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부 대학생의 방사선이용에 대한 지식, 의식도 및 태도

        한은옥,박병섭,Han, Eun-Ok,Park, Byung-Sub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5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0 No.4

        방사선 안전문화가 생활화 될 수 있도록 시대적 환경에 부합되는 방사선안전에 대한 전 국민적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일반인 중 사회여론 형성에 적극적이고 지식수준이 높은 대학생을 중심으로 방사선이용에 대한 지식, 의식도 및 태도를 파악하여 방사선이용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일부 대학생 528명을 대상으로 2005년 10월 10일부터 10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방사선이용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 415명(80.7%), 교육을 받지 못한 이유로는 '교육 기회가 없어서' 265명(77.9%)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방사선 이용에 대한 기초지식은 총 점 15점을 만점으로 전체 $5.96{\pm}2.90$점으로 낮게 나타났고 방사선이용에 대한 의식도는 평균 5점을 만점으로 전체 $3.65{\pm}0.50$점으로 나타났으며 방사선이용에 대한 태도는 평균 5점을 만점으로 전체 $3.23{\pm}0.46$점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s to extract certain directions for the education program to provide right information by investigating knowledges, consciousnesses, and attitude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They have a high level of knowledges among average persons on the use of radiations in order to recognize the radiation safety in daily lives including the change in national recognitions for radiations safety that is consistent with the situation in these days. The survey was performed for 528 university students from Oct. 10 to Oct. 15, 2005. The results of this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tudents who didn't get educations for the use of radiations were recorded as 415 students (80.7%) in which the reason that they didn't get such educations was there were no chances to receive the education' as 265 students (77.9%). The basic knowledge on the use of radiations was presented as a low level of $5.96{\pm}2.90$ points based on the sum of 15 points, and the consciousness on the use of radiations was investigated as $3.65{\pm}0.50$ points based on the sum of 5 points. In addition, the attitude on the use of radiations was investigated as $3.23{\pm}0.46$ points based on the sum of 5 points.

      • KCI등재

        근치목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식도암 환자의 림프절 재발양상과 치료성적

        이선영(Sun Young Lee),권형철(Hyoung Cheol Kwon),이희관(Heui Kwan Lee),김정수(Jung Soo Kim),김수곤(Soo G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2

        목 적: 상부와 중앙 부위에서 발생한 식도암에서 복강 림프절 및 위 주변 림프절을 치료 범위에서 제외하고 근치 목적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경우 림프절 재발 양상과 치료성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 받은 식도암 환자 중, T4N1M0이하 병기의 상부와 중앙부위에 생긴 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에서 복강 림프절 및 위주변 림프절이 치료범위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방사선 단독 또는 항암화학요법과 병용으로 치료를 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6 MV와 10 MV 선형가속기(Siemens, 독일)를 이용하였으며, 외부방사선조사로 종양부위에 평균 60.5 Gy를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치료는 5-Fluorouracil, isplatin, Docetaxel이 사용되었다. 108명 환자 중, 방사선 치료 범위에 위식도 접합부 및 복강 림프절과 위 주변 림프절이 치료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고, 계획된 선량의 80% 이상이조사되었으며, 조직학적 진단이 편평상피세포 암으로 확진된 82명을 분석하였으며, 방사선 치료 단독군은 51명,항암화학 병용 군은 31명 이었다. 남녀 성비는 78명과 4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3.2세이었다. 발생 부위는 상부와 중앙 부위가 각각 17명과 65명이었다. 병기별 환자는 T1N0-1M0 7명, T2N0-1M0 18명, T3N0-1M 44명 및 T4N0-1M0 13명 이었으며,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15개월 이었다. 결 과: 방사선 치료 결과는 완전반응 48명, 부분반응 31명 및 무반응 3명이었다. 추적 검사 후 재발 양상은 인접림프절 전이는 23명, 원발 림프절 전이는 13명, 인접 림프절 및 원발 부위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는 10명, 추적검사 중단이나 진단 거부로 인하여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는 36명 이었다. 원발 림프절 전이가 확인 되었던13명의 임상병기는 T1N0-1M0 3명, T2-4N0-1M0 10명으로 나타났으며, 원발 부위는 상부 1명, 중앙 부위가 12명이었고, 치료 방법은 방사선 치료 단독 9명, 항암화학 병용 4명 이었다. 그리고 치료성적은 완전반응 12명, 부분반응 1명으로 나타났다. 추적 검사 상 림프절 전이 확인 후 인접 림프절 전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14.4개월이었으며, 원발 림프절 전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7개월 이었다.결 론: T4N1 이하 병기의 상부와 중앙 부위에서 발생한 식도암에서 복강 림프절 및 위 주변 림프절을 치료범위에서 제외하고 근치목적의 방사선치료를 한 경우 동 부위에 전이 빈도가 높았고, 인접 림프절 전이와 비교하여 생존 율이 감소하였다. 특히 임상 병기가 T2 이상 및 방사선치료 단독의 경우에서 복강 림프절 및 위 주변 림프절에 전 이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Purpose: We evaluated the failure pattern of the celiac axis, gastric lymph node, and treatment outcome in the upper and mid-esophageal region of cancer patients treated by definitive radiotherapy, except when treating the celiac axis and gastric lymph node for treatment volume, retro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constituted the evaluation 108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receiving radiotherapy or a combination of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6 to December 2006. In total, 82 patients treated by planned radiotherapy, except when treating the celiac axis and gastric lymph node for treatment volume,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78 men and 2 women (mean age of 63.2 years). In addition, 51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alone, whereas 31 patients received a combination of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The primary cancer sites were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17 patients), and mid portion (65 patients), respectively. Further, the patients were in various clinical stages including T1N0-1M0 (7 patients), T2N0-1M0 (18 patients), T3N0-1M0 (44 patients) and T4N0-1M0 (13 patient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15 months. Results: The various treatment outcomes included complete response (48 patients), partial response (31 patients) and no response (3 patients). The failure patterns of the lymph node were comprised of the regional lymph node (23 patients) and the distance lymph node which included celiac axis and gastric lymph node (13 patients). However, metastasis was not observed in the regional and distant lymph node in 10 patients, whereas 36 patients were not evaluated. Furthermore, of the 13 patients who developed celiac axis and gastric lymph node metastases, 3 were in stage T1N0-1M0 and 10 were in stage T2-4N0-1M0. A complete response appeared in 12 patients, whereas a partial response appeared in 1 patient. The mean survival time of the patients who appeared for regional and distant lymph node metastasis was 14.4 and 7.0 months, respectively. Conclusion: In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definitive radiotherapy without celiac axis and gastric lymph node irradiation, the distant lymph node metastasis rate was high and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lower compared to the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The incidence of regional and distant lymph node metastasis was high in patients who appeared beyond clinical stage T2 and received radiotherapy alone.

      • SCOPUSKCI등재

        방사선치료시 두경부 림파절 종양내 간질액 압력의 변화 양상

        조문준(Moon-June Cho),김재성(Jae-Sung Kim),이인태(Intae Lee),김준상(Jun-Sang Kim),김기환(Ki-Hwan Kim),장지영(Ji-Young J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Purpose :To determine if the tumor intersitial fluid pressure (TIFP) and/or its chang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lymph node in head and neck area can predict radiotherapy outcome. Materials and Methods : In 26 biopsy proven metastatic lymph node patients in head and neck area with accessible by direct inspection and palpation, and of sufficient thickness (> 1 cm) to permit accurate needle placement, we measured TIFP at cervical lymph node before and during radiotherapy. Tumor size was measured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Results :The mean preradiotherapy TIFP was 24.7 mmHg. Preradiotherapy TIFP had margin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umor size (p=0.06). Preradiotherapy TIFP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umor size decreased (p=0.009). Preradiotherapy TIFP was not different between complete response group and group with partial or less respone (p=0.75). Radiotherapy outcome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 with above and group with below than average TIFP (p=0.229). TIFP decreased 36 mmHg in complete response group and 29.7 mmHg in group with partial or less respone. Conclusion :The mean TIFP was elevated with 24.7 mmHg. Preradiotherapy TIFP had margin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umor size (p=0.06). TIFP decreased 36 mmHg in complete response group and 29.7 mmHg in group with partial or less respon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wo groups. 목 적 : 두경부 악성 림파절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중 종양내 간질액 압력을 측정하여 종양내 간질액 압력 및 이의 변화가 갖는 임상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26명의 전이성 두경부 악성 림파절 환자를 대상으로 육안적으로 확인 가능하며 접근이 가능한 부위에 위치하고 주사침 끝이 적절히 위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1 cm 이상의 충분한 두께를 갖는 경부 림프절에서 방사선치료 직전 및 방사선치료 중에 종양내 간질액 압력을 측정하였다. 종양의 크기는 촉지하여 임상적으로 측정하고 방사선과적 검사로 측정을 확인하였다. 결 과 : 방사선치료 전 TIFP는 25명에서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평균치는 24.7 mmHg였다. 방사선치료 전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치료 전 TIFP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marginal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06), 치료 전 종양 크기가 크면 치료 후 TIFP의 감소가 큰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43). 방사선치료 중 9명에서 TIFP의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이들의 방사선치료 전과 치료 후 TIFP변화는 평균 12.5 mmHg로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09). 치료 전 TIFP가 평균치 이상인 환자군과 이하인 환자군 사이에 방사선치료 결과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229). 방사선 치료 후 완전 관해를 보인 환자군과 부분관해 이하의 치료 결과를 보인 군 사이에 치료 전 TIFP의 차 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75). 방사선치료 후 완전 관해를 보인 환자군의 TIFP의 치료 전과 치료 중 비교시 평균 36 mmHg 감소하였으며 부분관해 이하의 치료 결과를 보인 군은 29.7 mmHg 감소하여 현재까지는 두 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75) 결 론 : 방사선치료 전 TIFP의 평균치는 24.7 mmHg였으며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치료 전 TIFP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marginal하게 유의하였다(p=0.06). 방사선치료 후 부분 관해 이하의 치료 결과를 보인 환자군의 치료 전과 치료 중 TIFP를 비교시 평균 29.7 mmHg로 감소하였으나 완전관해를 보인 군은 36mmHg의 더 큰 감소를 보였으나 현재까지는 두 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는 않았다(p=0.75).

      • SCOPUSKCI등재

        성문상부 상피세포암에서의 근치적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원택(Won Taek Kim),김동원(Dong Won Kim),권병현(Byung Hyun Kwon),남지호(Ji Ho Nam),허원주(Won Joo Hur)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4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부산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성문상부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 성적과 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을 비교 분석하여 성문상부암에서의 방사선치료의 효율성과 역할, 그리고 앞으로의 치료방침의 결정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부분들을 알아보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8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성문상부암으로 진단되어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32예를 후향적 분석을 통해 최소 29개월간 추적관찰 하였다. 6MV 광자선을 이용하여 조사영역 축소치료법과 통상적 분할조사 방법으로 원발부위와 주위 경부림프절을 평균 70.2 Gy로 치료하였고, 이 중 13예는 cisplatin과 5- FU로 유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았다. 병기별로는 1기가 5명(15.6%), 2기가 10명(31.3%), 3기가 8명(25%), 4기가 9명(28.1%)이었다. 결 과 : 연구 결과 5년 전체 생존율과 국소제어율, 성문보존율은 각각 51.7%, 65.2%, 65.6%였고, 병기별로의 생존율은, 1기, 2기, 3기, 4기 각각 80%, 66.7%, 42.9%, 25.0%였고, 국소제어율은 각각 100%, 60.0%, 62.5%, 44.4%였으며, 성문보존율은 각각 100%, 70%, 62.5%, 44.4%였다. 유도 화학요법을 실시한 군과 방사선 단독 군에서 생존율, 국소제어율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치료실패를 보인환자 중 7예에서 구제적 수술을 시행했고 이 중 3예에서 성공하였다. 치료 중 화학요법을 병용한 1예에서 중성구감소증으로 입원하였으며, 그 외에는 grade 3 이상의 급성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치료 후 2예에서 심한 후두부종으로 기관절개술을 받았다. 원격전이는 4예에서 보였고(폐 3예, 뇌 1예), 2예에서 이차성 원발암이 발견되었다. T병기와 N병기, 총방사선량, 그리고 종양의 육안적 소견 등이 유의한 예후인자였다. 결 론 : 다른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조기 성문상부암인 경우 방사선치료와 보존적 수술이 생존율과 국소제어율에 비슷한 결과를 보이므로 후두기능 보존의 효과가 좋은 방사선치료 단독으로도 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하겠으며, 진행된 병기의 경우에서는 방사선 단독 치료가 수술과의 병합치료보다 예후가 월등히 좋지 않게 나타나므로 가급적 수술과 방사선치료 병합요법을 시도하는 것이 좋겠으나, 방사선치료를 해야만 하는 경우에서는 성문보존율과 국소제어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화학요법과의 병용치료, 특히 동시 화학방사선치료와 다분할 방사선치료, 그리고 방사선 민감제 등을 이용한 보다 더 폭 넓은 연구와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Background : First of al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esult of curative radiotherapy and to evaluate different possible prognostic factors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upraglottic larynx treated at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second goal of this study was by comparing our data with those of other study groups, to determine the better treatment policy of supraglottic cancer in future. Methods and Materials :Thirty- two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upraglottic larynx were treated with radiotherapy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1985 to December 1996. Minimum follow- up period was 29 months. Twenty- seven patients (84.4%) were followed up over 5 years. Radiotherapy was delivered with 6 MV photons to the primary laryngeal tumor and regional lymphatics with shrinking field technique. All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under conventional fractionated schedule (once a day). Median total tumor dose was 70.2 Gy (range, 55.8 to 75.6 Gy) on prima ry or gross tumor lesion. Thirteen patients had induction chemotherapy with cisplatin and 5- fluorouracil (1- 3 cycles). Patien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stages, were as follows: stage I, 5/32 (15.6%); stage II, 10/32 (31.3%); stage III, 8/32 (25%); stage IV, 9/32 (28.1%). Results :The 5- year overall survival rate of the whole series (32 patients) was 51.7%. The overall survival rate at 5- years was 80% in stage I, 66.7% in stage II, 42.9% in stage III, 25% in stage IV (p=0.0958). The 5-year local control rates after radiotherapy were as follows: stage I, 100%; stage II, 60%; stage III, 62.5%; stage IV, 44.4% (p=0.233). Overall vocal preservation rates was 65.6%, 100% in stage I, 70% in stage II, 62.5% in stage III, 44.4% in stage IV (p=0.210).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urvival and local control rate between neoadjuvant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otherapy group and radiotherapy alone group. Severe laryngeal edema was found in 2 cases after radiotherapy, emergent tracheostomy was done. Four patients were died from distant metastsis, : three in lung, one in brain. Double primary tumor was found in 2 cases, one in lung (metachronous), another in thyroid (synchronous). Ulcerative lesions were revealed as unfavorable prognostic factor (p=0.0215), and radiation dose (more or less than 70.2 Gy) was an important factor on survival (p=0.0302). Conclusions :The role of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supraglottic carcinoma is to improve the survival and to preserve the la ryngeal function. Based on our data and other studies, ea rly and moderately advanced supraglottic carcinomas could be successfully treated with either conservative surgery or radiotherapy alone. Both modalities showed similar results in survival and vocal preservation. For the advanced cases, radiotherapy alone is inadequate for curative aim and surgery combined with radiotherapy should be done in operable patients. When patients refuse operation or want to preserve vocal function, or for the patients with inoperable medical conditions, combined chemoradiotherapy (concurrent) or altered fractionated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radiosensitizer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future.

      • KCI등재

        Comparative Analysis of Patterns of Care Study of Radio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among Three Countries

        Won Joo Hur(허원주),Youngmin Choi(최영민),Jeung Kee Kim(김정기),Hyung Sik Lee(이형식),Seok Reyol Choi(최석렬),Il Han Kim(김일한)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2

        목 적: 식도암의 방사선 치료에 대해 최초로 시행한 한국의 PCS의 결과를 토대로 미국, 일본에서 시행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식도암 환자들의 특징, 진단 및 치료방침의 차이를 파악해 향후 범 국가적으로 활용할 시스템의 구축에 응용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국내의 21개 병원의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1998-1999년 동안 식도암으로 확진 된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총 2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결과를 미국 59개 병원에서 식도암 환자 414명을 연구한 PCS 결과 (Suntharalingam)와 비교 하였다. 또 일본의 76개 병원에서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받았거나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제 치료를 함께 받은 수술 군 환자 220명(Gomi), 수술을 받지 않고 방사선 치료만 시행하였거나 방사선 치료와 항암제치 료를 함께 시행한 비 수술 군 환자 385명(Murakami)을 대상으로 시행한 PCS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일본의 비 수술 군이 가장 높았다(71세). 한국과 일본은 남성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았지만(9:1) 미국은 여성의 발생률이 23.1%였다. 한국과 일본은 편평상피세포암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한국 96.3%,일본 98%) 미국은 선암이 더 많은 양상을 보였다(49.6%).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는 식도 내시경,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 식도조영술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미국과 일본은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을 복부 초음파보다 더 자주 시행하였다. 치료방침을 분석한 결과 방사선 단독치료의 비율은 한국이 23.2%, 일본이 39%인데 반해 미국은 9.5%에 불과하였다. 수술과 방사선 및 항암치료를 병용한 빈도는 미국(32.8%)과 일본 (49.5%)이 한국(11.8%)보다 높았다. 식도암 치료에 있어서 항암제 치료는 미국이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어졌고(89%) 동시항암방사선 치료도의 빈도도 미국이 가장 높았다(97%). 항암치료제는 3개국 모두에서 cisplatin과 5-FU를 가장 선호하였다. 방사선 조사량은 한국 55.8 Gy, 미국 50.4 Gy였고 일본은 수술 군(48 Gy)과 비 수술 군(60 Gy)이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한국, 미국, 일본에서 시행된 식도암 환자의 PCS 결과를 분석하여 환자 및 종양의 특징, 진단 및 치료 방침에 다소간의 상이점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량과 조사야 수, 방사선치료 에너지의 종류 등 방사선 기술적인 부분은 3개국 모두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For the first time, a nationwide survey of the Patterns of Care Study (PCS) for the various radiotherapy treatments of esophageal cancer was carried out in South Korea. In order to observe the different parameters, as well as offer a solid cooperative system, we compared the Korean results with those observed in the United States (US) and Japan. Materials and Methods: Two hundreds forty-six esophageal cancer patients from 21 institutions were enrolled in the South Korean study. The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hy (RT) from 1998 to 1999. In order to compare these results with those from the United States, a published study by Suntharalingam, which included 414 patients [treated by Radiotherapy (RT)] from 59 institutions between 1996 and 1999 was chosen. In order to compare the South Korean with the Japanese data, we choose two different studies. The results published by Gomi were selected as the surgery group, in which 220 esophageal cancer patients were analyzed from 76 facilities. The patients underwent surgery and received RT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between 1998 and 2001. The non-surgery group originated from a study by Murakami, in which 385 patients were treated either by RT alone or RT with chemotherapy, but no surgery, between 1999 and 2001. Results: The median age of enrolled patients was highest in the Japanese non-surgery group (71 years old). The gender ratio was approximately 9:1 (male:female) in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studies, whereas females made up 23.1% of the study population in the US study. Adenocarcinoma outnumbered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US study, whereas squamous cell carcinoma was more prevalent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studies (Korea 96.3%, Japan 98%). An esophagogram, endoscopy, and chest CT scan were the main modalities of diagnostic evaluation used in all three countries. The US and Japan used the abdominal CT scan more frequently than the abdominal ultrasonography. Radiotherapy alone treatment was most rarely used in the US study (9.5%), compared to the Korean (23.2%) and Japanese (39%) studies. The combination of the three modalities (Surgery+RT+Chemotherapy) was performed least often in Korea (11.8%) compared to the Japanese (49.5%) and US (32.8%) studies. Chemotherapy (89%) and chemotherapy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97%) wa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US study. Fluorouracil (5-FU) and Cisplatin were the most preferred drug treatments used in all three countries. The median radiation dose was 50.4 Gy in the US study, as compared to 55.8 Gy in the Korean study regardless of whether an operation was performed. However, in Japan, different median doses were delivered for the surgery (48 Gy) and non-surgery groups (60 Gy). Conclusion: Although some aspects of the evaluation of esophageal cancer and its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were heterogeneous among the three countries surveyed, we found no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RT dose or technique, which includes the number of portals and energy beams.

      • 침윤성 방광암 환자에서 방광 보존 치료

        윤선민(Seon Min Youn),양광모(Kwang Mo Yang),이형식(Hyung Sik Lee),허원주(Won Joo Hur),오신근(Sin Geun Oh),이종철(Jong Cheol Lee),윤진한(Jin Han Yoon),권현영(Heon Young Kwon),정경우(Kyung Woo Jung),정세일(Se Il Ju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3

        목 적 :침윤성 방광암 환자를 대상으로 TURBT (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과 유도 항암화학요법 (neoadjuvant MCV chemotherapy) 후 방사선 항암화학 병용요법(cisplati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을 받은 환자 에서 치료의 적응도, 국소 반응율, 방광 보존율과 생존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0월부터 1998년 6월까지 TURBT 시행 후 병리 조직검사 상 침윤성 방광 이행상피암으로 진단 받은 병기 T2-T4, Grade II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과정은 TURBT 후 4주 간격으로 2회의 유도 MCV (methotrexate, cisplatin, vinblastine) 복합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고 그 후 cisplatin과 방사선 동시 병용요법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15 MV X- ray를 사용하여 하루 1.8 Gy씩 39.6∼45 Gy를 전 골반에 4∼5주간에 걸쳐 조사하였 다. 치료 종료 후 방광내시경을 통해 관해율을 판정하여 완전 관해인 경우 1∼2주 후 보강 방사선조사를 cisplatin과 병용하여 19.8 Gy를 시행하였다. 부분 관해인 경우 근치적 방광 절제술을 예정하였고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항암제 병용 강화 방사선치료를 받도록 하였다. 환자의 추적관찰기간은 34∼67개월로 중앙값이 49.5개월이었다. 결 과 :총 26명의 환자가 유도 항암화학요법을 위해 등록되었으며 유도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항암화학 병용요법을 완료한 환자는 21명(81%)이었다. 유도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항암화학 병용요법 후 방광내시경을 통해 완전 관해 판정을 받은 환자는 21명 중 7명(33%)이었고 부분 관해 환자는 14명(67%)이었다. 완전 관해 환자 중 강화 항암제 병용 방사선 19.8 Gy를 받은 환자는 7명 중 6명(85%)이었고, 이들 중 5명(14%)은 재발 없이 방광을 보존하였다. 부분관해 환자중 1명이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받았으며 3명이 TURBT와 2회의 MCV 항암요법을, 10명이 추가의 항암화학 방사선 병용요법을 받았다.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받은 1명은 수술 소견상 방광 내 종양이 존재했으나 수술 후 재발이 없었다. 전체 21명의 환자중 12명(58%)이 방광을 보존하면서 생존하고 있고 8명이 방광암으로 사망하였으며 1명이 다른 질병으로 사망하였다. 전체 환자의 중앙 생존기간은 27개월이며, 5년 생존율은 55% 였다. 유도 항암화학요법과 항암제 방사선치료 후 완전 관해 환자의 경우 5년 생존율은 80%, 부분 관해 환자 14%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유도 항암화학요법과 항암제 병용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grade 3 이상의 혈액학적 부작용의 빈도는 각각 백혈구 감소증 6명(29%), 혈소판 감소증 1명(4%)이었으며 이로 인한 화학요법의 지연은 1명(4%)에서 관찰되었다. 결 론 :침윤성 방광암 환자에서 유도 항암화학요법 및 항암제 병용 방사선치료를 적용하여 방광 보존율 및 5년 생존율에 있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완전한 TURBT와 유도 MCV 항암요법과 cisplatin 방사선 병용요법에서 완전관해 여부가 방광보존가능성과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생각되고 만약 완전관해를 이루지 못하면 근치적방광적출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Purpose : To assess the tolera nce, complete response rate, bladder preservation rate and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muscle- invading bladder cancer treated with selective bladder preservation protocol. Method and Materials : From October 1990 to June 1998, twenty s ix patients with muscle- invading bladder cancer (clinical stage T2- 4, N0- 3, M0) were enrolled for the treatment protocol of bladder preservation. They were treated with maximal TURBT (tra 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 and 2 cycles of MCV chemotherapy (methotrexate, crisplatin, and vinblastine) followed by 39.6∼45 Gy pelvic irradiation with concomitant cisplatin. After complete urologic evaluation (biopsy or cytology), the patients who achieved complete response were planed for bladder preservation treatment and treated with consolidation cisplatin and radiothera py (19.8 Gy). The patients who had incomplete response were planed to immediate radical cystectomy. If they refused radical cystectomy, they were treated either with TURBT followed by MCV or cisplatin chemothera py and radiotherapy. The median follow- up duration is 49.5 months . Result : The patients with stage T2- 3a and T3b- 4a underwent complete removal of tumor or gross tumor removal by TURBT, respectively. Twenty one out of 26 patients (81%) successfully completed the protocol of the planned chemo- radiothera py. Seven patients had documented complete response. Six of them were treated with additional consolidation cisplatin and radiothera py. One patient was treated with 2 cycles of MCV chemothera py due to refusal of chemo- radiotherapy. Five of 7 complete responders had functioning tumor- free bladder. Fourteen patients of incomplete responders were further treated with one of the followings : radical cystectomy (1 patient), or TURBT and 2 cycles of MCV chemotherapy (3 patients), or cisplatin and radiotherapy (10 patients). Thirteen patients of them were not treated with planned radical cystectomy due to patients ' refusal (9 patients) or underlying medical problems (4 patients). Among twenty one patients , 12 patients (58%) were alive with their preserved bladder, 8 patients died with the disease,1 patient died of intercurrent disease. The 5 years actuarial surviva l rates according to CR and PR after MCV chemotherapy and cisplatin chemoradiotherapy were 80% and 14%, respectively (p=0.001). Conclusion : In selected patients with muscle- invading bladder cancer, the bladder preservation could be achieved by MCV chemotherapy and cisplatin chemo- radiotherapy. All patients tolerated well this bladder preservation protoco. The availability of complete TURBT and the respons ibility of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chemoradiotherapy were important predictors for bladder preservation and survival. The patients who had not achieved complete response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chemoradiotherapy should be immediate radica l cystectomy. A randomized prospective trial might be essential to determine more accurate indications between cystectomy or bladder preservation.

      • KCI등재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의 치료 결과와 예후 인자 분석

        윤미선(Mee Sun Yoon),정웅기(Woong-Ki Chung),안성자(Sung-Ja Ahn),남택근(Taek-Keun Nam),송주영(Ju-Young Song),나병식(Byung-Sik Nah),임상철(Sang Cheol Lim),이준규(Joon Kyoo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3

        목 적: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에서 치료 결과 및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0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 IV기로 근치적 치료를 받은 90명을 대상으 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사선 단독치료는 12명, 항암화학요법과 병용치료는 65명, 그리고 수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행은 13명이었다. 방사선 단독군의 경우 총 방사선 선량은 59.0∼88.2 Gy (중앙값 70 Gy)이었다. 항 암화학요법은 대부분 5-FU와 cisplatin을 병용하였고, 일부 환자에서는 cisplatin을 기본으로 pepleomycin 또는 vincristin 등을 병용 투여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값은 15개월이었다. 통계적 방법으로 생존율의 산출은 Kaplan-Meier 법을, 두군의 생존율간의 차이는 Log-rank test를, 그리고 다변량분석에는 Cox prportional hazard model을 각각 이용하였다. 결 과: 전체 90명 환자의 3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26%, 17%였다. 2년 국소종양제어율은 방사선치료 단독군의 경우 33%,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 군은 32%,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 8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6).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에 대한 다요인 분석에서 T병기, 동시적 항암화학요법의 유무 및 국소 치료 후 완전 관해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 군의 3년 및 5년 후두 보존율은 각각 26%, 22%였다. 이중 동시적 항암항암화학방사선요법이 시행된 11명 환자의 5년 후두 보 존율은 52%로 선행화학요법이 시행된 54명의 16%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2). 결 론: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에서 근치적 수술과 방사선치료 병용요법이 방사선치료 단독요법이나 항암화학요법 병용방법에 비하여 더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한편 방사선치료와 동시적 항암화학요법은 후두를 보존할 수 있는 유용한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reatment results and to identify possible prognostic indicators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85 to December 2000, 90 patients who had locally advanced stage IV hypopharyngeal carcinoma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welve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65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nd 13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neoadjuvant chemotherapy. Total radiation dose ranged from 59.0 to 88.2 Gy (median 70 Gy) for radiotherpay alone. Most patients had ciplatin and 5-fluorouracil, and others had cisplatin and pepleomycin or vincristin. Median follow-up period was 15 months. Kaplan-Meier method was used for survival rate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for multivariate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Results: Overall 3- and 5-year survival rates were 27% and 17%, respectively. The 2-year locoregional control rates were 33% for radiotherapy alone, 32% for combined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nd 81% for combined surgery and radiotherapy (p=0.006).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verall survival were T stage, concurrent hemoradiation and treatment response. Overall 3- and 5-year laryngeal preservation rates in combined ehemotherapy and radiotherapy were 26% and 22%, respectively. Of these, the 5-year laryngeal preservation rates were 52% for concurrent chemoradiation group (n=11), and 16% for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n=54, p=0.012). Conclusion: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showed better results than radiotherapy alone or with chemotherapy. Radiotherapy combined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is an effective modality to achieve organ preservation in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Further prospective randomized studies will be required.

      • KCI등재후보

        방사선의 산업적 이용에 따른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 조사

        류영환(Younghwan Ryu),동경래(Kyungrae Dong),정운관(Woonkwan Chung),조재환(Jaehwan Cho),박용순(Yongsoon Park),정홍량(Hongryang Jung) 한국방사선학회 201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선의 사업적 이용에 따른 방사선발생장치 또는 방사성동위원소 등(이하 방사성동위원소 등)을 운용하는 방사선작업종사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안전관리와 관련된 지식의 설문 조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이분석 함으로서 방사선 이용시설 등의 방사선안전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함에 있다. 연구 방법은 2011년 08월 01일 부터 09월 05일 까지 861 명의 방사선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기관정보는 빈도 분석을 하였으며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수준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작업 종사자의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지식 조사에서는 종사자 모두 높은 수준으로 평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방사선 작업종사자들의 방사선 안전관리와 관련하여 보다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하며 작업종사자들의 의식을 높이기 위해서 시기적절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지속적으로 방사선 작업종사자들을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방사선이용이 될 수 있는 기반이 확립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via a survey the knowledge related to radiation safety management (RSM) among radiation workers who operated or used a radiation generator or radioactive isotopes (radioactive isotopes, etc. hereinafter) for industrial use an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hanges in the survey results in order to promote a radiation safety culture for facilities where radiation is used. We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to 861 radiation workers in the period from August 1 to September 5, 2011. As for the analysis method, a frequency analysis was made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 information of survey respondents, whil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for the knowledge level of the RS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knowledge level of the RSM was evaluated to be high in all of the radiation workers.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conduct a study on various factors in regards to the RSM among radiation workers. This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educational programs in a timely manner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safe and efficient use of radioactive materials and equipments by radiation workers.

      • KCI등재후보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에 대한 방사선 안전 관리 실태 조사

        이미현(Mi hyeon Lee),유윤식(Yun sik Yu),이재승(Jae seung Lee),임인철(In chul Im) 한국방사선학회 2014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8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를 설치 및 가동 중인 전국 치위생(학)과를 대상으로 방사선 작업종 사자의 방사선 안전 관리 실태를 설문 조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이 분석하여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안전한 이용 기반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방사선 안전 관리와 관계되는 원자력 관계 법령 및 국내 방사선 안전성 평가 및 규제 기술 개발 현황에 대한 용역 보고서를 참고하여 포괄적인 문헌 조사를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방사선안전관리자의 위상, 방사선 안전관리 현황과 지식 및 의식 수준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교육기관 내 방사선안전관리자와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를 운전 가능한 학사 및 실습 조교, 전임 교원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설문 응답 누락 및 불충분한 응답을 제외한 95부를 회수하여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일반적 특성 및 방사선안전관리자의 위상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방사선 안전 관리 현황과 지식 및 의식 수준은 빈도 분석과 설문 문항별 연관성 분석을 위한 x² 검정(chi-square test)과 수준간 연관성을 구하기 위한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운영은 대부분 대학 이상의 사회적 교육 수준이 높고 치위생학을 전공한 20대에서 40대의 여성이 담당하고 있었으며 남성과 비교하여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선형적 관계를 보였다(x²>5, 0.1<r<0.3, p<0.05). 또한 국가 기술 면허의 보유는 치과위생사가 55.4%로 가장 많았으나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자 일반 면허자(28.2%) 또는 방사선사 면허자(16.4%)와 비교하여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의식 및 지식 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뚜렷한 선형적 관계를 보였다(x²>5, 0.3<r<0.7, p<0.01). 특히 업무 경력이 증가할수록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지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의식수준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x²>5, 0.3<r<0.7, p<0.01). 따라서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전문적 지식 체계의 확립과 국내ㆍ외 방사선 안전 관리 체계를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제도화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사용에 따른 방사선작업종사자와 주변 일반인의 방사선 위해로부터 방어를 위한 체계적인 방사선 안전 관리 지침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data base for establishment of dental training x-ray generator based safety usage through surveying real radiation safety management state of radiation worker's in plan of operations that have dental training x-ray generators and use it. For it, comprehensive references were surveyed referring reports of current state of regulation technique development and domestic radiation safety evaluation and nuclear related legislation regarding radiation safety management of dental training x-ray generators. On the basis of it, questionnaires were filled in about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 radiation safety manager's status current state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nd the level of knowledge & consciousness. For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224 people of radiation safety managers and university graduates training assistants and full-time professors who can treat dental training x-ray generators in education center. through this survey 95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nalysis materials except the insufficient and omitted responses. As a method of analysi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figured out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afety manager's status. Chi-square test for frequency and correlation per question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for crosslevel correlation were done with current state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nd knowledge & consciousness level. As a result, running dental training x-ray generators was dealt with by 20's to 40's who have high education level over post undergraduate degree and major in dental hygienic. In addition, female have higher consciousness level for radiation safety management than male. It shows significal linear relation statistically(x²>5, 0.1<r<0.3, p<0.05). While the possession of national technical license was the highest of 55.4% in dental hygienists, their level of knowledge & consciousness for radiation safety management was lower than radioisotope licensers (28.2%) or radiation licensers (16.4%). It also shows clearly significal linear relation in statistics (x²>5, 0.3<r<0.7, p<0.01). As work experience rises, it was analysed that while knowledge level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increases consciousness level of it decreases(x²>5, 0.3<r<0.7, p <0.01). Therefore it is judged that professional knowledge system for radiation safety management would be established and institutionalized reform measures which make to understand radia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in general would be rapidly arranged. Furthermore, development of radiational safety management guidebook is needed to protect radiation workers and circumjacent general people from radiational hazard of using dental training x-ray generators.

      • KCI등재

        방사선과 대학생들의 방사선조사식품 인식도에 관한 연구

        여진동(Jin-Dong Yeo),전병규(Byeong-Kyu Jeon)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5

        연구는 방사선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인식여부를 확인하고,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도움을 주고,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대구, 경북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방사선과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조사대상으로 2018년 2월 1일부터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방사선조사식품과 관련 교육경험에 대해서는 ‘없다’가 73.7%로 나타나 대부분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대해서는 ‘방사선전문가 교육’ 49.8%, ‘학교교 육’ 31.6% 순으로 나타나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대해서는 방사선전문가 교육및 학교교육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교육 참여의향에 대해서는 ‘보통이다’ 전체 54.5%로 나타나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교육 제공시 교육생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 된다.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교육은 언제부터 실시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초등학교’ 때부터 27. 7%, ‘중학교’ 때부터 23.0% 순으로 나타나 방사선조사식품은 저학년부터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생활에 민감한 대학생들의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및 명확한 이해를 위한 구체적인 홍보활동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radiation irradiation foods for radiologists, to help them understand the radiation irradiation foods properly,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educational program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28, 2018, with 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radiology at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73.7%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did not have educational experience in radiological survey foods and 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s. 49.8% of radiologists and 31.6% of school education were the most effective methods of radiation survey foods. As for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on radiation irradiated foods, 54.5%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are normal and that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students can be increased when providing education on radiation irradiated foods. As for when it is appropriate to conduct education on radiation-invested foods, 27.7% from Elementary School and 23.0% from Middle School are shown.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promotional activitie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overall recognition and clear understanding of irradiated food products of college students who are sensitive to di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