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아리랑> 관련 민족담론의 구성 양상과 의미

        최은숙 한국민요학회 2014 한국민요학 Vol.40 No.-

        The paper of the this article is to look into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Arirang> discourse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by analyzing the results from the viewpoint of composing nationdiscourse, to examine the meaning ad limitation. After Na Ungyu movie, <Arirang> spread to a variety of artistic genres, and artistic discourse about them was actively developed. Taking this opportunity, <Arirang> has become an important symbol of awakening our nation in everyday life and lots of ordinary discussions related to it was made through newspaper articles or criticism of social conditions. After that, in order to recognize the rapidly upgraded <Arirang> as folk song and to reinforce its ethnicity, <Arirang> started to be treated as academical subject, relevant academic discourses having a key part in the discourse related to <Arirang>. Main strategy that reveals race from the discourse related to <Arirang> was gendered orientation and tacking the origin. In a nation discourse, mostly a method to cope with state of crisis of a nation country tends to be sought from a gendered strategy, and gendered discourses related to <Arirang> are related to this. However, supposing that existing discourses on folk songs tried to look for a race from female chastity, the discourse related to <Arirang> is discriminative in that it tends to escape from such a tendency. Meanwhile, one of important strategies of discourses related to <Arirang> was tracing the origin. Various theories were proposed mostly based on phonetic value of ‘Arirang’, which were involved in pain of the masses, national emotion, folklore situations, etc. Among them, tracing the origin of <Arirang> focused especially on ‘Gyeongju-related theory’ were closely related to nation discourses, but it was confirmed that a part of them showed ambivalence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Discussions in this paper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not only the development of <Arirang> discourses and disclosure of their features, but also reflecting over current <Arirang> discourses from metapeotic viewpoints and guessing the direction. 본고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아리랑>담론의 전개양상을 살피고, 민족 담론의 구성이라는 관점에서 이를 분석하여 그 의미와 한계를 살피는 것이다. 나운규 영화 이후 <아리랑>은 다양한 예술 장르로 확산되었고, 이들에 대한 예술담론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이를 계기로 <아리랑>은 일상의 영역에서 민족을 환기하는 중요한 표상물이 되었고 이와 관련한 많은 일상담론이 신문 기사나 세태 비판을 통해 진행되었다. 이후 급격히 격상된 <아리랑>에 민요의 자격을 부여하고 그 민족성을 강화하기 위해 <아리랑>은 학술적 대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했으며 이와 관련한 학술담론은 <아리랑> 관련 담론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였다. <아리랑> 관련 담론에서 민족을 드러내는 주된 전략은 젠더화와 연원찾기였다. 민족 담론에서 민족국가의 위기상황과 그 위기를 극복할 방안을 젠더적 전략에서 찾는 경우가 많은데, <아리랑>과 관련한 젠더화 담론 또한 이와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기존의 민요담론이 주로 여성적 정조에서 민족을 찾으려 했다면, 아리랑 관련 담론은 이에서 탈피하려는 경향도 있었다는 점에서 차별적이다. 한편 <아리랑> 관련 담론의 중요한 전략 중 하나는 연원탐구였다. 주로 ‘아리랑’ 음가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다양한 설이 제기되었고, 그것들은 민중의 고통, 민족의 정서, 민속적 상황 등에 기반하고 있었다. 그 가운데 특히 ‘경주 관련설’에 주목한 <아리랑>의 연원탐구 또한 민족 담론과 긴밀히 연계되어 있었지만, 그 일부는 식민지 현실에서의 양가성을 띠고 있었다. 본고의 논의는 일제강점기 <아리랑> 관련 담론의 전개와 특징 구명에 기여할 뿐 아니라 현재 <아리랑> 관련 담론을 메타적 시각으로 돌아보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데에도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 중국 내 발행 잡지 자료를 중심으로

        김병민 ( Jin Bing-mi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1 No.-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은 다중 주체성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즉 일본 인식을 통해 민족 주체성을 확립했고, 중한관계 인식을 통해 이중 주체성을 확립했으며, 세계평화에 대한 인식을 통해 다중 주체성을 확립했다. 한국 망명지사들은 자신들을 민족해방의 주체, 중국 항일투쟁의 주체, 세계 피압박민족 해방의 주체로 인식했다. 한국 망명지사들은 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주체들이 부단히 분화되고 조합되는 복잡한 역사 과정을 경과했다. 그들은 항일투쟁과 민족해방의 기치 아래 역사적인 회합을 이루었으며, 중국의 항일투쟁과 세계적인 반파시스트 전쟁의 승리를 위해 함께 싸워 나갔다. 한국 망명지사들의 주체성 확립은 일련의 독특한 특징과 가치를 보여준다. 먼저 신채호와 신규식 등의 ‘정신적 자아’, ‘양심적 자아’는 철학사상 면에서뿐 아니라 투쟁실천 면에 이르기까지 주체성 확립에 정초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한국 망명지사들의 민족 주체성, 이중 주체성, 다중 주체성의 삼자 구성 중에서 민족 주체성은 이중 주체성과 다중 주체성의 확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중 주체성과 다중 주체성은 물론 민족 주체성에 의한 민족국가 상상―민족의 해방과 자유 실현을 제일 목표로 삼았다. 한편 한국 망명지사들의 중국체험은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확립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들의 중국 체험은 본토 체험을 가속화하고 승화시켜 주었으며, 중국의 담론 환경 속에서 새로운 사상의 수용과 창조의 기반을 마련하면서 민족 문제 및 세계평화 문제에 대하여 직시하게 했다. 한국의 망명지사들은 중국의 담론장을 통해 민족 담론, 항일 담론, 국가 담론을 구축하여 제국담론과 식민 담론을 전복하기에 이르렀다.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확립은 20세기 전반기 동아시아의 정신적 가치―지식 담론의 참신성과 혁명성을 보여주는 생생한 기록이다. The East Asian recognition of Korean exiles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subjectivity. In other words, it established national subjectivity through Japanese recognition, established dual subjectivity through Chinese-Korean relations recognition, and established multiple subjectivity through recognition of world peace. In other words, the Korean exiles recognized themselves as the subject of national liberation, the subject of the Chinese anti-Japanese struggle and, by extension, the subject of the world’s oppressed people. The Korean exiles appeared as various subjects under the influence of ideology and established a knowledge discourse, and the various subjects continued to divide and combine, but they formed historic convergence under the banner of anti-Japanese struggle and national liberation, and fought together for the great victory of China’s anti-Japanese war and global anti-fascist wars. The establishment of the subjectivity of Korean exiles shows a series of unique features and values. First of all, Shin Chaeho and Shin Gyusik’s “spiritual ego,” “conscientious ego” played vital roles in establishing the subjectivity not only in philosophical thought but also in fighting practice. Secondly, among the national subjectivity, double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of Korean exiles, the national subjectivity directly influences the establishment of double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Therefore, the goal was to realize the nation-state imagination-liberation and freedom of the people, based on not only dual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but also the national subjectivity. Next, the Chinese experiences of Korean exiles played a crucial role in establishing their East Asian recognition and subjectivity. Their experiences in China accelerated and sublimated the mainland experiences, and the discourse environment in China prepared the acceptance and creation of new ideas, and went on to face up to the world peace issues. The Korean exiles have built national discourse, anti-Japanese discourse and national discourse through China’s “discussion ground,” which has led to the overthrow of imperial and colonial discourse. The Korean exiles’ recognition of East Asi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ir subjectivity are vivid records of the novelty and revolutionary nature of the intellectual discourse-the spiritual values of East Asi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이순신 매개 집단교정담론의 전변사에 나타난 민족국가주의의 통시적 항구성과 향유층의 개체적 자기교정의 프랙탈

        권도경 ( Kwon Doky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임진왜란 이후부터 현재까지 줄기차게 지속되면서 국·내외질서의 변동이 촉발한 민족사의 중요한 정치사회적 변곡점마다 반복 생산되어온 이순신 매개 집단교정담론의 통시적 재매개화(reparametrization) 콘텍스트(context)를 학제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순신을 재매개화 하는 통시적 콘텍스트의 전변 단계에 따라 이순신 매개 집단교정담론의 전개사는 18세기에서 애국계몽기 이전까지의 형성기, 애국계몽기에서 미군정기까지의 전개기, 이승만독재기에서 군부독재기까지의 확산기, 문민정부기에서 현재까지의 전변기로 구성된 네 시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순신을 매개로 한 집단교정담론의 궁극적인 담론주체와 담론객체, 담론이념은 시대에 따라 각각 국왕에서 민족, 왕권국가주의에서 민족국가주의, 신민(臣民)에서 민족으로 이동하였으며, 담론매개체는 이순신으로 동일하였다. 이순신을 이상적인 윤리태로 놓고 이러한 이순신의 이상적 윤리성을 매개로 집단구성원들의 비윤리성 혹은 윤리적 결핍태를 이상적인 상태로 교정하고자 하는 이순신 매개 집단교정담론의 서사원형은 임진왜란 직후 선조(宣祖)에서 광해군(光海君) 사이의 시기에 산생된 관찬(官撰)·사찬(私撰) 텍스트에서부터 만들어졌으며, 이순신의 신화적 영웅성이 강화되는 단계에서 인간적 왜소성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민족구성원 개체 하나하나를 직능적 절대윤리의 주체자로 자기개조 할 수 있게 이끄는 민족적 거대영웅으로 성장하는 단계로 해당 서사원형의 진폭이 전변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순신 매개 집단교정담론의 통시적 콘텍스트를 일람해 본 결과, 일견 현재의 전변기에 이르러 인간적 왜소성과 개체적 직능성으로 분절화되면서 탈민족주의로 이행되었던 것으로 보였던 이순신문학담론이 실은 일상적 인간성과 영웅되기의 과정적 이행성 초점화를 통해 수용자들의 공감과 동참을 극대화함으로써 자발적인 자기개조를 견인하는 새로운 차원의 담론화 방식을 개발한 것이었을 뿐, 개체적 직능성의 차원에서 자개개조된 개별적 자아들이 보수기득층의 불의 또는 외세의 국권침탈이라는 환경세계의 부조리와 만날 때 언제든지 민족국가주의적인 차원의 프랙탈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diachronic remediation context of the collective correction discourse by the media of Yi Sun-shin that has been produced repeatedly every important sociopolitical inflection point of national history to be caused by the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order sinc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o date. The deployment of the collective correction discourse by the media of Yi Sun-shin can be divided into four times. The first is the formative period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brink of the patriot and enlightenment times. The second is the development period from the patriot and enlightenment times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times. The third is the expending period from Rhee seung man`s dictatorship times to the military dictatorship times. The fourth is the changeableness times. The ultimate discourse subject, discourse object and discourse purpose of the collective correction discourse by the media of Yi Sun-shin each has moved from the king to the ethnic group race, from the royal authority nationalism to the ethnic nationalism, from the liege and the people by times, and the discourse medium has been same as Yi Sun-shin even change of the times. The narrative archetype of the collective correction discourse by the media of Yi Sun-shin is to intend to correct the immorality to the ideal condition by the media of the ideal ethicality of Yi Sun-shin. This narrative archetype was made by the government compilation and the private individual compilation from the king Sunjo`s times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o the king Kwanghai`s times. The amplitude of this narrative archetype changed from the stage to reinforce the Yi Sun-shin`s mythical heroics to the steps to making focused on the initiation of being the folk hero.

      • KCI등재

        국립극단을 통해 본 한국 역사극의 지형도 : 1950년부터 1979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김성희 ( Sung Hee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1 드라마연구 Vol.- No.34

        When reading a historical drama which is a discursive construct, context surrounding the text is as important as the text itself.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ramas performed by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from1950s to late 1970s using the New Historical methodology that explored the intertextuality between the text and context. Historical drama was perceived as the mediummost suitable to incorporate nationalist discourse. That is, it was a theatrical formthat connected past and present with the code of national identity and reresented nation through visualization.〈Wonsullang〉, which was the first play performed by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in 1950, was in continuance with colonial historical dramas, in that it summoned history as an allegory for the existing historical reality, and was a visualized melodrama. In this historical drama which was triggered by the solidification of national divid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illa was established as the origin of ``what is uniquely national. Numerous changes started to take place in the historical perception and the manner of writing after 1960s. Texts representing the war memories occupied majorities of works performed in the 1960s. What became problematic In those works was the otherness that was at work in the act of memory. The stylized anti-communist drama since the mid-1970s was an example of a dominant discourse operating repressing a total thinking. What characterized the 1970s` historical drama of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was the history of national hardship and emergence of national heroes. One was the ``politics of monument`` reprented by the General Yi Sun-sin and the other was the narrative of independence fighters during the colonial period. Historical dramas that summoned national heroes took on the role of unifying Korea as a nation and constructing national subjects by internalizing national/state discourse. At the same time, 1970s` historical drama was the sight within which discursive struggles took place. State discourse would at one point join hands with the discourse of people, and compete with it at another. Historical dramas depicting subalterns emerged which wer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history from bottom up.``〈Guest House〉 (1979) was a case in point, where female subject led the narrative and took on the perspective of ``history from the bottom up.`` However, nationalist discourse that homogenized different groups into a nation as one subject worked as the dominant discourse that repressed the diversity and multiplicity within a nation. 담론적 구성물인 역사극 읽기에서 중요한 것은 텍스트만이 아니라 텍스트를 둘러싼 컨텍스트이다. 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 말까지의 국립극단의 역사극을, 텍스트와 컨텍스트와의 상호텍스트성을 탐색하는 신역사주의적 방법론으로 고찰하였다. 역사극은 민족담론을 내장하기에 가장 좋은 매체로 받아들여졌는데, 그 이유는 과거를 호출하면서 민족의 동질성이란 코드로 과거와 현재를 연결 짓고, 민족을 시각적으로 재현하는 연극양식이기 때문이었다. 1950년 국립극단의 창단작인〈원술랑〉은 당대 현실의 알레고리로서 역사를 소환하는 방식, 시각적 멜로드라마 양식이란 점에서 식민지 역사극과 연속성을 보인다. 분단체제의 고착화로, 삼국시대를 소환하는 역사극에선 신라가 ``민족적인 것``의 기원으로 배치된다. 1960년대 이후엔 역사인식과 글쓰기방식의 다변화가 일어난다. 1960년대엔 전쟁기억을 재현한 작품들이 대다수를 이루는데,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기억행위에 작동하는 타자성이다. 1970년대 중반 이후에 공연된 도식적인 반공극들은 지배담론이 총체적 사고를 불가능하게 하는 억압적 담론으로 기능함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1970년대 국립극단의 역사극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성은 국난의 역사와 영웅을 호출하는 경향성이다. 그 중 한 갈래가 이순신으로 대표되는 ``기념비의 정치학``이고, 또 한 갈래는 식민지시기의 독립투쟁 서사이다. 영웅호출의 역사극은 민족/국가담론을 내장하여 국민을 통합하고 국가 동원의 주체를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한편 70년대 역사극은 담론투쟁의 장이기도 했다. 국가담론과 민중담론의 제휴, 혹은 담론 투쟁 양상이 나타난다. 또한 ``아래로부터의 역사`` 시각으로 민중, 여성 등 하위주체를 그린 역사극이 등장한다.〈객사〉(1979)는 ``아래로부터의 역사`` 시각과 더불어 여성주체가 서사를 주도한다. 그러나 민족을 단일한 주체로 구성해내는 민족담론은 민족 내부의 이질적 집단들을 단일화시키는 지배담론으로 작동하면서 민족 내부의 다성성에 대해 억압적 권력을 행사한다.

      • KCI등재

        현대 자이니치 미디어에 나타난 민족담론의 한 가능성 -한흙(大地)을 중심으로-

        최종환,김종회 한중인문학회 2012 한중인문학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현대 자이니치(在日) 민족담론의 한 가능성을 한흙(大地)지를 중심으로 살펴 보려는 시도이다. 한흙(大地)은 1992년에 재일한국문인협회에서 창간하여 지금까지도 나오 고 있는 문예미디어이다. 이 미디어는, 1980년대 이전의 자이니치들의 자의적 민족개념들을 ‘공백’화시킴으로써 ‘민족적 보편’의 공간으로 재구성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의식 차원에서 만 보면, 이 미디어가 민족화합과 관련한 당위 담론을 펼치는 장으로 비쳐지지만 그 이면엔 민족 기표의 ‘발화 행위’를 ‘민족 자체’로 이행시킴으로써 자이니치의 민족담론을 실행시키려 는 무의식이 엿보인다. 분단이 고착화되고 민족적 ‘하나 됨’의 구현이 사실상 어려워진 현 상 황에서 이 미디어가 통합의 담론들을 과거 어떤 자이니치미디어보다 과장된 어조로 몇 배씩 더 반복화하는 양상은 상당히 이채롭다. 이는 이 미디어가 회복하고자 하는 민족이 ‘실체로서 의 민족’이 아닌 ‘기표로서의 민족’임을 은폐하기 위한 시도로 읽히기 때문이다. 가령, 분단이 극복되기를 희원하여 ‘기미독립선언서’를 읽는 한흙(大地)의 1990-2000년대적 행위는, 민 족이란 민족 기표들뿐이고, 그 기표들의 접속이 만들어 낸 ‘이야기샘’임을 드러내는 표지가 된 다. 자의적인 한글 창작과 극단적 고루성을 보이는 민족어들의 연결은, 민족이 민족기표들의 향유공간일 수밖에 없음을 알아차린 현대 자이니치의 무의식을 노출한다. 그럼에도 이러한 행 위는, 민족담론을 대한민국이나 공화국이란 어떤 특수한 이데올로기 장에 포획되지 않게 함으 로써 21세기 자이니치의 ‘민족적 보편’을 이전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한흙(大地)의 민족담론은 크게 (1) ‘자기준거적 대화’ (2) ‘죽은 언어의 작동’ (3) ‘민족기표 의 접속’을 통해 작동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는 ① 주어가 술어를 통해 동어반복화되고 ②사어(死語)화된 민족어가 작동하며 ③ 다양한 민족 기표들이 연결되는 맥락에서 나타난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amine an ‘possibility’ in the ethnic discourse on Jainichi’s who have entered into the modern world of life, with Han Heurk (Daeji)'s subconsciousness. Han Heurk (Daeji) is a medium that was founded by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Men in Japan in 1992, and has been published so far. we can observe this medium make up the respective failures of each nation discourses, which had been obsessed with the imaginary, and the ‘gaps’ occurring from those failures with the new ‘ethnicity-universality’. we can even see the transformation of its ‘course of utterance’ into the ‘nation itself’, in the unconscious stage. It's read as an possibility of Jainichi‘s nation discourse which detachs from the one before and as an ability to open their new ‘ethnicity-universality’. That is to say, transformation of its ‘course of utterance’ into the ‘nation itself’ is a kind of effort to hide the fact that Naition is not evident substance but signifier itself. Nonetheless this attempt in Han Heurk (Daeji) separates Nation discourse from Nation ideology. The understanding that Nation is no more than a link-space of Nation signifiers 21C Jainichi narrates reveals facts about Jainichi's situation in modern Japan. This shows that modern Jainichi’s have the ability to open their own ‘ethnic universality’without making relations with their distant mother land. such a space for nation Discourse revealed by Hanheurk has been observed to be opened at large via (1) ‘self-referential’ dialogues, (2) ‘operation of dead language,’ and (3) ‘links among other languages.’ More specifically, these three points go beyond the existing ‘ethnicity = nation’ discourse via ① ‘self-referential tautology,’ ② ‘operation of the ethnic language that is dead,’ and ③ ‘connection among regime languages.’

      • KCI등재후보

        국립극단을 통해 본 한국 역사극의 지형도: 1950년부터 1979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김성희 한국드라마학회 2011 드라마연구 Vol.- No.34

        When reading a historical drama which is a discursive construct, context surrounding the text is as important as the text itself.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ramas performed by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from 1950s to late 1970s using the New Historical methodology that explored the intertextuality between the text and context. Historical drama was perceived as the medium most suitable to incorporate nationalist discourse. That is, it was a theatrical form that connected past and present with the code of national identity and reresented nation through visualization. <Wonsullang>, which was the first play performed by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in 1950, was in continuance with colonial historical dramas, in that it summoned history as an allegory for the existing historical reality, and was a visualized melodrama. In this historical drama which was triggered by the solidification of national divid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illa was established as the origin of 'what is uniquely national. Numerous changes started to take place in the historical perception and the manner of writing after 1960s. Texts representing the war memories occupied majorities of works performed in the 1960s. What became problematic In those works was the otherness that was at work in the act of memory. The stylized anti-communist drama since the mid-1970s was an example of a dominant discourse operating repressing a total thinking. What characterized the 1970s' historical drama of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was the history of national hardship and emergence of national heroes. One was the 'politics of monument' reprented by the General Yi Sun-sin and the other was the narrative of independence fighters during the colonial period. Historical dramas that summoned national heroes took on the role of unifying Korea as a nation and constructing national subjects by internalizing national/state discourse. At the same time, 1970s' historical drama was the sight within which discursive struggles took place. State discourse would at one point join hands with the discourse of people, and compete with it at another. Historical dramas depicting subalterns emerged which wer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history from bottom up.’ <Guest House> (1979) was a case in point, where female subject led the narrative and took on the perspective of ‘history from the bottom up.’ However, nationalist discourse that homogenized different groups into a nation as one subject worked as the dominant discourse that repressed the diversity and multiplicity within a nation. 담론적 구성물인 역사극 읽기에서 중요한 것은 텍스트만이 아니라 텍스트를 둘러싼 컨텍스트이다. 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 말까지의 국립극단의 역사극을, 텍스트와 컨텍스트와의 상호텍스트성을 탐색하는 신역사주의적 방법론으로 고찰하였다. 역사극은 민족담론을 내장하기에 가장 좋은 매체로 받아들여졌는데, 그 이유는 과거를 호출하면서 민족의 동질성이란 코드로 과거와 현재를 연결 짓고, 민족을 시각적으로 재현하는 연극양식이기 때문이었다. 1950년 국립극단의 창단작인 <원술랑>은 당대 현실의 알레고리로서 역사를 소환하는 방식, 시각적 멜로드라마 양식이란 점에서 식민지 역사극과 연속성을 보인다. 분단체제의 고착화로, 삼국시대를 소환하는 역사극에선 신라가 ‘민족적인 것’의 기원으로 배치된다. 1960년대 이후엔 역사인식과 글쓰기방식의 다변화가 일어난다. 1960년대엔 전쟁기억을 재현한 작품들이 대다수를 이루는데,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기억 행위에 작동하는 타자성이다. 1970년대 중반 이후에 공연된 도식적인 반공극들은 지배담론이 총체적 사고를 불가능하게 하는 억압적 담론으로 기능함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1970년대 국립극단의 역사극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성은 국난의 역사와 영웅을 호출하는 경향성이다. 그 중 한 갈래가 이순신으로 대표되는 ‘기념비의 정치학’이고, 또 한 갈래는 식민지시기의 독립투쟁 서사이다. 영웅호출의 역사극은 민족/국가담론을 내장하여 국민을 통합하고 국가 동원의 주체를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한편 70년대 역사극은 담론투쟁의 장이기도 했다. 국가담론과 민중담론의 제휴, 혹은 담론 투쟁 양상이 나타난다. 또한 ‘아래로부터의 역사’ 시각으로 민중, 여성 등 하위주체를 그린 역사극이 등장한다. <객사>(1979)는 ‘아래로부터의 역사’ 시각과 더불어 여성주체가 서사를 주도한다. 그러나 민족을 단일한 주체로 구성해내는 민족담론은 민족 내부의 이질적 집단들을 단일화시키는 지배담론으로 작동하면서 민족 내부의 다성성에 대해 억압적 권력을 행사한다.

      • KCI등재후보

        민족적 시각에서 보는 통일담론

        허명철(Xu Ming Zh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통일인문학 Vol.50 No.-

        일제의 패망과 함께 광복을 맞은 우리 민족은 냉전구도 속에서 남북분단이란 비운을 맞이해야 했다. 이때로부터 민족의 통일, 국토의 통합을 핵심으로 하는 통일담론은 반세기 넘도록 우리 민족의 중요한 화두로 되었으며 민족의식 저변에 깔려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되었다. 하지만 분단의 벽을 넘어서려는 국가의지는 통일담론에 있어서 국익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며 국가통합을 목표로 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정치적 제도적 요소와 이데올로기 등은 통일을 이룩하는데 또 하나의 걸림돌로 되고 있는바 국가이익과 민족소망이란 두 가치이념의 합일화는 통일의 전제 과제로 되고 있다. 만일 우리가 통일을 “하나의 국가”를 수립하는 것이라는 형태론적 차원에서 벗어나 민족의 통합과 새로운 사회문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는 시각에서 접한다면 분단은 남과 북의 통합만이 아닌 해외 7백만 동포들도 포용한다는 민족대통합 · 민족대화합이 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사실 남과북의 분단은 단지 국토의 분단, 민족의 분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해외 동포사회에 있어서 분단은 민족역사와 문화의 혼돈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해외 동포들도 분단의 아픔을 경험하게 되며 분단으로 인한 민족문화재정립에 고민하게 된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한다면 향후 우리의 통일담론은 단순 국토통합차원을 넘어서 해외동포들을 아우를 수 있는 민족대화합을 지향해야 하며 진정 우리민족을 상징할 수 있는 문화공동체를 구축해야 한다. After the Japanese imperialism had been defeated, our nation was divided into two parts on the forming time of the Cold War Structure. Hence the discuss reunification which is national and territorial reunification-centric, has become the talking point over half a century. Discuss reunification is the key factor of bury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to the base. National consciousness wants to exceed the division. Discuss reunification has to consider the national interest and national reunification for the target. Therefore, there are some obstacles to set up the reunification, such as political and institutional element and ideology. National interest and national aspirations are the valuable ideology of the prerequisite for the subject. Our reunification should free from the morphology which deems our reunification has to establish “One Nation” and consider the reunification as the process of national reunification and a new social culture. If so, the division has to become the national reunification that includes all of the seven million overseas Koreans instead of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Korea. Actually, divi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doesn’t mean the territorial and national division. For the overseas compatriot society, the division means the disorder of national history and culture. So overseas Koreans will experience the ache of the division and worry about there-establish national culture which is caused by division. Consider all of the reasons above, our discuss reunification should face the national fusion, that is to say, we should exceed the territorial reunification to build a cultural community which can truly symbolize our n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안확의 `조선민족담론`과 상호중심주의: 『조선문학사』와 『조선문명사』를 중심으로

        김현양 ( Kim Hyeon-ya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이 글의 목표는 안확의 대표적 저술인 『조선문학사』와 『조선문명사』를 중심으로, 그의 `조선민족담론`의 논리체계를 밝히고, 논리체계를 구성하는 체계항인 `고유성`과`고유성의 보편성`의 서술시각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학술장에서 안확의 고립성을 지적하고 `상호중심주의`의 시각으로 안확의 `조선민족담론`을 독해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바탕으로 먼저, 안확의 `조선민족담론`은 고유성의 기원-고유성-고유성의 보편성-고유성의 계승으로 그 논리체계가 구성되어 있다고 했다. 다음으로 안확이 『조선문학사』와『조선문명사』에서 각각 `조선숭배`와 `자치`라는 고유성을 드러내고자 한 것은 민족(국가)공동체의 혈연적(민족적) 바탕과 민주적 역량을 확인하고자 한 것이라 했다. 마지막으로 `고유성의 보편성`은 `조선은 서양과 다르면서 같다`는 상호중심주의 시각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며, 이는 탈식민의 방법이라 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logic system of Ahn Hwak(安廓)`s `Korean national discourse(朝鮮民族談論)` focusing on “Chosun literature history(朝鮮文學史)” and “Chosun civilization history(朝鮮文明史)”, and to grasp the narrative point of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uniqueness` which are the systematic constituents of his logical system. To this end, I pointed out the isolation of Ahn Hwak in the academic field and proposed to read `Korean national discourse` in the perspective of `mutual centrism`. On the basis of this, it is said that the logic system is composed of the origin of uniqueness - universality of uniqueness - uniqueness - inheritance of uniqueness. Next, it was said that Ahn Hwak tried to reveal the uniqueness of `ancestor worship` and `autonomy` in “Chosun literature history” and “Chosun civilization history” to confirm the national (ethnic) background and democratic competence of the nation. Finally, the universality of uniqueness was intended to reveal the viewpoint of mutual centrism that `Chosun is different from the West`, this is called the way of post-colonization.

      • KCI등재

        이광수 기행문의 인식 구조와 민족 담론의 양상

        김경미 ( Kyung Mi Kim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2

        이 논문은 식민지 이광수의 문학 중에서 기행문에 나타난 식민지 지식인의 인식 구조와 여행의 여정에서 발견되는 역사의 기억을 통해 나타나는 민족 담론의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의 기행문은 각 시대별 식민주의 정책을 전유하면서 민족 담론을 형성하였다. 1910년대 해외 기행문에서 이광수는 문명을 통한 제국의 식민화 논리의 이중성을 제시하고, 문명을 흡수하는 상해의 중국인들이 제국의 질서와 권력으로부터 벗어나는 양가성의 순간을 포착한다. 한편으로는 제국주의의 위상에 감탄하는 식민지적 무의식과 야만적인 조선을 비판하는 식민주의적 의식이 동시에 드러나기도 하고, 당대 제국의 식민주의 자들의 이중성을 제시하기도 한다. 1920년대 기행문에서는 민족의 공통된 역사적 ‘기억’을 끄집어내어 사라져가는 민족정체성을 구성하고 상상의 공동체인 민족을 복원하기도 한다. ‘궁예’와 망국에 대한 비분강개를 보여준 ‘마의태자’의 역사를 현재의 조선 상황에서 재구성하여 대중을 인식시킨다. 한편으로는 조국강산의 자연에 대한 실용적 인식을 드러내는데, 이는 ‘일생의 진로’였던 지도자의 삶과 연관되는 것이다. 1920년대 조선인의 문화와 생활, 민족성 위에 형성된 이광수의 기행문의 민족 담론은 여정에서 만난 농민들의 궁핍한 생활을 통해 사회제도를 비판하고 당대 문화정책의 모순성과 이중성을 드러내고 있다. 1930년대 순례로서의 기행문에서는 이순신의 위패를 관우의 사당에 모신 사대사상을 비판하면서 역사 보존의 당위성을 제시하고, 평양의 단군릉을 민족의 시조이자 기원으로서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한다. 한편으로는 여정에서 발견한 역사의 기억을 ‘역사 내러티브’로 구성하여 조선인의 집단기억을 생생하게 전파하고자 한다. 역사 내러티브는 언어로 이야기된 집단기억의 표상으로 당대 민족 담론을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번제를 올리는 제사장’으로서, ‘일생의 진로’를 찾기 위한 과정으로서 시작된 기행문은 조선의 국토에서 조선인의 삶과 공통된 역사와 기억을 통해 민족 담론을 형성하고자 한 식민지 주체의 민족 복원의 과정이기도 한 것이었다. This paper clarifies the aspect of the nation discussion through the memory of the awareness structure of the colony intellectual shown up in the travel essay and history. In 1910`s, <in Shanghai>(상해서) and <in Vladivostok>(해삼위로서), that is his travel essay, show the ambivalence of the dual recognition of the colony intellectual and civilization discussion well. The nation discussion faced up to the duality of the civilization and read the possibility of the colony humanity and justice rollover. In 1920`s, as to his travel essay, there is <the Kumkang Mountains yuki> (금강산유기) and <choehangrock>(초향록). These works have the colonialism culture to and try to restore the nation through the new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His culture discussion tries to uplift the nation for the common memory. And the practical awareness about the nature shows the route of his life. There is the relation with the nation discussion. For the public, the main body was and it remodelled into the then social system and contradiction and tried to form the nation of culture discussion of the korea. In 1930`s, his travel essay has the purport of the account of travels as the pilgrimage. And it has the function as the narrative reconstructing the history. There is <chungmugong visiting the relics>(충무공유적순례) and <dangunreung>(단군릉) for the work.

      • KCI등재

        탈민족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 탈근대적 민족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

        나종석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人文硏究 Vol.- No.57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critically whether some crucial assertions of post-nationalistic discourses on nationalism are really well grounded. To actualize this goal, I described four important arguments of post-nationalistic discourses on nationalism and tried to make it clear that they are not convincing. First, the assumption that nationalism is by nature exclusive and violent, is criticised because this critic of post-nationalistic discourses is one-sided and oversimplified. Second, I dealt with logical limits and contradictions of another proposition of post-nationalistic discourses. According to this proposition various forms of nationalism are nothing but ideologies captured by the framework of modern nation-state. But this argument is criticised because it ignores the phenomenon of various forms of nationalism and is not able to explain this phenomenon properly. Third, I criticised the assumption that nationalism and nation-state is old-fashioned in the age of globalization, because such an argument overestimates the trend of globalization. Finally, I attempted to make clear some reasons why post-nationalistic discourses are not enough self-reflexive. I argued that they are not only logical inconsistent, but also uncritical about the political effects of their discourses themselves. 이 글은 탈근대적 민족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탈민족주의 담론의 민족주의 비판이 얼마나 근거가 있는가를 성찰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은 탈근대적 관점에 선 탈민족주의 담론을 네 가지 점에서 비판한다. 첫째로 탈민족주의 담론은 민족주의를 본래 배타적이고 폭력적이라고 비판하지만, 이는 민족주의에 대한 일면적인 평가라고 비판된다. 둘째로 탈민족주의 담론은 민족주의의 다양한 양상들을 도외시하고 이들을 모두 다 근대 민족국가의 틀에 사로잡혀 있는 위험한 이념이라고 비판한다. 그러나 이 입장은 민족주의의 여러 종류들의 차이에 대해 맹목적일 뿐만 아니라 민족주의의 다양성을 적절하게 설명할 분석틀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된다. 셋째로 탈민족주의 담론은 세계화의 흐름에 입각하여 근대 민족국가와 민족주의는 버려야 할 시대에 뒤떨어진 이념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이는 세계화 및 근대 민족국가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이 아닌 것으로 비판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탈민족주의 담론이 갖고 있는 자체 이론적 문제점을 살펴본다. 특히 탈민족주의 담론의 무비판적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이론은 자신의 정치적 효과에 대해서 무비판적임이 강조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