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폭력의 방어자 역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손강숙,이규미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fenders’ experiences targeting defenders among school violence participants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method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Hill, 2011; Hill, Knox, Thompson, Williams, Hess & Ladany, 2005). The subjects of study were 10 middle school boys nominated by school teachers and peers. As a result, defenders’ experiences were finally derived 5 domains and 11 categories about defenders’ experiences at the time of action, and the impact of defenders’ help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before helping behavior defenders judged that bullying behaviors of perpetrators were too much and then immediately decided to help victims. Bystanders mainly played roles of outsiders, and several of them were reinforcers and rare defenders. Before helping behavior, defenders were afraid and scared of revenge, concerning future problems of friends and thinking that violence was unjust and feeling sorry for the victims. Second, defenders’ helping behaviors brought about major changes to defenders. Helping behaviors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growing of defenders through feeling proud and strong beliefs that helping behaviors are the right t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fenders and perpetrators got wor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fenders and victims was unchanged. After intervention of defenders, perpetrators tried not to hurt victims anymore, and victims got along with classmates. After intervention of defenders, perpetrators stopped bullying and more peers defended victims. This study extended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changing process of all participants’ behaviors, by investigating defenders’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helping behaviors focusing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 of defenders, by addressing how defenders’ helping behaviors impact with all participants doing. Also, it is important that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focused on defenders’ roles for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proposed guidance related to altruistic helping behaviors about a desirable direction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본 연구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Hill, 2011; Hill, Knox, Thompson, Williams, Hess & Ladany, 2005)을 사용하여 학교폭력 참여자 중 방어자들을 대상으로 방어자 역할 경험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학교교사와 또래에 의하여 지명된 10명의 중학교 남학생이었다. 그 결과, 방어자의 경험에 대하여 5개의 영역과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어자는 가해자의 괴롭힘 행동이 심하다고 판단되어 순간적으로 뛰어들어 말리게 되었다. 주변 학생들은 주로 방관자 역할을 하였으며 여러 명의 강화자와 드물게는 방어자 역할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어자는 도움행동 이전에는 친구들에게 닥칠 결과가 걱정되고 폭력행동은 부당하다는 생각을 했으며 피해자가 불쌍하고 보복이 두려웠지만, 도움행동 이후 자신의 행동에 대해 뿌듯함을 느꼈고 더 이상 피해자가 당하지 않는 것을 보고 안도감을 느꼈다. 둘째, 방어자의 도움행동이 방어자 자신에게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방어자는 도움행동 이후 내적으로는 도움행동이 옳은 일이라는 신념과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고 스스로 성장함을 느끼게 되었다. 방어자는 외적으로는 주변 친구들로부터 인정받아 관계가 더 좋아졌으며 가해자와는 멀어졌고 피해자와는 예전과 같이 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어자의 개입 이후 가해자는 더 이상 심한 폭력행동을 하지 않았으며 피해자도 급우들과 잘 어울리게 되었다. 본 연구는 방어자의 인지적, 정서적 과정을 중심으로 방어자가 도움행동의 과정에서 느낀 심리적 경험을 탐색하고, 방어자의 행동이 다른 참여자들과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전체 학교폭력 사건 참여자의 행동변화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넓혔다. 또한 학교폭력 개입에 방어자 역할에 초점이 맞춰진 정보를 제공하고, 학교폭력 예방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이타적 도움행동과 관련된 지침을 제안한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학교폭력 주변인 중 방어자의 특성에 대한 고찰

        이인숙,박재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School violence is not only limited to a problem of school violence victims and perpetrators but also extended to a social problem. Its seriousness necessitates vast research to prevent and reduce school violence. The defenders of school violence are the physical and emotional forces for victims of school violence. By being defended from the perpetrator, the victim is helped to adjust to school life again. Defenders also have the power to defend themselves and cope with school violence through encouragement, support, and empath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defenders in school violence by means of literature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efenders can be categorized into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By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defenders and their impact on school violence, this study aims to helping the surrounding people act as defenders by changing other peripherals to defenders in the school violence situation, and reduce school violence ultimately. 학교폭력은 학교폭력 피해자와 가해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심각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학교폭력의 주변인 중 방어자는 피해자에게 학교폭력 상황에서 신체적·정서적으로 큰 힘이 되어준다. 가해자를 방어하는 행동을 통해 피해자가 학교생활에 다시 적응하여 생활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방어자는 또한 피해자에게 격려와 지지, 공감을 통해 학교폭력상황에서 스스로 방어 하고 대처 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주변인 중 방어자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해 문헌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방어자의 특성은 개인적 특성, 가정적 특성, 학교 및 사회 환경에서의 특성으로 나누어진다. 개인적, 가정적, 사화 환경적 방어자들의 특성은 학교폭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 방어자 특성을 파악하고 이해한다. 이를 통해 학교폭력 상황에서 다른 가해자 피해자를 포함한 주변인들을 방어자로 변화시킴으로써 주변인들을 방어자 역할을 하도록 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며 궁극적으로는 학교폭력을 줄여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 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아 방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영기 ( Young Gi Lee ),선혜연 ( Hye Yon Seo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교폭력 상황에서 도움행동을 한 피해아 방어자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여 학교폭력 문제의 해결과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질적 연구 자료를 지속적 비교 분석법으로 분석하여 피해아 방어자의 경험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피해아 방어자의 경험내용은 7개의 범주와 18개의 하위범주, 66개의 개념으로 도출되었다. 피해아 방어자가 실천한 도움행동의 유형은 ``당사자에게 직접 관여하기``, ``타인을 통해 도와주기``의 2가지 범주로 나타났고, 피해아 방어자가 도움행동을 실천하는 이유는 ``피해자에 대한 정서``, ``도덕성 발휘``, ``도움행동을 독려하는 분위기``의 3가지 범주로 나타났으며, 도움행동을 실천한 후 피해아 방어자의 개인 내적인 변화는 ``도움행동에 대한 평가``, ``나의 변화와 성장``의 2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후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아 방어자에 대한 교육상담적 개입과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위한 시사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prevention of and solutions to school violence by promot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the defenders of victims of school violence. This study allows for the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the defenders of victim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experiences of defenders of victims wer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18 sub-categories and 66 concepts. The 7 categories were divided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sentences. First, the types of helping behaviors were ``helping victims directly`` and ``calling upon others for help``. Second, the reasons why defenders of victims engaged in helping behaviors were ``empathy for victims``, ``an issue of morality`` and ``an atmosphere that encourages helping behavior``. Lastly, the internal personal changes after helping behavior were ``self-evaluation about helping behavior`` and ``changes and self growth``. Based up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some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the defenders of victims of school violence,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for bystander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학교폭력에서 방어자역할의 이해와 실천적 함의

        고경은(Ko Kyung Eun) 한국교정복지학회 2017 교정복지연구 Vol.- No.48

        본 연구는 학교폭력 중재와 해결에 있어서 열쇠가 되며,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방어자의 역할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학교폭력의 주변인 중 하나인 방어자의 위치와 역할을 살펴보고, 방어행동의 결과가 가해자 및 피해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방어행동과 관련된 요인으로 개인적 특성요인, 가정요인, 학교환경요인들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해행동 중재 및 피해자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방어자에 대한 이해를 돕고, 방어자 역할을 전제로 한 학교폭력 해결과 예방을 위한 실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defenders in playing a positive role in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and resolu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and position of defenders, one of the bystanders of school violence, and examined the effects of defensive behavior on perpetrators and victims. Also, the factors related to defensive behavior were classified as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factors, and school environment factors. Based on this, we will help to understand the defender who plays the role of suppor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the victim, suggest the direction of action for solution and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based on defender role.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방어효능감의 매개역할: 또래괴롭힘 방어자를 대상으로

        박선옥,이은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on the defense behavior of peer bullying defenders and whether self-esteem and defense efficacy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defense behavior of peer bullying defend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200 male and female students enrolled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in Gimhae and Miryang, Gyeongnam. Among 1,083 respondents to the survey, the results of 276 classified as peer bullying defenders through covariate structural mode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arent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democratic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fense efficacy. Thir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and defensive behavior. Fourth, it was found that a sense of protective efficac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parents' democratic parenting attitude and defensive behavior. Fifth, there was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defense efficacy between parent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and defensive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al education focused on the parent's affectionate and democratic parenting attitude is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peer bullying defenders' peer bullying defense behavi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been confirmed that peer bullying defense behavior is increased in a way that enhances defense efficacy.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또래 괴롭힘 방어자의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괴롭힘 방어자의 방어행동에 자아존중감과 방어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경남 김해시와 밀양시의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응답자 1,083명 중 또래 괴롭힘 방어자로 분류된 276명에 대해 공변량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가 방어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방어행동 간에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와 방어행동 간에 방어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방어행동 간에 자아존중감과 방어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방어자의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애정적이고 민주적인 양육 태도에 초점을 맞춘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부모의 애정적이고 민주적인 양육행동이 또래괴롭힘 방어자의 자아존중감과 방어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식으로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 연구동향 및 과제

        안효영(Ahn Hyo young),진영은(Chin Young e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직접 당사자인 가해자, 피해자 보다 주변인인 일반 학생이 다수를 차지한다. 주변인 연구는 이러한 다수의 역할행동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또래괴롭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을 다룬 국내의 학술지 논문, 석ㆍ박사학위논문 총 57편을 분석하였다. 국내 연구의 대부분은 주변인의 역할을 유형별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주변인은 동조자, 강화자, 방어자, 방관자의 역할유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방어자는 대부분의 특성이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동조자와 강화자는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동조자 및 방관자는 방어자와 대조되는 경향이 있다. 주변인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개인특성, 학교환경 및 사회적 인지, 가족환경, 도덕변인으로 나누어 개관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에 따라 또래괴롭힘 상황에 있는 주변인들은 다른 역할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특성과 학교환경은 주변인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또래괴롭힘 감소를 위한 실천적인 과제로 주변인 역할의 사회생태관점에서의 이해, 주변인 역할의 변화 가능성에 초점 맞추기, 방어자 역할을 하도록 하는 교육과 환경 조성, 질적연구의 확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변인 역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또래괴롭힘 감소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of bystanders in bullying situations. In any general student population, there are many more bystanders than there are bullies and victims directly associated with bullying. Bystanders research starts from the idea that to reduce bullying one must understand role behaviors. For this, a total of 57 papers of domestic theses and dissertations were analyzed that researched the role of bystanders in dealing with bullying situations. Most of the domestic research studied divided the bystander roles into assistants, reinforcers, defenders, and outsiders. When analyzing these roles, defenders showed the most positive characteristics. Assistants showed similar properties with reinforcers. And, assistants and outsiders contrasted with the defenders. This study survey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 environment, family environment, and moral variables as factors that affect the role behaviors of bystanders. Depending on these factors, bystanders' role behaviors in bullying situations exhibited differenc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environment, in particular, had a major influence on bystanders' role behaviors. This paper suggests practical tasks to be made based on the research of bystanders' roles to help reduce bullying. The tasks are understanding the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of the role of bystanders,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changing bystanders' roles, to educate and create a positive atmosphere for a defenders actions, and the expansion of qualitative research. The broadening of the understanding of bystander's roles throughout this study was done to contribute to a reduction of bullying.

      • KCI등재

        또래괴롭힘 참여역할에 따른인지적·정서적 공감의 차이

        김혜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4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in six types of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was measured using three self-report questionnaires on empathy, Korean version of EQ-C (Cha, et al., 2011), BEI (Bryant, 1982), and IRI (Davis, 1983), on a sample of 299 Korean children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Based on the results of a peer nomination questionnaire on participant roles (Sutton & Smith, 1999), the children were assigned to one of six roles: “bullies,” “reinforcers,” “assistants,” “defenders,” “outsiders,” and “victims.” It was found that affective empathy scores were higher for defenders than for victims, outsiders, assistants, and reinforcers, whereas cognitive empathy scores were higher for defenders than for victims, but were not higher than those for outsiders, assistants, and reinforcer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defenders displayed both aspects of empathy, affective and cognitive, but victims displayed neither. In contrast, bullies displayed cognitive but not affective empathy. 아동의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이 또래괴롭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기 위해, 또래괴롭힘 상황에 참여하는 역할 유형에 따라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299명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아동의 공감능력을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으로 구분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자기보고형 한국어판 EQ-C, IRI와 BEI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또래괴롭힘 참여역할 척도를 또래거명 방식으로 사용하여 아동을 가해자, 동조자, 강화자, 방어자, 방관자 및 피해자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공감척도의 정서공감 점수는 방어자가 피해자, 방관자 및 괴롭힘에 직․간접적으로 가담하는 동조자나 강화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에 반해 인지공감 점수는 방어자가 피해자보다 높았으나 방관자나 괴롭힘에 직․간접적으로 가담하는 가해자나 동조자보다 더 높지는 않았다. 이는 괴롭힘 당하는 아동을 방어해주는 방어자 집단은 정서공감과 인지공감이 모두 높고, 괴롭힘을 당하는 아동은 두 측면의 공감능력이 모두 낮으며, 괴롭힘에 가담하는 아동은 정서공감은 낮지만 인지공감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집단따돌림 예방프로그램의 효과

        박수정(Su Jung Park),김도연(Doh Yun Kim) 한국발달지원학회 2018 발달지원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집단따돌림 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19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집단따돌림 예방프로그램은 학급문제 인식, 문제해결 준비, 문제 해결, 새희망과 새출발을 주제로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첫 2회기에는 ‘학급문제 이해하기’, 중반부 7회기에는 ‘학급문제해결준비로 나와 너의 수용, 학급공동체의식’의 내용으로 학급소속감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후반부 3회기에는 ‘문제해결’ 단계로 실질적인 학급의 변화를 위한 2회기, ‘새희망과 새출발’ 1회기,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집단 따돌림 예방 프로그램으로 대상학급의 학급소속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둘째, 집단따돌림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방어자역할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연구의 질적인 내용분석을 살펴보면, 방어자 역할전환이 다수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본 프로그램 실시 후 일부아동이 방어자행동을 보이며 집단따돌림과 같은 공격행동이 감소되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addressed the effectiveness of bullying by implementing a bullying prevention program for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19, fifth grade students of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conducted to assess for the study. The bullying prevention program consists of 12 sessions, which class problem recognition, problem resolution preparation, problem resolution, new hope and a fresh start. the program aims at improving the sense of belonging in class. “Understanding class problems” in the first two sessions; “학급문제해결준비로 나와너의수용, the acceptance of the class community” seven sessions in the middle; “the actual change of the class” two sessions and “the new hope and a fresh start” one session in the latter; a total of 12 session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class of the target class increased significantly by the bullying prevention program. Second, bully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ird, No significant changes were seen in the defensive role shifts; However, there have been not many defensive role shifts on the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bullying within the class is greatly eased even if the minority children show defensive behavio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rogram. Therefore, the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the sense of belonging in class and reducing attacking behaviors such as bullying.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학교폭력예방 교육연극 TIE의 가능성과 초등교육에의 시사점

        김병주 ( Byoung Joo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2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심각성이 강조되는 우리 교육현장에서 기존의 주입식 예방교육 및 프로그램의 대안으로 2012년 서울시 교육청이 주관하여 서울시내 중학교들을 찾아가며 실행된 학교폭력예방 교육연극 TIE(Theatre in Education) 프로젝트의 배경과 실행 및 성과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우리 교육현장에서 소외되어있는 예술교육, 특히 연극을 활용한 공연형 참여연극 프로그램인 TIE가 지닌 참여적이고 학생 주도적 특성이 학교폭력이라는 지극히 복잡하고 민감한 사회적 이슈를 접근함에 있어 방관자 및 동조자들을 학교폭력의 방어자로 전환시키기 위한 인식 제고에 어떠한 성과와 가능성을 제시하였는가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TIE 전문단체인 교육연극연구소 PRAXIS의 <눈을 감은 사람? 눈을 뜬 사람!>의 사례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의 실행 내용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육연극 TIE 프로그램의 초등 고학년 적용 사례 점검을 통해, 초등교육 현장에 이와 같은 학습자 중심적이고 참여적인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이 절실하고, 급속히 저연령화 되어가는 현실에서 선제적 예방교육이 중요하며, 초등학생들의 정서적 공감능력 향상 및 교사들의 학생지도 효과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이런 측면을 고려할 때, 학교폭력예방 TIE가 초등교육에 시사하는 의미와 효과에 대한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contents, and results of the TIE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s, organized b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2012. Amid growing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of recent while lacking of arts education on this subject, the study focuses on how such a participatory theatrical program can handle the complex social issue and how it can guide young people`s perceptions - changing those of ``bystanders`` and ``assistants`` into those of ``defenders: Exploring the case of PRAXIS``s TIE <Eyes shut? Eyes Wide-<>pen!>, the study discusses process, meanings, and responses from participating young audiences. Also, by examining the TIE`s pilot implementation for upper elementary students, the study argues implications for elementary education: first, leaner-centered, participatory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incorporated with arts such as TIE showed effectiveness and urgently needed; second. school violence starts at younger ages so the prevention programs are called for an earlier intervention in elementary classrooms; third, elementary students are more pertinent to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due to their susceptibility to emotional empathy; and fourth, teachers may function more effective roles in the elementary classroom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TIE can be an effective and empowering approach for elementary students in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prevention at the early stage.

      • KCI등재

        자기주식의 처분과 경영권 방어

        김정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14 經營法律 Vol.24 No.3

        It has been prevalent for a business corporation established by the Korean law to re-purchase her own stocks for defense purpose. There has been wide range of discussions on whether these re-purchases are legal-theoretically flawless. The Commercial Code of Korea experienced in the year of 2011 a wide range of revision regarding the "company law" part (Part II). In especially the legal scheme on the treasury stock has changed deeply. From the year 2011 on, a korean company, listed or non-listed, is permitted to call her own stocks for treasury. According to the section 342 Korean Commercial Code, the board of directors is to be powered to dispose company's own stocks without any further regulation. In the meantime, the foreign nations like Japan, United Kingdom and Germany, have commonly the same written statutes on the disposal of treasury stocks. They impose a strictly regulated procedure from capital raising law. The japanese company law 2006 demands a procedural requirement like in the capital raising for consideration. The U.K. company law 2006 and the German Stock Corporation Act also follow this path. A unique exception from this trend could be found in the U.S., where the most state laws permit the company a wide range of freedom on acquisition and disposal of treasury stocks. The author recommends a reconsideration on the new section 342 of Korean Commercial C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