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리텐션 반두께 바닥판을 갖는 바닥판의 구조성능 평가

        김동욱,심창수,Kim, Dong Wook,Shim, Chang Su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6

        반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공법은 완전 프리캐스트 바닥판 공법과 현장타설 공법의 장점을 절충, 보완한 효과적인 공법으로 공기단축, 시공성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된 바닥판이다. 이 논문에서는 프리텐션에 의한 반두께 바닥판의 상세를 제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해 실험적 연구와 분석을 수행하였다. 프리텐션이 도입된 반두께 바닥판 실험체와 2경간을 갖는 반두께 바닥판 실험부재 총 5기를 제작하였다. 실험변수로는 프리스트레스 도입크기, 이음부에서의 보강철근유무로써 이에 대한 강도와 변형률, 균열폭을 분석하였다. 단경간 바닥판 실험에서 실험결과는 계산강도에 비해 1.55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고 텐던의 수를 2배 증가 시켜도 휨강도 증가는 10% 수준이고 균열폭 제어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준이었다. 2경간 연속 실험부재의 경우는 부재의 정모멘트 및 부모멘트부에서의 강도는 부재의 인장철근과 텐던의 변형률로 항복시점을 파악할 때, 보강철근이 있는 경우 텐던과 인장철근은 보강하지 않은 부재보다 각각 1.2배 1.38배 높은 수준에서 항복하였다. 이번 연구에 의해 검증된 프리텐션 반두께 바닥판은 급속 교체 혹은 급속 시공 현장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Half-depth panels were developed with the merits of CIP (Cast In Place) decks and precast decks for constructability and fast construction. In this paper, details of half-depth panels with pre-tensioning were suggested. For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five half-depth panel specimens were fabricated and static tests were conducted. The cross-sections of these specimens were composed of pre-tensioned half-depth panels and pre-tensioned two-span half-depth panels. Test parameters were the amount of the prestressing force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s. Static tests on simply-supported slabs showed that ultimate strength was 1.55 times greater than calculated nominal strength. The flexural strength was only 10 % increased and the influence on crack width control was negligible when the member of tendons was increased twice. For two-span continuous specimens, the ultimate strength increased 1.2 times and 1.38 times respectively as the reinforcement was additionally provided. The verified half-depth panels by this research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the fast replacement or construction of bridges.

      • 격자형 I-형강 합성바닥판의 정적 및 피로성능 평가

        박창규,정영수,김훈 中央大學校 建設環境硏究所 2002 環境科學硏究 Vol.13 No.2

        최근 교량상 통과하중의 증대 및 교통량증대로 공용중의 교량의 바닥판은 가혹한 하중하에서 펀칭등의 파괴가 발생하여 사용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한 바닥의 보수나 교체공사등이 급격히 증가되어 신속 간편하며, 보수시 교통통제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이 있는 바닥판 시공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량구조물 바닥판의 신설/교체공사에 있어서 신속한 시공과 신뢰성 있는 품질관리, 교통통제의 최소화를 위해 공장 또는 제작장에서 바닥판 구조물의 주철근 대체로서 I형강을 배치하고 거푸집(저판)을 조립하여 I형강 격자 구조물을 제작한 후 현장에서는 I형강 격자 구조물의 설치 및 연결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을 시공하는 공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격자형 I형강 합성바닥판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인 물성 실험으로 I형강 자체의 역학적,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기초적인 물성 실험인 정적·피로성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격자형 I형강 합성바닥판 및 유사한 성능의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시험체를 제작하여 정적·피로성능 실험을 수행 비교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 연구 결과 격자형 I형강 합성바닥판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Recently, there have been increased much concern about the repair and rehabilitation for aged bridge concrete decks due to repeated heavy weight vehicles. Thus, it strongly needs to repair and rehabilitate aged concrete bridge decks by an innovative construction metho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new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RC) slab in bridge superstructure, which can contribute to minimize a traffic congestion during repair and rehabilitation works of aged concrete slab, and can sufficiently assure the quality through the minimization of in-situ works at the site. I-beams with punch holes, which are substituted for main reinforcing bars in concrete slabs, can be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 in the factory, and be preassembled into the grating frames. After erecting the preassembled grating frames in the site, concrete will be poured into the grating frame.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mechanical properties of I-Beam with punch holes itself through static test and fatigue test, and then to investigate structural properties of assembled I-grating concrete slab through static test and fatigue test, which can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constructional method for concrete slab in bridge superstructure.

      • 2거더교 PSC 장지간 교량바닥판의 최소두께

        이한주(Lee Han Joo),정철헌(Chung Chul Hun)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7 No.3A

        장지간 바닥판을 갖는 강합성 2거더교는 경제성 및 내구성 향상이 가능한 교량 구조 형식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개정된 도로교 설계기준에서 장지간 바닥판의 두께에 대한 내용이 신설되었지만 명확한 규정이 없는 실정으로 장지간 바닥판의 두께에 대한 명확한 설계법 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직교이방성을 고려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캔틸레버 바닥판을 고려한 장지간 바닥판의 최소두께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두께를 갖는 바닥판은 처짐, 균열폭, 피로내구성 등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장지간 바닥판의 두께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닥판의 처짐으로 나타났으며, 도로교 설계기준의 배력철근 설계법은 장지간 바닥판에서의 배력철근량을 과소평가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s with two-girders, with long span bridge deck slabs,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the economical as well as durable bridge types. KHBDC updated in 2005 included new requirements for the thickness of long span bridge deck slabs. However, specifications in KHBDC do not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for the minimum thickness of long span bridge deck slab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finite specification for the minimum thickness of long span bridge deck slabs. In this study, 3-D finite element analyses considering orthotropy were performed to derive the minimum thickness formula for long span bridge deck slabs. The formula is proposed as a function of cantilever slabs length and deck slabs span length. From the analytical studies, it was shown that the deck slabs with proposed thickness satisfies serviceability in terms of deflection, crack width and fatigue requirements. Besides, the deflection limit governs the minimum thickness of long span bridge deck slabs and design method for distribution reinforcement in the current specification can underestimate the amount of distribution reinforcement in the long span bridge deck slabs.

      • KCI등재

        격자형 강합성 바닥판 이음부의 하중전달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신현섭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4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8 No.4

        프리캐스트 방식에 의해 제작이 가능한 격자형 강합성 바닥판의 이음부는 콘크리트 전단키와 고장력볼트 체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같은 이음부 자체에 대한 휨 및 전단성능은 부재요소에 대한 실험을 통해 분석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바닥판 구조시스템에서 이음부에 의한 횡방향 하중전달 거동을 분석하고자, 길이 2.5m 및 폭 1m의 단위 바닥판 모듈 한쌍에 이음부를 설치한 실험체를 제작하고 중심 및 편심가력 휨실험을 하였다. 이음부에 하중이 직접 가해지는 중심재하 조건에서 고장력볼트의 설치개수가 30cm 간격 9개에서 60cm 간격 4개로 줄어 들 경우, 재하단계에 따라 이음부의 회전이 비교적 더 크게 증가하고, 이에 따라 바닥판 횡방향으로의 하중전달 정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한쪽 바닥판의 중심에 집중하중이 가해지는 편심재하 조건의 경우에는 횡방향 하중전달 거동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하중 재하방법별로 이음부의 거동을 비교한 결과, 집중하중에 대한 바닥판 횡방향으로의 하중분배 및 전달량은 이음부 자체의 성능뿐만 아니라 바닥판 슬래브의 펀칭전단에 의해서도 제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펀칭 전단파괴가 발생할 때까지 이음부의 고장력볼트가 항복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이음부 고장력볼트의 설치개수를 4개에서 9개로 증가시키는 것은 실질적으로 강도 보다는 이음부 및 바닥판의 휨강성 성능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joint of prefabricated steel grid composite deck is composed of concrete shear key and high-tension bolts. The flexural and shear strength of the joint were experimentally evaluated only by the bending and push-out test of the joint element. In this study the lateral load transfer behavior of the joint in deck structure system is experimentally evaluated. Several decks connected by the joint are prefabricated and loaded centrically and eccentrically. In the case of centrically loaded specimen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for the same loading step the rotation angle of the joint with 4 high-tension bolts is larger than the case of the joint with 9 high-tension bolts. Consequently, flexural stiffness of deck and lateral load transfer decrease in the case of specimen with 4 high-tension bolts. But, in the case of eccentrically loaded specimens, it is foun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oad transfer behavior. The further analysis results about the structural behavior of the joint show that lateral load transfer can be restricted by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joint as well as punching shear strength of the slab.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high-tension bolts in the joint didn't reach to the yielding condition until the punching shear failure, increase in the number of high-tension bolts from 4 to 9 has a greater effect on the flexural stiffness of the joint and deck system than the strength of them.

      • KCI등재

        채널형 관통 합성부를 갖는 강거더 교량의 전단면 바닥판 가설검토 연구

        최찬용(Choi,Chan-Yong),이형덕(Lee,Hyeoung-Deok),최병호(Choi,Byung-Ho),문지호(Moon,Jiho)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6

        본 연구에서는 채널형 관통 합성부를 갖는 강거더 교량에 대하여 전단면 바닥판 가설검토 연구를 수행하였다. 채널형 관통 합성부를 갖는 강거더는 바닥판 가설 시 전달연결재와 바닥판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모듈러 건설 저해요인인 부재간섭에 따른 공기지연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이러한 강거더 교량의 전단면 바닥판 가설 검토를 위하여 가설에 적합한 전단면 바닥판의 제원 및 양중방법을 유한요소해석으로 결정하였다. 이후 대상 거더와 바닥판에 대하여 BIM을 활용하여 다양한 곡률반경에 대하여 바닥판 가설검토를 수행하였다. 보다 효율적인 BIM 활용을 위하여 대상 거더와 바닥판은 알고리즘 기반 모델로 구현하여 거더와 바닥판 제원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is study;the constructability of a full-depth precast deck installation on a steel girder bridge with injection channel connection was evaluated. This type of girder has been developed to avoid the overlap between the shear studs and the bridge deck;which is a major issue causing delays in modular construction. First;the optimal dimensions and lifting method for the deck were determined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Subsequently;the constructability of deck installation on the bridge was evaluated with various radii of curvature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or the efficient use of BIM;algorithm-based models for the girder and deck were developed to change their shapes easily.

      • KCI등재

        신개념 FRP-콘크리트 합성 바닥판의 구조 형식 및 거동 특성

        조근희(Cho Keunhee),박성용(Park Sung Yong),조정래(Cho Jeong-Rae),김병석(Kim Byung-Suk)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7 No.3A

        새로운 형식의 FRP-콘크리트 합성 바닥판을 제안하고 설계 개념 및 구조 형식 등을 소개한다. 또한 바닥판으로서의 성능을 검증하여 실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제안된 FRP-콘크리트 합성 바닥판은 하부에 인발(pultrusion)공정으로 제작된 중공 GFRP 패널을 두어 영구 거푸집 및 주요 인장부재로 활용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신개념 바닥판 형식이다. FRP와 콘크리트 사이의 합성을 위해 규사코팅과 전단연결판을 도입하고 양면전단실험을 통하여 합성 성능이 충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바닥판과 거더 사이의 합성 효과를 고찰하고 스터드 연결방식에 대해 직접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스터드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경우와 비슷한 수준의 극한강도를 나타내어서 실제로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물 크기의 바닥판에 대해 정적 및 윤하중 피로 실험을 수행하여 거동 특성을 고찰하고, 관련 설계기준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신형식 FRP-콘크리트 합성 바닥판은 기존 바닥판에 비해 시공성과 내구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교량 바닥판으로서 적용성이 충분히 있음을 확인하였다. An innovative type of FRP-concrete composite deck is proposed, and its design concept and structural type are presented. The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system as a bridge deck are examined so as to verify its actual applicability. The proposed FRP-concrete composite deck is innovative regard to its bottom constituted by a hollowed GFRP panel fabricated by pultrusion, which plays the role of permanent form and main tensile member, and on which concrete is cast. The composition of FRP and concrete is realized by coarse sand coating and shear connecting plate, which has been verified to develop sufficient composite effect by means of push-out tests. Moreover, the composite effect between the deck and girder is examined and pure shear tests were carried out on the shear stud connection. The studs were seen to develop similar ultimate strength than precast deck, which satisfied the actually required performances. In addition, a full-scale deck was built and subjected to static and wheel load fatigue tests so as to investigate its behavioral characteristics. Test results verified that the proposed deck satisfies the relevant design codes. Consequently, this innovative FRP-concrete composite deck proposed in this study is seen to offer improved constructability and durability compared to former decks, and to present sufficient practicability as a bridge deck.

      • 구스아스팔트로 시공된 사장교 강상판 바닥판에 대한 열영향 특성

        김민우,김두환,박태순,홍상일,임현묵,김종현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강바닥판은 콘크리트 바닥판에 비해 강성이 작아 차량의 윤하중에 의해 국부적으로 큰 변형이 발생하여 포장표면에 인장응력을 유발시켜 포장균열 발생의 원인이 된다. 또한, 용접이음부의 포장이 균일한 두께로 포설되지 않거나 강바닥판과 아스팔트 포장 사이의 부착성 부족으로 인해 공용 중 포장손상이 발생한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강바닥판 교량에 구스 아스팔트와 같은 부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특수 아스팔트 포장을 실시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나 구스 아스팔트는 일반 아스팔트 보다 약 100℃정도 높은 고온상태에서 포설되기 때문에 강바닥판의 온도가 100℃~130℃ 정도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온도상승은 포장 시공 중 강바닥판의 변형을 유발하고 포장 완료 후에도 강바닥판 교량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스 아스팔트 포장온도가 강바닥판의 열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강상판 교량의 시공상에 문제점이 되고 있는 포장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해석결과, 지점과 교각의 2개의 교량받침과 Shear key가 설치되어 구스아스팔트 포장 시공 도중 문제시 되고 있는 지점의 부반력에 의한 받침의 들림이나 신축이음의 영향, 교축방향 변위의 영향은 모두 허용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부재에 모델링된 U-리브, 종형 및 횡형의 단부부재에 발생하는 응력은 강바닥판 또는 평판에 발생하는 응력에 비하여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 강바닥판교의 벌크헤드 적용시의 최적형상에 관한 연구

        오순택,박정원 서울産業大學校 2005 논문집 Vol.54 No.2

        강바닥판 교량은 1930년대 독일의 K. Schaechterle에 의해 처음 제작 되었으며, 독일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그동안 강바닥판 교량의 많은 연구를 통하여 그 설계와 시공에 있어 눈부신 발전을 가져왔다. 국내에서는 강바닥판교가 용접구조임에 비추어 용접기술의 미숙 및 기술력의 부족으로 시공 및 설계 실적이 아주 미비한 편이었으나, 최근 용접기술의 발달과 가설 공법들의 기술력의 향상과 더불어 현대의 강도로교가 대규모화, 장지간화 되어가는 경항에 비추어 강바닥판 교량은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 사용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강바닥판교에서 균열이 빈번히 발생해 가장 문제가 되는 U-rib와 횡리브 연결 상세부의 발생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Bulk Head Plate의 최적형상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바닥판 교량에서 피로 취약 상세부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특히 U형의 종리브를 사용하고 있는 바닥판에서 횡리브·종리브 연결부에 대한 국부적인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럽형과 국내형 강바닥판 교량을 모델로 하여 각 7개의 Bulk Head Plate를 적용 1차 유한요소 해석을 하였으며, Bulk Head Plate의 곡률변화를 통한 2차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주응력의 균일한 분배를 통한 적정성을 찾고자 하였다. The orthotorpic steel deck bridge was first fabricated by K. Schaechterle in 1930s, and since then it has been developed and is now used widely over the worl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ique of orthotropic steel deck bridges. After conducting an F.E.M analysis of the various rib types of the construction details, static and fatigue tests were performed to check the fatigue strength depending on the types of details. The fatigue strength of the steel deck system was found to have improved through the installation of an internal diaphram, as no cracks were found on the bottom round part of the scallop with diaphram.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domestic and the European types of details in terms of fatigue strength.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fatigue strength may be partially influenced by the shape of the scallop and by the installation of an internal diaphram, but it can be improved more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welding.

      • KCI등재

        바닥판조립식 단순보교량의 합성거동에 관한 연구

        구민세,장성수,윤우현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9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2 No.4

        본 연구는 거더 상면에 연장 형성된 수직돌출부의 양측에 상부 플랜지를 가지는 주형과 바닥 면에 모서리보다 형성되어 있는 바닥 판이 현장에서 그라우팅에 의한 전단 키로 연결되어 교량구조물을 형성하는 새로운 형태의 바닥 판 조립식 교량구조를 제안하고 그에 따른 정적실험 및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구조거동을 분석하여 실제 적용가능성을 입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주형과 바닥 판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평형조건을 입증하기 위해 주형과 바닥 판의 연결부에 스프링 효과를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바닥 판에서 발생하는 부재 력을 해석하였다. 이때 바닥 판에 가장 불리하게 작용하는 하중위치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실제 정적실험 모델과 동일한 유한요소해석결과와 실험결과의 비교로부터 바닥 판 조립식교량은 설계하중 하에서 충분한 저항내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적실험에서의 내·외측 주형의 처짐과 유한요소해석결과를 비교한 결과로부터 실험에 의한 처짐이 유한요소해석결과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바닥 판 조립식교량의 실제 강성은 충분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바닥 판 조립식교량에서 주형사이에 가로 보의 설치 갯수에 따른 하중 횡 분배효과 및 바닥 판이 합성된 후의 합성효과 등을 관찰하기 위한 유한 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하중 횡 분배효과는 편심 하중 재하 시에 가로 보의 개수가 3개로 증가하였을 때 가장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합성단면에서의 하중 횡 분배는 바닥 판 연결에 의한 합성효과로 인해 비 합성 단면에서의 하중 횡 분배의 약1/2의 크기로써 효과적인 합성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a new method of fabricated concrete deck bridge construction is proposed. This paper details the method in which concrete multi-girders and fabricated concrete decks are rested on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and the female to female type sheat-key is formed to connect girder and deck.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s performed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structural behaviors of the fabricated concrete deck bridge by comparing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 first task performed is the analysis of the equilibrium of the member force occurring between the deck and the girder. After verifying equilibrium of the member force determined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his process is applied to the analysis of maximum member force as the position of design load. This task is utilized to determine the safety of each member according to the same scale finite element model. The final process in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flection of girders used in experiment with that of the same scale finite element model to verify the strength of fabricated cincrete deck bridge. By this comparison, it is shown that the behavior of the fabricated concrete deck bridge is almost same as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he second task is to analyze the load distribution effect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aphragms and the composite effect due to the cinnection of the deck and girder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second task, it is found that the load distribution effect is not related to the number of diaphragms in case of the central loading, but is related to the number of diaphragms for eccentric loading. Analysis of the load distribution indicates that the effective number of diaphragm is three. It is also shown that the maximum deflection is decreased to almost one half due to the composite action of the deck and girder.

      • 작교이방성 판이론을 적용한 바닥판 활하중 모멘트 산정식 개발

        안예준(Ahn Ye Jun),남석현(Nam Suk Hyun),박장호(Park Jang Ho),신영석(Shin Yung Seok)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7 No.5A

        교축과 교축직각 방향의 철근비가 다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은 두 방향의 휨 강성이 다르기 때문에 직교이방성의 재료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의 직교이방성 성질은 교량의 바닥판 휨모멘트에 영향을 미친다. 2004년 개정된 AASHTO LRFD Bridge Desi맑 Specification은 활하중에 의해 바닥판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를 산정하는데 휨 강성비를 고려하고 있지만, 국내의 도로교설계기준(건설교통부, 2005)는 휨강성비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또한 도로교 표준시방서 하중­저항계수 설계편(대한토목학회, 1996)의 활하중 모멘트 값은 휨강성비를 고려하고 있으나, 단일 하중만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한 값으로 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설계기준에 제시된 트럭 하중모델과 승용차 전용 고가도로 설계용 활하중모델에 대하여 휨 강성비와 다수의 윤하중을 고려한 바닥판 활하중 모멘트 산정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직교이방성 판이론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를 산정하였다. 바닥판 활하중 모멘트 산정식에는 국내 설계기준 및 시방서에 제시된 하중계수, 동시재하계수, 및 트럭하중모델을 각각 적용하였다. Because of the orthotropic elastic properties and a significant two-way bending action, orthotropic plate theory may be suitable for describing the behavior of concrete-filled steel grid decks. In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2004), the equations for live load moment consider a ratio of flexural rigidity between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but not in the Korea design specification of highway bridge (2005). The Korea LRFD bridge standard specification of highway(1996) includes an orthotropic plate model with single load to estimate effects induced by live load moments of concrete-filled steel grid decks. However, the orthotropic plate model considering only single patch load may not be conservative. This paper presents live load moment equations for truck and passenger car, based on the classical orthotropic plate theory, which includes multiple patch loads. Design factors and live load models of Korea standard specification of highway bridge is applied to proposed form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