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유형과 대학생의 발달, 학습 참여 간의 관련성 및 대응성 탐색

        변수연(Byoun, Su Yo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3

        This study examines how differently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promote college student’s development and engagement in learning. The researcher uses the 2013 Korean National Study of Student Engagement(K-NSSE) data of 18,257 4-year college students. Initially, the t-tests based on various college types were conducted to test if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f student development and engagement in learning affected by institutional traits and conditions. Secondly, in an attempt to compare institutional strengths and weaknesses in a more infographical way, the method of correspondence analysis was implemented. In the simple t-tests, the three stages of college student’s development and the six 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llege groups implying that different types or conditions of institutions matter in this respect. The results of correspondence analyses suggested that institutions of different conditions have different challenges in promoting student’s development and engagement. The study present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asier and more intuitive ways to identify their strengths and weakness in supporting college student’s development than other statistical methods. 본 연구는 배상훈․김혜정(2012)이 개발한 한국형 대학생 학습 참여 2013년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 유형으로 대표되는 환경적 요인과 대학생의 발달과 학습 참여의 하위 요소들 간의 관련성을 집단 간 평균 비교 분석과 대응일치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학의 여러 특징들(소재지, 규모, 설립주체)을 기준으로 실시한 t-test에서는 대학생의 3단계 발달 중 소속 단계와 공동체 기여 단계에서, 그리고 대학생의 학습참여 6요인 대부분에서 그룹들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연구자는 위의 세 가지 유형 기준을 바탕으로 대학의 유형을 여덟 가지(수도권 대형 국립, 수도권중소 국립, 수도권 대형 사립, 수도권 중소 사립, 지방 대형 국립, 지방 중소 국립, 지방 대형 사립, 지방 중소 사립 등)로 세분한 후 이 유형별로 대학생의 발달과 학습 참여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대응일치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8개 유형마다 대학생의 3단계 발달 과정과 학습 참여 6요인과 각각 다른 거리를 나타냄으로써, 대학의 주요 여건이나 특징에 따라 학생의 발달과 학습 참여를 유도하는데 있어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과제가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 진로탐색 및 진로의식의 영향요인 분석: 학생참여의 성장궤적을 중심으로

        나혜원,김안나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3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by applying latent growth models(LGM). In particular, we looked at the effect of the intercept and slope in student engagement on college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consciousness. Among the four-year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7th to 9th annual survey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695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Studies have shown that gender, grades, and student engagemen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llege students' career exploration, while majors, education plans, parents' education levels, college size, and student engagement affect career 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In particular, student engagement increased as the grade went up, and students with higher initial values and rate of change in student engagement were more positive about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consciousness. Student engagement can be seen in a wide variety of aspect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of universities. This study has academic value in that it has verified the impact of changes in student engagement on the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through dynamic processes.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LGM)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진로탐색과 진로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학생참여 변인에 주목하여 학생참여의 초기값(intercept)과 변화율(slope)이 대학생의 진로탐색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7차~9차 데이터의 4년제 대학생 중 조사에 모두 참여한 695명을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과 학점, 학생참여가 대학생의 진로탐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생의 진로의식에는 전공계열, 교육계획, 부모의 교육수준, 대학규모, 학생참여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대학생의 학생참여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생참여의 초기값과 변화율이 높은 학생일수록 진로탐색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진로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참여는 대학의 교수학습 환경 속에서 상당히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는 학생참여의 변화가 대학생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동태적 과정으로 파악하고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 학업열의의 발달궤적 및 영향요인 분석

        방상옥,임신일 한국교육심리학회 2023 敎育心理硏究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 process and type of how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changes over time and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 these changes. For this, data for a total of 4 years from the 1st year (1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4th year (1st year of high school)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of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otal of 2,147 students: 1,150 male students, 997 female students) were used. A growth mixture model was used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and latent groups of academic engagement, and poly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engag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ree latent groups exist in terms of developmental changes in academic engagement. The three groups were divided into ‘high stable group(4.1%)’, ‘medium stable group(91.4%)’, and ‘low stable group(4.3%)’ in terms of academic engagement. Self-esteem, teacher relationship,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subjective evaluation of achievement were identified as influential factors for each latent group. Over time, academic engagement gradually decreased slightly, the latent group type appeared to be maintained, and the influencing factors predicting this were also found to be differ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guidance for follow-up study was presented. Educational Impact and Implications : This study has empirical significance as it analyzed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through a growth mixture model to explore potential groups, the heterogeneity of the groups, and their implications. In addition, it identified individual, school, parent, and academic factors that affect academic engagement, and through this, provided objective research data on the academic engag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whom the importance of academics is gradually increasing.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박지회,고장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성장⋅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를설계⋅운영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신입생 학사지도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를 설계하였다. 둘째, 수도권 소재 A대학교 1학년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2시간씩, 총 5주에 걸쳐 세미나를 운영하였다. 셋째, 참여자를 대상으로 학습동기 및 교육효과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통해 세미나 운영 전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인터뷰를통해 질적 측면에서의 세미나 운영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적 학사지도세미나는 신입생의 학습동기 유발, 학업 및 진로설계에 도움, 교수자의 수업운영 방식과 교육내용에대한 만족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참여, 상호작용 중심의 수업활동은 신입생의 자기성찰과 타인 이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입생 대상의교육이 교수자 중심의 강의보다는 학생참여 중심의 발표와 토론 형태로 진행되어야 하고, 대학생활과실제적으로 연계되는 자기이해, 학업 및 진로설계에 대한 전문적인 학사지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시사한다. 이 연구는 소규모 신입생 그룹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진행하여 학생 개개인의 학습동기와교육효과성 변화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al Academic Advising Seminar” for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student engagement. To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steps were taken. First,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on academic advising and designed a developmental academic advising seminar centered on student engagement. Second, the seminar was provided to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for two hours per week for the first five weeks at “A”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rd,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seminar participation were analyzed through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after conducting a pre- and post-test on learning motivation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for participants.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s, the effects of the seminar were examined in terms of qualit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al academic advising semina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learning motivation, helping academic and career design, and improving satisfaction of faculty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 Second, academic advising focused on diverse student activities, helping them with self-reflect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ing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focusing on student engagement, professional academic advising on self-reflection, and academic and career path designing, all of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university life, rather than professor-centered lectur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conducted for a small group of freshmen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to make changes in educ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과정 참여의 매개효과

        김경민(Kim, Kyungm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과정 참여 및 창의적 인성의 일반적 경향과 관련성을 알아보고,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창의적 과정 참여를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6명을 임의표집하였고,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과정 참여, 창의적 인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과정 참여, 창의적 인성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과정 참여, 창의적 인성은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창의적 인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창의적 과정 참여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래핑 결과 간접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창의성에 대한 동기적 요소인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행동적 요소인 창의적 과정 참여 그리고 창의성의 정의적 측면인 창의적 인성의 메커니즘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general tendencies and relationships which exist within and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creative process engagement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406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creative self-efficacy,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Males showed higher scores than women in all of the variables. Second, creative self-efficacy,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had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to each other. Third, creative self-efficacy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creative personalit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bootstrapping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of the creative process engagement. This study provides a number of important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basic sources to better develop creativity enhancing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