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우 신체훈련 프로그램 연구의 분석을 통한 방향성 제안

        이상기,안병순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1

        연극에서 배우의 신체는 전달 방식의 수단이고 관객과 소통하는 매개체이자 공연과 작품의 결과를 지배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배우의 신체는 스스로 통제하고, 표현수단으로써 활용의 효용성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핵심은 배우 신체훈련과 메소드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기초 신체 트레이닝과 정서 및 감정표현으로 구분하고, 가장 효과적 인 배우 신체훈련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 논문 에 등재된 배우 신체훈련 프로그램이 연도별로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가? 둘째, 배우 신체훈련 프로그램들은 배우의 신체훈련을 위해 어떤 방법을 제시했는가? 셋째, 연구된 배우 신체훈련 프로그램은 어떠한 효과들을 나타내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 면밀하게 분석하여 배우 신체훈련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미래지향적이고 합리적인 프로그 램의 개발과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바탕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In the theatre, the actor's body is a means of communication, a medium for communicating with the audience, and an important tool for determining the outcome of performances and works. The actor's body must be controlled by itself, and its utility as a means of expression is very important. The cor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actors' physical training and methods, and to classify them into body training, emotional and sensory expression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most effective actors’ physical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yearly analysis of the actor's body training programs listed in the thesis and professional journals. Second, the specific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ctor's body training programs. Third, the extract of the effects of the actor physical training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future-oriented and rational physical training programs and for drawing alternatives to existing methods.

      • 동시대 연기자 교육에 있어 ‘몸 훈련’의 의미 : 배우의 준비된 상태

        손봉희,이영란,신대식 한국연기예술학회 2017 한국연기예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동시대 연기교육에 있어 ‘몸 훈련’에 관한 실질적인 역할과 의미에 대한 고찰은 지금 우리에게 배우란 어떠한 존재이며 연기란 무엇인지에 관한 근본적 성찰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배우는 지금, 여기, 즉 허구적 시공간 속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관객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기예술의 본질은 특정 텍스트가 지향하는 미학적 가치를 추구하여 동시대를 살아가는 관객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데 있 다. 특히 본고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동서양의 주요 연출가 및 연기지도자들의 접근과 실천 방법은 연기예술을 위한 특정 이론만을 제시하거나 강조하는 실제적이지 못한 논의와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이들의 연구와 접근과정은 배우가 무대 위에서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성취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을 집요하고 끊임없이 제기하며 결국 훈련을 통해 준비된 상태를 실천적으로 수용할 수 있 는 주체는 ‘배우 자신의 몸과 솔직한 만남’에 있음을 역설적으로 강조한다. 어느 때보다 물질 숭배와 상호 경쟁이 팽배한 동시대 삶 속에서 이러한 성찰과정은 배우와 연기예술의 본질적 측면을 재고할 수 있는 새로운 기틀을 마련해 줄 것이며 실천적인 훈련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어 가능성을 열어 줄 것이라 믿는다.

      • KCI등재

        행화적 인지로 고찰한 배우 훈련의 대안적 방향

        이곤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행화적 인지(enactive cognition)’를 연기의 과정(The process of acting)에 적용하여 기존의 배우훈련이 놓치고 있는 부분을 규명하고 새롭게 강조되어야 할 배우 훈련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행화적 인지란 뇌와 몸과 환경 사이의 전일적이고도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우리의 인지과정으로 정 의하는 인지과학의 한 분야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연기 과정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사용된 체화된 인지신 경과학은 연기의 과정에서 표현(행동)의 전 단계를 형성하는 인지, 즉 감정과 느낌, 생각, 상상의 형성 메 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심적 표상(mental representation)과 거울 뉴런에 의한 시뮬레이션(simulation)의 개념을 적용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개념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뤄지는 연기자의 능동적이고 역 동적인 인지의 가능성을 제한함으로써 일정부분 한계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나와 상대방 그리고 주 위 환경과의 역동적인 관계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대안으로 행화적 인지에 주목한다. 우선 행화적 인 지의 주요 원리와 특성을 4가지 카테고리, ‘움직이는 몸에 기반을 둔 비표상적 지각’, ‘환경과의 역동적으 로 상호작용하는 인지’, ‘체화된 기술을 통한 지각의 확장’, ‘내러티브적 상상력과 상호주관성을 통한 공 감’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주요 원리와 특성을 연기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배우 훈련에서 상대 적으로 덜 부각되었던 ‘움직이는 몸을 통한 지각의 확장’, ‘환경과의 역동적인 교류를 통한 배우훈련’, ‘텍 스트의 해석이 아닌 창발적인 지각을 만들어내는 배우훈련’이라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위해 본고는 먼저, 인지과학에서 행화적 인지 이론이 대두된 양상을 시간 순으로 살펴 보고, 인지신경과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연기 과정의 쟁점과 한계를 규명한 뒤, 이를 행화적 인지를 통해 다시 고찰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배우 훈련에서 상대적으로 덜 부각되었던 ‘움직이는 몸을 통한 지각의 확장’과 ‘환경과의 역동적인 교류’를 강조하는 배우 훈련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텍스트의 해석이 아닌 ‘창발적인 지각을 만들어내는’ 배우 훈련으로의 대안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an alternative way of actor training through examining the process of acting with enactive cognition. Enactive cognition is a new version of recently developed embodied cognition approaches, and it defines human cognition as dynamic interaction among brain, body and environment. Existing researches of acting have adopted the concept of ‘mental representation’ and ‘simulation based on mirror neuron’ of neuroscience to explain the process of forming emotion, feeling, thought and imagination which are worked as preconditions of expression or action in acting. However, these concepts in neuroscience limit actors’ subjectivity and their dynamic relationship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it reveals limitation to explain total human cognition. This paper suggests enactive cognition as an alternative way of examining the process of acting which should be focused on not only actor’s mind but also his/her relationship to other actors and the environment. This paper analyzes the main principles of enactive cognition as ‘nonrepresentational cognition based on moving body’, ‘cognition enhanced by dynamic interac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extension of perception through embodied skills’ and ‘empathy through narrative imagination and intersubjectivity’. Then I propose an alternative way of actor training focused on ‘the extension of perception through moving body’, ‘the reciprocity between perception and environment’ and ‘the creation of emergent perception rather than text-analysis’. I expect the actor training aimed for developing and extending actor’s emergent perception and creativity such as Jacques Lecog training and the Viewpoints will be educated as an alternative way of actor training with new perspectives examined by this research.

      • KCI등재

        행화적 인지로 고찰한 뷰포인트 배우 훈련

        이곤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7 No.3

        This study examines the Viewpoints training by enactive cognition. Therefore it clarifies that Viewpoints training aims not to just develop an actor’s physical skills but to develop actor’s artistic perception to be an actor-creator. The Viewpoints training was made by Mary Overlie in 1970s and developed by Anne Bogart’s CITI Company. Though it became the representative theatre training in the world, most researchers have focused its theatrical applications only in terms of movement training. However in the change of performance environments, the alternative role of the Viewpoints should be reexamined by enactive cognition. Enactive cognition is a new version of embodied cognition approaches, and it argues that human cognition is constituted by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brain, body and environments, and meanings are made up by enacting in the world. Nowadays a lot of performance artists are getting away from representational theaters centered on narrative plays. Therefore an actor’s role is changing from delivering the playwright and the director’s intention to creating her own meaning with audiences in real time on the stage. In order for an actor to be a creator, she should dynamically interact with other actors, audiences and her environments to make novelty. So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enactive cognition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interaction between agents and their environments, and lets Viewpoints training meet with enactive cognition. This paper defines the main principles of enactive cognition as “perception through moving body”, “experience”, “sense-making by dynamic interaction with environment”, “emergence as a foundation of creativity”. Then I examine the Viewpoints training with enactive cognition, and clarify the Viewpoints training could develop an actor’s perception through her moving body; build a cognition through her physical experience; make a sense through her action in the world; and bring creativity through emergence. Through this process, I propose the Viewpoints training will be the alternative way of actor training making an actor to be an actor-creator who is in need of in this rapidly changing performance environments. 본 연구는 행화적 인지(enactive cognition)를 뷰포인트 배우 훈련에 적용하여 뷰포인트 훈련이 전통적인 배우 교육 시스템에서 위치 지워진 대로 단지 움직임의 기술적 능력을 발전시키는 훈련이 아니라, 예술적 지각을 확장하여 배우-창조자를 키워내는 대안적인 역할을 해낼 수 있음을 제시한다. 뷰포인트 훈련은 1970년대에 메리 오벌리가 만들었고, 이후 앤 보가트의 시티컴퍼니(SITI Company)의 교육과 활동을 통해 전세계로 보급된 대표적인 움직임 훈련이다. 하지만 그동안 뷰포인트 훈련은 움직임 훈련으로서만 연구되어왔고 그 대안적 역할이 주목되어오지 않았다. 이에 행화적 인지를 통해 뷰포인트의 대안적인 역할을 밝혀낼 필요성이 생겨났다. 행화적 인지란 인간의 인지는 뇌와 몸과 환경과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구성되고, 의미는 행동을 통해서 발현된다고 주장하는 체화된 인지의 한 분파이다. 동시대의 공연 환경은 텍스트가 중심이 되는 재현주의 연극에서 탈피하고 있고, 배우에게도 작가와 연출이 미리 만들어 놓은 의미를 전달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관객과 함께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의미를 창발해내는 공연의 창조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배우는 상대 배우와 관객, 그리고 이 모두를 둘러싼 환경적 요소들과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해야 하고 이를 통해 새로움(novelty)을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나와 상대방, 그리고 환경과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행화적 인지에 주목하고 행화적 인지를 뷰포인트 훈련에 접목한다. 우선 행화적 인지의 주요 원리를 ‘움직이는 몸을 통한 지각’, ‘경험’, ‘환경과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의미 만들기’, ‘창조의 과정으로서의 창발성’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이러한 주요 원리가 뷰포인트 배우 훈련의 철학 그리고 토대적 개념과 어떻게 만나는지를 밝힘으로써, 결과적으로 뷰포인트가 ‘움직이는 몸을 통해 지각을 확장하고’, ‘신체적 경험을 통해 인지를 구성하고’, ‘환경 속에서 행동을 통해 의미를 형성하고’, ‘창발을 통해서 창조성을 만들어내는’ 훈련임을 규명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뷰포인트 훈련이 탈텍스트중심주의와 비재현적 공연으로의 연극 환경의 변화 속에서 능동적인 지각과 역동적인 인지를 통해 창조성을 만들어내는 배우 훈련으로의 역할을 해낼 수 있음을 규명한다.

      • KCI등재

        객관적인 관점으로 접근한 역할창조방법 연구 -개방형 인형극을 중심으로-

        김수진,김현희 한국연극교육학회 2023 연극교육연구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ining methods of puppetry actors based on "Puppeting open-ended play", where actors and puppet characters coexist on stage, and to introduce actor training methods through puppetry training that enable actors to create roles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In "Puppeting open-ended play", actors and puppet characters appear together on an open stage, allowing actors to fluidly transform their roles from puppet characters to scene partners. This requires actors to not only possess the skill to handle puppets effectively but also demonstrate exceptional acting abilities to transform into various characters. Among these aspects, actor training with "Puppeting open-ended play" focuses more on the methods of interaction and the psychological techniques of actors. Through the study of the one semester courses in Puppetry at the Saint Petersburg State Theatre Arts Academy and the performance process at the Moscow National Central Puppet Theatre, the researcher confirmed the usefulness of actor training methods utilizing "Puppeting open-ended play" for role creation and objectific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actor training methods and the process of performance utilizing "Puppeting open-ended play" and aim to utilize it as an actor training program for role creation through conducting workshops. 본 연구는 무대에서 배우와 인물인형이 함께 공존하는 개방형 인형극을 토대로 인형극 배우의 훈련방법을 검토하고 인형극훈련을 통해 배우가 객관적인 관점에서 역할창조를 할 수 있는 배우훈련법을 소개하고자 한다.개방형 인형극은 인물인형과 배우가 동시에 열린 무대에서 등장하여, 배우가 인물인형에서 상대배우로 자유자재로 역할을 변화시킨다.개방형 인형극에서 배우는 인형을 훌륭하게 다루는 능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물로 변화될 수 있는 뛰어난 연기력이 요구된다. 그 중에서도 개방된 기법으로 인형과 함께 작업하는 배우훈련은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배우의 심리 기술에 더 많은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러시아 빼제르 국립예술아카데미 인형극학과의 1학기 수업과정과 모스크바 인형극장의 공연화 과정을 통해 개방형인형극을 활용한 배우훈련법은 역할을 창조하고 객관화 하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인형극의 배우훈련방법과 공연화된 과정을 살펴보고 개방형 인형극을 활용한 배우훈련 워크샵을 진행하여 역할창조를 위한 배우훈련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배우의 연기훈련 과정에서 선(禪)의 활용 가능성

        조준희(Joon-Hui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배우들의 연기훈련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잠재의식을 끌어낼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연기방법론에 선 수행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선의 훈련방법은 무의식의 영역을 탐구하기 때문에 배우 훈련과정에서 직관적인 영역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그래서 기존의 연구로 입증된 선의 정신적·심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에서 출발하여, 연극을 전공하는 학생들과 기성 배우들의 연기훈련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선의 훈련방법과 그 타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선의 수행은 뇌과학과 배우의 내면의 세계와 마찬가지로 우리에게 아직도 연구하고 고찰해야 할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신대륙과 같다. 지금까지 입증된 선 수행의 효용성을 바탕으로 연기훈련과정에서 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배우는 무의식을 작동시킬 수 있는 방아쇠를 가질 수 있으며, 집중력 강화를 통해 무대 위에서 존재감을 얻을 수 있고, 정신적·심리적인 장애물들을 극복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뇌의 통합적 사용으로 인한 변형의 기술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가적으로 배우들은 일상생활에서도 선 수련을 통해 정신적·심리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선의 잠재의식 및 무의식의 영역의 훈련방법을 배우의 연기훈련과정에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그를 통한 다양한 실제적인 방법론들에 관한 후속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동양의 독특한 연기훈련방법이 발견될 가능성도 크다. I discussed how the Zen training could be used to previous acting training methods focused on the way draw efficiently sub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the training of actors. It is believed that the practice of the Zen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raining subconsciousness of actors. I examined the validities of the Zen practices which could be helpful to young students and existing actors’ training processes and started from the existing proven analyses of ment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it. It is certain that the practices of Zen is a new continent which has infinite possibilities of analyzing and studying in terms of thinking highly of the Zen and brain science together. If we would utilize the Zen efficiently in the course of training actors, we could achieve four elements: the first, a trigger to operate actors’ subconsciousness, the second, establishing the presence of actors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concentration, the third, overcoming any mental and psychological obstacles, and the fourth, the establishment of transformation skills through the combined use of left and right brains. Additionally, actors could have ment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the Zen practice in their daily lives. I believe that we could also find a unique Eastern actor training way through vigorous and practical following analyses and practices which are based on the Zen tradition for training actors’ sub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 KCI등재

        배우의 무대불안극복을 위한 심리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고찰

        오진호(Jin-Ho Oh)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배우를 대상으로 무대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인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리상담을 실시하여 그 현장 적용의 가능성과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업극단 연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배우 2명을 목적적 표본추출법으로 선정하였다.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크게 5단계 12회기로 구성하였으며, 기초 교육, 호흡 조절법, 점진적 이완법, 집단상담, 심박수 바이오피드백훈련, 자기집중훈련, 루틴훈련, 행동수정 및 자기강화훈련, 심상훈련 등으로 내용화되었다.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과 상담을 적용한 결과, 신체적·인지적 상태불안요인 모두 훈련 적용 전보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내적 변화 역시 긍정적으로 유발되어 무대불안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우의 자기발견, 배우와 배우간의 앙상블, 배우와 관객 사이의 교감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배우의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및 상담은 현장 적용성과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program for actor with considering the ecological validity of social, cultural environment in Korean but also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through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field study to decrease stage-anxiety. The experimental group were 2 actors, who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program to decrease stage-anxiety for actor was composed of five stages, 12times and categorized as orientation, breathing regulation,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heart rate bio-feedback training, self concentration, routine training, behavior therapy & self reinforcement, image training. The effects was examined on stage performance anxiety scal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observation of experts. As the result of applying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to decrease stage-anxiety, cognitive state anxiety, somatic state anxiety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unseling and observation, they were changed affirmative on self confrontation, harmony and rapport between actor and object. This result demonstrated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 counseling to decrease stage-anxiety for actor were effective.

      • KCI등재

        배우의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적용

        홍길동(Kil-Dong Hong),오진호(Jin-Ho Oh),이기호(Ki-H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6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배우를 대상으로 무대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인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리상담을 실시하여 그 현장 적용의 가능성과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업극단 연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배우 2명을 목적적 표본추출법으로 선정하였다.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크게 5단계 12회기로 구성하였으며, 기초 교육, 호흡 조절법, 점진적 이완법, 집단상담, 심박수 바이오피드백훈련, 자기집중훈련, 루틴훈련, 행동수정 및 자기강화훈련, 심상훈련 등으로 내용화되었다.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과 상담을 적용한 결과, 신체적·인지적 상태불안요인 모두 훈련 적용 전보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내적 변화 역시 긍정적으로 유발되어 무대불안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우의 자기발견, 배우와 배우간의 앙상블, 배우와 관객 사이의 교감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배우의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및 상담은 현장 적용성과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program for actor with considering the ecological validity of social, cultural environment in Korean but also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through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field study to decrease stage-anxiety. The experimental group were 2 actors, who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program to decrease stage-anxiety for actor was composed of five stages, 12times and categorized as orientation, breathing regulation,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heart rate bio-feedback training, self concentration, routine training, behavior therapy & self reinforcement, image training. The effects was examined on stage performance anxiety scal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observation of experts. As the result of applying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to decrease stage-anxiety, cognitive state anxiety, somatic state anxiety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unseling and observation, they were changed affirmative on self confrontation, harmony and rapport between actor and object. This result demonstrated the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 counseling to decrease stage-anxiety for actor were effective.

      • KCI등재

        포스트드라마 시대에 따른 배우의 몸 훈련의 방향성, ‘비우기(empty)’

        라경민(Kyung-Min Ra)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8

        오늘 날, 이른 바 ‘포스트드라마(post-drama)’ 시대로의 전환은 연극의 중심으로 여겨졌던 텍스트(text)의 변화와 배우 역할의 확장을 가져왔다. 텍스트의 고정된 세계가 중심이 되는 전통적인 드라마 연극에서의 배우는 등장인물의 세계를 진실하게 표현해야 하는 의무를 부여받는다. 그러나 포스트드라마 시대로 접어든 이후, 배우는 더 이상 텍스트의 고정된 의미를 해석하여 ‘전달’ 하는 존재가 아니라 관객을 만나는 ‘지금, 여기’에 유효한 의미를 ‘생산’ 하는 존재로 탈바꿈한다. 즉, 통일성과 종합성을 지니는 완성된 작품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 전통적인 배우, ‘actor’의 역할이었다면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배우는 스스로 내러티브의 주체가 되어 다양한 연극언어를 창조할 수 있는 ‘performer’로서 역할이 확장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근간을 이루고 있는 텍스트를 통한 언어 중심(verbal-centered) 연기교육은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동시대의 연극성을 충족시키지 못하며 교육과 현장의 괴리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연구자는 위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탈(脫)언어 중심 연기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며 ‘비우기(empty)’ 측면을 중심으로 배우의 몸 훈련에 대해 조명하고자 했다.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배우의 몸은 텍스트에 종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언어이다. 기호적 의미를 생산하는 것에 억압받지 않고 현상 그 자체로 인식되며 관객의 감각에 즉발적으로 지각되는 현존의 언어이다. 따라서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몸 훈련은 ‘채우는 것’ 보다는 ‘비우는 것’을 통해 개방성, 즉흥성을 습득해야 한다. 이에 연구자는 예지 그로토프스키(Jerzy Grotowski), 피터 브룩(Peter Brook), 자크 르콕(Jacuques Lecoq)을 중심으로 ‘비우기’ 측면에서의 몸 훈련을 비교분석했다. 공통적으로는 현존을 위해 개방된 몸의 상태를 강조했으며, 그로토프스키는 ‘역동성’을 브룩은‘섬세함’을 르콕은 ‘즉흥성’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였다. 위 같은 사례를 통해 포스트드라마 시대에 따른 몸 훈련의 방향성으로서 ‘비우기’가 의미하는 바에 대해 ‘기술을 반복, 습득하기 위함이 아닌 현존을 위해 비워진 상태’, ‘오브제(object) 등 탈(脫)언어적 요소와 결합을 위해 준비된 상태’ 등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는 텍스트의 대리 전달자가 아닌 내러티브의 주체적 자아로 거듭난 ‘퍼포머’를 지향하는 배우훈련임을 강조했다. 이에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연기교육은 텍스트와 언어의 억압으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특히, 몸 훈련의 경우 배우의 고정된 상태를 만들어 내는 채우기에서 벗어나 다양한 연극언어와 결합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비우기’를 지향해야 함을 주장하며 본고는 마무리 된다. Today, the transition to the era of “post-drama” brought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ext, which was considered the center of the play, and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actors. After entering the post-drama era, the actor no longer transforms himself into “delivering” the fixed meaning of text, but “producing” the valid meaning of “now, here” meeting the audience. In other words, actors in the post-drama era have expanded their roles as “performers” who can become the subject of narratives themselves and create various theatrical languages.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actor"s role, verbal-centered actor training through text, which still forms the basis of acting education, does not satisfy the newly changing contemporary theatricality and creates a gap between education and the field. Therefore, the researcher argued that non-verbal-centered acting education needs to be discussed, and highlighted the actors" physical training on the “empty” side. The researchers first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theater people"s training methods from an “empty” perspective. Based on this, researchers about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the training “empty”. Furthermore, the study concludes with an emphasis on the direction of acting education in the post-drama era, which is free from language that can respond to stimuli and interact freely.

      • KCI등재

        배우의 자발적 상태에 관한 재고 - 훈련과 교육의 가치 탐구를 중심으로 -

        손봉희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6 No.2

        This thesis aims to redefine the meaning of the performer’s spontaneity and pay attention to the reality of the ‘preparatory work' (training/study) by means of a prerequisite quality for contemporary student-actor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e significance of these principles in the contemporary acting/performer training. To this e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cept of an ‘armed body’ that inhibits the clos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performers and the phenomenon derived from it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In particular, by rethinking the various approaches and practices of Johnston, Moreno, Alexander and contemporaneous (acting) leaders, who particularly pay attention to the voluntary state of human beings/performers. I would like to (re) illuminate the limitations of ‘old-fashioned education’ that goes back to activeness and spontaneity. As an alternative way(s) to escape from the outdat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limate dotted with so-called oppression, damage, and armed forces, it is a discussion about the necessity of life/art activities that pursue values rather than life/art activities that pursue functions on the trajectory of a strategic location. Based on the points discussed above, this thesis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path for human/performers to find a path to enter into a voluntary state is triggered by an attempt to negate the secular circuit deep inside, that is, a body free from personal habits. In other words, the voluntary body/state of a person/performer is based on the premise of the person/performer’s direct experience, and the principle that the ‘unpredictability' expressed here corresponds, conforms, and/or proportion with the ‘sincerity’ of the person/performer derive the result-oriented ‘consciousness of purpose’ embedded in the consciousness circuit causes psycho-physical dissonance of humans/performers, and again, it is inevitably faced with a huge wall of consciousness that is rigid or fixed, the self that refuses to chang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developing and reinforcing the essential principles and their applicability of the human/performer’s voluntary state. 이 연구는 배우의 자발성이 함축하는 본의를 살펴보고 이러한 상태에 이르기 위한 선결 조건으로써 오늘날 학생-배우들에게 요구되는 사전 준비(훈련/공부)과정의 중요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발성에 내재한 원리가 동시대 연기예술 훈련 및 교육 과정에 있어 시사하는 가치와 그 의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인간/배우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무장된 몸’에 관한 개념과 여기서 파생되는 다양한 현상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인간/배우의 자발적 상태에 주목하는 존스톤, 모레노, 알렉산더 및 동시대 (연기) 지도자들의 관점 및 접근 과정을 재고함으로써 능동적/자발적 상태와 역행하는 ‘구식 교육’의 한계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른바, 억압, 손상, 무장, 무관심 등으로 점철된 구식 교육의 풍토로부터 탈피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기능’을 추구하는 방향이 아닌 ‘전략적 위치’의 궤도 위에서 ‘가치’를 추구하는 삶/예술 활동의 필연성에 관한 논의로 확장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인간/배우가 자발적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통로를 모색하는 길은 개인의 습관으로부터 자유로운 몸, 즉 내면 깊숙이 자리하고 있는 세속적 회로를 부정하고 덜어내기 위한 실질적인 시도에서 촉발된다는 사실에 무게를 둔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간/배우의 자발적 상태는 몸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적 경험을 전제로, 여기서 발현되는 ‘비예측성’이 그 인간/배우의 ‘진정성’(sincerity)과도 부합, 비례한다는 원리를 도출한다. 인간/배우의 의식 회로에 내장된 결과 중심의 ‘목적의식’은 심리-신체적 부조화를 초래하며, 다시금 경직되거나 고정된 틀 속에서 변화를 거부하는 자기라는 거대한 의식의 벽과 마주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 연구가 배우의 자발적 상태에 관한 본질적 원리 및 그 적용 가능성을 보다 발전시키고 강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초석으로 작용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