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차배열 변환기를 이용한 복합 위상배열 초음파 영상화 기법: 영상화 알고리즘 및 이중 선형 영상

        박춘수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9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39 No.1

        Ultrasonic phased array imaging has been primarily developed to visualize defects inside structures. The phased array images are used as results of phased array ultrasound testing(PAUT). Conventional PAUT generally needs an array transducer that has a single resonant frequency. Nowadays, many kinds of materials are used as various structural components, and they need appropriate frequencies for PAUT depending on each material. In addition, nonlinear PAUT has been newly proposed to see defects hidden from linear PAUT. These recent trends led us to develop multiple phased array ultrasonic imaging. The multiple phased array imaging needs an inter-leaved array transducer composed of two different resonant frequencies. An element of a resonant frequency is placed between another element of the other frequency. The multiple phased array imaging can provide two linear images and two nonlinear images by using each transmitting-receiving combination. Two linear phased array images are obtained by each resonant frequency, and two nonlinear phased array images are made up of higher-harmonic image and sub-harmonic image. A multiple phased array imaging scheme is introduced, and the imaging algorithm is explained especially for linear imaging. Computer simulations confirm that the proposed method successfully shows two linear phased array images compatible with the conventional total focusing method images. Finally, experiments with a reference block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and the inter-leaved array transducer fabricated work well for dual linear phased array imaging. 초음파 위상배열 영상은 재료 내부의 결함 상태를 영상으로 보여주는 비파괴검사 기법 중 하나이다. 기존의 위상배열 영상화 기법은 하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배열 변환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얻는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교차배열 변환기는 2개의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압전소자를 교차로 배열한 하나의 배열 변환기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는 검사하고자 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기존의 단일 주파수 배열 변환기 보다 다양한 상황에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선형 위상배열 영상으로는 관찰할 수 없는 결함 관찰이 가능한 비선형 영상화 기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복합 위상배열 초음파 영상화 기법은 교차배열 변환기를 통해 획득된 신호를 이용하여 두 개의 선형 위상배열 영상과 두 개의 비선형 위상배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선형 위상배열 영상은 각각의 공진 주파수 소자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비선형 위상배열 영상은 비선형 고조파 영상과 비선형 저조파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위상배열 초음파 영상화에 대한 개념과 영상화 알고리즘에 대해 소개하고, 전산모사 실험을 통해 선형 영상화 알고리즘을 검증한다. 그리고, 제작된 교차배열 변환기를 이용하여 이중(dual) 선형 위상배열 영상 획득 결과를 관찰하였다.

      • KCI등재

        재무상태표의 배열과 기업특성

        손혁(Shawn, Hyuk) 한국국제회계학회 2014 국제회계연구 Vol.0 No.58

        본 연구는 2011년부터 도입된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보고방식의 차이에 주목하였다. 국제회계기준에서는 재무상태표 작성시 유동성배열 및 역유동성배열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국제회계기준에서 강조되는 개념은 원칙 중심(principle-based) 회계처리로, 이는 경영자가 기업의 산업 및 환경에 맞추어 그 실질을 외부정보이용자에게 잘 전달할 수 있도록 경영자의 재량권을 확보하기 위함일 것이다. 하지만 경영자는 자신의 유인(incentive)에 의해 국제회계기준에서 부여한 재량권을 이용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에서 부여한 재무제표의 재량성 있는 배열 및 보고방식이 기업특성과 보고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먼저 역유동성배열방식으로 재무상태표를 작성하는 기업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 기업들은 주로 전체 자산에서 설비자산의 비중이 크고, 부채비율이 낮으며 파산위험이 유의하게 작다는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K-IFRS에서 허용한 재무상태표의 배열방식의 차이가 기업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기업의 실질을 보여주고자 하는 유인과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하여 보여주고자 하는 경영자의 의도가 혼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재무제표의 배열 방식이 기업의 특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외부정보이용자들은 인지해야 하며, 주어진 정보를 판단할 때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암시한다. Companies listed in Korean stock market have adopted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K-IFRS) since 2011. K-IFRS allow for a variety of reporting methods for financial reporting. Unlike the past Korean local GAAP(K-GAAP) that allowed for only the current arrangement method in the statements of financial position, K-IFRS allow for both the current and non-current arrangement method. In other words, K-IFRS grant the choice between the arrangement methods to allow the managers to express the substance of their companies more fully. The managers, however, may use their discretion granted by K-IFRS for their own incentives(Francis and Wang 2008; Ball 2009). After the adoption of the K-IFRS, some companies started to announce their assets and debts in the non-current arrangement method. The difference in the reporting methods comes from the attempts that companies make to show their substance better. It may correspond to the purport of the K-IFRS, but it is possible that discretion granted by the incentives of the managers will be used at the same time. Thus, I focu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different reporting methods. That is, I investigate whether the differences in the arrangement methods w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reporting. I identify a series of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that used the non-current arrangement method for their characteristics. I find that the companies have high percentage of plant and equipment assets in the total assets, low debt ratio, and significantly low bankruptcy risk. It means that the companies emphasize the relative substantiality of their capital by presenting their biggest assets first. This result suggests that managers want to give a positive aspect to information users by using their arrangement method. This result also indicates that information users pay further attention to given information for better making-decision.

      • KCI등재

        색각 능력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전산화된 다중 15-색상 배열 검사법

        고성택,홍성철,최민주,Ko S.T.,Hong S.C.,Choi M.J.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0 의공학회지 Vol.21 No.3

        색상 배열 검사법은 기준 색편을 시작으로 다수의 색편을 가장 유사한 것들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하도록 하여 피검사자의 색각 능력 (색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색각 능력을 신속히,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다중 15-색상 배열 검사법을 구성하여 PC에 구현하였다. 검사의 난이도는 인접한 색편간의 색상 차 (CDBACC: color difference between adjacent color chips)의 크기로 조정하였다. CDBACC는 국제조명 위원회에서 추천한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DBACC가 0.75, 1.1. 1.8, 2.5. 3.5, 7.5. 11, 14의 값을 가지는 8단계 난이도의 색상 배열 검사법 (test 3-10)과 빨강, 녹색, 청색의 채도 변화를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15 개의 색편을 구성한 3 가지 기본색 배열 검사법(test 11(R), 12(G), 13(B))을 설계하였다. PC에 구현된 다중 15-색상 배열 검사의 평가를 위해 이시하라식 검사법으로 색맹인 아닌 30 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피검사자의 색상 배열 정확도는 CDBACC가 2 - 4.5인 영역에서 급격히 변하고 있으며, CDBACC 값이 5 이상에서는 대부분의 피검사자들이 오차 없이 색편을 배열한 반면, 2 이하에서는 아무도 정확히 색편을 배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색배열 검사 (CDBACC : 6.87. 7.27. 7.86)에서는 CDBACC가 5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색편 배열에 대한 매우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색력의 척도라 할 수 있는 피검사자의 색편 배열 정확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검사의 색상 차의 평균값은 3으로 나타났으며, 이때의 ERCCA (error rate of color chips arrangement)은 $20\%$로 나타났다. 븐 연구에서 PC에 구현한 다중 15-색상 배열 검사법은 피검사자의 색각 능력을 신속히 세밀하게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경제적인 도구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후천성 색각 이상을 유발하는 질환 (예 diabetes, glaucoma)을 집단 검진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ultiple 15-hue tests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on a PC in the study so as to quickly and quantitatively evaluate color vision acuity. Difficulty of the test was control)ed by the value of CDBACC (color difference between adjacent color chips) calculated using a CIELAB formula. The multiple 15-hue tests consist of eight of the hue tests (test 3-10) and three of the basic color (red, green, blue) tests (test 11-13). The 15 colors used for the hue tests were specified by the 15 color coordinates that were located at a constant distance (d = 2. 3. 5. 7, 10, 20, 30. 40) from white reference in the CIE chromaticity coordinate system and were separated by a constant color difference (CDBACC = 0.75, 1.1, 1.8. 2.5. 3.5. 7.5. 11, 14) from the adjacent chips. The color coordinates for the 15 chips for the basic color tests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15 points spaced equally by a constant color difference (6.87 for the green color test. 7.27 for the red color test, 7.86 for the blue color test) from the white reference along the axis of red, green and blue. Thirty normal subjects who were not color blind were taken to undergo the multiple 15-hue tests. It was observed that most of the subjects correctly arranged color chips for the tests with CDBACC greater than 5, whereas no one correctly answered for those with CDBACC less than 2. Rapid changes in the number of the subjects correctly arranged took place when CDBACC of the tests was between 2 and 4.5. In the basic color tests, unlike the hue tests having similar values of CDBACC, it was seen that the subjects arranged color chips even less correctly. It was found that JNCD (just noticeable color difference) - a measure of color vision acuity was about 3 in average for the subjects. The JNCD was chosen as the value of the CDBACC of the test for which about $50\%$ of the subjects failed to successfully arrange color chips. ERCCA (error rate of color chips arrangement) for the test with CDBACC the same as the JNCD was shown to be about $20\%$. It is expected that the multi 15-hue tests implemented on a PC in the study will be an economical tool to quickly and quantitatively evaluate color vision acuity and, accordingly, the tests can be used for early diagnosis to massive potential patients suffering from diseases (ex. diabetes, glaucoma) which may induce changes in color vision acuity.

      • KCI등재

        Effect of Fixed Array AAC Graphic Symbols on Sentence Construction

        신상은(Sang eun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2

        배경 및 목적 : 격자 레이아웃 기반의 AAC 디스플레이가 임상현장에서 높은 활용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그림상징의 고정된 배열이 주는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거의 않다. 본 연구는 복합적인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근거 기반의 AAC 중재를 제공하고자 문장구성 과제를 통하여 상징의 고정배열이 주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20대와 30대로 구성된 32명의 정상성인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에게 고정배열 조건과 비고정배열 조건에서 주어진 문장에 해당되는 그림상징들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25개의 자극어는 명사-부사-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으로 구성하였으며 두 조건에 동일하게 사용되었다. 피험자들의 과제수행은 정반응수와 반응시간을 중심으로 비모수통계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두 배열 조건 모두에서 높은 정반응이 보였으나 반응시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정배열 조건에서 유의하게 더 빠른 반응을 보였으며 이는 그림상징의 선택 순서와 상관없이 일관되게 비고정배열 조건보다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노출되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두 배열 조건에서 피험자들의 반응이 유의하게 빨라졌으나 상관관계는 비고정보다 고정배열 조건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AAC 시스템에서 일련의 상징들을 선택 및 결합하여 문장을 구성할 때에 고정된 상징 배열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경험적 자료를 제공한다. 아울러 고정배열이 상징의 위치를 회상해내는 데에 필요한 인지적 부담을 감소시켜 전반적인 의사소통 속도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Objectives : Despite the dominant use of grid-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displays, the effect of fixed array of graphic symbols has not been thoroughly studied, which makes it challenging for clinicians to provide evidence-based AAC intervention to individual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The curr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ixed array symbols on sentence composition. Methods: Thirty-two healthy adults between 20 to 30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asked to locate three symbols in a fixed array condition and a non-fixed array condition for 25 identical noun-adverb-verb target sentences. The difference in accuracy and response time was analyzed by using a non-parametric two-related samples test and a Spearman correlation test. Results: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faster responses in the fixed array condition than in the non-fixed condition. Regardless of the selection order, participants located symbols faster in the fixed array condition. As the number of exposures to the located symbols increased, the total selection time in the fixed array condition decreased moderately.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 the idea that a fixed array condition may facilitate locating a sequence of graphic symbols in an AAC system by reducing cognitive load in recalling the location of target symbols.

      • KCI등재

        KEAD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 개발 연구

        전병진,박경영,임승건,정승원,이기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분류-배열 능력을 평가하는 Korea Employment Agency forthe Disabled(KEAD)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도구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우선, 장애, 직업재활, 직업평가, 작업표본검사, 분류-배열작업과 관련한 이론 및 국내외 관련 연구 검토하였고, 직업재활 및 직업능력평가와 관련된 전문가 집단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 현황 파악 및 도구개발 제안사항을 조사하였다. 문헌연구, 현장조사 및 사용자 대상 면담조사, 자문회의와 연구진 회의를 통해 검사도구의 형태, 검사 매뉴얼을 완성한 후 도구의 예비제작과 수정과정을 거쳐KEAD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를 제작하였다. 이 후 일반인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평가를실시하여 검사실시방법과 검사결과해석에 대한 매뉴얼을 수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KEAD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 항목으로 단순분류, 복합분류, 배열(크기, 길이,숫자, 문자), 복합배열(한글과 숫자 혼합)이 포함되었으며,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결과 단순분류와 복합분류는 검사자간 피어슨 상관계수가 높았으며, 배열 항목의 신뢰도는검사자간 일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 타당도 검증에서단순분류와 복합분류는 모두 분류라는 1개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크기와 길이, 문자와 숫자, 복합배열의 총 3개의 항목 마찬가지로 배열이라는 1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분류 항목의 경우에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와의 상관계수를 통해서 기준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비구조화와 구조화 모두에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분류·배열 능력을 포함한 KEAD 작업표본검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되어 향후의 분류-배열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KEAD Worksample test includingcategorization and arrangement function and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tool. Method: We searched thesis and books, scientific treatise related to disabled, occupationalrehabilitation, job evaluation, worksample test, categorization and arrangement with literatureresearch. Second, we examined present condition and various opinions about tool developmentin-depth interview with the specialist related to occupational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ability evaluation. Third, we made worksample test including composition of test items, testadministration, test scoring system, a general design of test. We reflected various aspect ofworksample te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spot inspection and interview with user,advisors meeting and researchers meetings. Fourth, we made the preliminary manufacture ofthe tool and undergone modifications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tool. and then user’smanual was made. Results: The KEAD Worksample test developed by this research was established highinterrater reliability in all caterogization and arrangement items. Next, for construct validitywe perform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we confirmed that two factorsmodel was valid for simple categorization and complex categorization test and three factorsmodel was valid for arrangement items in Goodness-of-fit model. Third, for thecriterion-related validity we established that KEAD arrangement worksample test had moderatecorrelation with structured Riska sub-item and unstructured Riska sub-item of LOTCA. Conclusion: The KEAD worksample test including categorization and arrangement function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tool had been established. we will look forward to having clinical utility of this tool inoccupational ability evaluation.

      • KCI등재

        빔형성 위성 시스템의 동심원 배열 안테나에 대한 도래각 추정 성능 분석

        김태윤(Tae-Yun Kim),Dongbin Lee,황석승(Suk-Seung Hwa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20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5 No.4

        The phased array antenna has an advantage enabling rapid beam aim without the mechanical rotation of the antenna, because it arranges multiple elements in a linear or planer (grid or circular) and electronically controls the phase for each element. The planar array antenna is generally used a grid array and a circular array, and the circular form has the higher resolution comparing to the grid form due to the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However, a concentric circular array (CCA) or a concentric ring array (CRA) with multiple circular arrays which each has different radius is used in the limited area, because the entire radius should be increased for the circular array with a number of elements.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angle-of-arrival (AOA) estimator for an adaptive beamforming satellite system based on CRA and provide the simulation results for performance evaluation. In addition, simulation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the case for the circular array antenna. 위상 배열 안테나는 다수개의 안테나 소자를 선형 혹은 평면(격자형 혹은 원형)으로 배열하여 각 소자에 대한 위상을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안테나의 기계적인 회전 없이 빔의 신속한 지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평면 배열 안테나는 주로 격자형 배열과 원형 배열을 사용하는데, 원형 배열이 구조적 특성상 격자형에 비해 높은 분해능을 가진다. 그러나 많은 요소를 사용하는 원형 배열의 경우 전체 배열의 반지름이 증가되어, 제한된 면적에서는 반지름이 각기 다른 다수개의 원형 배열을 가지는 동심원 배열(CCA : Concentric Circular Array or CRA : Concentirc Ring Array)을 사용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동심원 배열 안테나를 적용한 적응 빔형성 위성 시스템에서의 도래각 추정기를 소개하고 성능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원형 배열 안테나를 적용한 경우와의 성능을 비교/분석한다.

      • KCI등재

        한글 子音字 배열의 역사적 변천과 그 수정의 필요성

        김미미 국어사학회 2012 국어사연구 Vol.0 No.14

        본고는 한글 子音字 배열 순서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현행 맞춤법 규정인 「한글 맞춤법」(1988, 문교부 고시 제88-1호)에 제시된 한 글 子音字 배열 순서의 적절성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를 위하여 우선 『訓民正音』(1443)에서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에 이르기 까지 한글 子音字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자료들 가운데 특징적인 몇몇 자료 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행 맞춤법 규정에 제시된 子音字 배열은, 시대의 흐름과 함께 발생했던 문자 상의 몇몇 변화가 子音字 배열의 전체적인 수정 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관습을 핑계로 부분적인 수정만 가해져 왔던 까닭에, 그 순서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일정한 원리가 부재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현행 子音字 배열을 표면적으로 보면 마치 子音의 발성 자질에 따라 ‘[-기식성]’인 것을 먼저 배열하고 ‘[+기식성]’인 것을 나중에 배열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배열 기준은 결과론적인 것이며, 그 과정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결국 「諺文字母」의 배열 기준이 적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 만 현대 국어의 정서법은 형태주의를 기본으로 삼고 있으며 ‘ㅊ, ㅋ, ㅌ, ㅍ, ㅎ’을 初聲字와 終聲字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관습적인 배열 방 식이 더 이상 가치를 가지지 못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배열 순서는 그대로 남게 되면서, 현행 子音字의 배열이 마치 ‘[-기식성]-[+기식성]’과 같은 순서를 따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 子音字 배열에 대한 수정의 필요성을 말하고 그 수정 방향의 한 가지로서 각 子音字의 소리 가 만들어지는 발음 기관의 순서에 따른 배열에 대해 언급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study historical changes of Hangul 子音字 arrangement and points out some problems with the array suggested in 「The rules of spelling of Hangeul」(1988, Official Notice of Education Department, No. 88-1). For this purpose, I checked the various materials from 訓民正音 (1443) to 「A draft for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which are remarkable for this study. As a result, there is no certain principle that we can explain the current array of consonants clearly. Furthermore the order of ‘牙-舌-脣-齒-喉’ hardly have the educational effect any more. Therefore, I think that the 子音字 array need to be adjusted to provide some meaningful linguistic information of each phoneme and the reasonable 子音字 array criteria.

      • KCI등재

        저주파 대역에서 좌/우 구분이 가능한 지향성배열센서 구조 및 신호처리 기법

        김대경,배은현,전상태,김태환,Kim, Dae-Kyung,Bae, Eun-Hyon,Jeon, Sang-Tae,Kim, Tae-Hwan 한국음향학회 2018 韓國音響學會誌 Vol.37 No.4

        본 논문은 기존 선배열센서에서 발생하는 좌/우 구분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해 저주파 대역에서 좌/우 구분이 가능한 지향성배열센서 구조 및 신호처리 방안을 제안한다. 지향성배열센서는 기존 음향배열센서에 지향성을 가지는 DIFAR(Directional Frequency Analysis and Recording)배열센서를 추가 확장한 선배열센서 구조이며, 음향배열센서의 빔형성 결과와 DIFAR배열센서의 빔형성 결과를 융합/처리하는 신호처리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지향성배열센서는 좌/우 구분이 가능한 기존의 이중 선배열센서와 비교하여 낮은 신호 대 잡음비 및 저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좌/우 구분 성능을 나타낸다. A new directional linear array structure and its signal processing method are presented to resolve the left/right ambiguity inherent in a linear array. The array structure combines an ordinary acoustic sensor array with a DIFAR (Directional Frequency Analysis and Recording) sensor array, keeping a linear array configuration and gaining a instantaneous left/right discrimination. It presents better PSRR (Port-Starboard Rejection Ratio) in low frequency band and low SNR (Signal to Noise Ratio) situation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twin linear array, and good compromise to easily upgrade an existing linear array system to a new one with a left/right discrimination capability.

      • KCI등재

        각막 실질 콜라겐섬유의 배열구조에 따른 광투과율 분석

        이명희,김영철 대한시과학회 2018 대한시과학회지 Vol.20 No.4

        Purpose : The size and regular array of the collagen fibers in the corneal stroma have very close correlation with transparency.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light transmittance according to the array structure and collagen fiber layer thickness. Methods : The collagen fibers in corneal stroma were arranged in regular hexagonal, hexagonal, square and random shapes with OptiFDTD simulation software, and the light transmittance was analyzed. In square array, the light transmittance according to the density change was confirmed by when the number of collagen fibers in the simulation space was the same and the light transmittance was examined when the number and density of collagen fibers were changed. Results : When the number of collagen fibers is the same, the density becomes smaller and the thickness of the fibrous layer becomes thicker in order of arrangement of square, regular hexagonal, random and hexagonal.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light transmittance by changing the array structure, the light transmittance measured at the detector at the same position was almost similar regardless of the array structure. In the detectors D0, D1, D2 and D3, the maximum transmittance is shown in square, hexagonal and square, regular hexagonal and regular hexagonal array structure, and the minimum transmittance is hexagonal, random, hexagonal and square, and square array structure. However, the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transmittance and the minimum transmittance was almost the same within 1%. When the number of collagen fibers was the same,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rectangular array structure decreased with increasing fiber layer thickness. And as the thickness increased, the light transmittance decreased more when the number of collagen fibers decreased. Conclusion : Even though the collagen array structure changed, the light transmittance is almost similar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structure. However, as the array structure was changed, the thickness of the collagen fiber layer changed, and as the thickness increased, the light transmittance decreased. In other words, the transparency of the corneal stroma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thickness of the fibrous layer than the array of collagen fibers. 목적: 각막실질 내 다발 구조로 이루어진 콜라겐섬유의 크기와 규칙적인 배열은 투명성과 매우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배열구조 및 콜라겐섬유층 두께에 따른 광투과율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OptiFDTD로 각막실질 내 콜라겐섬유를 정육각형, 육각형, 사각형 및 자유형으로 각각 배열하였고 이에 따른 광투과율을 분석하였다. 사각형 배열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공간상에 있는 콜라겐섬유의 개수가 동일할 때 밀도변화에 따른 광투과율을 확인하고 콜라겐섬유의 개수와 밀도가 변화할 때 광투과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콜라겐섬유의 개수가 동일할 때 사각형, 정육각형, 자유형 및 육각형의 배열구조 순서로 밀도가 작아지고, 섬유층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배열구조를 변화시켜 광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동일한 위치의 검출기에서 측정된 광투과율은 배열구조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하였다. 검출기 D0, D1, D2 및 D3에서 각각 사각형, 육각형과 사각형, 정육각형 및 정육각형 배열구조에서 최대투과율로 나타났으며, 육각형, 자유형, 육각형과 사각형 및 사각형 배열구조에서 최소 투과율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대 투과율과 최소 투과율의 차이는 1% 이내로 거의 유사하였다. 콜라겐섬유의 개수가 동일할 때 사각형 배열구조에서 밀도변화에 따른 광투과율은 섬유층 두께가 증가할수록 광투과율은 감소하였다. 또한, 두께가 증가하면서 콜라겐섬유의 개수가 감소하였을 때 광투과율이 더 많이 감소하였다. 결론: 콜라겐 배열구조가 변화하여도 광투과율은 배열구조와 관계없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배열구조의 변화에 따라 콜라겐섬유층의 두께가 변화하였고, 두께가 증가할수록 광투과율이 감소하였다. 즉, 광투과율은 배열구조보다는 콜라겐섬유층의 두께와 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변칙 분해 배열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박우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5

        현대 디자인의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다양한 방법론이 필요하다. 특히, 타이포그래피에서는 입체와 가상의 공간, 웹과 모바일 등의 새로운 차원과 매체, 변화하는 사회적 상황에 적합한 타이포그래피 배열에 대한 연구와 제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타이포그래피의 ‘배열’을 바탕으로 보편적인 분해의 방식에서부터 이탈한 (1) 변칙 분해 배열의 방법을 제안하고, (2) 타이포그래피 측면에서의 의의를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1) 타이포그래피의 배열, 규칙, 변칙, 분해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2) 연구자가 2010년부터 현재까지 단계적으로 시도한 작업들을 순서대로 분석한 후, (3)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타이포그래피 배열 방법으로서 ‘변칙 분해 배열’의 의의를 도출한다. 타이포그래피의핵심 원리는 배열이다. 배열은 엄격한 규칙을 바탕으로 하지만,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배열은 다양한변칙과 불규칙의 실험을 통해 발전되고 있다. 타이포그래피의 배열은 분해와 조립의 순서로 진행된다. 연구자는 변칙적 분해에 초점을 맞춘 한글 타이포그래피 작품들을 십여년에 걸쳐 실험하였다. 작품은대부분 사회적 이슈와 관련한 내용이며, 이미지 등의 요소없이 한글 텍스트로만 이루어져 있다. 변칙분해 배열의 주요 특징은 정보의 문법 구조를 흐트려놓음으로써 우연히 만들어지는 배열의 형태에 주목하는 것이다. 또, 한글 타이포그래피 배열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실험이기도 하다. 작품 분석 결과로부터 발견한 변칙 분해 배열의 타이포그래피적 의의는 (1) 변칙 분해 배열 방식 제안 (2) 숨겨진조형성 획득 (3) 한글의 문자 특성을 이용한 배열 (4) 독자의 주목성 획득을 통한 메시지의 강조 등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