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계인(日系人)의 민족차별 경험과 민족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임영언 ( Yim Young Eon ),최석신 ( Soug Shin Choi ) 한국민족연구원 2015 민족연구 Vol.0 No.61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 귀환 일계인의 민족정체성 형성과 유형을 고찰하는데 있다. 19세기중반 하와이로 떠난 일본인들은 20세기 초기 남미브라질로 향했다. 당시 일본인 이주자들은 농촌지역 출신의 데카세기(돈벌이) 노동자들이 대부분이었다. 일본인들이 본격적으로 이주한지 1세기가 지난 20세기 말, 일본산업구조의 변화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1990년 이후 브라질에서 일본으로 일계인 노동자약 30만 명이 귀환하게 되었다. 이들 가운데 2008년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계기로 약10만 명 가량이 브라질로 귀국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일계인들은 민족정체성의 재편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일계인의 민족정체성 형성과 재편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일계인 노동자의 브라질 귀환에 대하여 리먼쇼크의 경제적 위기로 인한 실업문제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것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민족차별에 따른 민족정체성의 재편 과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도일 전 브라질에서는 모국신화에 따른 일본인의 정체성을 지향하고 도일 후 일본에서는 일본사회의 민족차별경험으로 일계인의 정체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결과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일본인 정체성’, ‘일계인 정체성’, ‘제3의 혼합형정체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결과 일계인들은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의 인식이 강할수록 일계인으로서의 민족정체성의 인식도 강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브라질에서 일본인 정체성이 강하지만 점차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 경험으로 일계인으로서의 정체성, 혹은 혼합형 정체성을 자각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계인들이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에 따른 사회적 적응실패를 경험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본정부가 일계인의 일본정착을 위한 일관된 이민정책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me return Nikkeijin’s ethnic identity formation and type.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Japanese people departed to Hawaii and then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y headed to South American Brazil. In Dekasegi most of lowlanders and labor workers were Japanese emigrants from rural areas.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fter 100 years of migration there were changes with industrial structure of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of Japanese. From second half of 1990 approximately 300,000 of Nikkeijin which lived in Brazil returned back to Japan. Because of financial crisis in 2008 they had opportunity to comeback. Approximately 100,000 people returned back to Brazil. This study is examining closely cause of these Nikkejin``s ethnic identity formation and reconfigu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ikkeijin’s ethnic identity intends Japanese``s identity in Brazil and intended Nikkeijin``s identity to distinction experience of Japanese society in Japan. Second,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Nikkeijin``s ethnic identity intended Japanese identity , Nikkeijin identity, Mixed type identity etc. Third,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Nikkeijin is encountering ethnic distinction on Japanese society, was expose that nikkeijin``s identity is strong.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Nikkeijin means failure of social acculturation by ethnic distinction on Japanese society. Also, it is disproving that Japanese government is not establishing immigration policy for Nikkejin``s Japanese adaptation.

      • 민족정체성, 그리고 한민족의 민족정체성

        정영훈 ( Young Hun Jeong ) 한국민족학회 2010 민족학연구 Vol.9 No.-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질문은 그 자체로 흥미로운 주제이면서 실천적 의의 또한 중요하다. 한말의 국학이래 민족정체성에 대한 탐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그러나 아직 만족스럽 해명은 나오지 않은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민족정체성 문제에 대한 기초적인 논의에 토대하여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지 하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 논문에서 다루려한 문제는 다음의 세가지로 진술될 수 있을 것이다. (1) 민족정체성이란 말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속성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는 민족정체성이 개인이나 집단에게 제기되는 정체성의 한 양상이라는 점과 역사적으로 형성되어온 어떤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서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성격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그것의 유지·존속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의의와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는 민족정체성이 민족주의와 불가분의 관련이 있음을 감안하여,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과 그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반론을 제기하는 가운데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의의를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민족이론들을 염두에 두면서 민족정체성 문제를 검토하였다. (3) 한민족은 누구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나름의 대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한민족이라는 용어에 대한 고찰에 이어, 한민족이 갖고 있는 종족적·문화적·언어적·역사적 특징으로의 외적 정체성과, 스스로를 어떻게 인식하였는가 하는 내적 측면의 정체성에 대해 살피고,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해 연구자 나름의 요약된 결론을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The identity of Hanminjok is a very controversial and ambiguous theme. Its historical origin and range are the questions under debate. Moreover there are many critical evaluations around national identity. In recent years post modernists insist that the national identity is the invented tradition, which was built up by the modern governmental power or the romantic nationalists with the purpose of national integration and state building. More numerous anti-nationalists asserts that national identity is a dangerous and harmful mechanism for world peace. Of course for these opinions many objections are exist. This article examines some basic problems which must be dealed before the full-scale study on the identity of Hanminjok, the Korean nation. The interests of this paper will be summarized as following 3. (1) The first question is what is the concept and meaning of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As the national identity is a kind of identity, this paper starts the discussion with the meaning of identity. (2) The second question is why the national identity is necessary for mankind. This paper examines the disputes on nationalism because the national identity has inseparable ralation with nationalism. (3) The third question is who is the Korean nation and how can we define the identity of Hanminjok. This paper discusses the origin of the term of Hanminjok and examines the ethnical, cultural, linguistic and historical character of Hanminjok. Hanminjok`s sense of collective identity in Korean history is also checked.

      • KCI등재

        대한민국 민족정체성의 변화

        정한울(Han-Wool Jeong)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17 평화연구 Vol.25 No.2

        기존 연구들은 “한민족공동체”라는 단일민족을 전제한 가운데 국적, 정치적 제도와 법적 책임의 준수와 같은 정치적, 시민적 요건이 중시되면서 남한과 북한을 별개의 국가로 인식하는 분리된 국가정체성이 강화되어 온 현상에 주목해왔다. 즉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정체성에서 탈피하여 “하나의 민족, 두개의 국가” 정체성이 강화되어 왔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의 〈한국인의 의식, 가치관 조사〉의 1996년, 2006년, 2016년 조사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에서 국가 정체성 차원 뿐 아니라 민족 정체성 차원에서도 남과 북을 별개의 민족으로 보는 분리주의적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즉 “두개의 민족, 두개의 국가(two nations, two states)” 정체성이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설명하는 가설로서 (1) 사회적 배경 (2) 경제상황 (3) 정치성향 및 미디어 노출 요인 (4) 민족정체성과 국가정체성의 상호작용 요인을 제시하고 경험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정치적 요인보다 세대와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의 설명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전후 세대 및 젊은 세대의 분리주의적 민족정체성의 급부상 현상에 주목해야 하며, 하나의 민족개념에 기반한 통일정책 전반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ause change in the national identity which has been ignored so far in South Korea. This study (1) reviews the existing studies on the change in national identity (2) explores the rise of national separatism since the late 1990s in South Korea (3)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media factors on the separatism.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the Korean government in 1996, 2006, and 2016, this study provided robust finding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wo (ethic) nations-two states” identities are emerging, as “one nation-two states” or “one nation-one state” identities, which have been widespread, declined. Second, the empirical tests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and ordinal regression(PLUM) shows that demographic variables, especially generational effect, more than other variables-economic situation, self-ideological identification, media effects and so on-played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the separatism in national identity. Third, the ethic and cultural separatism has been correlated with the rise of political separatism reluctant to reunification of two Koreas.

      • KCI등재후보

        민족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 다문화 가정 청소년 사역 방향연구

        홍명유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29 No.-

        Today, Korea is changing toward a multi cultural society rather than a mono racial society generally. The family that was formed by international marriage is named as multi culture family. The families have many problems such as poverty, health, and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In particular, their children have problems with identity because they have two identity from their parent.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help them in government, society and religious organizations. Now, it seems necessary to meet their need through a new approach, ethnic identity in addition to our previous efforts. This article focused this point, studied the importance of ethnic identity development and suggested some ministry implications for church ministry. Ethnic identity theory started from identity theory that Erikson and Marica developed. As identity develops through four status, Phinney found that ethnic identity had three status; ethnic identity undecided, ethnic identity moratorium, and ethnic identity achieved. Many studied supported this theory and found that ethnic identit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of ethnic minority adolescence. Especially, ethnic identity was found to relate with spiritual development of ethnic minorities. In this point, church ministry for multi culture family seems necessary to notice and use the importance of ethnic identity. Also, the Image of God as Christian identity is not contradicted with ethnic identity because it contains ego-identity ethnic identity as its elements.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ed three ministry approaches for multi cultural family. First, senior pastors, education pastors, and leadership staffs share and teach an universal Christian identity in Bible through sermons, seminars, group meetings in church. Second, church leaders is needed to have approaches toward multi culture family with a shared living rather than assimilation into Korea society. 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ethnic identity formation process goes through among multi culture family children. Based on data and results, church leaders would able to plan more suitable approaches toward multi culture family ministry. 오늘날 한국은 통념적으로 여겨졌던 단일민족 사회에서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특히 서남 아시아에서 온 외국인들이 많이 있다. 특히 국제 결혼을 통해 형성된 가정을 다문화 가정이라고 부른다. 이 가정들은 경제적 빈곤, 건강, 이웃과의 의사 소통같은 많은 문제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특히 그들의 자녀들은 양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상이한 문화를 가지고 있기에 정체성에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정체성 혼동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문제일 것이다. 이들을 돕기위해 정부와 사회 또 종교기관들의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그러나 이제 이전의 노력들에 덧붙여 이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위해 민족 정체성에 근거한 접근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이 논고는 여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민족정체성 발달의 중요성을 탐구하였고 교회 사역을 위한 몇가지 제안을 하고 있다. 민족 정체성 이론은 에릭슨과 마아샤가 발전시킨 정체성 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정체성이 네가지 지위로 발전하는 것에 착안, 피니는 민족 정체성도 세가지 지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민족정체성 미결정, 민족 정체성 유예, 민족 정체성 성취. 많은 연구들이 이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고 민족 정체성이 소수 민족 청소년들의 심리적 복지와 긍정적으로 관련되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민족 정체성은 민족 소수자들의 영적 발달과 관련이 있음도 판명되었다. 이런 면에서 볼때, 다문화 가정을 위한 교회 사역은 민족 정체성의 중요성을 착안하여 이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크리스챤 정체성으로서의 하나님의 형상은 민족 정체성과 서로 상충도지 않는데 크리스챤 정체성의 개념속에 자아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논고는 다문화 가정 사역을 위한 몇가지 사역적 제안을 하고 있다. 첫째 담임목사, 교육목사, 지도자들은 성경에 있는 크리스챤 정체성에 대해 설교나 특강 소그룹 모임을 통해 교인들과 공유하고 가르쳐야 한다. 둘째, 교회 지도자들은 다문화 가정 사역을 다룰때 한국 사회에로의 동화란 측면보다는 공존이란 관점을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 있어서 어떻게 민족 정체성 형성이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여기서 얻어진 자료와 결과를 토대로 교회 지도자들은 다문화 가정 사역을 위한 더 적합한 계획들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족중소학교에서의 민족정체성교육의 새로운 접근과 대안모색

        박금해(朴今海)(Piao, Jin-hai)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1 No.-

        중국 조선족의 민족공동체발전에서 조선족학교의 위치와 작용은 자못 중요하다. 특히 조선족의 민족정체성확립은 학교교육을 떠나서 운운할 수 없을 정도로 학교의 작용이 뚜렷하다. 이 연구는 중국조선족 중소학교학생들의 민족정체성교육의 중요성에 입각하여 민족정체성확립에서의 가장 중심적인 환절인 기초교육(소학교, 초급중학교, 고급중학교)단계에서의 민족정체성교육의 새로운 접근방법과 대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첫 부분에서는 개혁개방 후 복잡다단한 중국조선족사회의 변화실태에 비추어 민족정체성교육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두 번째 부분에서는 중국경내 조선족학교에서의 민족정체성교육의 특수성과 새로운 접근방법 및 현재 조선족학교 민족정체성교육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교의 정규교과목을 통한 민족정체성교육, 비정규과정을 통한 민족정체성교육, 사회참여 속에서의 민족정체성교육 등 세 가지 방면으로 조선족학교민족정체성교육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National education has been playing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national community within China, especially in the national consciousness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hinese. Maybe under these circumstances we may say that middle and primary schools are the main routes for cultivating Korean Chinese national consciousness. This paper aims to probe the approaches and measures about train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in Korean Chinese middle and primary schools, therefore providing reference for national culture education in Korean Chinese schools. For this reason, this paper firstly analyze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Korean Chinese national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Korean Chinese society after Reform and Opening-up, secondly investigates the particularity, targeted aims and problems in foster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education in Korean Chinese schools, lastly puts forward the implementation scheme for educating national consciousness from three aspects of regular courses, non-regular course and social participation.

      • KCI등재후보

        한민족공동체 형성과제와 민족정체성 문제

        정영훈 在外韓人學會 2002 在外韓人硏究 Vol.12 No.2

        한민족공동체란 전세계에 흩어져서 살고 있는 한민족 성원들을 공동 번영을 위하여 서로 돕고 협조하는 하나의 공동체로 결속시키자는 취지 하에 제기되고 있는 용어로서, 지금 무한경쟁의 세계화 시대를 헤쳐갈 수 있는 민족적 생존발전 전략의 하나로 그 의의가 부각되어 가고 있다. 한민족공동체란 현실적으로 볼 때, 한민족이라는 민족적 정체성을 공유한 사람들로 구성된 상호협조의 연결망 또는 유대체제를 가리킨다. 따라서 성원들에게 공유된 민족정체성의 내용과 강도에 의해 그 성패와 방향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연구는 한민족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제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민족정체성 문제를 검토해본 것이다. 여기에서는 (1) 한민족공동체의 아이디어가 추구하는 이상과 과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 뒤, (2) 민족정체성의 개념과 의의 및 그것의 유지·소멸에 관여하는 요인들에 대해 살피고, (3) 한민족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은 지금 어떤 상황에 놓여 있는지의 문제와, (4) 한민족공동체의 민족정체성 형성을 위해서는 어떤 방향 설정과 노력이 필요한가라는 물음들을 중심으로 살피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지구촌에 거주하는 다양한 한민족 성원들이 공유할 수 있는, 그리하여 모두를 하나의 공동체로 결속시킬 수 있는 민족정체성 내용을 채우는 작업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e idea of Global Korean Community is raising with the belief that the globally dispersed Korean people must be unified and seek the common benifit and prosperity. It is being watched especially as a strategy of national survival and development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borderless struggles. The idea of Global Korean Community demands national solidarity and cooperation to the Korean people. And it also urges the positive national identity based on national homogeneity and we-feeling. This paper discusses the problem of national identity in reference to the idea of Global Korean Community which is raised actively since 1990. The idea of Global Korean Community requires nation members to love each other, to concede each other, and to stand together. But these virtues can only spring up when there are strong community spirit and national homogeneity. This paper considers the condition of Korean people's national identity and discusses the contents of it, and will inquire how can we make it strong.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 ‘민족국가의 발명’?

        강봉구(Bong Gu Kang) 한국정치학회 2008 한국정치학회보 Vol.42 No.3

        독립 후 우즈베키스탄은 우즈벡 종족-민족의 민족 국가를 지향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우즈벡 종족-민족 정체성의 구성 부분들 가운데, 우즈벡 종족-민족의 뿌리, 언어ㆍ종교 정체성, 소비에트 정체성, 마할라 제도 등 네 가지 요소들을 분석한다. 우즈베키스탄의 권력 엘리트는 심리적 귀속과 안정감을 심어줄 유구한 전통과 기원을 가진 우즈벡 종족-민족 정체성을 발견ㆍ발명함으로써, 국가와 정치체제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권력 엘리트가 주도한 근대적 민족국가 형성 기획은 우즈벡 역사와 민족의 사회적ㆍ문화적 재구성 작업이자 우즈베키스탄‘민족국가의 발명’작업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적어도 지금까지는 우즈베키스탄의 국가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우즈벡 종족-민족 정체성은 유연하고 개방적이며 수용적 특성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정체성의 성격을 단정하기엔 이르다. 우즈벡 종족-민족 형성과 우즈베키스탄 국가 건설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열려 있다. Since the independence, Uzbekistan has made great efforts to construct a nation-state based on the Uzbek ethno-national identity. Among the components of the Uzbek ethno-national identity this paper deals with the following four aspects: invention of the Uzbek ethno-national roots, linguistic and religious identity, Soviet identity, and the mahallization of Uzbek society. The Uzbek power elite has tried to get the legitimacy of political regime and the state by discovering and inventing the Uzbek ethno-national identity rooted in the old tradition, which provides the Uzbeks with a sense of belonging and stability. The modern nation-state building project driven by the Uzbek power elite can be called the “the invention of Uzbek nation-state”, the social and cultural reconstruction of Uzbek history and nation. Up to now at the least the Uzbek ethno-national identity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Uzbek state identity has shown flexible, open-minded, and inclusive features. It is, however, too early to make a conclus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zbek ethno-national identity. The Uzbek nation and state building process is going on a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open.

      • KCI등재

        새로운 패러다임의 한민족 정체성 교육을 위한 민족교육 모델 연구: 유태인들의 민족 정체성 교육을 중심으로

        심민수(Sim, Min-S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5

        현재 우리는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의 지향을 요청받고 있다. 물론 이것은 민족 정체성의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더 성숙된 민족 문화의 형성과 그에 대한 교육을 바탕으로 폭넓은 의미의 문화적 공동체를 위한 새로운 민족 정체성 교육의 확립을 전제 한다. 여기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민족정체성 교육이란 첫째, 혈통적 근거를 넘어 문화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하는 민족 개념을 전제로 하는 교육을 말한다. 둘째로 개인의 자기 정체성 문제와 밀접한 상호 관련성을 지닌 능동적이고 자발적 수용의 민족 교육을 말한다. 셋째로 ‘차이의 존엄성’에 근거한 민족 교육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강조점이 요청되는 패러다임이다. 이런 전제 하에 본 연구는 유태인들이 역사적으로 혼란스런 혼혈의 과 정 속에서 다문화적 상황 속에 살면서도 고유의 문화 가치와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였던 점에 주목하고 이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던 민족 정체성 교육의 원리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의 교육 마당에 필요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정체성 교육을 찾는다. At the present we are required to move into a multiracial, multicultural society. This does not mean to give up our national identity. Rather it is presupposed by our formation of more mature national culture and our education on it, and by our establishment of new national identity education for a broader sense of cultural community. Now national identity education of the new paradigm, first, means an education presupposed by our national concept centered on our cultural identity beyond the national concept rooted in blood. Secondly, national identity education of the new paradigm means a national education which has a close interrelationship with a matter of individuals’ self identity. Thirdly, national identity education of the new paradigm is a new education in the respect that it is founded in ‘respect of difference’ (individual and cultural). Under this subject the research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Jews were able to maintain their own cultural values and national identity while living in multicultural circumstances in the process of historically confused, troublesome mixed blood, intends to study principles of their unique national identity education which made it possible. In this study the research searches for principles and means which can be applied to our national identity education of the new paradigm.

      • KCI등재

        통일교육의 사회통합 역할 모색을 위한 민족정체성과 세계시민성 담론

        박형빈(Park HyoungB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0

        성공적인 통일시대를 맞이하기 위한 준비 작업으로 가장 요청되는 것은 남북한 주민의 통합 즉 사회통합에 대한 것이다. 민족정체성은 자기가 속한 사회 즉 집단에 대한 애착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남북통일을 위한 기반이 된다. 그러나 민족정체성이 우리의 민족문화만을 앞세우는 근원주의자적 시각을 벗어나지 못한다면 한계를 지니게 될 수밖에 없다. 폐쇄적인 자민족 중심의 민족정체성은 어떤 형태로든 극복되어 새로운 형태의 정체성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포용적 민족정체성, 모두를 위한 민족정체성의 성격이 추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통일교육의 사회통합 역할을 위해 남북으로 단절되었던 민족의 정체성을 확인시키고 상호 간의 이질감을 극복하며 일체감을 조성해야 한다. 이것은 뒤르켐(Emile Durkheim)의 사회집단에 대한 애착을 통해 형성 및 고양 가능하다. 사회집단에 대한 애착은 민족정체성을 발현하고 견고하게 하는 동인으로 작용한다. 결국, 다문화 사회, 세계화, 통일시대에 추구할 정체성은 평화, 공존을 함께 추구할 수 있는 세계시민성을 배태한 민족정체성이라 할 수 있다. The most requested preparation for the successful reunification is the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s, that is, the social integration. The national identity is the foundation for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at it makes them attached to the society in which it belongs. However, if national identity cannot escape from the fundamentalist perspective to put only national culture ahead of other things, it has no choice but to have its limits. A closed ethnic national identity should be overcome in some form and developed into a new identity. The embracing national identity, national identity for all, must be pursu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separated North and South Korean people, to overcome the heterogeneity of each other and to create a sense of unity. This can be formed and elevated through the attachment to social group of Durkheim. The attachment to social groups acts as a driving force to promote and strengthen national identity. Ultimately, the national identity to pursue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globalization and unification can be regarded as a national democracy that can pursue peace and coexistence together.

      • KCI등재

        일반 : 민족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 다문화 가정 청소년 사역 방향연구

        홍명유 ( Myoung You Hong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29 No.-

        오늘날 한국은 통념적으로 여겨졌던 단일민족 사회에서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특히 서남 아시아에서 온 외국인들이 많이 있다. 특히 국제 결혼을 통해 형성된 가정을 다문화 가정이라고 부른다. 이 가정들은 경제적 빈곤, 건강, 이웃과의 의사 소통같은 많은 문제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특히 그들의 자녀들은 양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상이한 문화를 가지고 있기에 정체성에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정체성 혼동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문제일 것이다. 이들을 돕기위해 정부와 사회 또 종교기관들의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그러나 이제 이전의 노력들에 덧붙여 이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위해 민족 정체성에 근거한 접근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이 논고는 여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민족정체성 발달의 중요성을 탐구하였고 교회 사역을 위한 몇가지 제안을 하고 있다. 민족 정체성 이론은 에릭슨과 마아샤가 발전시킨 정체성 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정체성이 네가지 지위로 발전하는 것에 착안, 피니는 민족 정체성도 세가지 지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민족정체성 미결정, 민족 정체성 유예, 민족 정체성 성취. 많은 연구들이 이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고 민족 정체성이 소수 민족 청소년들의 심리적 복지와 긍정적으로 관련되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민족 정체성은 민족 소수자들의 영적 발달과 관련이 있음도 판명되었다. 이런 면에서 볼때, 다문화 가정을 위한 교회 사역은 민족 정체성의 중요성을 착안하여 이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크리스챤 정체성으로서의 하나님의 형상은 민족 정체성과 서로 상충도지 않는데 크리스챤 정체성의 개념속에 자아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논고는 다문화 가정 사역을 위한 몇가지 사역적 제안을 하고 있다. 첫째 담임목사, 교육목사, 지도자들은 성경에 있는 크리스챤 정체성에 대해 설교나 특강 소그룹 모임을 통해 교인들과 공유하고 가르쳐야 한다. 둘째, 교회 지도자들은 다문화 가정 사역을 다룰때 한국 사회에로의 동화란 측면보다는 공존이란 관점을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 있어서 어떻게 민족 정체성 형성이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여기서 얻어진 자료와 결과를 토대로 교회 지도자들은 다문화 가정 사역을 위한 더 적합한 계획들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Today, Korea is changing toward a multi cultural society rather than a mono racial society generally. The family that was formed by international marriage is named as multi culture family. The families have many problems such as poverty, health, and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In particular, their children have problems with identity because they have two identity from their parent.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help them in government, society and religious organizations. Now, it seems necessary to meet their need through a new approach, ethnic identity in addition to our previous efforts. This article focused this point, studied the importance of ethnic identity development and suggested some ministry implications for church ministry. Ethnic identity theory started from identity theory that Erikson and Marica developed. As identity develops through four status, Phinney found that ethnic identity had three status; ethnic identity undecided, ethnic identity moratorium, and ethnic identity achieved. Many studied supported this theory and found that ethnic identit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of ethnic minority adolescence. Especially, ethnic identity was found to relate with spiritual development of ethnic minorities. In this point, church ministry for multi culture family seems necessary to notice and use the importance of ethnic identity. Also, the Image of God as Christian identity is not contradicted with ethnic identity because it contains ego-identity ethnic identity as its elements.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ed three ministry approaches for multi cultural family. First, senior pastors, education pastors, and leadership staffs share and teach an universal Christian identity in Bible through sermons, seminars, group meetings in church. Second, church leaders is needed to have approaches toward multi culture family with a shared living rather than assimilation into Korea society. 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ethnic identity formation process goes through among multi culture family children. Based on data and results, church leaders would able to plan more suitable approaches toward multi culture family mini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