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언에 유입된 외래어에 대한 연구 - 『우리말샘』의 표제어를 중심으로

        장승익(Jang, Seungick)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4 No.-

        이 글은 방언에 유입된 외래어의 양상을 『우리말샘』에 실린 표제어를 중심으로 확인해 보고 이를 토대로 방언 외래어의 설정 기준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각 방언의 어휘에 고유어나 한자어가 있는 것처럼 외래어가 있는 것 또한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그런데 방언 외래어에 대한 관심은 고유어나 한자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방언 어휘를 모아 편찬하는 방언사전에서도 외래어는 극히 일부만 올라가 있다. 2장에서는 『우리말샘』에 올라가 있는 방언 외래어의 자료적 성격을 정리하였다. 방언 항목 중 어원 정보가 있는 것(한자어 제외)을 찾아 288개의 외래어를 추출하였다. 방언 외래어의 품사는 대부분 명사였다. 그리고 어원으로는 일본어, 영어, 중국어의 순이었다. 이때 영어계 외래어도 대부분 일본을 거쳐 들어온 것이기 때문에 방언 외래어의 거의 대부분을 일본어계가 차지하였다. 그리고 방언 지역마다 지리적, 역사적인 이유로 유입된 언어가 달리 나타나기도 하였다. 3장에서는 국어 외래어의 기준을 설정하는 ‘동화의 조건’, ‘쓰임의 조건’이 방언 외래어에는 어떠한 식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동화의 조건으로는 ‘1)해당 방언의 음운 현상 반영, 2)과도교정형 출현, 3)새로운 단어 형성, 4)의미 분화, 5)다양한 변이형 존재’와 같은 5가지 조건을 제시하였다. 쓰임의 조건으로는 ‘1)지리적으로, 해당 방언 전역에서 쓰이는 것, 2)사회적으로 노년층 자료, 3)시간적으로 30년 이상의 편차를 보이는 복수의 방언 자료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은 3가지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a study of loan-words in dialect. There are loanwords just as there are native and sino-Korean in each dialect vocabulary. However, interest in loan-words in dialect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at in native or sino-Koreans. Even in dialect dictionaries, loan-words are only partially listed. Therefore, in Chapter 2, we searched for loan-words in dialect in Urimalseam and extracted 288 words. These were mostly nouns. Many words were borrowed from Japanese. Most of the loan-words in English also came via Japanese. Thus, most of the loan-words in dialects came from Japanese. In Chapter 3, we set the criteria for setting the range of loanwords in dialects. First, there are five conditions for assimilation. 1) Reflections of phonological phenomena in the dialect, 2) Existence of hypercorrection type, 3) Forming a new word, 4) Meaning changing, and 5) Existence of various variants. Next, there are three conditions of using loan-words: 1) Any loan-words identified in the dialect, 2) The data surveyed by the elderly, 3) Words found in both sets of data with a 30-year gap.

      • KCI등재

        《西蜀方言(Western Mandarin, Or the Spoken Language of Western China)》(1900)의 편찬 배경과 기초 방언에 대한 재고찰

        노혜정 한국중국어문학회 2021 中國文學 Vol.109 No.-

        This paper discusses Western Mandarin; Or, the Spoken Language of Western China: With Syllabic and English Indexes (西蜀方言), published in 1900 and written by Adam Grainger (?–1921), an English missionary belonging to the China Inland Mission. After Grainger wrote about Southwest Mandarin in the late 19th century, scholars reconsidered the basic dialect based on the background of his compilation and the lif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Westerners’ research on Southwest Mandarin and the background of Grainger’s Western Mandarin (西蜀方言), comparing several continuing controversies on the basic dialect and revealing new findings on the author’s life in China and the compilation’s background.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Grainger lived in Chengdu for 30 years while compiling his book, this study’s researched showed this to be incorrect. In fact, he had lived in Guanxian (灌县) for at least 6 years before moving to Chengdu, and lived in Chengdu 20 years after publishing his book, which might explain some of his explanations of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alects of the western Sichuan region. 본 연구는 영국 출신 중국 내지 선교회(China Inland Mission) 소속 선교사 Adam Grainger(?-1921)가 19세기 말 西南官話를 기록한 《西蜀方言(Western Mandarin, or the Spoken Language of Western China)》(1900)(이하 《西蜀方言》)에 대해 편찬 배경과 저자의 생평 등에 대해 재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淸末民初 서양인의 西南官話 연구 현황과 《西蜀方言》의 편찬 배경에 대해 살펴본 후, 《西蜀方言》의 저자, 책의 구성과 음운 체계를 소개하고, 기초 방언에 대한 기존 여러 논쟁에 대해 비교한다. 여러 논쟁의 주요 쟁점은 Grainger가 30년간 成都 거주하며 《西蜀方言》를 편찬하였다는 전제 아래, 《西蜀方言》에 나타나는 음운특징 중 입성과 권설음의 존재, 첨단음의 구분 등 주요 음운특징에서 成都話가 아닌 四川 서부 지역 방언의 특징 나타나는지에 대한 해석 차이이다. 본고는 기초 방언에 대한 여러 논쟁의 전제인 저자의 생평에 오류가 있음을 지적하고,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발견한 저자의 생평과 편찬 배경을 제시하여《西蜀方言》의 기초 방언 연구에 대한 새로운 근거를 제공하였다. 우리는 지금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은 Grainger의 중국에서의 생애에 대해 더욱 많을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었는데, 기존 연구에서 전제로 한 Grainger가 30년간 成都 거주하며 《西蜀方言》를 편찬한 것은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 본고가 새롭게 발견한 관련 기록에 근거하면, 저자인 Grainger는 1900년 상해에서《西蜀方言》을 출판하기 수년 전인 1895년 이전부터 출판 후인 1901년까지 灌县에 거주하며 현지 언어를 수집, 정리하였고, 1900년 《西蜀方言》을 출판한 이후에야 비로소 成都로 이주하여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西蜀方言》에 왜 成都話와는 다른 四川 서부 지역 방언의 음운특징이 나타나게 되었는가에 대한 의문을 풀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새로 발굴한 방언(14)

        박경래,곽충구,이기갑,김정대 한국방언학회 2015 방언학 Vol.0 No.21

        이 글은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쓰이고 있는 방언 어휘나 형태소, 속담 등을 발굴하여 소개하는 열네 번째 연재물이다. 이 글에 소개하는 방언들은 지금까지 국어사전이나 다른 연구물에 소개된 적이 없으면서 급속한 사회변화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거나 이미 사어화의 길로 접어든 것들도 있다. 방언에는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담겨져 있다. 따라서 방언을 통하여 그 방언이 말해지는 지역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다. 또 대체로 방언은 고어의 흔적을 지니고 있으므로 국어사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충청도 지역에서 조사한 충청도 방언 어휘, 중국 조선족자치주에서 조사한 함경도 방언 어휘, 전라도 지역에서 조사한 전라도 방언 어휘, 경상남도에서 조사한 경상도 어휘를 소개하기로 한다. 이들 충청도, 함경도, 전라도, 경상도 방언은 그 지역 사람들이 살아온 자취를 보여 주면서 동시에 국어 어휘사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방언들은 그 지역의 문화나 역사를 가장 잘 반영하면서도 각 방언에 대응하는 표준어가 없거나 대응 표준어가 있어도 의미나 형태가 다른 것들이다. 또 어원(語源)은 같지만 의미가 다른 경우도 있고 어휘 체계의 차이를 보이는 것들도 있다. 이런 어휘들은 시간과 공간의 양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의미 변화의 차이가 무엇에 말미암은 것인지를 분명히 설명하기는 어렵다. 어원이 같은 방언형이라도 각기 다른 환경에서 오랜 시간 사용되면서 형태와 의미 등에 그 지역의 문화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이 글에 소개된 방언은 현재도 충청도, 함경도(연변자치주), 전라도, 경상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말들 가운데서 뽑았다. 이번 연재물에는 충청도 방언 어휘 다섯 개, 함경도 방언 어휘 여섯 개, 전라도와 경상도 방언 어휘 각 다섯 개 등 모두 스물한 개의 방언 어휘를 소개하였다. 여기에 제시한 ‘관련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이들 방언형이나 이형태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해당 방언의 의미도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Twenty one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twenty one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dictation. This dialects include five new words in Chungcheong-do dialect, six new words in Hamkyeong-do dialect, five new words in Jeolla-do dialect and five new words in Kyeongsang-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Hamky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wak Chunggu(Sogang University). Jeolla-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Lee Kigap(Mokpho University and Kyeongsa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im Jungdae(Kyungnam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 KCI등재

        사회문화적 의사소통과 국어교육 ; 국어교육과 방언

        이기갑 ( Ki Gap Lee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5 No.-

        방언을 표준어와 대립되는 언어, 즉 비표준어로 이해했을 때, 표준어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국어 교육에서 방언이 차지할 자리는 없다. 그러나 방언은 독자적인 체계를 갖춘 언어이며, 해당 지역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반영하는 다양한 어휘들을 보유하고 있다. 방언은 생생한 표현력과 그것을 말하는 사람들의 정감이 그대로 반영된 아름다운 우리말의 전형이다. 또한 문헌이 보여 주지 못하는 언어의 선사 시대까지 언어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게 만드는 귀중한 언어 자료들이 방언에 남아 있는 수가 많다. 이러한 가치를 갖는 방언을 단순히 표준어가 아니라는 이유에서 홀대하고 폄하하는 일은, 우리말의 다양성을 해치고 소중한 무형의 무화유산을 파괴하는 문화적 비극이라 부를 만하다. 그러므로 학교 현장에서 방언을 일정 부분 교육의 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방언을 교육할 때는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자긍심을 잃지 않도록 우리말의 다양성에 대해 가르칠 필요가 있다. 또한 방언의 풍부한 어휘력과 방언이 무형 문화유산이라는 사실도 강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밖에도 방언은 해당 지역민을 공동체로 한데 묶는 표지의 구실도 하며, 방언이 고유한 체계를 갖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의사소통을 할 때에는 상대의 언어 체계를 존중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도 가르쳐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언어적 차이 때문에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가 있기 때문이다. Dialect has been thought to be a non-standard, discourteous language. However recent investigations show that there are lots of positive aspects in Korean dialect. Most of all, Korean dialect has more expressive capability than standard Korean in that dialect often has words having no semantic equivalents in standard language. It tends to use more native words than standard language which favors Sino-Korean or foreign words. Therefore if Korean dialect gets a chance to be taught in school, young Korean generation can learn the following facts. (1) Even though one speak in dialect in capital city or other places outside of his or her native area in Korea, he or she doesn`t have to suffer from an inferiority complex. For every dialect as well as standard language has its own system and equal value. (2) Because a dialect is a mirror which reflects culture of a region, if one learn the dialect, he or she can understand the mind, culture and people of the region. (3) A dialect is a marker of the community by which members of the community can tell themselves from other people. Therefore the best way to touch hearts of the members is to communicate in the same dialect. (4) Misunderstanding from dialectal difference sometimes creates emotional conflicts among the speakers of different dialects, which could be settled easily if one had a knowledge of the dialect.

      • KCI등재

        부산 방언의 특이성과 보편성

        이근열 한국방언학회 2015 방언학 Vol.0 No.2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unusual phenomena of the Busan dialect with an internal perspective and to prove that there is a new paradigm of interpretation toward the Busan dialect. The way to understand the existing dialects starts with lack of internal information of dialects and follows the Path Dependency. As a result, the error was made by dissecting and analyzing the elements of dialects containing verbal features by the measurement of written features. It is evident that the Busan dialect has its own framework. The first thing is the verbal convenience. By making grammatical rules simple, the Busan dialect has a close relation with human’s cognitive activities, and is systemized to facilitate memory and utterance. These cognitive convenience and simplicity are also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ultural phenomena. In particular, redundancy and pronunciation errors in the Busan dialect are in fact, the universal phenomena like the easiness of utterance by cognitive universality and morphological homology. 본 연구는 부산 방언의 틀이라는 내부적 시선으로 부산 방언의 특이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으며, 표준어에서 제공받지 못한 새로운 해석의 틀이 있음을 보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방언을 인식하는 방법이 방언 내적인 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출발하며, 기존에 가진 경로 의존성의 결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구어적 특성을 가진 방언적 요소를 문어적 특성으로 재단하고 분석하는 오류를 범하게 되었으며 특정 지역 방언을 특이하게 만들어 보편적 언어 현상과 이질적인 것으로 해석하게 되었다고 보았다. 부산 방언은 나름대로의 보편적 틀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산 방언의 가장 중요한 틀은 구어적 편리성이다. 이 구어적 편리성은 인간의 인지 활동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는데, 문법의 규칙을 단순하게 만들어 기억에 편리하게 하고 발화에 유리하도록 체계화되어 있었다. 이러한 구어적 편리성은 유사 방언권에도 나타나지만 부산 방언에서는 그 빈도와 정도성이 높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지적 편리성과 단순성은 문화 현상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부산 방언에서 특이하게 보이는 군말 현상, 오류 발음 등은 인지적 보편성과 형태적 동형성에 따른 발화의 용이성 등의 보편적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어휘 연구와 방언의 역할

        장충덕 한국방언학회 2012 방언학 Vol.0 No.16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role of dialect in vocabulary study. With this aim, first, the study found an area which would help dialect among the study areas of vocabulary theory and further, reviewed which role dialect plays in studying in this area. Finally, the paper took a look into the role of dialect in order to help to study Korean vocabularies. Among the study areas of vocabulary theory, the area in which the role of dialect is emphasized is study into ‘vocabulary data theory’ and ‘vocabulary history’. Studying the collection of vocabulary data and the role of dialect, the study reviewed results concerning the collection of existing vocabulary data, and considered ‘research into local language’ and ‘research into common national language’ which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Also, in study into vocabulary history, diverse vocabulary types which are shown in dialect data plays a crucial role in making up for the insufficient part of data. Finally, as a role of dialect for study into vocabulary, the study asserted the need for constituting data for study into vocabulary for pursuing a consistent dialect research project and fostering the studies of dialect, the unification and summarization of the forms and systems of dialect as well as the indication method of dialect data in order to utilize collected data for study into vocabulary, and the correction of error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previously constituted dialect data. 이 논문은 국어 어휘 연구에 있어서 방언의 역할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어휘론의 연구 분야 중에서 방언이나 방언 연구가 도움이 되는 분야를 알아보고, 나아가 이들 분야의 연구에 있어서 방언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앞으로 국어 어휘 연구에 도움이 되기 위한 방언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어휘론의 연구 분야 중 방언의 역할이 강조되는 영역은 ‘어휘자료론’과 ‘어휘사’ 연구다. 어휘 자료 수집과 방언의 역할에 대해서는 기존의 어휘 자료 수집에 관한 결과물을 살펴보고, 현재 진행 중인 ‘지역어 조사’와 ‘민족생활어 조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어휘사 연구에서는 방언 자료가 보여주는 다양한 어휘적 형태는 문헌 자료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방언이 어휘 연구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방언 조사 사업의 추진하고 방언 연구자를 양성하여 어휘 연구를 위한 자료를 구축하여야 하며, 수집된 자료를 어휘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서 방언 자료의 표기 방식을 비롯한 형식과 체제의 통일하여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전에 구축된 방언 자료의 검증 작업을 통하여 오류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북한 음장방언 속의 무성조ㆍ무음장 방언에 대하여

        최명옥 ( Choi Myung-ok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6

        이 논문의 목적은 북한의 음장방언 속에 분포되어 있는 무성조ㆍ무음장 방언이 음장방언과 성조방언의 접촉과 간섭에 의해 생성된 것임을 밝히려는 것이다. 현대 한국어는 크게 음장방언과 성조방언으로 구성된다. 인접하는 성조방언과 음장방언이 접촉하는 경우에 가능한 것은 ①음장이 성조로 대체되거나②음장은 그대로 유지하되 ‘성조’가 음성적으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①의 예.전라남도 광양군의 동부 지역어, ②의 예. 충청북도 영동군의 ‘황간’ 지역어). 이 문제 해결의 열쇠가 되는 것은 남한의 유일한 무성조ㆍ무음장 방언인 제주방언이다. 제주방언의 무성조ㆍ무음장은 역사적으로 음장방언 속에 사회ㆍ문화적으로 상위인 신라의 성조방언이 포함되어 접촉과 간섭이 오랫동안 계속된 결과, ‘성조’와 ‘음장’이 중화된 것으로 본다. 제주방언에서 필자는 성조방언과 음장방언이 접촉하는 경우에 무성조ㆍ무음장 방언이 되는 조건은 다음 두 가지라고 생각한다. ㉠ 두 방언 중에 하나가 다른 방언 속에 장기간 포함되어야 한다. ㉡ 포함되는 방언이 포함하는 방언보다 사회ㆍ문화적으로 상위여야 한다. 북한의 음장방언 속에 분포되어 있는 무성조ㆍ무음장 지역은 통일신라와 발해의 국경지역으로 신라의 군대와 군무원이 주둔하다가 정착한 곳이다. 그러므로 이 지역의 무성조ㆍ무음장은 사회ㆍ문화적으로 상위에 있던 신라 사람들의 성조방언이 원주민의 음장방언에 포함되어 접촉과 간섭이 계속된 결과 ‘성조’와 ‘음장’이 중화된 결과로 생성된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at the exceptional nontoneㆍnonlength dialects distributed in the North Korean length dialects was created by contact and interference between the tone dialect and the length dialect. In general, in Korean, when adjacent tone dialect and length dialect come into contact, ① the length dialect becomes a tone dialect, or ② the tone features exist phonetically in the length dialect. The reason for the creation of this exceptional dialects in North Korea can be explained in comparison with the creation process of the Jeju dialect, South Korea's only nontoneㆍnonlength dialect. The Jeju dialect had historically included Shilla's tone dialect, which was socio-cultural superior to length dialect of Jeju, and as a result of long-lasting contact and interference, the “tone” and the “length” became neutral. Similarl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ontoneㆍnonlength dialects in North Korea were created by continuous contact and interference between the two dialects; the native length dialect and the Shilla's tone dialect used by the socio-cultural superior such as border guards.

      • KCI등재

        ‘方言’의 槪念 形成과 變遷에 대한 考察 - 槪念史的 論意를 中心으로

        조재형(Cho, Chaehyung)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1 No.-

        이 연구의 목적은 특정 시기의 우리 사회를 지배한 이데올로기의 변화에 따른 ‘방언’의 개념 변화를 개념사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에서는 ‘方言’의 원의미와 우리 사회에서의 개념 변화를 도외시했으며,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方言’의 의미를 중국 중심의 관점에서 이해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우선, ‘중국 고전에 사용된 관련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여 方言의 원의미가 현대 ‘지역어’와 매우 유사한 의미였음을 밝혔다. 또한, 근대 전환기까지 한국에서 사용된 ‘方言’ 관련 문헌의 고찰을 통해 기존 논의와는 다르게 ‘方言’의 원의미가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일본에서의 ‘方言’ 개념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된 ‘方言’ 개념이 일제강점기에 우리 사회에 영향을 주었고, 장기간에 걸쳐 그 변화된 개념을 우리 사회에서 사용했음을 논의하였고, 근래 국가 정책 등의 영향으로 ‘方言’은 그 어휘적 위치를 ‘지역어’에 물려주고 앞으로 학술적 의미만으로 사용될 것을 전망하였다. 또한, 이러한 ‘方言’의 개념 변화는 특정 시기의 특정 이데올로기와 관련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ual change of the concept of “dialect” according to the changes in ideology that have dominated our society at a certain time. Previous studies have disregarded the original meaning of “dialect,” and how the concept of “dialect” has changed in our society. The problem is that these studies have approached the meaning of “dialect” used in Korea from a Chinese point of vie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firstly identifies the meaning of the related vocabulary used in the Chinese classics regarding the meaning of “dialect,” identifying that its meaning was very similar to that of modern local language. In addition, through studying literature related to “dialect” used in Korea until the turn of modern times,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original meaning of “dialect,” meaning local language, was maintained differently than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we confirm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the “dialect” in Japan, and discuss how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dialect” influenced our societ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nd how they have been used in Korean society for a long time. Due to the influence of national policy in Korean society, “dialect” is expected to transfer its lexical position to “local language,” and will be used only in academic terms. Here, we also discuss that this change in the concept of dialect is related to a particular ideology at a particular time.

      • KCI등재

        문헌 속 동남 방언의 어제와 오늘

        김한별 ( Kim Hanbyul ) 한국방언학회 2021 방언학 Vol.- No.34

        이 글은 과거와 현재의 문헌 속 동남 방언에 대한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를 논의하고, 오늘날 이 방언을 반영한 문헌의 생산 현황과 전망을 고찰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현대 이전의 문헌 속 동남 방언에 대한 연구는, ‘연구 자료’의 측면에서는 자료가 확대되고 정밀화되었으며, ‘연구 대상’의 측면에서는 사투리 연구에서 방언 연구로 변화해 온 것으로 그 성과를 정리할 수 있다. 향후에는 ‘사회적 요소도 적극 고려’하고, ‘사투리 반영률을 데이터베이스화’하며, 궁극적으로는 ‘사투리 연구를 넘어 방언 연구를 추구’해야 한다. 다음으로, 현대의 문헌 속 동남 방언에 대한 연구 성과는, 문학 방언의 ‘뜻풀이’와 ‘국어학적 분석’, ‘오류 교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후에는 문학 방언 연구의 대상 작품을 확대하고 그 연구를 체계적인 방식으로 지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오늘날 동남 방언을 반영한 외국어 학습서, 문학 작품, 신문 기사 등의 생산 현황을 살펴보면 문헌상에 이 방언을 전면적으로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는데, 앞으로 그러한 현상은 더욱 일반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article has two goals: (1) to review the studies on southeastern dialect (SED) reflected in past and present literature and suggest future tasks for the studies; and (2)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 of production of the literature reflecting the dialect. The studies on SED in the pre-contemporary literature have been expanded and refined in terms of ‘research data’ and have changed from the study of sathwuli to that of dialect in terms of ‘research object.’ It is needed, from now on, to take account of social factors; build a database for sathwuli reflection rate; and pursue the study of dialect beyond the study of sathwuli. Besides, the studies on SED in contemporary literature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explanation of the meaning,’ ‘linguistic analysis’ and ‘correction of errors’ of literary dialec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works of literature for the study and continue it in a systematic way. There is a movement towards using dialect entirely in literature today, such as foreign language study books, literary works and newspaper articles, and such phenomenon is expected to become more common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새로 발굴한 방언(2)

        박경래,강영봉,김정대,곽충구 한국방언학회 2008 방언학 Vol.- No.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Twenty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twenty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dictation and literary works. This twenty dialect words include Chungcheong-do dialect, Cheju-do dialect, Kyeongsang-do dialect and Hamkyeong-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Kyeongsa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im Jungdae(Kyeongnam University) and Hamky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wak Chunggu(Sogang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이 글에서는 ≪방언학≫ 5호와 6호에 연재한 “새 방언 소개”와 “새 방언 소개(2)”에 이어 ≪방언학≫ 7호에 소개한 “새로 발굴한 방언(1)”에 이어 아직 소개되지 않은 새로운 방언을 소개하고자한다. 이 글에서 소개되는 새로 발굴한 방언은 아직까지 전혀 소개되지 않은 새로운 방언은 물론이고 소개되었더라도 풀이가 잘못 되었거나 형태는 중앙어와 같지만 의미나 용법 면에서 큰 차이를 보여 새롭게 이해해야 하는 단어들이나 형태소들이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새로 발굴한 방언은 토박이 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사용했던 방언 가운데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단어나 형태소들이다. 여기에서는 이들 단어나 형태소들을 발굴하여 소개함으로써 급속히 소멸되어가는 지역어를 문자로 고정시켜 국어 어휘를 풍부하게 하고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언 어휘들은 이들이 사용되는 지역의 문화나 주민들의 정서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 방언은 그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의 생활상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 방언이 사용되는 맥락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고 방언의 맛과 멋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이 글에는 충청도, 제주도, 경상도, 함경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가운데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어휘들을 각 지역별로 다섯 개씩 뽑아 모두 스무 개의 방언을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 소개된 방언들은 필자들이 그동안 관찰하고 조사하고 연구해 온 방언 자료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관련지역’에 표시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새로운 방언 어휘를 발굴하여 알리는 작업은 우리말을 풍부하게 해주는 보배가 된다. 새로 발굴한 어휘에 대한 소개는 국어사전의 어휘를 확장할 수 있고 국어연구의 지평을 넓혀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런 점에서 방언 어휘의 의미는 물론이고 문법적인 기능과 용법 등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는 대응 표준어가 없는 어휘뿐만 아니라 표준어에 대응되는 방언도 함께 소개되어 있다. 방언은 표준어와 형태가 동일해도 의미나 용법이 전혀 다르거나 크게 차이를 보일 수 있고 방언과 방언 간에도 용법이나 의미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제시된 방언에 대응하는 표준어가 있는 경우는 좀 더 면밀한 검토와 주의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