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폭력 방관자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정혜원 ( Jung Hye-won ) 한국소년정책학회 2017 少年保護硏究 Vol.30 No.2

        이 연구는 학교폭력 방관자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이 무엇인지를 성별에 따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여학생의 경우는 학교폭력을 목격했을 때 ‘모른척 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남학생들의 경우에는 ‘직접 말림’이 가장 높게 나타나 여학생들과 남학생들은 학교폭력을 목격했을 때 하는 행동에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여학생들의 경우 학교폭력을 목격했을 때 모르척 한 이유로는 어떻게 할 수 몰라서 모른 척 했다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남학생들이 모른척하는 이유는 관심이 없어서가 높게 나왔다. 둘째, 방관자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살펴보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주요하게 연령, 부모애착, 학교생활만족도가 방관자 역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부모애착이 낮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을 수록 방관자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를 성별로 분리하여 살펴보면, 여학생들의 경우 연령, 부모애착이 방관자 역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부모애착이 낮을수록 방관자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반면 남학생들의 경우에는 부모애착만이 방관자 역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이 낮을수록 방관자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처럼 성별에 따라 학교폭력 목격경험과 대응행동 그리고 방관자 역할에 미치는 요인들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학교폭력 대응정책은 성별을 고려하여 구성하고 있지 못하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차이를 반영한 학교폭력 대응정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aiming at figuring out key factors affecting roles of bystanders to school violence by gender. According to the study, the largest number of female students showed indifference when they witnessed cases of school violence. In comparison, the largest portion of male students tried to stop violence, indicating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about campus violence. Whereas many female students pretended not to see campus violence because they didn't know what to do, male students did so because they were interested in it. Second, preceding studie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factors affecting roles of bystanders. It was found that age, parents'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had significant effects on roles of bystanders statistically. In other words, older students, students under parents with weaker attachment and students who were less satisfied with campus life were more likely to become bystanders to school violence. By gender, female students' age and attachment of their par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bystanders' roles statistically. Older students and those under parents with weaker attachment were more likely to become bystanders. On the other hand, regarding male students, parents'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bystanders' roles statistically. It means that students under parents with weaker attachment were more likely to become bystanders. Like this,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their experience in witnessing school violence, their responses and bystanders' roles, but policy for school violence hasn't considered gender.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a suggestion was made about policy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in response to school violence.

      • KCI등재후보

        방관자의 도덕화 내용 분석과 전망적 책임에 관한 철학적 성찰

        이상희 ( Lee Sang 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2

        연구의 목적은 가해자와 구별된 관점에서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에 관한 철학적 성찰을 제공하는 것으로 연구의 문제의식은 사회와 교육 체계 안에서 방관자에 관한 담론이 “방관을 해서는 안 된다.”라는 도덕적 언명을 드러내지만,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을 피상적으로 도덕화(moralizing)하는 데 있다. Ⅱ장에서는 방관자 현상에 관한 실증 연구를 바탕으로 잘못된 도덕화의 내용을 살펴보고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 귀속 가능성을 밝힌다. 인과적 또는 회고적 책임에 치우친 책임에 대한 이해는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 귀속에 혼란을 일으킨다.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은 해악의 결과에 대한 실질적 원인이 되는 인과 관계와 무관하게 전망적 책임 개념 안에서 도덕적 역할 책임으로 귀속될 수 있으며, 이는 도덕적 행위자로서의 책임으로 확장될 수 있다. Ⅲ장에서는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에 관한 철학적 성찰로 토마스 힐(Thomas Hill, Jr)이 칸트적 관점에서 도출하는 전망적 책임 또는 준비적 책임(2차적 책임)에 해당하는 세 가지, ‘숙고를 기울일 의무’, ‘자기검토의 의무’, ‘덕을 발전시킬 의무’를 고찰한다. This study provides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moral responsibility of bystanders in terms of distinguishing them from the perpetrator. It is because of the problem that the bystander's moral responsibility is only superficially moralized. Based on empirical researches on the bystander phenomenons, the content suitability of moralization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ascribe the moral responsibility to the bystander are examined. The concept of causal or retrospective responsibility confuses attributing moral responsibility to the bystander. The moral responsibility can be ascribed to the bystander within the concept of prospective responsibility regardless of the causal relationship that causes harm. And prospective responsibility of the bystander can be extended to responsibility as a moral agent. Thom as E Hill, JR defines the moral responsibility of the bystander as prospective responsibility and presents three obligations to deliberate, self-review, and to develop virtue as a prepared responsibility(secondary responsibility) to participate(primary responsibility) in a situation from Kant’s viewpoint.

      • KCI등재

        학교폭력 방관자 하위유형 탐색: 공감, 자기효능감, 불안, 동조성, 초기부적응도식을 중심으로

        정지윤,이은희 한국교육치료학회 2018 교육치료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bystanders in school bullying can be clustered into subtypes according to empathy, self-efficacy, anxiety, conformi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llying assistant behaviors and defending behaviors across the subtypes. Participants were 818 students from 2 elementary schools and 3 middle schools in Changwon and Jinju City. Among them, 179 students were selected as bystanders in school bullying. Cluster analysis revealed three groups. ‘negative and anxious bystanders’, ‘confident and stable bystanders’, and ‘timid and indifferent bystanders’. Anova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defending behaviors and non-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bullying assistant behaviors among three subtypes.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ndings and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for bystanders in school bullying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방관자 집단이 공감, 자기효능감, 불안, 동조성, 초기부적응도식의 유사성에 따라 어떠한 하위유형이 도출되는 지 알아보고, 도출된 하위유형 간에 가해동조행동 및 피해자 방어행동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경남 창원 및 진주시에 소재한 5개 초·중학교 818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방관자로 분류된 179명의 자료만을 가지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분석결과 ‘부정적이고 불안한 방관자’, ‘자신감 있고 안정적인 방관자’, ‘소심하고 무관심한 방관자’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량분석결과 학교폭력 방관자 세 유형 간에 가해동조행동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피해자 방어행동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 및 학교폭력 방관자에 대한 효과적인 상담적 개입전략이 논의되었다.

      •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역할자 프로파일분석: 따돌림 예방,개입 방안을 위한 역할자 탐색, 예측 및 종단적 변화양상 분석

        권재기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3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13 No.-

        사회성이 시작되는 초등학교 시기는 여러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을 자각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방식을 경험한다. 학교라는 한정된 공간속에서 발생하는 집단따돌림은 다수의 방관자들이 역동하는 집단의 문제로 보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집단의 역동성을 밝히기 위해 동조현상이 높은 초등학교 고학년생을 대상(n=4,300)으로 집단따돌림 역할자를 탐색?예측하고, 종단적인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도출되는 연구결과를 통하여 집단 따돌림 역할 자에 따라 맞춤식 따돌림 예방 및 개입방안을 제안하였다. 집단따돌림 역할자를 탐색한 결과, 무관심 방관자, 자기방어 방관자, 가해 동조자, 피해자, 피해-가해 양가자, 가해자와 같은 6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들의 특성을 개인 및 가정환경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결과에서 특징적인 점은 무관심 방관자는 여학생이 많고, 키가 크고, 탄력성과 자기 통제력이 높고, 규칙을 준수하는 특성이 있다. 정상적인 가정이 많고, 맞벌이가 아닌 경우가 많았다. 자기방어 방관자는 몸무게가 많고, 교과부진 및 무료급식 대상자이고, 가해 동조자는 키가 크고, 탄력성이 높았다. 피해-가해 양가자는 교과부진대상자인 경우가 많았고, 공감이 높은 특성이 있었다. 피해자는 몸무게가 많이 나가고, 교과부진 대상이고, 부의 나이와 학력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가해자는 영재교육 대상자이고, 탄력성과 협동심이 높은 특성이 있다. 가정환경은 모의 나와 학력이 높은 특징이 있으며, 학교폭력 원인이 개인 외 문제라는 인식이 높았다. 집단따돌림 역할자의 3년간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전체 학업성취도는 무관심 방관자가 가장 높았고, 피해-가해 양가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 학업성취도가 감소하였다. 피해-가해 양가자의 경우 교과부진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자아개념은 무관심 방관자가 꾸준히 증가하였고, 자기방어 방관자는 자아개념과 성취 목표가 타 역할 자에 비해 매년 감소하였다. 학교적응에서 피해자는 초기 학교만족도가 높았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고, 조퇴횟수도 증가하였고, 가해자도 결석횟수가 매년 증가하였다.

      • 학교폭력 방관자 연구 동향 분석

        이필주 ( Lee Pil-ju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18 인성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방관자 관련 연구를 개관하고 연구동향을 분석함 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로 게재된 논문 중 ‘학교폭력 방관자’로 검색 가능한 박사학위 논문 4편과 석사학위 논문 42편, 학술지 18편 총 64편을 출판연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분석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방관자에 관한 연구는 2013년도에 12편으로 급격히 증가하였고 2014년도 이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가 그 이후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연구가 21편, 33%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3편, 5%로 다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주제는 학교폭력 방관자 변인 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이었으며, 다음으로 개입방안 순이었다. 넷째, 연구방법 분석 결과 양적 연구는 56편, 질적연구는 8편으로 양적연구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방관자의 관련 변인은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 모두 영향을 받으며 특히 또래, 학급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학교폭력 방관자에 대한 연구는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모두 중요하지만 청소년기 특성 상 또래,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바람직한 학급문화 조성, 예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opening the school violence bystander study and analyzing research trends. To this end, from 2000 to 2017, 4 doctoral and 42 master's thesis papers, 18 research papers, a total of 64 academic journals were found as “school violence bystander.” The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school violence bystander rapidly increased to 12 in 2013 and has shown a slight decrease in 2014 and a steady increase since then. Second, the most common objects of the study was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21(33 percent). Least common was high school students. 3(5 percent). Third, the most studied research topic was the variation of the school violence bystanders, second was the method of intervention. Fourth, the results of the study method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56 quantitative studies and 8 qualitative studies. Fifth, we found that the related variation of the bystander was influenced by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especially peers and class culture. To sum up the above, Both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but as it is influenced by age and environment due to adolescent characteristics. It is important to provide desirable class culture as well as prevention. In addition, it is more effective to analyze the internal processes of the bystander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prepare measure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than quantitative alone.

      • KCI등재

        집단 따돌림 방관자에 대한 또래지지프로그램의 효과

        윤성우,이영호 한국임상심리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집단 따돌림의 방관자가 집단 따돌림에 관심을 가지고 피해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방관자를 대상으로 한 또래지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중학교에서 자기 보고에 의해 방관자로 선택된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 상담을 실시하였다. 실험학급에서 방관자로 선정되어 또래지지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21명이었고, 통제학급에서 방관자로 선정되어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은 27명이었다. 또래지지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며, 초반부에는 학생들이 집단따돌림현상에 대해 인식하고 그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가지며 피해학생에 대한 공감능력을 증대시키도록 하였으며 후반부에는 피해 학생들에게 도움행위를 주거나 전체학급에서 시행될 수 있는 집단 따돌림의 개선방안에 대해 함께 모색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또래지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학생들이 따돌림상황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었으나 실제적으로 피해자를 도울 수 있는 도움행동 및 따돌림상황에 대한 변화는 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결과들의 시사점과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자-방관자, 피해자-방관자 전환 예측모형

        배미희,최중진,김청송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about offender-bystander and victim-bystander on school violence to construct a discriminant prediction model that includes both protective and risk factors among adolescents. RSES, STAI-K, CES-D, IRI, Self Control Scale, gender stereotypes scal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MAS, Peer Relationship Scale, School Bystander Scale. school grade, depressive tendency and self defense act on offender variable were administered to 21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s results, in offender-bystander model, school grade, physical health, anger management, and defensive posture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In contrast, variables such as age, sex, and satisfaction of the appearance related to personal traits rather than psycho-social were significant in predicting the victim-bystander model.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of developing tailored intervention for bystanders who were victims. In spite of these risk factors still exist, it may mean that empathy and perspective convert training can bumpers on risk behavior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 narrow focus on psychological variables. Therefore social and sub-cultur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복잡한 양상을 띠는 청소년 학교폭력의 현황을 설명하기 위해 가해경험을 가진 청소년이 방관자로 변하는 경우와 피해를 받은 학생이 방관자로 변하는 현상에 대한 설명모형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에 거주하는 남녀 중고등학생 216명(남학생 128명, 여학생 87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의 가해-방관, 피해-방관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이 무엇인지를 예측해 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해-방관 모형에서는 학교성적과 신체적 건강, 분노조절, 방어적 특성이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가해-방관 정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인데 비해, 피해-방관 모형에서는 나이, 성, 외모 만족도 등 청소년의 고정된 개인적 특성이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이었다. 피해-방관 모형에서 심리-사회적인 변인보다는 성, 나이, 그리고 외모 등의 고정된 개인적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끼친 것은 사회적인 대처기술이 아직 미숙하기 때문일 수 있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해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방관-피해, 방관-가해의 과도기적 속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청소년의 학교폭력을 해결하기 위해 청소년의 발달적인 특성 및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들을 고려한 맞춤식 중재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된 추후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의 교우관계 소외자와 방관자 행동 특성 및 인식 탐색

        정주혁,유정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nature and recognition of the isolated students and bystanders in respect of friendship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achieve these objectives, we analyzed statistical material through PQR and inductive category by completing open questionnaires for 360 students bullied in public middle school in a large city. According the results, first, damages defender of participant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70.2%. There were bystanders(12.3), the alienated(7.4) inflictor(5.5), contributor(4.6) in descending order.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ductive analysis regarding the nature and recognition of bystanders in physical education, the biggest reason for not helping their colleagues in need is as following: ① improper friendship(32.8), ② lack of moral and emotional empathy(28.1), ③ lack of exercise ability(15.6), ④ psychological burden(12.5), ⑤ improper class attitude(10.9). In numerical order, improper friendship can be the biggest problem that.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소외자와 방관자의 특성 및 인식을 파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행동을 분석을 통하여 집단 특성과 그 차이를 알아보고, 개방형 설문 분석을 통해 체육수업에서 소외자를 돕지 않는 방관자의 인식과 이와 관련한 소외자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대도시 소재 공립중학교(남여혼성)의 360명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에서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질문지(PQR)와 개방형 문항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교차분석, 귀납적 범주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또래 괴롭힘 참여역할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피해방어자(70.2%)역할이 가장 높았게 나타났으며 방관자(12.3%), 소외자(7.4%), 가해자(5.5%), 가해동조자(4.6%) 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성별 및 학년에 따른 또래 괴롭힘 참여역할의 공통점은 모두 ‘피해방어자’ 역할, ‘방관자’ 역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에서 방관자적 태도를 취하는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개방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진술문을 토대로 귀납적 내용분석을 수행한 결과 체육수업 중 따돌림이나 소외 상황을 포함하여 어려운 상황에 있는 학급 내 동료를 도와주지 않는 이유를 ①부적절한 교우관계(32.8%), ②도덕적·정서적 공감 결여(28.1%), ③운동능력부족(15.6%), ④심리적 부담(12.5%), ⑤부적절한 수업태도(10.9%)의 순으로 범주화되었다.

      • KCI등재

        기질을 활용한 학교폭력 방관자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정은하,신윤미,조선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2 No.1

        We tried to develop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which focuses on the bystanders. In the context of school violence, most students are bystanders. They can either reinforce the violence or stop the violence. We hypothesized that the students who know their own temperament dimensions such as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and reward dependence (Cloninger, 1994) will show more tendencies to defend victims from school violence when they learned the methods to prevent school violence in accordance to their temperament dimensions. 351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the 4 session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e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o identify their own behavior in school violence situat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temperament group), students learned the methods to help the victims that suits with their own temperaments. Whereas, the comparison group just attend the class regardless of their temperamen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rend of defending the victims. However, the temperament group showed more tendency to protect/defend the victims than the comparison group when they faced with school violence. These results show that students can learn the methods of defending victims from school violence more easily by knowing their own temperament dimensions, and can be the prepared and the effective defenders. 본 연구에서는 기질 특성을 활용한 학교폭력 방관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학교폭력 상황에서 대부분의 학생은 방관자이며, 이들은 단순한 목격자가 아니라 폭력을 강화하거나 중단하는 역동적인 역할을 한다. 학생에게 각자의 기질검사 결과를 알게 하고 폭력 상황에서 기질 특성에 맞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것이 피해자를 돕고자 하는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351명의 중학생이 4회기의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프로그램 시작 전후로 자기 보고 검사를 시행하였다. 실험 집단(기질 집단)은 기질검사(TCI, Cloninger)로 측정된 기질 특성에 적합한 보호자로서의 역할을 배웠다. 반면, 통제 집단은 방관자로서 폭력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 받고 역할극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시행 이후 통제 집단에서는 학교폭력에 대한 방관적인 태도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기질 집단은 방관적 태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 집단과 기질 집단 모두 프로그램 시행 후 학교폭력 상황에서 보호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 수준이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기질 집단에서 그 정도가 큰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결과를 종합하여, 시사점과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들의 또래 괴롭힘 참여유형에 따른 도덕 판단의 차이: 결과의 수혜자와 상황의 책임소재를 바탕으로

        전연희 ( Yeon Hee Jeon ),심은정 ( Eun Jung Shim ),이윤형 ( Yoon Hyoung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또래 참여유형에 따라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결정에 대한 판단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판단에 따른 결과의 수혜자(자신-타인)와 상황의 책임소재(있음-없음)에 근거한 도덕 판단이 주변또래 참여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옳고 그름의 판단, 자신이나 타인이 그 상황에서 어떠한 행동을 취할 것인지 선택에 대한 판단, 비난 가능성에 대한 판단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시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또래 괴롭힘 참여유형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도덕적 딜레마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도덕성, 자기행위, 타인행위 및 비난 가능성을 판단하도록 했다. 그 결과 도덕 판단 시 결정의 수혜자가 자신일 때, 피해자에게 책임이 있을 때 다수를 살리기 위해 한 명을 희생하는 결정이 도덕적 행위를 어긴 정도가 덜 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결정에 대한 판단은 주변또래 참여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자기행위 판단과 타인행위 판단의 경우에 방관자 집단이 방어자집단에 비해 딜레마 상황에서 한 명을 희생하는 결정이 도덕적 행위를 어긴 정도가 덜 하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방관자의 경우에는 자기행위 판단에서 희생자에게 책임이 있는 경우에 도덕적으로 괜찮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피해자의 책임에 대한 방관자의 인식 변화가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의 방관자의 역할 행동변화의 중요한 요인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또래 괴롭힘의 예방을 위해서는 피해자들의 책임여부에 관계없이 또래 괴롭힘은 옳지 못하며 또래 괴롭힘이 결국은 자신의 문제라는 것을 인식시킬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ral judgments in moral dilemmas differs according to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situation(i.e., bully-followers, bystanders, defenders). Specifically, the study explored differences in moral judgment based on the beneficiary of the choice(self vs others) and the attribution of the responsibility. 382 middle school students in Ulsan city completed the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 and the scale of moral judgment in moral dilemmas. The major findings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moral judgment in moral dilemmas differed according to the beneficiary of the choice and the attribution of the responsibility. In overall moral judgment, participants evaluated morally more acceptable in case that the beneficiary of choice was oneself and responsibility can be attributed to victims. Moreover, the moral judgments were partly differed according to participant role in bullying and in the types of judgments. While the judgement of morality and the possibility of the blame did not differ based on the participants’ roles, bystanders deemed that the degree of violation was lower compared to defenders in the case of the judgment of one’s act,. Also, in the judgment of one’s act, bystanders evaluated that it is morally tolerable in case that victims are responsible in that situation. Such results suggested that the change of bystanders’ perception regarding the responsibility of victims might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hange of their role in bullying situation. Current findings indicate that moral judgments in their moral dilemmas vary depending on the participant role, the beneficiary of choice and the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The current study also suggested that efforts of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argeted at bullying need to consider adolescents’ moral judgment tend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