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세기 유트레히트 화파의 ‘밤 그림’ 속 촛불의 의미 해석

        김승환 유럽문화예술학회 2019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0 No.1

        Under the influence of Caravaggio, Utrecht painters of 17th century were fascinated with the depiction of light effect. Especially Gerrit van Honthorst and Ter Brugghen used the candle more frequently than other painters. As a result, the shadow of night reigned their paintings, so they were called 'pittura tenebrosa'. The candle in their paintings connote the various and complex meanings. To approach these meanings, the candle in the religious painting, the genre painting whose subject is prostitution and in the portrait of old man with a pince-nez was analysed and interpreted. The candle of the religious painting signified the Divine light or the Truth. The candle in the genre painting dealing with the daily lives of the people symbolized not only internal state of mind, especially intellectual concentration and spiritual inspiration, but also the virtue of diligence related to night work. In the case of the representation with the coin and the pince-nez, the candle alluded the traditional Avarice or a visualization of Sight. In the brothel scenes, the candle played a metaphor of arousal and generation. 17세기 네덜란드 유트레히트 화파의 화가들은 카라바지오의 영향을 받아 빛과 어둠의 강한 대비를 특징으로 하는 그림을 그렸다. 특히 이 화파를 대표하는 작가인 반 혼트호르스트와 테르 브뤼헨은 촛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이들 그림은 밝은 부분만큼이나 어두운 부분이 많이 보인다는 점에서 ‘밤 그림’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들 그림 속의 촛불은 단순한 조명의 기능을 넘어다양하고 복잡한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한 의미에 대한 해석의 시도로서 두 작가의 촛불그림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3가지 종류의 주제 - 종교화, 안경 쓴 노인의 초상, 매춘을 소재로 한장르화 -를 통해서 접근하였다. 유트레히트 화파 화가들은 회화적 전통과 미학적 관심, 잠재적 고객의 취향에 따라 ‘밤 그림’ 속촛불에 다양한 의미의 층으로 이루어진 상징을 부여했다. 그런 점에서 이들 그림에 대한 의미 해석은 신중하고 섬세하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즉 전통적 도상의 관례와 함께 당대의 판화나 동료 화가들의 작품을 포함한 전반적인 시각문화와의 관련성 속에서 해석이 시도되어야 한다. 특히당대의 종교, 정치, 사회, 경제, 과학 등의 맥락 속에서 고찰되어야 한다.

      • KCI등재

        칼데콧 수상 그림책에 나타난 밤의 의미 탐색

        서민주 ( Min Ju Seo ),정경수 ( Kyoung Su J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1

        이야기의 세계는 필연적으로 작가와 독자가 심리적으로 만나고 유영하는 배경을 가진다. 그림책에서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결합으로 이러한 배경이 창출되어 시간성과 공간성을 확보해 나간다. 본 연구는 시·공간성을 함께 갖춘 독특한 배경인 ‘밤’에 주목하여 그림책의 주요배경으로서의 밤의 속성을 드러내고 그 중층적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에 기록된 1938년∼2014년까지 칼데콧 수상 그림책 중에서 제목과 내용에서 밤이 차지하는 의미를 중심으로 총 8권을 선정하여, 질적연구의 방법과 절차에 따라 분석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는 ‘내일을 준비하는 생성의 시간’ 1) 생명성을 회복하는 시간 2) 내적성장의 통로로서의 시간, ‘어둠의 장막이 가져오는 근원적 공간’ 1) 본유적 어둠의 공간, 2) 무한한 상상으로 확장되는 공간으로 유목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그림책의 배경으로서 ‘밤’이라는 시·공간에 대해 보다 깊이 있고 풍부하게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밤이라는 배경이 유아에게 해석될 수 있는 내적 과정을 예측함으로서 가정과 기관에서 책을 안내하는 성인독자에게 의미 있게 안내할 수 있는 계기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The world of story arrange the psychological meeting between writer and reader in various background. Among time and space background of picture-book consisted of combination of image and text, this study focused on nigh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e attribute for night as a main background of picture-book and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8 books among Caldecott award picture-books from 1938 to 2014 recorded in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based on the meaning of night for title and contents, which was analyzed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nerative time preparing for tomorrow’ were classified as ‘time to recover vitality’ and ‘time as a passage of internal growth’. Second, ‘Primitive space that the shadow of night bring’ were classified as ‘inherent space of darkness’ and ‘expanding space by infinite imagin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tried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for night as time and space background of picture-book. And it suggests to guide adults reading young children picture-books at home and in the kindergarten by predicting internal process of young children interpreting night as a background of picture-book.

      • KCI등재

        『동화와번역』 : 크리티컬 리터러시로 그림책 읽기 -『집으로 날아가』와 『연기가 자욱한 밤』 중심으로-

        최재영 ( Jae Young Cho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4 동화와 번역 Vol.27 No.-

        크리티컬 리터러시는 텍스트에 투영된 사회의 다양한 힘의 관계를 읽어내는 의지와 능력으로 정의되며 사회 구성원 모두의 공평한 행복 추구를 그 목표로 한 다. 다양성이 무시되고 힘의 지배로 인간관계가 구조화되는 현대사회에서 이 크리 티컬 리터러시 함양을 초등교육에서부터 시도하는 움직임이 있어왔으며 어린이 문 학이 그 교재로 자주 활용되고 있다. 어린이 문학 작품 중 보다 어린 독자들을 대 상으로 하는 그림책들도 이런 사회구조적 문제를 소재로 하여 출판되고 있으며 이 작품들이 빈번히 어린이 대상 크리티컬 리터러시 수업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들 그림책 중 관련 연구에서 추천 그림책으로 자주 언급되는 이 브 번팅의 『집으로 날아가』와 『연기가 자욱한 밤』을 크리티컬 리터러시 관점에서 분석하여 보았다. 각 작품의 이야기 구조와 언어 사용, 또 삽화에서 공평한 사회를 지향하는 가치가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 살펴 본 결과 두 작품 모두 주류집단 가 치의 강화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노숙자 문제를 다룬 『집으로 날아가』 와 로스엔젤리스 폭동을 소재로 한 『연기가 자욱한 밤』이 각 각 사회 약자의 문 제와 사회구성원 사이의 불화로 인한 폭력적인 사태를 소재로 하고 있으나 문제를 주류 집단의 시각으로 조망하고 현상을 유지하며 다양성을 거부하는 경향을 띄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어린이 읽기 교실에서 해당 그림책 을 사용 할 때 활용 가능한 크리티컬 리터러시 연습 질문들을 간략히 제안하였다. Critical literacy can be identified as the willingness and ability to read power mechanisms of a society reflected in the text it creates. It aims for the equality and wellbeing for all people. In modern society where diversity is ignored and where sociopolitical power defines human relationships, there has been a movement of instilling the spirit of critical literacy early on into a child`s mind. Children`s literature has often been used as resources for such effort, and many picture books touching upon sociopolitical issues have been contributed to the cause. This study attempts to interrogate such picture books to see how critical literacy`s ideals of equality and mutual prosperity are realized in such books. Eve Bunting`s Fly Away Home and Smoky Night were chosen for analysis because of their popularity in picture book research circles that analyze such them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vestigation of the story structures, use of language, and illustrations in these book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two picture books both defend dominant values of society. Each portrays homelessness and unrest resulting from social discord according to the dominant perspective, maintaining the status quo, and refusing to acknowledge diversity existing in society.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discussion questions for children`s critical literacy practice in a classroom discussion setting.

      • KCI등재

        중화권 그림책 속 불이(不二)의 상징적 심상 - 타이완 작가 지미(幾米)의 『별이 빛나는 밤(星空)』을 중심으로

        신의선 한국기호학회 2019 기호학연구 Vol.58 No.-

        This paper focuses on symbols in picture books and investigates imagery represented in art works and its meaning. The study examines Chinese picture books written in Chinese pictorial characters, and among the others particularly scrutinizes the World famous picture book, Starry Starry Night(2009) by Jimmy Liao. Starry Starry Night portrays protagonists' inner world entangled in a sense of loss and loneliness arises from the modern city life. Considering symbolic imagery is implied in narrative flow that starts from internal conflict then leads to identification and sympathy for a certain character, developing self-awareness and eventually insight to life, the study examined the causes and resolution process of internal conflict from viewpoint of Non-duality from Zen ideology. The study suggests the image embodied in the non-duality aspect of time, space and existence embraces Non-duality nature of all things in the world and insight of protagonist. I hope this study on internal imagery that implies fundamental meaning of existence will further developed into material to encourage nurturing positive mind set of picture book readers living in the insensitive modern society. 본고는 글과 그림이 결합된 텍스트인 그림책의 상징성에 주목하여 작품에 체현된 심상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중화권 그림책의 경우, 이미지화된 한자의 사용, 시와 그림을 하나로 보는 시화일여(詩畫一如)의 관점, 현상 너머의 진실한 의미를 중시하는 상외지의(象外之意)의 태도 등이 어우러진 문화적 토양 위에서 탄생하여 함축성과 상징성을 풍부히 담고 있다. 이에 세계적으로 호응을 얻은 지미 리아오의 『별이 빛나는 밤(星空)』(2009)을 주요 고찰 대상으로 삼았다. 『星空』은 현대 도시 생활 속의 고독과 상실에서 자유롭지 못한 주인공의 내면세계를 다루고 있다. 심리적 갈등, 특정 대상에 대한 동일시와 공감, 근원적 자아의 탐색과 삶의 통찰로 이어지는 서사 속에 상징적 심상이 나타나는 바, 주인공이 경험한 내적 갈등의 원인과 해결 과정을 선사상의 ‘불이(不二, non-duality)’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이들 심상을 시간적・공간적・존재적 不二의 측면에서 분석한 바, 그 상징적 의미에 세상만물의 불이적 품성과 삶에 대한 통찰이 깃들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존재의 본질적 의미를 담고 있는 이들 내적 표상에 대한 본고의 시도적 고찰이 나날이 각박해지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독자의 긍정 심리 향상을 위한 자료로 연계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계절별 낮과 밤의 길이’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글과 그림에서 드러나는 설명 유형을 중심으로

        신윤주 ( Yoonjoo Shin ),안유민 ( Yumin Ah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1

        이 연구에서는 ‘계절별 낮과 밤의 길이’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교육대학교 4학년 재학생 30명이 글과 그림으로 설명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글 설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용어는 남중고도, 자전축, 공전 순으로 나타났으며, 글 설명보다 그림 설명에서 오개념이 많이 드러났다. 둘째, 글과 그림 설명을 종합하여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공전과 관련하여 자전축이 기울어져서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거나, 지구의 공전 궤도 반지름 변화에 의해 계절 변화가 생긴다는 등 과학적 오류를 포함하는 설명 유형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구의 자전과 관련하여 계절별 남중고도는 변화하나 태양이 뜨고 지는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는 등의 설명 유형도 나타났으며, 지구의 공전과 자전 모두와 관련하여 과학적 오류를 포함하는 사례도 일부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지식을 활용하여 특정 현상의 설명 체계를 구성해 보는 경험의 부족, 자연 현상에 대한 관찰 및 관측 경험의 부족, 인지적 갈등을 유발하는 다른 설명 체계에의 노출 부족 등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초등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과학 영역에서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제고할 수 있는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written and drawn explanations of thirt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o examine their perception on the seasonal length of day and nigh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used the most common term in the description of the texts, such as meridian altitude, axis of rotation, and revolution, and there were more misconceptions in the drawn explanation than in the written explanation. Second, by analyzing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by combining written and drawn explanations, it is possible to detect scientific error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is closer when the axis of rotation is tilted in relation to the revolution and seasonal changes due to changes in the orbital radius of the Earth. In addition, there have been types of explanations such as seasonally changing meridian altitudes related to the rotation of the Earth but no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Su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discussed the lack of experience in constructing an explanatory system of specific phenomena using scientific knowledge, lack of observational experiences about natural phenomena, and lack of exposure to other explanatory systems that cause cognitive conflicts. We hope that it will be concrete and practical help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science domain of primary teacher training program.

      • KCI등재

        지미(幾米) 그림책에 나타난 도시인식과 상상력 연구

        박남용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1 No.-

        本論文對臺灣著名作家幾米作品世界進行了探討和硏究. 最近他的一些作品不旦被改編成電影, 而且改編成流行音樂. 因此在臺灣大衆文化現象引起了□大的影響, 引起了讀者們的關注和興趣. 一般來說, 我們把幾米的作品稱爲繪本或者圖畵書, 這就是文學與繪畵的互相結合. 蘇軾曾說, “詩中有畵, 畵中有詩.” 幾米在他的作品中强調了文學與繪畵的關係, 反映了現代社會中都市人的孤獨感和寂寞感的作家意識. 本論文共爲五章. 第一章是序論. 提及問題意識和旣存硏究趨勢. 第二章是敍述幾米作品中對現代都市文明否定認識. 第三章是自然與人之間的互相調和和溝通. 第四章是通過詩性想像的童話世界. 第五章是結論. 本論文以幾米的主要代表作『森林裡的秘密』, 『微笑的魚』, 『向左走·向右走』, 『地下鐵』, 『星空』等爲硏究對象, 進行了分析. 總而言之, 通過筆者對幾米繪本的硏究, 可以看到臺灣文化現象之間的一面, 也可以理解幾米作品中的主題意識. 幾米在作品裏面反映了對都市的否定認識和現代人日常生活中的孤獨感及異化問題等. 他爲了反映這樣的主題意識, 運用了□多的色彩感覺,豊富的感性,詩性想像等各種技巧和形式.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