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엄교학에서의 믿음(信)

        이행구(도업) 한국정토학회 2006 정토학연구 Vol.9 No.-

        모든 종교는 입문(入門)의 첫걸음으로 믿음(信)을 강조한다. 他力信仰을 강조하는 唯一神敎에서는 물론이고 自力信仰의 성격이 강한 불교의 경우에 있어서도 믿음(信)의 중요성을 강조함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 예를 들면 龍樹는 淸淨한 믿음(信)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佛法에 들어갈 수 있다고 했고, 예수는 믿음에 의해서 개인은 물론 그 집안까지도 구원될 수 있다고 말한다. 마호메트는 6信을 생활신조의 철학으로 할 것을 주장한다. 華嚴經의 入不思意解脫境界普賢行願品(이하 入法界品라 약칭함)에서 普賢菩薩은 믿어 의심하는 마음을 갖지 않는 사람은 無上道를 성취해서 모든 부처님과 같게 된다고 설하고 있다. 즉, 확고한 믿음(堅信)이 곧 成佛임을 주장하고 있다. 華嚴經을 위시한 大乘經典뿐만 아니라 原始經典에서도, 세존이 여러 비구들에게 五根에 대해 설할 때 제일 먼저 信根을 설하고 있음을 봐도 믿음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信이란 과연 무엇을 말하는 것이며, 信의 대상은 무엇인가라고 하는 점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믿음(信)의 문제에 관한 연구 성과는 상당히 이루어져 있으므로 생략하고 여기서는 화엄교학에서의 믿음(信)에 대해서 1.믿음의 뜻(定義), 2. 믿음(信)의 대상, 3. 믿음(信)의 功德의 3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서술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화엄사상에서의 보살도는 十信․十住․十行․十廻向․十地․等覺․妙覺의 52위로 체계화 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에 흥미로운 문제가 있다. 그것은 十住로부터 十地까지는 그 명칭과 내용 설명이 구체적으로 상술되고 있으나 열 가지의 믿음(十信)에 관해서만은 그 명칭도, 내용 설명도 일체 없다는 점이다. 신심의 깊이는 그 높낮이를 잴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하는 현수 법장의 설명은 논리성과 합리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화엄사상의 특징을 잘 나타낸 말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화엄교학에서 믿음의 대상이 佛․法․僧의 三寶로 요약되는 것은 여타의 대승경전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華嚴經의 경우 ‘三寶’ 이외에 일체중생은 본래 佛이다. 라고 하는 ‘絶對自覺’의 믿음(信)이 강조되고 있는 것은 하나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經文에 如來의 智慧가 衆生들 몸 안에 具足되어 있다(如來智慧具足在於衆生身中), 또는 일체중생은 부처와 똑같아 다름이 없다(心佛及衆生是三無差別)고 설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사상은 불성사상과 비슷하지만, 이론이나 관념이 아닌 ‘절대 자각’의 믿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써 ‘화엄교학에서의 믿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華嚴經에서 믿음의 공덕이 강조되고 있는 것은 여타의 初期大乘經典에 나타나고 있는 특징 중의 하나와 같다. 그런데 화엄경에서는 믿음은 道의 근본이며, 공덕의 어머니다(信爲道元功德母). 또는 믿음이 확고해서 의심이 없는 사람은 곧 如來와 같다(信心無疑者如諸如來等)라고 하는 표현으로 믿음의 공덕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믿음의 중요성 내지 믿음에 의한 공덕의 극대화로 나타난 것이 ‘信滿成佛’사상이다. Every religion stresses a faith in order to take the first step toward a devotee of the religion. Not only in the monotheism that stresses an other-power creed but also in Buddhism that stresses a self-power belief, they give special emphasis on faith. For example, Nagarjuna said that anyone who has clear and pure faith can easily enter into Dharma, and Jesus said that a believer together with his family can be saved with his faith. Mahomet insisted a believer to take six pieces of faith as the philosophy of his own life commandments. According to 'entering liberated vow of Samantabhadra,' (from here, it is abbreviated to Entrance Chapter of Dharma Realm) in Avatamska sutra, Samantabhadra said that anyone faithful who has no doubt at all can attain supreme truth and become to be equivalent to every Buddha. Namely, it insists that a firm faith is the enlightenment. Not only Mahayana sutra including Avatamska sutra but also ancient Buddhism sutra told us that Shakyamuni Buddha spoke, first of all, about the faith root when the Buddha talked about the five root. This fact demonstrates the supreme consideration about a faith in Buddhism. The following critical questions, however, arise in this context. What is the real meaning of a faith? And what is a faith object? Since there are already lots of research studies about a faith in Buddhism, this thesis study examines about a faith in Avatamska doctrine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subjects, firstly about a faith definition, secondly about a faith object, thirdly about a faith virtue.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y. First, the various levels of the Bodhisattva way in Avatamska doctrine have been organized into 52 positions such as ten pieces of fait), ten abodes, ten acting, ten transference of merits, ten lands, equal enlightenment, sublime enlightenment, and etc. But there is the following interesting find out in Avatamska doctrine. That is to say, although there are specific statements about their own names and their own content explanations from ten abodes to ten lands, there are no specific descriptions about their own names and their own content explanations with respect to the ten pieces of faith in Avatamska doctrine. According to the Hyounsu Bupjang's explanation, a faith depth can not be measured. This reasoning of Hyounsu Bupjang shows well the special feature of Avatamska doctrine followed by the logical and rational thought process.

      • 요한복음에 나타난 믿음의 실천적 함의

        신숙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2022 Torch Trinity Journal Vol.25 No.1

        믿음은 성경 전체를 관통하는 중요한 신학적 개념으로서 성경을 올바로 이해하고 성숙한 그리스도의 제자로 살아가게 도와주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요한 역할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이 믿음을 하나의 교리 또는 구원을 받기 위한 조건으로만 여기고, 믿음이 가지고 있는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함축성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다. 실제로 1세기 독자들에게는 자연스럽게 이해되었을 믿음의 풍부한 의미들이 종교 개혁 이후 많이 희석되었다. 이러한 믿음에 대한 오해를 교정하기 위해 지난 20-30년간 학계에서 믿음을 심도 있게,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하여 왔다. 그 결과, 믿음을 종교 개혁의 관점이 아닌 1세기 역사-문학적 관점에서 연구하여 괄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학계의 흐름에 발맞추어 1세기 역사문화적 관점에서 요한복음에 나타난 믿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전반부에서는 고대 그리스-로마 문헌과 헬레니즘 유대 문헌을 통해 1세기에 통용되었던 믿음의 의미를 분석한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월러스-러스크의 제안에 따라 믿음을 ‘순종’, ‘인내’, ‘충성’, ‘옳은 행실’이라는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믿음이 가지고 있는 실천적인 함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요한복음에 나타난 믿음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행동 중심적이며, 관계적인 중심적인 개념이라는 것을 주장한다. Faith is the crucial theological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entire Scriptures. Faith is critical not only for helping believers understand the teachings of the Bible correctly but also for enabling believers to live as mature followers of Christ. Despite its importance in Christian life, many believers have belittled faith simply as one of the Christian doctrines and thus have miss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faith carries. In fact, it is not uncommon for modern Christians to treat ‘faith’ only as a prerequisite to obtaining eternal life, not knowing its full meanings that would have been naturally understood by firstcentury readers. In order to remedy such misunderstandings about faith, scholars have taken the concept of faith out of the Reformation context and explored the meanings of faith in light of its ancient historical-literary backgrounds. As a result, many significant scholarly works on faith have been produced over the last few decades, furthering our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believe in Jesus.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tries to evaluate how the language of faith was used in the ancient Greco-Roman and Hellenistic Jewish literature. The second half investigates the meanings of faith in the Gospel of John in light of the four categories (obedience, perseverance, loyalty, and correct conduct) suggested by Wallace and Rusk. At the end, this study tries to prove that John’s use of faith is far more action and relationship-oriented than has been traditionally assumed.

      • KCI등재

        초기불교에서 믿음(saddhā)과 지혜(ñāṇa)의 관계

        비와라쿰부케 위마르디싸 보조사상연구원 2020 보조사상 Vol.57 No.-

        This paper reveals that saddhā(信) is being discussed in relation to ñāṇa(慧) in Pāli-Nikāya. Buddhism begins with saddhā(信) which means trust, and ends with wisdom which means paññā(般若). Saddhā is necessary for vimutti(解脫) in early Buddhism. In Generally in Buddism, "belief" is saddhā. In this paper we aim to distinguish saddhā to clarify its precise meaning between amūlikā saddhā and ākāravati saddhā. According to Caṅkīsutta, amūlikā saddhā means a blind belief without criticism. By Vīmaṃsakasutta, ākāravati saddhā means a reasonable belief that admits the quest. Ākāravati saddhā is regarded as intellectual criticism work. ‘Bhatti’ is a religious belief that recognizes transcendental existence. Bhatti is due to fear, iti emphasizs absolute belief. It is distinguished from ākāravati saddhā and bhatti. In the previous study, based on Kesaputtiyasutta, Buddhism has been regarded as a teaching that emphasized freedom of thought rather than trust. But believing in the existence and words of Buddha is the premise of saddhā. Ākāravati saddhā, a belief emphasized in early Buddhism, is closely related to freedom of thought and theory of the knowledge. In order to understand correctly saddhā in Buddhism, it is necessary to accompany free exploration and criticism of the object of faith, the possibility of refusal, the possibility of falsification in Kesaputtiyasutta, Vīmaṃsakasutta. Most of the discussions this saddhā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ñāṇa in Pāli-Nikāya. Buddha refuses blind beliefs without verification and extravagant belief by the authority of the teacher and emphasizes ākāravati saddhā that arises after his intellectual criticism work. In early Buddhism we refuse amūlikā saddhā which we just believe without quest. We take ākāravati saddhā which is a belief in a rational character. Ākāravati saddhā is a belief justified by quest. Through such ākāravati saddhā with ñāṇa, it leads to vimutti, the ultimate goal of Buddhism. 빨리-니까야(Pāli-Nikāya)에서 믿음(信, saddhā)은 지혜(慧, ñāṇa)와 관련해서 논의되며, 초기불교에서 강조하는 믿음은 지혜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이성적 믿음(ākāravati saddhā)이다. 이러한 사실은 동아시아불교 전통에서 믿음과 앎의 밀접한 관련성을 인정하며, 믿음으로 시작하여 이해를 거쳐 수행하여 증득한다는 신해행증(信解行證)으로 구분하는 수행의 체계가 초기불교의 니까야에 근거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초기불교에서 논의하는 믿음은 이미 이해를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해(解)에 해당하는 빨리어 avabodha가 니까야에 등장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이러한 입장을 뒷받침한다. 이 논문에서는 니까야에서 언급되는 믿음(saddhā)을 맹목적 믿음(amūlikā saddhā)과 이성적 믿음(ākāravati saddhā)으로 구분하며, 초기불교에서 강조하는 믿음은 이성적 믿음이라는 사실을 해명한다. 이러한 사실은 붓다가 믿음의 문제를 지혜(ñāṇa)와 관련시켜 논의하는 것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불교에서는 탐구 없이 믿는 맹목적 믿음(amūlikā saddhā)을 거부하고, 앎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지혜를 동반하며 진위 여부가 확인 가능한 합리적 성격의 믿음인 이성적 믿음(ākāravati saddhā)을 강조한다. 이성적 믿음은 지혜를 동반한 탐구를 통하여 정당화된 믿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믿음에 관한 초기불교의 태도는 이후의 불교 전통에 영향을 미치며 현재까지 계승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정서추론으로 살펴본 믿음에 대한 아동의 이해

        김혜리 한국인간발달학회 2000 人間發達硏究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믿음만을 고려하여 정서반응을 추론하는 것이 바람과 믿음을 동시에 고려하여 정서반응을 추론하는 것 보다 용이한지 알아보았다. 3세 아동은 4, 5세 아동보다 믿음에 근거한 정서추론을 잘하지 못하였다. 이 결과는 믿음에 대한 이해가 4세 경에 가능해진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믿음만을 고려하여 정서반응을 추론하는 것이 바람과 믿음을 동시에 고려하여 추론하는 것 보다 용이한지 알아보기 위해, 바람과 믿음을 모두 고려하여 정서추론하도록 한 전명숙과 정혜리(1799)의 연구결과와 비교한 결과, 믿음만을 고려하여 정서추론하는 것이 더 용이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효과는 3세 아동의 경우 확실하게 나타났다. 또 마음의 표상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요구되는 틀린 믿음에 근거한 정서추론이 옳은 믿음에 근거한 정서추론보다 어려울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옳은 믿음에 근거한 정서추론의 수행이 더 높지는 않았다. 옳은 믿음과 틀린 믿음에 근거한 정서추론의 차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묵자의 믿음에 관한 입장

        이종성(李鍾晟)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5 No.1

        믿음에 관한 논의는 시대와 사상, 그리고 사상가에 따라 다양한 색채로 나타난다. 중국의 춘추전국 시대만 하더라도 수많은 제자백가들이 등장하여 각자의 다양한 믿음관을 펼쳐 보이는데, 이 글은 제자백가 중 특히 묵자에 한정하여 묵자가 본 믿음의 문제를 검토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묵자가 본 믿음의 주체와 대상의 문제, 그리고 그에 대한 실천의 문제를 중심으로 묵자의 구체적인 믿음관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첫째, 묵자에게서 믿음의 주체는 보편적인 사랑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이다. 묵자는 차별적인 사랑과 보편적인 사랑을 구분하여, 전자는 어짊에 근거를 둔 사랑인 반면 후자는 겸애에 바탕을 둔 사랑이라고 주장한다. 이 글에서는 보편적인 겸애를 실천하는 사람을 가리켜 ‘겸애의 사람’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겸애의 사람’은 자기 믿음과 서로 믿음이 확실할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실천에도 남다름이 있다. 둘째, 묵자는 정령적 하늘에 대한 믿음을 제안한다. 하늘에 대한 믿음이 무너졌기 때문에 시대가 혼란해진것이라고 판단한 묵자였기 때문에 그는 하늘에 대한 믿음의 복권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여겼다. 정령적 하늘이 믿음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묵자의 믿음은 귀신존재증명에로 나아간다. 그런데 믿음의 대상을 분명하게 확보하고자 한 묵자의 생각에는 역설적으로 숙명론이 배제되며, 공리주의적 윤리설이 요청되는 특징이 있다. 셋째, 묵자는 믿음의 생활화를 강조한다. 믿음을 생활세계에서 직접 실천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참다운 믿음일 수 없기 때문이다. 묵자에게서 믿음의 실천은 겸애의 실천이기도 한데, 그것은 특히 후대에 약속을 철저히 이행한다는 ‘묵수’의 정신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약속이나 겸애에 대한 믿음은 반드시 지켜져야만 한다는 실천정신이 강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묵자의 믿음관은 불신의 시대라고 규정되는 현대에도 시사해주는 바가 크다. 인간 상호간의 불신이 서로가 사랑하지 않기 때문이며, 자기의 욕망만을 충족하고자 하는 이기심 때문이라고 본 묵자의 진단은 현대에도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묵자의 믿음관에 한계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보편적인 사랑에 대한 믿음을 요청하는 것이라든지 그 믿음에 대한 적극적 실천을 강조하는 것 등은 아무리 강조하더라도 지나치지 않다.

      • KCI등재

        초기불교의 믿음[信] · 선정[禪]의 의미와 관계성 고찰

        하미경(희철) 한국선학회 2014 한국선학 Vol.39 No.-

        본 논문은 믿음과 선정의 의미와 단계적 구분의 관계에 대해 다룬다. 초기불교경전에 믿음의 의미와 구분은 다양하 고 여러 가지로 구분되어 있다. 믿음은 삼보를 믿게 하게 고통을 제거하고 고통에서 해탈하도록 돕는다. 초기불교에 수많은 수행법이 있다. 믿음과 선정의 관계도 사람의 근기와 이해차이 때문에 다양하다. 초기불교의 믿음은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삼보에 대한 단순한 믿음으로신자가 되거나 출가 이전에 나타난다. 두 번째는 삼보에 대한 절대적 믿음이나불법승계에 대한 절대적 믿음으로 不壞淨이라고 한다. 세 번째는 수행요소 로서믿음으로 삼실칠조도품의 오근이나 오력과 信隨念, 신해탈이 있다. 초기불교의 선정은 사선팔정 그리고 구차제정 등 다양하다. 선정은 성취, 지멸, 수행요소, 탄생, 삼계, 믿음수행여부 등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믿음과 선정단계의 구분과 그 관련성을 살펴보았는데 종합 적으로 말하면 믿음은 선정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믿음과 선정은 수많은 초기불교의 수행 가운데 한 방법이며, 사 람의 기질에 따라 차별된 수행의 길로 발전하며, 차제적 관계가 있고, 해탈 열반, 아라한의 길로 안내하며 수행주제 로삼을 수 있고, 서로 상호 관련되어 있고, 선정 수행이 믿음을 전제로 하지 않는내용도 엿볼 수 있다. 종합하면, 초기불교에서의 믿음과 선정은 깨달음으로 가는 중요한 요소이며 다양한 단계로 구분되며 서로 깊은 관 련성이 있다. 병에 따라 처방이 다르듯 믿음과선정도 그 고통을 제거하고 해탈을 구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ning and the gradual division of the Belief andBuddhist Seon Meditation, also both Relation. My point will be that themeaning and Division of the Belief in early Buddhist Canons are various anddivided. The Belief causes us to believe in Three Refuges, get rid of pain and beemancipated from sufferings. There are lots of methods of Buddhist Practicesin early Buddhist Canons. The Relation between Belief and Buddhist SeonMeditation is also various because of differences of human's ability andunderstanding. The Belief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arts, namely the Belief as the Refugeand Believing in Buddha etc., the Belief as a absolute and unbreakable thingin Three Treasures namely Buddha, Dhamma, Saṅgha and also in BuddhistDiscipline and the Belief as a element of the buddhist Practice. The Buddhist Seon Meditation divided into various practical steps accordingto achievement, destruction and element of Buddhist Seon Practice, rebirthand three worlds and the relation of the Belief. It is certain that the Belief has three different steps and highly relates to theSeon Meditation. Both are the element of leading to the Emancipation andNibbana. Without Belief a practicer could not develop his good mind andattain the Emancipation. Our conclusion could be stated thus: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understandthe concept of the belief as various steps in the Buddhist Practice and thebelief is related with the Buddhist Seon Medition to lead to getting rid ofsuffering and attaining the Emancipation.

      • KCI등재

        assaddha의 의미 –아라한에게는 믿음이 없는가–

        한상희 한국불교연구원 2018 불교연구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assaddha’ (one who does not have faith) which is one of the terms that are descriptions of Arahant and to show whether Arahant has faith(saddhā) or not. For this study, I first identified what faith means in the Nikāya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faith. Then I clarified the meaning of ‘assaddha’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s which are quoted in the precedent studies which show that Arahant has no faith. Faith in the Nikāyas is affective in nature and it is based on the realization and experience of Dhamma by wisdom(paññā) of oneself, so it has a characteristic of intelligence. Because it is based on wisdom, as wisdom deepens, faith becomes firmer. In any stage of faith, the object of faith is tiratana that is made up of Buddha, Dhamma, and Saṅgha. And faith in tiratana results in faith in Buddha. Therefore, the meaning of ‘no faith’ in the Nikāyas means that there is no faith in Buddha and tiratana. Even though the precedent studies use the scriptures as the basis to indicate that Arahant is ‘assaddha’ by interpreting the scriptures as wisdom is better than faith and, when one possesses wisdom, faith is replaced by this wisdom and faith is not needed, the scriptures do not indicate or support it. They indicate that one is convinced of Dhamma through his or her own wisdom and experience; he or she is not accepting and believing in that Dhamma because of faith in Buddha only. There is no implication in the scriptures that he or she does not have faith in Buddha. ‘Assaddha’ doesn’t mean a person who does not have ‘faith’ of the general sense in the Nikāyas, but it means a person who does not rely on faith in others because he or she has achieved Dhamma by his or her own wisdom. In this sense Arahant is ‘assaddha’, and his faith in Buddha and tiratana is firmly established. 본 논문은 아라한을 나타내는 용어 중의 하나인 ‘assaddha(믿음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의 의미를 명확히 하여, 아라한이 믿음을 갖추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의 여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니까야에서 믿음이 의미하는 바를 규명하고, 아라한에게는 믿음이 없다는 견해를 보이는 선행연구에 인용된 경전의 내용을 검토하여 ‘assaddha’의 의미를 밝혔다. 니까야의 믿음은 정서적인 성격을 본질로 하면서 스스로의 지혜에 의한 담마의 실현과 경험에 기반을 두고 있어 지적인 특성을 띠고 있다. 지혜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지혜가 깊어질수록 믿음은 더욱 확고해지는데, 어떠한 단계의 믿음이든 그 대상은 붓다 ‧ 담마 ‧ 상가의 삼보로 동일하며, 삼보에 대한 믿음은 붓다에 대한 믿음으로 귀결된다. 그러므로 니까야에서 ‘믿음이 없다’는 말은 ‘붓다를 비롯한 삼보에 대한 믿음이 없다’는 것을 뜻하게 된다. 선행연구에서 아라한이 ‘assaddha’임을 이끌어내는 근거로 들고 있는 경전들이 실제로 나타내는 바는, 어떠한 담마에 대해 스스로의 지혜와 경험을 통한 확신이 있으므로 붓다에 대한 믿음에 의해서 그 담마를 받아들여 믿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으로, 여기에 붓다에 대한 믿음이 없다는 의미는 내포되어 있지 않다. ‘assaddha’는 니까야상의 일반적 의미로서의 믿음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지혜에 의해 담마를 성취하였으므로 단지 타인에 대한 믿음에 의해 그것을 받아들인 것이 아닌 사람, 즉 그 믿음에 의지하지 않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아라한은 ‘assaddha’인 것이며, 아라한에게 붓다를 비롯한 삼보에 대한 믿음은 확고하게 갖추어져 있다.

      • KCI등재

        Luther and Calvin’s Exegesis of the Obedience of Faith in Romans: Considering the New Perspective’s Covenantal Faithfulness

        김명일(Myong Il Kim)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1 갱신과 부흥 Vol.27 No.-

        NPP (바울에 관한 새관점) 학자들의 영향으로 개혁주의의 신학이 오해되는 경향이 있다. 톰 라이트는 종교개혁가들이 칭의에서 법정적인 측면만 강조한다고 이해한다. 라이트의 견해에 따르면, 로마서 1:5의 ‘믿음’은 하나님의 언약적인 신실하심에 반응하는 인간의 신실성이다. 로마서 1:5의 ‘믿음의 순종’은 동격을 나타내는 속격이기 때문에, 순종은 언약적인 신실성을 의미한다. 믿음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의 경계를 다시 그린다. 바울의 믿음은 유대인의 우월성과 다른 언약적인 공동체에 소속되는 것을 이끈다고 이해한다. 그러나 종교개혁가들은 믿음과 행위를 날카롭게 구분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종교개혁가들은 법정적인 칭의만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칭의에서 언약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톰 라이트는 로마서 1:5와 16:26에 등장하는 “믿음의 순종”의 개념에서 동격적인 속격 구조로 믿음은 인간의 신실성이며 순종은 의로운 행위로 이해한다. 즉 그의 이해는 언약적이지만 행위를 포함하는 성격이다. 루터의 믿음과 순종의 이해는 중세의 신학자인 아퀴나스와 반대되는 주장으로 믿음과 행위의 날카로운 구분을 짓는다. 이에 반해 칼빈은 행위로 얻어지는 칭의는 거부하지만 “믿음의 순종”에서 톰 라이트의 주장과는 다르게 믿음이 언약적임을 제시한다. 칼빈은 믿음과 행위를 날카롭게 대조시키지만 순종을 믿음으로 제시한다. 이 대조의 해결을 성령으로 제시하면서 성령을 통한 순종을 강조한다. The New Perspective on Paul has distorted the understanding of Reformed Theology in current New Testament scholarship. N. T. Wright argues that the Reformers concentrate only on the forensic idea of faith. In Wright’s view, ‘faith’ in Romans 1:5 is human faithfulness that answers to God’s covenantal faithfulness. Because ‘the obedience of faith’ in Romans 1:5 is a genitive of apposition, obedience denotes covenantal faithfulness. The faith redraws the boundaries which marked out the people of God rather than faith in Jesus Christ. Paul’s understanding of faith then leads to remaking the covenant community apart from Jewish superiority. As a result, he sees a sharp Reformational antithesis between ‘faith’ and ‘works.’ However, the Reformers did not concentrate only on the forensic characteristics of justification but also on its covenantal characteristics. Wright understands the obedience of faith in Romans 1:5 and 16:26 as an appositional genitive. He argues this faith refers to human faithfulness and understands obedience as righteous conduct or works. He argues that while it is covenantal, the faithfulness does include the concept of works. Luther, however, insisted on an antithesis between ‘faith’ and ‘works’ in opposition to Aquinas’ idea of faith. However, although Calvin similarly rejected justification by works, he did present faith as covenantal, in contrast with Wright’s argument. While, crucially, Calvin shows the contrast between faith and works for justification, he contradictorily presents the obedience as faith. While Calvin presents the Spirit as the solution to this inconsistency, he emphasizes the obedience through the Spirit.

      • 불교상담에서의 믿음의 적용

        김태연(도생)(Tae-Yeon Kim)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1

        본 연구는 불교에서의 믿음을 불교상담에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데 있다. 불교 경전을 통한 믿음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왔으나 불교상담과 연결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초기경전 가운데 주제별로 묶은 경전인『상윳따니까야』, 대승경전의 꽃인『대방광불화엄경』, 대승 논장의 입문서라고도 할 수 있는『대승기신론』에서의 믿음에 대하여 살펴본 뒤, 불교상담에 불교적 믿음의 적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모든 경전에서 ‘믿음의 대상’은 불ㆍ법ㆍ승 삼보와 서원ㆍ보살행ㆍ제불공경공양ㆍ교화방편ㆍ선지식ㆍ중생ㆍ중생심ㆍ본각ㆍ일심 등이며 이는 모두 ‘불(佛)’ 하나로 귀결된다. 불교상담에서도 믿음의 대상은 상담자ㆍ내담자ㆍ상담기법ㆍ상담이론ㆍ상담경험ㆍ상담과정ㆍ고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ㆍ실천성ㆍ자기개방 등 다양하나, 모든 것을 각자 자신에게 내재된 ‘가능성’ 하나로 귀결시킬 수 있었다. 경전을 통해 본 ‘믿음’은 3악도에 떨어지지 않고 번뇌를 여의며 보리심을 발하고 마군을 항복받으며 마음에 흔들림이 없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게 한다. 믿음은 복덕과 지혜를 증장시키고 천상에 태어나게 하며 진실하고 잘 베풀며 대비심과 환희심으로써 반드시 여래지로 나아가게 하므로, 친구ㆍ동료ㆍ친지ㆍ혈육 등 지인들도 믿음을 낼 수 있도록 격려하며 이끌어 줘야한다. 불교상담에서도 자신의 ‘가능성’을 확고히 믿는 사람은 상담 과정의 모든 노력이 반드시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줄 것임을 알기에 믿고 실천한다. 실천을 통해 좋아지면 번뇌가 사라지고 지혜와 복덕이 증장하여 본래 청정한 마음을 스스로 경험하여 더욱 확고히 믿게 된다. 믿음을 바탕으로 한 불교상담으로 행복해지면 반드시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함께 행복한 믿음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불교에서의 믿음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언택트시대의 사람들 마음 속 불신을 잠재우고 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belief in Buddhism to Buddhist counseling. Research on faith through Buddhist scriptures has been steadily conducted, but no research has been linked to Buddhist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Buddhist belief to Buddhist counseling after examining the belief in the『Saṃyutta Nikāya』which is a scripture grouped by theme among the early scriptures,『(Buddha)avataṃsakasūtra』the flower of the Mahayana Sutra,『Mahāyāna- śraddhotpādaśāstra.』 which can be called the introduction of the Mahayana Sutr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bject of belief” in all scriptures is BuddhaㆍDharmaㆍSangha, Thriple Gem, Vows, Bodhisattva workship, offering to Buddha, means of enlightenment, good knowledge, the mind of all living beings, original enlightenment, whole heart, all of which result in one “Buddha.” In Buddhist counseling, the subject of faith is diverse, including counselors, counselors, counseling techniques, counseling theories, counseling experiences, counseling processes, and self-opening, but everything could be brought down to one “possibility” inherent in each. The “belief” seen through the Buddhist scriptures does not fall into the third evil spirit, frees from anguish, emits Bodhisattva mind, surrenders demons, and does not waver in the mind, so that it does not fear death. Belief increases blessings and wisdom, makes one born in the heavens, is give well and sincere, and surely advances to the Tathagata with a sense of metta and joy. So we should encourage and lead acquaintances such as friends, colleagues, relatives, and bloodshed so that they can build faith. Even in Buddhist counseling, those who firmly believe in their “possibilities” believe and practice that all efforts in the counseling process will surely help them get out of pain. If it gets better through practice, the anguish disappears and wisdom and virtue grow, and the original clean mind is experienced on its own and believed more firmly. If you become happy with faith-based Buddhist counseling, you must let people around you know and help them move on to a happy path of faith togeth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various studies are needed to calm distrust in the minds of people in the untact era and stabilize society by applying faith in Buddhism to various fields.

      • KCI등재

        초등학교 아동의 암묵적 믿음과 성취목표, 수업몰입 간 인과분석

        김인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에서 아동의 암묵적 믿음, 성취목표와 수업몰입 간에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소재한 10개 학교에서 820명(남: 419, 여: 401)의 5, 6학년 학생을 편의표집법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박중길·김기형(2010)의 암묵적 믿음척도, 김병준(2001)의 목표성향 척도, 정용각(2004)의 운동몰입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증가믿음과 행위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정믿음과 수업몰입 간 자아성향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증가믿음과 수업몰입에 있어서 과제성향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묵적 믿음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과제성향과 수업몰입을 내생변인으로 한 이론 모델에 대한 검증결과 전반적 지수(x² = 787.541, DF=212, GFI=.928, TLI=.901, CFI=.917, RMSEA=.067)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이론모델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세부적 지수분석에서 고정믿음 → 과제성향, 수업몰입 간에는 부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증가믿음 → 과제성향, 증가믿음 → 자아성향, 증가믿음 → 수업몰입 및 자아성향 → 수업몰입 간에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암묵적 믿음과 성취목표 성향이 상호작용하여 수업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