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國 朝鮮族學校 校歌에 나타난 한민족공동체의식

        안병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 민족문화논총 Vol.57 No.-

        This study used the school song of Chinese-Korean school in China. In this paper, Chinese-Korean School school song appears on Herditary identification, cultural identification, Linguistic identification, through the historical sense of community for the Korean people were investigated. Herditary identification means that Chinese-Koreans himself would want to say that the same ethnic race. the Korean people have been called the “white-clad race.” Cultural identification means that Chinese-Koreans also shar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Linguistic identification means that the Korean people are one ethnic race speaking one language. Historical identification means that Chinese-Koreans have a shared history with the Korean people. 본 논문은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를 대상으로 조선족이 민족정체성 유지를 위해 민족의 동질성, 즉 모국과의 동일시를 추구하여 한민족공동체의식을 고취시켰다는 사실에 집중하였다. 다시 말해, 중국 조선족은 학교 교가를 통해 비록 민족은 한반도와 분리되어 있지만 조선족도 같은 한민족의 뿌리를 두고 있으며 같은 역사, 같은 민족, 같은 문화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학생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이러한 중국 조선족의 모국과의 동일시 현상은 한민족공동체의식을 형성하게 하였고 조선족의 민족정체성을 유지하는 기초가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 나타난 종족적 동일시, 문화적 동일시, 언어적 동일시, 역사적 동일시 등을 통해 한민족공동체의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초․중학교에서의 민족공동체교육 활성화 방안

        박찬석(Park Chan-Seok),최현호(choi hyun-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6

        초․중학교 도덕과 교과서의 민족 공동체 교육 내용은 분석한 결과 상당한 위기에 놓여 있 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국가․민족․지구공동체 영역이 사회․국가․지구공동체 영역으 로 되면서 앞으로 민족 공동체의 의미를 학생들이 잘 배울 기회가 다소 약화되는 경향을 보 인다. 그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올바른 민족 공동체 교육은 다음과 같이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민족 공동체 교육은 통일교육의 내용과 함께 안정적으로 교과서 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전자교과서나 웹자료와 같은 현실 상황을 빠르게 반영할 수 있는 민족 공동체 교육을 지속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민족 공동체 의식 제고를 위한 다양한 행사 활동과 연계한 도덕과 교과 시간과 창의적 재량활동 등에서의 시간 확보가 필요하다. 넷째, 교사들의 올바른 민족 공동체 인식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확충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노력을 전개하면서 교사들은 민족 공동체 교육에 진력을 다하고, 정부는 민족 공동체 교육에 대한 다양한 교육적 인식과 방법을 확충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국가에 대한 확산적 지지가 이루어질 것이다.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ntent of teaching an ethnic community spirit in elementary·middle school textbook, we should put more emphasis on the teaching an ethnic community. Therefore to reinforce the ethnic community spirit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improvement and proper ethnic community spiri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s followed. At first, teaching an ethnic community spirit should go together with unification education in a stable way. Secondly, the establishment of ethnic community spirit education database such as electronic textbooks or web information which reflects the actuality fast is needed. Thirdly, a variety of events and alloted time for education are required to raise the ethnic community spirit. At last, expansion of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is in need to help the teachers to recognize the establish proper ethnic community spirit. For teachers to educate ethnic community spirit at elementary·middle schools with their effort, national dimension of support should be asked. Through this, teaching an ethnic community spirit in elementary·middle school can be strengthened.

      • 2000년대 북한주민의 의식변화와 민족의식 - 실천적 민족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

        박영자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신안보연구 Vol.- No.171

        This article analyzes the changing consciousness and national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 peoples in 2000s. The another purpose is contributing to build a practical nation-community in the Korean Peninsula. Chapter 2 deals with conditions of North Korean society in 2000s, then correlativity of system change and consciousness’ change of North Korean peoples. Chapter 3 is to see mammonism, individualism, selfish familism, throwing away grouping, weakening nationalism and dissatisfaction about the regime as changing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 peoples in 2000s. Chapter 4 examines North Korean general and different awareness on the country and nation-state. Chapter 5 analyzes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changes North Korean peoples in 2000s. Chapter 6 seeks to estimate values and perspective for building a practical nation-community in the Korean Peninsula. 본 논문은 2000년대 북한주민의 의식변화와 민족의식을 규명하고, 한반도의 실천적 민족공동체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2000년대 북한사회에 대한 상황인식과 접근시각으로서 의식변화와 체제변화의 상관성을 다룬다. 3장에서는 2000년대 북한주민의 의식세계 변화지점으로 물질주의·개인주의·가족이기주의·탈집단주의·국가주의 약화와 체제불만을 다룬다. 4장에서는 북한주민의 국가와 민족에 대한 보편과 차이 인식을 살펴본다. 5장에서는 북한주민의 민족의식과 변화하는 현상을 다룬다. 6장에서는 북한주민과 남한주민 민족의식의 현재성을 살펴보며 통일 한반도에 ‘실천적 민족공동체’ 형성의 시각과 가치를 모색한다.

      • KCI등재

        세계화시대 동아시아 공동체론과 한국민족주의

        김혜승(KIM HEASEU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5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세계화시대 동아시아 공동체와 한국민족주의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한ㆍ중ㆍ일 3국이 공통의 외압인 세계화 도전에 대응하는 양상을 이해함으로써 역사적 교훈을 얻고 21세기 동아시아공동체와 한국민족주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민족주의가 동아시아에서 어떻게 발생하여 변화해 왔으며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전망하는 것은 한ㆍ중ㆍ일 3국의 지역적 관계를 세계사적 흐름 속에서 이해하고 동아시아 공동체의식의 형성가능성과 한계를 파악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수민족 교육정책 변천 - 신장위구르자치구를 중심으로 -

        구소영 대구사학회 2024 대구사학 Vol.156 No.-

        이 논문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건립 이후부터 현재 시진핑 정권까지 중국의 소수민족 교육정책이 어떻게 발전해왔는가를 신장위구르자치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신장의 소수민족 교육정책은 초기 다원주의 단계(1949-1957), 급진적 민족융합 단계(1958-1977), 그리고 다시 다원주의 단계(1978-1991)를 거쳐 현재 민족동화의 단계(1992-현재)로 발전하고 있다. 신장의 소수민족 교육은 각 민족 간 차이를 인정하고 상호 존중을 중시하는 가운데 민족문화를 발전시킨다는 “민족교육”과 민족단결과 국가 통합의 “국민교육”이라는 어찌 보면 양립 불가능한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해왔다. 민족 자치권과 중앙 집권 간 길항관계 속에서 발전해온 신장의 소수민족 교육은 시진핑 정권 출범 이후 민족교육의 중앙집권화가 강력하게 추진되고 있다. 유치원부터 대학 교육에 이르기까지 모든 교육은 한어로만 이루어져야 하고 국가에 의해 정의된 “중화민족”, “중화문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하는 민족동화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신장 소수민족 구성원들의 민주적 의사결정의 과정 없이 이루어지는 “민족교육”을 통해 “중화민족 공동체 의식”의 싹이 틔워질지는 의문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itions of China's education policy for ethnic minorities sinc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o the current Xi Jinping administration, focusing on the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Xinjiang's ethnic minority education policy has developed through the initial pluralistic stage (1949-1957), the radical ethnic integration stage (1958-1977), and again the pluralistic stage (1978-1991), and is currently developing into the stage of ethnic assimilation (1992-present). Education for ethnic minorities in Xinjiang has pursued two seemingly incompatible goals simultaneously: “minority education,” which develops ethnic culture while recognizing differences between ethnic groups and emphasizing mutual respect, and “national education,” which promotes ethnic unity and national integration. Education for ethnic minorities in Xinjiang, which has developed amidst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ethnic autonomy and centralization, has been strongly promoting the centralization of ethnic education since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came to power. From kindergarten to university education, all education must be conducted in the Chinese language, and national assimilation education is being implemented to foster a sense of consensus on the “Chinese nation” and “Chinese culture” as defined by the state. It raised a strong question as to whether “minority education” that is carried out without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members of minority ethnic group in Xinjiang can really foster a “sense of community for Chinese Nation” in their hearts.

      • KCI등재후보

        국가보훈의 개념과 성격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 민족사상 Vol.5 No.1

        This thesis aims to analyse the conception and character of ‘national veterans affairs’(국가보훈). Until now, we have heard routinely the word, veterans affairs or national veterans affairs. But the arguments for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national veterans affairs have a weak voice. In view of the present situation, this study progresses of argument for the concept, character and role of veterans affairs or national veterans affairs. Above all, the word of national veterans affairs has a mean that the main agent of enforcement is a state. And the word of national veterans affairs is strongly linked by a national community like state, nation and history. Futhermore, it contains a rooting consciousness(뿌리의식) for nation and history. This national veterans affairs has multiple basic characters. That is to say, it keeps the character of a nationl existence's basis. Next, it has the character of a national community's keeping and development. Lastly, it contains the character of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for a patriotic soul. 본 논문은 국가보훈의 기본적 개념과 성격에 관한 글이다. 우리는 그동안 보훈, 국가보훈이라는 말을 일상적으로 듣고 있지만 막상 국가보훈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본 글은 보훈 내지 국가보훈의 개념과 성격 그리고 역할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국가보훈’이라는 용어는 무엇보다도 시행의 주체가 국가라는 면을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국가보훈이라는 용어에는 국가, 민족 및 역사라고 하는 민족공동체와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을뿐더러 민족과 역사에 대한 뿌리의식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국가보훈은 다양한 기본성격을 지니고 있다. 즉, 국가보훈은 국가존립의 근거로서의 성격이 있고 다음으로는 국가공동체의 유지와 발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국가보훈은 애국정신의 계승과 발전의 성격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과 성격을 지니고 있는 국가보훈은 현실에서 많은 역할과 의미를 지니고 있다. 국가보훈은 국가와 국민의 개별적 존재인 ‘나’와의 일체화를 도모하게 한다. 다음으로 국가보훈은 국민통일과 국민통합의 초석의 역할을 한다. 나아가 국가보훈은 안보역량의 제고를 고양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국가보훈은 국가정체성의 확립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국가보훈은 나라발전의 초석으로서의 의미와 세계화시대에 국가생존과 발전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런 점에서 국가보훈이 지니는 정신을 계승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민족의식 고취에 있어서의 말레이-인도네시아어의 역할

        고영훈 ( Young Hun Koh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4 東南亞硏究 Vol.23 No.3

        민족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지정학적인 관점을 탈피하고 문화적인 요소를 중요시한 앤더슨의 견해는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의 민족의식을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앤더슨은 ``상상의 공동체``가 민족의식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언어의 사용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다종족으로 이루어진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가 각각 하나의 언어, 즉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의 사용을 강조하거나 중요시하는 것은 식민통치를 벗어나 독립을 이룩한 주권국가로서 존립하기 위한 요건이다. 말레이어는 말라카 해협에서 발흥한 왕국들이 1세기부터 인도나 중국과 같은 나라들과 교역 시 교통어로 사용되었고 15세기에는 인도네시아 군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말레이시아는 말레이계, 중국계, 그리고 인도계로 구성된 나라로서 말레이어가 이들 통합의 구심점이 되었다. 각 종족의 언어를 구사하면서 국어로서 말레이어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표준어의 사용을 도외시하고 영어와 혼용해서 사용하는 계층이 있는 등 다소의 문제가 있지만 정부의 일관된 정책으로 말레이시아에서 말레이어의 위치는 공고하다. 인도네시아는 그들 역내에서 사용인구수가 가장 많았던 자바어 대신 말레이어를 국어로 채택하였으며 국가의 통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20세기 초 민족의식이 싹틀 때 이슬람동맹(Sarekat Islam) 등에서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의 사용을 강조함으로써 민족통합의 중요한 장치가 되었다. 쁘라무디아(Pramoedya Ananta Toer) 같은 작가는 <인간의 대지>와 같은 작품에서 말레이어가 민족을 통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정의홍 시의 고향의식 연구

        김교식(Kim Kyo-Shik)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2 No.2

        본고의 목적은 정의홍 시에 나타난 고향의식의 면모를 살펴보는 것이다. 정의홍은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과 부조리한 현실 등을 시인의 비판적인 목소리로 작품을 형상화하고 있는데, 이는 그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고향 이미지의 시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정의홍의 시에 나타난 고향의식의 면모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의홍의 시는 인간의 근원적인 공간인 고향 이미지를 활용하여 공동체적인 삶에 대한 의지와 실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의 시에서 고향은 개인의 공간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민중들의 공동체적인 삶의 공간으로 확장하여 현실 세계의 부정적인 모습을 표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인은 공동체적인 삶이 가능한 아름다운 공간으로서의 고향을 소망하고 있다. 둘째, 정의홍의 시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기저에 두고, 전통문화의 다양한 소재들을 객관적 상관물로 활용하여 고향의 시적 공간을 묘사하고 있다. 시인은 억압과 폭력이 난무하는 고향의 모습을 직시하면서도, 냉철한 자기성찰을 통해 유년의 기억 속에 내재해 있는 정겹고 아름다웠던 고향으로의 회귀를 꿈꾸고 있다. 셋째, 정의홍의 시에서 고향의 시적 공간은 집단적 무의식의 공간으로 확장되어 나타난다. 시인은 산업화와 근대화의 과정에서 경험했던 물질문명의 폭력성을 집단적 무의식의 공간으로 확장하여 고향 마을의 비참한 현실을 폭로하고 있다. 또한, 고향의 시적 공간을 민족의 고향으로 확장하여 남북통일에 대한 염원을 담아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at the aspects of hometown consciousness shown in Jung Eui-hong’s poetry. Jung Eui-hong has a critical voice in his poetry about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society and absurd reality, that is reflected in hometown image, which often appears in his poetry. The aspects of hometown consciousness shown in Jung Eui-hong’s poetry are as follows. First, the poetry of Jung Eui-hong utilizes the image of the home, as the space of human’s fundamental, to show a willingness and practice for a community life. In his poetry, the hometown does not dwell in the personal space, but rather expands into a community of spaces for the people, expressing the negative aspects of the real world. Through this, the poetry hopes for a home as a beautiful space where community life is possible. Second, The poetry of Jung Eui-hong describes the hometown"s visual space based on a critical view of reality and using various materials of traditional culture as objective correlations. The poet is dreaming of a return to his friendly and beautiful home, which is inherent in the memory of his early years through cold self-observation, while also seeing the appearance of his hometown being filled with oppression and violence. Third, in The Poetry of Jung Eui-hong, poetic space of the Hometown expands into a space of collective unconscious. The poet expands the violence of material civilization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into a space of collective unconscious, exposing the disastrous reality of his home village. It also expands, poetic space of the hometown as a nation"s home, and captures the aspirations for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 KCI등재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 나타난 섬진강과 송화강의 지역성 연구

        조윤아(Cho, Yun-A)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6

        본 연구는 실재하는 공간의 지명을 사용한 소설 『토지』에서 ‘강’이라는 공간, 특히 섬진강과 송화강의 지역성을 작품에서 파악해냄으로써 문학적 상상력에 의한 공간 형성의 의미와 가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이 공간을 ‘지역성’으로 분석함으로써 소설의 공간 연구에 ‘지역성’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섬진강은 등장인물들의 죽음과 이별, 기다림의 장소로 의미 있는 공간이다. 그리고 서술자에 의해 역사 속에서 상당수의 사람들이 죽음을 맞은 장소로 부각된다. 등장인물들은 긴밀하게 소통하고 공감하며, 이 공간에서 일상을 살거나 중요한 소식을 나누며 연대한다. 이를 통해 서민성과 마을 공동체성을 지닌 섬진강의 지역성을 보여준다. 송화강의 경우 실존인물 독립운동가가 등장하고, 서술자가 역사적인 사실을 진술하면서 민족적인 의미를 강하게 부여 받는다. 그 외 조선의 독립을 갈망하는 등장인물들에 의해서도 민족적인 의미가 반복적으로 언급된다. 송화강의 지역성은 생활이 아니라 개념, 즉 민족의식에 한해서만 공동체성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특이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토지』에서 두 강의 대비되는 공간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장소성이나 민족의식 등을 포함하는 용어로서 ‘지역성’을 규정하고 적용함으로써 공간 연구의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는 데에 가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value of space formation based on literary imagination by understanding the spaces of ‘rivers’ in the novel Toji(Land), which used the names of spaces that actually exist, and in particular, by looking into the locality of the Seomjin River and Songhwa River. In particular, it analyzes such spaces by ‘locality’ to present ‘locality’ research methods to the spatial research of novels. The Seomjin River is a significant space as a location of death, parting, and waiting for the characters. Also, it is magnified by the narrator as a historical place where a considerable amount of people shed blood. The characters closely communicate and sympathize, living within the space or being in solidarity while sharing important news. This displays the locality of the Seomjin River, which has a sense of folkishness along with a sense of town community. In the case of the Songhwa River, an independence fighter who was a real person appears and it is granted strong national significance as the narrator states historical truths. In addition, national significance is repeatedly mentioned by characters longing for the independence of Joseon. The locality of the Songhwa River has specificity in that a sense of community is found, not in living but in concept, or in other words, only with regard to national consciousnes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rast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rivers in Toji(Land) and it has value as it made new attempts in spatial research by defining and applying ‘locality’ as a term that includes placeness or national consciousness.

      • KCI등재

        생래적 감각과 낭만적 감정으로서의 운명 공동체

        이재복(Lee, Jae-Bok)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40

        조병화의 국가와 민족에 대한 의식은 호흡이나 숨 같은 생래적이거나 생득적인 감각의 차원으로 제시하거나 여기에서 더 나아가 그것을 마음과 감정의 차원에서 낭만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가 강조하는 마음, 특히 따뜻한 마음은 땅, 물, 하늘과 같은 대상에 깊이 투사되어 그것들을 시인과 하나가 되게 하는데 기능적으로 작용한다. 국가와 민족을 이루는 주체들이 따뜻한 마음을 공유함으로써 그 공동체는 차가운 이성이나 합리성에 기반 한 공동체와는 다른 감정이나 감성에 기반 한 정서적인 공동체를 이룬다. 그의 이러한 공동체에 대한 태도는 종종 국가나 민족 위에 감정을 위치시키기도 한다. 그가 ‘국가는 망하더라도 사랑만 있으면’이라고 노래한 대목이 그것을 잘 말해주고 있다. 국가보다 사랑이 우선 한다는 그의 시적 태도와 논리는 국가에 대한 부정이라기보다는 사랑에 대한 강조를 위해 그것을 적절하게 이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의 국가나 민족에 대한 태도가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차원으로부터 벗어나 과도하게 느껴지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낭만적인 감정들이 여기에 강하게 투영된 것이라고 이해해도 무방하다. ‘국가는 망하더라도 사랑만 있으면’이라는 말은 사랑이 국가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가 사랑을 위해 존재한다는 인상을 주면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애국심이나 민족애를 낭만적으로 해체하고 그것을 재구성하는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국가와 민족에 대한 그의 감각이나 감정은 어느 한 개인의 그것이 아니라 타인과의 공유나 소통 속에서 보편타당한 공통의 정서와 미감을 획득하여야 한다. 이런 점에서 감각, 마음, 감정에 기반 한 그의 국가와 민족에 대한 태도와 그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것이 바로 ‘사랑’이다. 그의 시에서의 사랑은 감각, 마음, 감정이 구체화된 정서의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그의 시가 지니고 있는 국가나 민족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사랑과의 관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대한 연구는 이후의 과제로 남긴다. Jo, Byoung-Hwa’s consciousness on nation and race is shown as natural and innate sense such as breath or furthermore romantic mind and emotion. The emotion is laid on the nation or race by his attitude on the community. It can be seen in this part of his poem, ‘Even though a country perishes, if we have a love…’. His attitude and logic in poetry, that love is first than nation, is not denial of the country, but is used properly, focusing on love. It gives impression, that love isn"t for nation, but nation is for love, and effects on disorganizing patriotism and racial consciousness romantically and reorganize it. His emotion and sense on nation and race should acquire common emotion and sense of beauty with universal validity, not individually but by joint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this point of view the love is important to understand his attitude on nation and race and his world based on sense, mind, and emotion. The love in his poetry is the subject of feeling, embodied by sense, mind and emotion. It means the relationship with love is to be noticed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nation and race in his poetry. The research on it is left as an assignment afterw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