 로베르르빠주(Robert Lepage)의 <887>, 케이티 미첼(Katie Mitchell)의 < 노란 벽지(Yellow Wallpaper) > 그리고 이보 반 호브(Ivo Van Hove, 1958~)의 의 < 파운틴헤드(The Fountinehead) >에 나타난 배우의 매체성을 연구함으로써 뉴미디어 연극예술에 나타난 배우 미디어의 특성에 대해 조망하고자 한다.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 ‘1. 미디어의 개념과 재매개 이론’과 ‘2. 재매개의 이중논리: 비매개와 하이퍼매개’ 그리고 ‘3. 재매개된 연극언어’를 중심으로 연극과 미디어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로베르르빠주의 <887>을 통해 배우와 인물 미디어가 공존하는 배우 매체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케이티 미첼의 <노란벽지>에서는 배우 미디어의 탈경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보 반 호프의 <파운틴헤드>를 통해 배우와 관객 미디어의 강화된 현존 상태를 확인하였다. 본 소고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 배우매체의 특성을 분석하는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Since the 20th century, the digital revolution has changed our society as a whole. Performing arts also began to face various changes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Digitized media intervened in the play and dismantled the existing means of expression that the play had. In particular, actors who have existed as subjects of theater art are also losing clear boundaries, and their roles are becoming ambiguous.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the feature of actor as a medium is changing, but studies on the intermedia are not being conducted accordingly. Especially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characteristic of actors as media. Therefore, starting from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actors as media in contemporary plays, this researcher intend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ctors as media in performing arts based on the theory of remediation.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ors as media in the new media play. This paper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actors as media in Robert Lepage's <887> , Katie Mitchell's < Yellow Wallpaper >, and Ivo van hov's < Fountainhead > using the remediation theory of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 as a framework for analysis, I would like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actors as media in new media theater art. First,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we studi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ater and media, focusing on '1. Media Concept and Remediation Theory' and '2. Double Logic of Remediation: Non-Mediation and Hyper-Mediation' and '3. Re-Mediated Theater Language'. Based on this, with Robert Lepage's <887>,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ors as media in which the actor and the character media coexist were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post-boundary actor as media were analyzed in Katie Mitchell's < Yellow Wallpaper >. Finally, through Yibo Van Hope's Fountainhead, the reinforced presence of actors and audience media was confirmed. This paper aims to present an possibility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ctor as media in a constant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 KCI등재

        AGI 시대의 배우 내면 연기에 있어서 가져야 하는 모럴 담론 - 작품 인비저블 데이터를 중심으로 -

        김해양,김상용 한국연기예술학회 2024 연기예술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다가올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시대의 인공지능 연기예술을 두고 AI 배우와 실 제 배우 연기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고찰한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AI 배우의 외형을 실제처럼 생성하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실제 배우의 연기는 외적인 표현뿐만 아니라 상상력, 경험, 감정 등 내적 요 소들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이것을 리 스트라스버그와 스텔라 애들러의 연기 훈련법을 통해 살펴보고, 애들러의 상상력 훈련과 질 들뢰즈의 철학을 바탕으로 탐구한다. 상상력 훈련엔 ‘관찰’이 선행된다. 이는 AI에게 ‘검색’으로 대체될 수 있지만, 상상력은 검색만으로 도달할 수 없다. 이를 들뢰즈의 언어로 살펴본 다. 들뢰즈는 존재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고정된 결과가 아닌 역할로 나아가는 배우의 역할 창 조를 탐구한다. 배우는 역할에 도달하기 위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우연한 순간에 즉흥적인 움직임이 발현 되기도 하며, 연기를 반복하더라도 그것은 항상 새로운 현재성을 띤다. 반면, AI 배우는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규정된 연기를 출력하고, 반복 재생하므로 실제 배우의 유동적이고 창조적인 연기를 완벽히 대 체할 수 없다. 끝으로, AI가 포착할 수 없는 인간의 내면과 상상력을 다루는 시네마틱 아트 <Invisible Data>를 예시로 삼아 감각과 언어가 서로 어긋날 수밖에 없음을 논의한다. AI 배우가 다채로운 행동을 구현할 수 있다고 하여도 실제 배우의 상상력과 내적 움직임을 완벽히 대체할 순 없다. 본 연구는 인공 지능 연기 예술과 실제 배우의 연기가 지닌 차이를 고찰하여 인공지능의 발전 속에서도 인간 배우의 고 유한 가치와 역할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더불어 인간과 인공지능 중 어느 쪽이 더 나은지, 우위에 있는지 를 논하는 이분법적 시각에서 벗어나 연기와 같은 동적인 측면에서 보면 인간 배우는 충분히 중요한 역 할을 지닌다. 이와 같은 차원에서 실존 배우의 연기에서 발견되는 가치를 탐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differences in acting between AI actors and human actors in the upcoming era of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reached a level where AI actors can generate realistic appearances. However, human actors' performances are influenced not only by external expressions but also by internal factors such as imagination, experience, and emotion. This study explores this through the acting training methods of Lee Strasberg and Stella Adler, and explores the creation of actors' roles based on Adler's imagination training and Gilles Deleuze's philosophy. Imagination training is preceded by observation, a process that can be replaced by searching in AI. However, imagination cannot be reached through searching alone, and this is examined through Deleuze's perspective, who emphasized the transformation of being and the departure from fixed orders. Based on this, the performance of an actor who moves towards a role rather than a fixed outcome is investigated. As actors move towards their roles, they often encounter serendipitous moments where improvisational movements emerge, and each performance, even when repeated, is uniquely manifested. In contrast, AI actors output predefined performances based on learned data, replaying the same performance each time. Therefore, they cannot fully replicate the fluid and creative performances of human actors. Finally, the inevitable disconnect between sensation and language is discussed using the example of Invisible Data, a cinematic artwork that deals with the human inner world and imagination that AI cannot capture. Even if AI actors can embody a variety of behaviors, they cannot completely replace the imagination and inner movement of real actor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rt of AI acting and human actors, the unique value and role of human actors is highlighted, even within AI advances.

      • KCI등재

        배우의 연기영역과 이중의 정체성

        이기호 한국연기예술학회 2016 연기예술연구 Vol.8 No.1

        연기란 배우가 어떠한 배역을 맡아서 그 역할을 창조하여 관객 또는 카메라 앞에서 재현하는 것을 말한다. 배우가 연기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배역을 맡아야 하고, 역할을 창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며, 관객 또는 카메라 앞에서 역할의 행동을 재현(representation)하면서 극적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완성된다. 관객 또는 카메라 앞에서 배우가 연기를 하는 순간에 배우는 배우이면서도 배우가 아닌 역할로서 존재해 야 하는 매우 특수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만일 배우의 이중의 정체성이라고 볼 때, 본 연구는 배우로 존재하면서도 역할로서도 존재해야 하는 배우와 역할의 정체성의 특수한 공존상태에 관 한 연구이다. 연기자에게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특수한 공존상태는 늘 상 존재한다. 그것은 결코 분리되거나 연기영역에 따라 어느 한쪽 면으로 해석될 수 있는 문제도 아니다. 때문에 배우는 늘 이러한 이중의 정체성을 인정하고 연기행위의 전제를 두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연기에 있어서 배우의 정체성 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혼돈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로 인하여 배우가 자신의 연기를 역할화-이입화, 동질화-를 꾀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인 방향을 고찰한다. Acting refers to an activity in which an actor creates a character and plays it in front of the audience or camera. When the actor plays the role in front of the audience or the camera, the actor is laid in a very special situation in which he/she must exist as an actor and the character at the same time. At any moment of acting, the actor should not exist only as an actor himself, nor should he exist as a role. This means that an actor must maintain dual identity in acting. Actually, some actors understand acting as a complete synchronization of characters, and they sometimes suffer from identity problem and struggle with other actors because of too much empathy with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ctors who always adopt himself/herself into the character making no conflict. This duality of identity is inevitable in all forms of acting since acting is a mimetic activity in its nature as Aristotle defined it in [Poetics]. The dual identity is a common characteristic of acting, but its outcome may look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yle of performance. Some performances require more character-like identity, but others may need more actor-like identity. The proportion is linked to the style of acting. In resolving actor’s identity problem, this paper investigates dual identity in acting, and further acting realm where an actor has to live with the dual identity.

      • KCI등재

        시⋅청각적 공간을 구축하는 배우의 목소리에 관한 연구

        김형준 한국연기예술학회 2024 연기예술연구 Vol.33 No.-

        본 연구는 배우의 목소리가 대사를 전달하는 기의로서의 역할을 넘어서 기표 그 자체로서 물질성을 드러내며, 나아가 시·청각적 공간을 구현하는 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두었다. 관객의 인지 감각에서 청각은 시각과 같이 중요하며, 공연 예술에서 소리는 빛과 같이 중요하다. 텍스트 연극에서 배우의 목소리는 그 잠재력이 억압되어 서사를 위한 전달체로서 축소되었다. 하지만 현 대 공연 예술이 다양한 디지털 기기와 융합하며 배우의 목소리가 지닌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재조명이 이뤄지고 있다. 영국의 창작 집단 ‘다크필드(Darkfield)’는 360도 입체음향을 활용해 청각적인 자극을 극 대화하며 배우 목소리의 물질성을 강조한다. 기괴한 배역이 등장하는 ‘다크필드’의 작품에서 배우의 목 소리와 숨소리는 그 질감 자체로서 역할 하며 작품의 서사적 기능을 대체할 뿐만 아니라 작품의 주제가 되기도 한다. 이를 위해 배우는 단순히 볼륨을 올리며 소리의 질감만 흉내 내는 것이 아니라, 배역의 고 유한 성질에 다가가며 이에 요구되는 언어의 심상과 크기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뿐만 아 니라 바이노럴 사운드(binaural sound)를 위한 더미 헤드(dummy head)와의 작업은 배우에게 낮은 볼륨에 서도 에너지가 분산되지 않는 열린 감각을 요구하게 된다. 그리하여 배우의 목소리는 관객과 상호작용하 며 거리감과 공간 감각을 인지시키는 요소로서 작용한다. 이는 배우에게서 발화된 목소리가 사람의 머리 크기와 동일하게 제작된 더미 헤드의 양쪽 귀에 장착된 마이크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의 차이와 음향 강도 의 차이 그리고 레벨의 차이가 입력되어 음향 장비를 통해 현실감 있게 구현된다. 따라서 배우의 목소리 가 기의로서의 기능을 넘어 물질성을 드러내며 작품의 주제로서 역할 할 뿐만 아니라, 바이노럴 레코딩 (binaural recording) 기술과 입체음향 장비와 융합되어 시·청각적 공간을 구축하는 요소로서 기능하게 되는 가능성에 관한 고찰을 하고자 한다. 더불어 다양한 디지털 기기와 융합을 통해 공간의 변화를 시도 하는 현대 공연 예술에서 배우의 목소리의 가능성을 고찰하며, 새롭게 구축되는 시·청각적 공간 가운데 관객뿐 아니라 디지털 장비와도 상호작용하는 배우의 목소리의 다양한 가능성을 재조명시키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impact of actor’s voices in constructing audiovisual spaces, moving beyond the mere delivery of lines to actively demonstrate their presence. In shaping the perceptual experience of the audience, hearing is as crucial as visual elements, underscoring the equal importance of both sound and light in the realm of performing arts. In traditional text-based theaters, actor's voices have often been confined to serving as means for narrative delivery, thereby constraining their broader potential. However,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integrating diverse digital technologies, are reevaluating the inherent possibilities within the actor's voice. The UK-based creative group Darkfield” maximizes auditory stimuli by employing 360-degree immersive sound to emphasize the physicality of the actor's voice. In Darkfield's productions featuring eerie characters, the actor's voice and breath not only contribute as textures but also assume the role of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In productions that restrict vision to maximize auditory perception, the actor's voice acts as an element that interacts with the audience and conveys a sense of distance and spatial awaren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tential of these interactions and reflections, discussing how the actor's voice can not only embody physicality but also become a thematic element in the work. Additionally, it seeks to review how the voice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of audiovisual spaces through integration with the technologies and equipment of binaural recording. In addition, it examines the possibility of actors' voices in modern performing arts that attempt to change space through convergence with various digital devices and re-examines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actors' voices interacting with digital equipment as well as the audience in the newly established visual and auditory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