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설호박 재배 시 유기복합비료의 질소 밑거름 적정 대체량 평가

        김명숙(Myung-Sook Kim),박성진(Seong-Jin Park),김성헌(Sung-Hyun Kim),황현영(Hyun-Young Hwang),임재은(Jae-Eun Rim),유경아(Kyoung-Ah Ryu),심재홍(Jaehong Sim),이윤혜(Yun-hae Lee) 유기성자원학회 2019 유기성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추계

        유기질비료는 국가 정책사업으로 농식품부에서 추진함에 따라 농경지로의 투입량이 증가하고있는 추세에 있다. 유기질비료는 밑거름으로 투입되는 무기질비료의 대체용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안정적인 작물 생산량 확보와 과다시비에 따른 토양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질비료의 농경지에적정하게 투입하는 추천량 설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시설재배지에서 호박 재배 시 유기복합의 적정 추천량을 마련하고자 농가 포장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질소질 비료가 결측된 PK, 질소⋅인산⋅칼리질 비료가 투입된 NPK, 유기복합 비료가 토양검정 질소 밑거름의 50%를, 나머지 질소 50%를 무기질비료로 투입된 OC50+N50, 토양검정 질소 밑거름의 100%와 150%를 각각 투입한OC100, OC1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기복합의 질소 밑거름 투입 대체율은 토양검정 질소 밑거름량기준으로 호박의 수량(과중), 토양양분 잔존량이 적어 양분 집적 가능성이 적은 150% 처리구가 적당하였다. 이로부터 무기질비료의 질소 밑거름량은 유기질비료인 유기복합으로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수박 정식 전에 질소 밑거름 기준으로 100~150%까지 사용하고, 나머지 양은 무기질비료를 공급하는 것이 적당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마늘 재배시 유기질비료의 밑거름 시용이 밭토양 화학성 및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성헌(Seong-Heon Kim),황현영(Hyun-Young Hwang),박성진(Seong-Jin Park),김명숙(Myung-Sook Kim),서혜빈(Hye-Bin Seo),임재은(Jae-Eun Rim),이윤혜(Yun-Hae Lee ) 유기성자원학회 2019 유기성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춘계

        최근 소비자들의 안전농산물 선호가 증가됨에 따라 고품질 친환경농업정책이 장려되고 있으며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유기질 비료가 추천되고 있다. 이에 작물 종류의 생육특성에 따른 유기질비료의 적정사용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넘이 작물인 마늘재배시 유기질 비료 사용이 토양 및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본 실험의 처리구는무처리, 무기질비료(표준비료사용량: N-P2O5-K2O=250-77-128 kg ha -1 ), 혼합유박, 혼합유기질 및 유기복합 처리구로 구성하였다. 유기질 비료 처리구는 마늘의 질소 추천시비량을 기준으로 유기질 비료 시용량을 환산하였으며, 시비는 밑거름(N: 12 kg ha -1 )으로 50 및 100%를 각각 시비하였고 추비는총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먼저 마늘 생육 특성에서 초장, 구경 및 구장은 NPK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유기질 비료처리구 중 밑거름 50%처리구가 NPK처리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기질비료를 시비한 모든 처리구에서 밑거름으로 100%를 시비할 경우 50% 시비 처리구에 비해 마늘 생육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마늘 재배 후 토양특성 중 pH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EC, OM, NO3-N, NH4-N, Av. P2O5, 치환성 양이온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밑거름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통해 마늘의 생육과 장기적인 토양의 건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마늘 재배시 유기질비료의 밑거름 사용량은 밑거름 시용량의 50%를 추천하며나머지를 무기질 비료로 시비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단감과원의 밑거름 및 여름거름으로 돈분액비 시용 효과

        최성태 ( Seong-tae Choi ),안광환 ( Gwang-hwan Ahn ),김은경 ( Eun-gyeong Kim ),김은석 ( Eun-seok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단감과원에서 양분공급원으로 돈분액비 활용은 시비비용 절감과 돈분뇨의 해양투기 억제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단감과원에서 밑거름과 여름거름으로 돈분액비의 활용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해 2014년부터 2년간 수행되었다. 단감 ‘부유’ 과원에 1) 밑거름으로 퇴비와 화학비료 시용, 여름거름으로 화학비료 시용(관행 시비), 2) 밑거름으로 관행 시비와 여름거름으로 돈분액비(질소 0.22∼0.41% 함유) 시용(Con+LPM), 3) 밑거름과 여름거름 모두 돈분액비 시용(LPM+LPM) 처리를 하였다. 돈분액비는 사전에 질소 함량을 분석하여 시기별로 관행 시비구의 질소 성분량과 동일한 양이 시용되도록 하였다. 10a당 연간 총 시비 성분량을 산출한 결과 질소는 모든 처리구에서 동일하였고 인산은 관행 시비구보다 Con+LPM 및 LPM+LPM 시비구에서, 칼리는 LPM+LPM 시비구에서 많은 편이었다. 2년 동안 신초생장, 엽면적, 수량 등 수체생장과 과실특성은 처리 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어 단기적으로 돈분액비를 밑거름 또는 여름거름으로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잎의 질소, 인, 칼륨 등 무기원소 함량도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2년차 가을에 채취한 토양 pH는 관행 시비구가 7.0인데 반해 Con+LPM 및 LPM+LPM 시비구는 6.5로 낮은 편이었고 유기물 함량도 돈분액비를 시용한 처리구에서 낮은 편이었다. 반면 치환성 칼륨 이온 함량은 관행 시비구가 0.22cmol+/kg인데 반해 Con+LPM 및 LPM+LPM 시비구는 각각 0.37과 0.31cmol+/kg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돈분액비 시용은 단기적으로 단감나무의 생장에 문제가 없으나 3년 이상 장기적으로 시용할 때는 토양화학성 분석을 통해 연용 여부를 결정하고 관행 시비와 병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