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절 위기 민속놀이의 전승 및 관광자원화 방안

        이미경 ( Mi Kyung Lee ),오익근 ( Ick Keun Oh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단절 위기에 직면한 민속놀이의 전승 실태 및 문제점을 역사적·제도적 차원에서 규명해보고 문화유산과 관광을 접목시킨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것은 민속학계, 지방문화원, 향토사가, 문화지킴이 등 일부 관련 집단의 고유 영역이 아니라 우리 선조들이 명맥을 잇고자 했던 문화 정체성과 가치를 후대에 고스란히 넘겨주어야 할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 모두의 몫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관광학계에서 관광자원의 대상으로 무형문화유산인 민속놀이의 가치를 부각시키려는 움직임은 활발하지 않았으며, 문화유산의 전승 위기라는 과제에 있어서도 관광학적인 대안 마련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지는 않았다.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민속놀이의 잠재적인 가치와 가능성은 선행연구에서 입증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단절 위기에 처한 민속놀이의 전승 실태 및 문제점을 고찰하고 관광학적인 관점에서의 경쟁력 있는 민속놀이 발굴·개발을 통해 이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민속놀이 관련 학계의 문헌자료와 정부정책 및 지원 사업 등 2차 데이터를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자원의 대상으로 경쟁력 있는 민속놀이를 조사·발굴하여야 하며, 둘째, 한국 고유의 정서를 잘 담고 있으면서 놀이문화의 멋과 흥을 유발할 수 있는 민속놀이를 한국 대표 민속축제로 집중 육성하며, 셋째, 독창적인 민속놀이 공연프로그램의 개발과 공연장소의 확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민속놀이 교육 프로그램 확대 및 여가문화로 정착시키고, 마지막으로 각종 매체를 활용하여 민속놀이를 테마로 한 축제, 공연, 이벤트, 공연시설 및 관광자원 등의 홍보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단절 위기에 처한 민속놀이의 전승이 더 이상 민속학계, 교육학계, 관광학계만의 관심사로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지역민, 지자체, 문화원, 정부, 유관기관 등 민·관·학이 함께 이에 대한 위기의식을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마련하는데 고심하여야 할 것이다. 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 current situation in transmitting Korean traditional folk plays which are faced on the crisis of extinction and to seek how to preserve or utilize them as tourism resources. In terms of tourism, the value of folk plays, folk dances as intangible culture heritage has already been proved. To make use of folk plays which is faced on the crisis of extinction as tourism resources could be an alternative in preserving our heritage and handing it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research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need to research and discover the competitive folk plays as the object of tourism resource.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some of folk plays to Korean representative festivals. Third, folk plays should be produced as performing arts in addition to supply performing places for folk plays. Fourth, we have to enlarge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leisure activities. of folk plays. Finally, we have to seek how to promote our own folk plays in the form of festivals, performances, events, etc. via mass media.

      • KCI등재후보

        남북한 어린이 민속놀이의 변화와 지속

        김행심 ( Haeng Sim Kim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4 통일연구 Vol.18 No.2

        민속놀이는 흔히 민속오락, 민속경기, 민속유희, 민속예능, 전승놀이, 향토오락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놀이는 종교적 행사나 세시풍속에서 출발하여 시간을 보내기 위하거나 즐기기 위한 소소한 일상생활의 여가를 포함한다. 이 중 소년, 소녀가 함께 노는놀이를 “어린이놀이”라 하며 지극히 단순하고 수시로 하는 놀이가대부분으로 개인보다 다 함께 노는 집단놀이가 발달하였으며 분단이전 하나의 어린이전통놀이가 남한과 북한이라는 각기 다른공간 속 각각의 체제에 따라 놀이의 명칭과 놀이 방법에 차이를보이고 있다. 이에 북한의 어린이민속놀이는 어릴 적부터 학교와가정에서도 적극 권장하며 국가 지정일인 명절과 휴일에도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적극 장려하는 것과 달리 남한은 우리 전통 어린이민속놀이를 바탕으로 전통민속놀이 방법을 소개하며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여 현대 생활문화에 따른 놀이를 즐기고 있다. 또한 어린이민속놀이는 여럿이 어울리는 집단놀이의 발달로 또래놀이를 통한 또래 문화를 형성하는 남한과 달리북한의 집단놀이는 국가기념일에 어린이들의 의무적 참여를 통해국가 지도자에 대한 충성을 맹세한다. 결국 남한은 전통어린이민속놀이를 현대화시켜 어린이의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는 것을 우선시하고 있는 반면 북한은 집체성을 강조하고 사회주의 사상을 계승,발전시키려는 정책민속놀이로 사회주의 사상과 체제를 어린이들에게 주입하고 세뇌시키기위한 것이 우선이다. 이것은 남한과 북한의 공간적 차이 속 각기다른 체제에서 하나의 우리 전통어린이민속놀이가 놀이 방법은유사하나 놀이 내용에는 차이를 가지면서 현대적 계승이 이어질것이다. A folk play is often referred to as folk amusement, folk games,folk entertainment, folklore play and local amusement. Starting froma religious ceremony and the New Year`s customs, the play expandsits range to include pastime and leisure to enjoy daily life. Amongthem, “children`s play” is performed between boys and girls, and it ismostly composed of simple games and played from time to time. Inthis case, group play is further developed rather than individual play,and one traditional children`s play before the division of the Koreanpeninsula now shows the difference in the names of plays andmethods on how to play according to the different political systemof South and North Korea. In North Korea, children`s folk play isstrongly recommended both at school and at home from theirchildhood, and it is actively encouraged in festive and nationalholidays at a national leve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outhKorea, methods on how to play traditional folk games are introduced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folk plays, and ways to utilize themin education are presented so that children can enjoy games based oncontemporary lifestyle and culture. In addition, children`s folk play inSouth Korea helps to form a peer culture trough a peer play due tothe development of group play, whereas group play in North Korea is designed to swear allegiance to the national leader throughmandatory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national holiday. After all, South Korea gives priority to improving the health ofchildren`s mind and body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children`s folk plays, while North Korea prioritizes the injection ofthe socialist ideology and system into children and brainwashingthrough political folk plays intended to emphasize communitarianism,and inherit and develop the socialist ideology. These results suggestthat modern succession will proceed as one traditional children`s folkplay shows similar methods on how to play, while its content istotally different according to each system resulting from the spatialdifference of South and North Korea.

      • KCI등재

        농경활동을 소재로 한 민속놀이의 창출과 문화재화 시도 -제천 봉양파대놀이의 사례-

        배영동,강종원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8 No.-

        This study analyzes the invention of folk play from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Padae Nori’ performed at Bongyang-eup, Jaecheon City, Chungbuk Province, in South Korea. ‘Padae Nori’ originated from ‘Taegichigi’, an agricultural activity performed to deter birds from ripe grains in the harvest season using tool of a braided straw rope. This activity last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and in what situation an agricultural activity was transformed into folk play, and understand the advent of folk play invented in modern society, and its social application. ‘Padae Nori’ was recently invented by the local government, a play planner and a cultural organization in the region. Today’s performance host as well as the traditional performance host of ‘Padae Nori’ accepts and performs the play irrespective of his or her intention. It is said that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ly invented this play to preserve and publicize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region, but behind the stage, the government had the intention to get the play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Padae Nori’ is not only a decontextualized folk play that originated from ‘Taegichigi’, archetypal culture, but also a modern play that has been enriched into a performing art by a play planner irrespective of archetypal culture which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Padae Nori’ was not invented from the voluntary needs by those in charge of the traditional inheritance of its archetypal culture. This play can be said to have been an attempt to transform a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y into a kind of public folklore with the support and policies of institutions. The local government also played a central role with the participation of a play planner. 이 연구는 전통적 농경활동이 오늘날 민속놀이로 창출되는 현상과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충북 제천 봉양읍에 있는 ‘파대놀이’이다. 이 놀이의 원천문화는 20세기 전반까지 농촌의 수확기에 ‘태기’(표준어: 파대)를 이용하여 새를 쫓던 ‘태기치기’라는 농경활동이었다. 이러한 전통적 농경활동이 어떠한 상황에서, 무엇 때문에 민속놀이로 창출되었는지를 밝힘으로써, 현대사회에서 창출된 민속놀이의 등장과 활용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파대놀이는 극히 최근에 지자체, 놀이 기획자, 지역문화 기관이 주도하여 만든 것이다. 전통적 연행주체와 다른 오늘날의 연행주체는 자신들의 의지와 무관하게 파대놀이를 수용하여 연행하였다. 지자체는 공식적으로 지역의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알리고자 파대놀이를 만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매년 열리는 충북민속예술축제와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이어서 무형문화재로 지정받기 위한 의도가 작용하였다. 파대놀이는 2006년 제13회 충북민속예술축제를 겨냥하여 처음 만들어졌으며, 무형문화재 지정을 목표로 하여 창출주체와 연행내용이 몇 차례 바뀌었다. 그뿐만 아니라 파대놀이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놀이 창출활동, 학술활동, 수시 연행활동, 보존단체의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파대놀이는 예술축제에서 몇 차례 연행되다가 기대했던 수상실적이 나오지 않고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지 못하자 전승이 중단되다시피 하였다. 지자체에서 기획된 대부분의 민속예술은 이와 비슷한 과정을 거친다고 본다. 파대놀이는 원천문화 태기치기로부터 탈맥락화된 민속놀이일 뿐만 아니라, 놀이 기획자가가 원천문화와 관련이 없는 연행예술을 풍성하게 덧붙여서 만들고 이를 몇 차례 개편한 현대판 놀이였다. 태기치기와 같이 실용을 추구하는 기술적 활동에는 실존적 진정성의 원천문화가 있는 바, 이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를 기대했다면 문화재보호법의 취지에 맞게 원천문화의 이치를 변형하지 말아야 했고, 원천문화의 이치를 변형하여 만든 현대판 놀이라면 예술축제에서 호평을 받고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놀이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데서 보람을 찾아야 바람직하다. 파대놀이 창출은 전통적 전승주체의 자발적 필요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정책적․제도적 지원에 힘입어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놀이 기획자가 참여하는 가운데 농경문화의 전통을 현대의 공공민속(public folklore)으로 만들려는 시도라고 하겠다. 하지만 파대놀이는 창출주체와 연행주체가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민속놀이가 아니고, 그 밖의 단체나 사람들도 아직은 필요로 하거나 활용하기 어려운 단계이다.

      • KCI등재

        진도 치기형 민속놀이의 전승 현장과활성화 방안

        이옥희,하미순,이경엽,나경수 남도민속학회 2024 남도민속연구 Vol.47 No.-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hit-type folk game handed down in the Jindo region, examined its transmission patter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research, and proposed its characteristics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ways to revitalize it. Hit-type folk game includes children’s play, adult play, men’s play, and women’s play. Overall, it is a cultural correlation that allows us to see through our traditional play culture. There is a need to re-recognize the importance of everyday play that even people without special skills or entertainment can participate in and that can be enjoyed on a regular basis, not just during special times Hit-type folk games have a variety of play methods and are also games that contain oral expressions and traditional knowledge. Tools are often used when playing chigi-type folk games. It includes not only amusement equipment but also household and crafting tools. In addition, hit-type folk gam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angible heritage in that it is a game that reflects the local lifestyle and philosophy of life. Hit-type folk gamei is a universal game that is passed down in other regions as well. Therefore, the form and content of play are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However, Jindo local residents have strong vitality and resilience in folk culture and arts.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area to seek and realize ways to revitalize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becoming a residual culture. Just as most traditional games are neglected by modern people and are in danger of being cut off from their transmission, the same goes for hit-type folk games. As a way to avoid this, we propose grouping of individual plays. In addition, a creative perspective is needed to transform residual culture into regenerative culture by linking it with digital-based online business. In addition, to revitalize the region, it was proposed to create a hit-type folk game theme park and hold a hit-type folk game competition.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form the Jindo region residents-centered tentative name “Jindo hit-type Folk Game Preservation Society.” Only when the private sector, institutions, business community, and academia cooperate will we be able to secure sustainability rather than just a one-off reproduction 본고에서는 진도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치기형[打型] 민속놀이에 주목하여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전승 양상을 살피고, 무형유산으로서의 특징과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치기형 놀이는 아동놀이, 성인놀이, 남성놀이, 여성놀이를 망라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우리의 전통적인 놀이문화를 관통할 수 있는 문화적 상관물이다. 특별한 기예능을 갖추지 않은 사람도 참여할 수 있고, 특별한 시기가 아닌 평소에도 즐길 수 있는 일상적인 놀이에 대해서도 중요성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치기형 민속놀이는 치기놀이 특유의 다채로운 전개방식이 있고, 구전표현과 전통지식이 담겨있는 놀이이다. 치기형 민속놀이를 할 때에는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놀이도구뿐만 아니라 생활도구와 생산도구까지 포함한다. 놀이도구의 재료를 선택하고, 제작하고 활용하는 과정마다 사람들이 터득하고 있는 전통지식이 동원된다. 또한 치기형 민속놀이는 지역의 생활상과 생활철학이 반영된 놀이라는 점에서 무형유산으로서 특징을 갖고 있다. 치기놀이는 다른 지역에서도 전승되는 보편적인 놀이이다. 따라서 놀이의 형편과 내용은 다른 지역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진도 지역민들은 민속문화예술에 대한 실제적인 활력과 탄력이 강하므로, 잔존문화가 되어가고 있는 전통문화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실현하기에 적합한 지역이다. 대부분의 전통놀이가 현대인들에게 외면받고, 전승 단절의 위기에 처해있듯이 치기형 민속놀이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탈피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개별놀이의 집합화(grouping)를 제안하였다. 또한 디지털 기반 사업과 연동하여 잔존문화를 재생문화로 전환하려는 창의적 시각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지역활성화를 위해 치기형 민속놀이를 테마로 한 액티비티(activity) 창안과 치기형 민속놀이 대회 개최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 주민 중심의 “치기형민속놀이보존회”의 결성이 필요하다. 민간, 기관, 재계, 학계가 협력해야 일회성 재현에 끝나지 않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농경활동을 소재로 한 민속놀이의 창출과 문화재화 시도 -제천 봉양파대놀이의 사례-

        배영동 ( Young Dong Bae ),강종원 ( Jong Won Kang )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8 No.-

        이 연구는 전통적 농경활동이 오늘날 민속놀이로 창출되는 현상과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충북 제천 봉양읍에 있는 ‘파대놀이’이다. 이 놀이의 원천문화는 20세기 전반까지 농촌의 수확기에 ‘태기’(표준어: 파대)를 이용하여새를 쫓던 ‘태기치기’라는 농경활동이었다. 이러한 전통적 농경활동이 어떠한 상황에서, 무엇 때문에 민속놀이로 창출되었는지를 밝힘으로써, 현대사회에서 창출된 민속놀이의 등장과활용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파대놀이는 극히 최근에 지자체, 놀이 기획자, 지역문화 기관이 주도하여 만든 것이다. 전통적 연행주체와 다른 오늘날의 연행주체는 자신들의 의지와 무관하게 파대놀이를 수용하여 연행하였다. 지자체는 공식적으로 지역의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알리고자 파대놀이를 만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매년 열리는 충북민속예술축제와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이어서 무형문화재로 지정받기 위한 의도가 작용하였다. 파대놀이는 2006년 제13회 충북민속예술축제를 겨냥하여 처음 만들어졌으며, 무형문화재 지정을 목표로 하여 창출주체와 연행내용이 몇 차례 바뀌었다. 그뿐만 아니라 파대놀이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놀이 창출활동, 학술활동, 수시 연행활동, 보존단체의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파대놀이는 예술축제에서 몇 차례 연행되다가 기대했던 수상실적이 나오지 않고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지 못하자 전승이 중단되다시피 하였다. 지자체에서 기획된 대부분의 민속예술은 이와 비슷한 과정을 거친다고 본다. 파대놀이는 원천문화 태기치기로부터 탈맥락화된 민속놀이일 뿐만 아니라, 놀이 기획자가가 원천문화와 관련이 없는 연행예술을 풍성하게 덧붙여서 만들고 이를 몇 차례 개편한 현대판 놀이였다. 태기치기와 같이 실용을 추구하는 기술적 활동에는 실존적 진정성의 원천문화가 있는 바, 이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를 기대했다면 문화재보호법의 취지에 맞게 원천문화의 이치를 변형하지 말아야 했고, 원천문화의 이치를 변형하여 만든 현대판 놀이라면 예술축제에서 호평을 받고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놀이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데서 보람을 찾아야 바람직하다. 파대놀이 창출은 전통적 전승주체의 자발적 필요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아니라, 정책적.제도적 지원에 힘입어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놀이 기획자가 참여하는 가운데 농경문화의 전통을 현대의 공공민속(public folklore)으로 만들려는 시도라고 하겠다. 하지만 파대놀이는 창출주체와 연행주체가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민속놀이가 아니고, 그밖의 단체나 사람들도 아직은 필요로 하거나 활용하기 어려운 단계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vention of folk play from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Padae Nori’ performed at Bongyang-eup, Jaecheon City, Chungbuk Province, in South Korea. ‘Padae Nori’ originated from ‘Taegichigi’, an agricultural activity performed to deter birds from ripe grains in the harvest season using tool of a braided straw rope. This activity last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and in what situation an agricultural activity was transformed into folk play, and understand the advent of folk play invented in modern society, and its social application. ‘Padae Nori’ was recently invented by the local government, a play planner and a cultural organization in the region. Today’s performance host as well as the traditional performance host of ‘Padae Nori’ accepts and performs the play irrespective of his or her intention. It is said that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ly invented this play to preserve and publicize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region, but behind the stage, the government had the intention to get the play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Padae Nori’ is not only a decontextualized folk play that originated from ‘Taegichigi’, archetypal culture, but also a modern play that has been enriched into a performing art by a play planner irrespective of archetypal culture which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Padae Nori’ was not invented from the voluntary needs by those in charge of the traditional inheritance of its archetypal culture. This play can be said to have been an attempt to transform a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y into a kind of public folklore with the support and policies of institutions. The local government also played a central role with the participation of a play planner.

      • 인제인의 민속놀이와 〈하추리 도리깨질 소리〉의 지역적 향유성

        이학주(Lee Hak-ju)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0 아시아강원민속 Vol.33 No.-

        이 글은 “인제인의 민속놀이와 〈하추리 도리깨질 소리〉의 지역적 향유성”에 대해서 고찰했다. 이를 고찰하기 위해서 민속놀이의 개념정의와 용어문제와 심사규정의 문제에 대해 제언을 했다. 이에 대한 규정이 명확할 때 대중성를 띠고 지속적으로 향유될 것이라 했다. 인제인의 민속놀이와 그 특성에서는 그동안 인제에서 발굴하여 강원도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품했던 작품을 일괄해 봤다. 그러면서 민속놀이가 가진 ‘놀이적 특성과 발굴기준’을 찾아 부합여부를 알아보았다. 민속놀이의 놀이적 특성을 ㉠ 전통성 ㉡ 지역성 ㉢ 향유성 ㉣ 시공세계를 들어 근거를 대어 서술했다. 민속놀이의 발굴기준으로 ㉠원형보전 ㉡공동체의식 반영 ㉢예술성을 들었다. 그동안 인제에서 발굴한 민속놀이는 비교적 지역성을 잘 띠고 이뤄졌으나 일회성에서 그쳐서 아쉬웠다. 이것이 지속적으로 향유되었으면 했다. 하추리 도리깨질소리의 지역적 향유성에서는 놀이의 원소스부터 마당극으로 만들어 쓴 시나리오와 향유성까지 살폈다. 〈하추리 도리깨질 소리〉는 하추리 사람들 스스로 누리던 전통에서 비롯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스스로 민속놀이를 발굴하고 이어가고 있음을 보았다. 게다가 앞서 논의한 놀이적 특성과 발굴기준에도 부합하였다. 모두 지역성을 잘 띠고 마을사람 스스로 출장공연까지 행하고 있었다. This paper searches the traditional folk games of Inje and the enjoyment of "Song of Flailing at Hachuri." It looks into the definition of folk game, the terminology and the rule of evaluation. Clear definition will give publicity to traditional folk games and make them enjoyable continuously. It referred to the works entered in the Gangwon Traditional Folk Games Contests for the study of traditional folk games of Inje and the features of them. It tried to verify whether they applies with the criteria of development and the game features. Some features of traditional folk game shall be traditionality, localism, enjoyment, and time-space. Criteria of developing the traditional folk game shall be conservation of prototype, reflection of communal consciousness, and artistic value. The traditional folk games in Inje have been developed well with local quality but should be enjoyed continuously. It looked into from source of games to poems or scenarios of Madang folk plays for the local enjoyment of "Song of Flailing at Hachuri." This song has its origin in the tradition of Hachuri people. They have developed and continued their traditional folk plays by themselves. Also their games apply with the features and criteria. Their games have its locality and the local people even traveling show.

      • KCI등재

        한국 민속놀이 연구의 시각과 전망

        한양명(Han Yang-myung)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8

        그 동안 이루어진 민속놀이 연구의 시각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전망하기 위해 작성된 이 글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장에서는 나름대로 민속놀이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했고, 두 번째 장에서는 민속놀이에 대한 지금까지의 시각 가운데 재고가 필요한 부분을 몇 가지 지적했으며, 마지막 장에서는 연구의 심화와 대상의 확대에 관한 단상을 소략하게 제시했다. 연구 결과, 민속놀이는 전근대사회에서 비롯된 전통놀이로서 전국적 또는 광역적으로 분포한 민중들의 놀이 및 모든 계층이 공유한 놀이를 기본 범주로 하고, 일부 지역에서만 전승된 놀이 및 중인/양반/특수직업집단의 놀이까지를 확장범주로 포괄하는 놀이현상이라고 규정했다. 한편 과거 지향적으로 진행된 기존 연구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파악된 것은 민중주의적 시각, 탈맥락적이거나 일반론적인 역사적 접근,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수용의 결여, 탈맥락적인 비교, 대동놀이에 대한 분절적 이해, 어린이 놀이에 대한 역사적 접근의 미흡 등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생각을 소략하게 첨기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심화와 대상의 확대를 위해 몇 가지 단상을 제시했다. 먼저 역사적 연구의 심화를 위해 기존의 디지털아카이브를 활용한 문헌적 접근의 기능성과 근대 이후 민속놀이가 재맥락화 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지금까지의 역사적 전개에 대한 천착의 문제를 거론했다. 다음으로 민속놀이에 관한 체계적인 정보 제공은 물론 놀이문화권의 설정과 문화권 내외의 비교연구가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민속놀이지도를 작성 및 놀이 관련 자료의 디지털아카이브 구축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의 시간적 확대를 위해 동시대 민중들의 놀이문화와 여가문화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공간적으로는 북한 및 해외 거주 동포들의 놀이문화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This text is written fur studying reflectively and prospecting the vision of research about folk play which is gotten accomplished all these days. It consist m three parts. The fust part: is about setting up the concept and category of folk plays. the second part is about indicating parts which are needed to be reconsidered among some prospects about folk plays which have been made until now. the last part is about presenting discussions about intensifying of research and extension of the object shortly. In the result of research, folk plays are traditional play from premodern society and it were spreaded in the all over the country or in a wide area. It also shared by all of the social classes. these results establish a basic category about folk play. also, some plays transmitted in some parts of the country and others transmitted by Joong-in/Yang-ban/crew of special jobs are fall into a extending category. Meanwhile, there is some problems recognized by traditional researches which have been processed with aiming at the past ; the prospect of populism, historical access which is incoherent or too general, lack of critical accommodation about a text, incoherent comparison, divided understanding about DaeDong-noli, lack of historical access about children's plays and etc. Therefore, some opinions for overcoming these problems are added shortly in here. Finally, there are several opinions fur intensifying of research and extension of the object. First, it made a discussion about possibility of philological access utilizing existing digital archive for intensifying of historical research and problem of digging about historical development in the period from the time after the modem age when folk plays began to be recontextualized to now. Next, it presented to frame the instruction of folk plays and construct of digital archive of resources related with plays for not only providing systematic resource about folk plays but also setting a cultural area of folk plays and being achieved a comparative study inside and outside of this area easily. Last, it made a discussion about necessity of swinging over to culture of a contemporary's play and leisure for extending the object of study at the point of the time and about considering to a culture of plays of people who live in North Korea or other foreign countries at the point of the place.

      • KCI등재

        초등학교 교과서 속의 민속놀이 실태와 문제

        이상호(Lee Sang-Ho) 실천민속학회 2012 실천민속학연구 Vol.19 No.-

        초등교육에서 교과서가 갖는 비중은 무척 크다. 따라서 전통교육의 측면에서 교과서에 민속놀이가 어떤 내용으로 얼마나 자주 실렸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왜 민속놀이가 많이 실리게 되었는지 이유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접근의 용이성, 준비의 간편성, 영역의 다양성, 효과의 지속성, 내용의 수용성이라는 요소가 추출되었다. 이는 노래, 춤, 복식, 의례 등과 같은 전통교육의 여러 측면과 비교했을 때 민속놀이가 많이 실리게 되는 근본적인 이유이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분석으로 교과서의 모태가 되는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3차, 7차에서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이라는 항목이 민속놀이 게재와 직접 연관되었음을 밝혔다.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분석에 의하면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민속놀이의 빈도에는 변함이 없지만 질적으로는 낮아지고 있고, 학년별 민속놀이가 불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놀이가 줄어들고 있었다. 이는 전반적으로 전통교육의 비중 및 중요성이 약화됨을 나타내는 지표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내용적으로 놀이를 교과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기에 놀이가 갖는 여러 가지 교육효과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는 점,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지 못함으로써 현장에서 활용에 한계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놀이에 대한 문화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고, 아동의 성장 단계에 따른 놀이의 선정, 외형적 효과보다는 재미 중심의 놀이교육으로의 전환, 학교 현장을 고려한 놀이선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re is a lot of emphasis placed on textbooks within elementary school systems. Therefore, with traditional education in mind,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contents that come up with respect to traditional games and how often they are carried. For this purpose, I understood why traditional games became so often carried. The ease with which the conclusion is reached, the simplicity of preparation, the variety of domains, the persistence of the effect, the ease understanding the content are all extracted. Although song, dance, costume, customs are all a part of tradition, folk games are focused on more often because of the aforementioned reasons. Although the textbook is important, there is no textbook without a curriculum, therefore we must look closely at the curriculum. What we find is that in the 3rd and 7th editions of the curriculum there is a quote saying we should promot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s well as improve it. What we find then, is that traditional play is strongly tied to the curriculum, which explains its prevalence. Comparing the 7th edi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2007 curriculum shows that traditional play was reduced and there is an inconsistent focus on traditional games and as a result, there are less traditional games played as students progress through grade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emphasis placed on traditional games and the importance placed on it is reduced and weakened. Another reason is that traditional games are originally meant for fun but was beginning to be used to educate (with the wrong purpose.) Another inconsistency is the level of play. Although young kids must be taught easier traditional games and older students harder ones, this progression is entirely ignored in the curriculum which is why teachers are unable to effectively teach traditional games in schools today. How might one fix these problems? Firstly, we need to understand that traditional games were taught with the intention of fun. Second, there must be a consistency in the level of traditional games taught to the level of students. Third, the resources need for traditional game (field, space, extra time, facilitator, students, etc) are all needed in order to properly reintroduce traditional games. If all of these instructions are observed traditional games can exist and thrive once again.

      • KCI등재

        驪州의 전통 민속놀이 일고찰 - 집단놀이를 중심으로 -

        송재용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8 東洋學 Vol.44 No.-

        This study examines traditional folk games of Yeoju, including Heunamri Ssangryongger tug-of-war, Wonburi bridge-crossing game, Bonduri Haechon water fireworks, Maraeri turtle game, etc. The investigation involves comparison with other related group games of the adjacent regions such as Icheon and Yongin. Heunamri Ssangryongger tug-of-war is different from tug-of-war games in other regions of Yeoju in terms of scale and contents. Besides, after the game, the used cord is carried away by water, which is unique and different from the way of disposing the cord in Icheon and Yeoju. Wonburi bridge-crossing game members consist of a king, prime minister, and court lady, etc, which is a unique formation, different from those of Yongin and Icheon. Bonduri Haechon water fireworks are unique in playing the game on the 16th of the first month, and the way of making water fireworks. Especially, the way of making water fireworks is different from those of Icheon and Yeoju. As to Maraeri turtle game, unlike other regions, the head of the turtle looks like that of a horse. Besides, the game is unique and different from those of Icheon and Yeoju in terms of the player formation, Gosadam, Gosachang, etc. Among the games stated above, especially Heunamri Ssangryongger tug-of-war and Maraeri turtle game are the representative, excellent traditional folk games of Yeoju. As to traditional folk games, especially group games, of the Southeast part of Gyeonggi province such as Yeoju, Icheon, and Yongin, it seems that there is no outstanding difference among regions although each game is partly unique. Heunamri Ssangryongger tug-of-war and Maraeri turtle game of Yeoju, however, are regarded as unique and different from games of Yongin area. Lastly, it is urgent to take measures to preserve and succeed traditional folk games of Yeoju, especially those excellent traditional folk games that are disappearing. 본고는 여주의 전통 민속놀이 가운데 대표적 집단놀이인 흔암리 쌍룡거 줄다리기·원부리 답교놀이·본두리 해촌 낙화놀이·마래리 거북놀이 등을 중심으로 준비 및 제작과정, 진행과정 및 방식, 인원편성 등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논의과정에서 해당 놀이와 연관이 있는 인접지역인 이천, 용인의 집단놀이와도 비교 검토하였다. 논의한 사항들을 종합하여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흔암리 쌍룡거 줄다리기는 여주의 다른 지역의 줄다리기보다 규모나 내용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을 뿐 아니라, 줄다리기가 끝나면 줄을 처리하는 방식에 있어 이천이나 용인지역과는 달리 참여한 마을주민들이 줄을 메고 가 강에 띄워 보내는 厄送 방식이 색다르다. 이런 점 등에서 마을 공동체의식을 엿볼 수 있어 민속학적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원부리 답교놀이는 인원구성이 왕·정승·궁녀 등으로 되어 있어 특이한데, 이는 변형으로 보인다. 이 점은 이천이나 용인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민속학적으로도 가치가 있다. 본두리 해촌 낙화놀이는 정월 16일에 행한다는 것과 낙화 순대를 만드는 방식이 독특하다. 특히 낙화순대를 만드는 방법이 이천과는 다르다. 독특한 제작과정 등은 그 의미와 함께 민속학적으로도 가치가 있다. 마래리 거북놀이의 경우 다른 지방의 거북과는 다르게 마래리의 거북이는 머리 모양이 말과 비슷하게 생겼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제작과정, 진행방식, 인원편성, 고사담, 고사창 등에서 이천, 용인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민속학적으로도 의미가 있다. 이들 집단놀이 중 흔암리 쌍룡거 줄다리기와 마래리 거북놀이가 여주의 대표적인 우수 전통 민속놀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여주, 이천, 용인 등 경기 남동부 지역의 전통 민속놀이, 특히 집단놀이의 경우 각 놀이마다 부분적으로는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인 측면에서 볼 때는 큰 차이가 없는 듯하다. 그럼에도 여주의 흔암리 쌍룡거 줄다리기의 액송의식과 방법, 원부리 답교놀이의 인원구성, 본두리 해촌 낙화놀이의 낙화순대 만드는 방법, 마래리 거북놀이의 거북이 머리모양이 말과 비슷하다는 점 등에서 특색 있는 놀이로 평가된다. 따라서 그 의의와 함께 민속학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끝으로 점차 사라져 가는 여주의 전통 민속놀이, 특히 우수 전통 민속놀이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민속학적으로 가치가 있는바, 이를 보존 계승할 수 있도록 제반 대책(여주군청, 여주교육청, 여주문화원, 여주신문 및 케이블방송, 민속놀이 보존회 등 여러 단체나 기관에서 인터넷사이트 개설운영 및 홍보, 행사지원 및 공연, 보존 및 계승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개발 등등)을 수립하여 시행하는 것이 시급하다.

      • KCI등재

        <林下筆記>에 나타난 歲時風俗과 民俗놀이 硏究

        宋宰鏞 동아시아고대학회 2011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6

        『林下筆記』(한문. 필사본 39권)는 李裕元(1814-1888)의 대표적인 저술 가운데 하나로, 정치・경제・사회・문화・역사・사상・제도・지리・금석 및 서화・음악・문학・민속학 등 각 분야를 博物學的・百科全書 식으로 기술한 책이다. 뿐만 아니라 이 책은 단순한 기록만이 아닌, 사회 전반에서부터 國事와 개인 신변잡사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관한 내용과 견문, 체험까지도 기록하고 있어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된다. 『임하필기』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해서는 이미 연구자들에 의해 언급된바 있다. 필자는 『임하필기』의 종합적 연구의 일환으로, 특히 민속 분야 그 중에서도 연구가 전무한 歲時風俗과 民俗놀이에 주목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사항들을 종합하여 결론으로 삼으면 다음과 같다. 이유원은 세시풍속과 민속놀이에 대하여 관심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그는 『임하필기』에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관련 기록들을 많이 남기고 있다. 세시풍속과 민속놀이는 「文獻指掌編」, 「華東玉糝編」, 「春明逸史」, 「旬一編」 등에 주로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 「문헌지장편」과 「화동옥삼편」에 많이 실려 있다. 그런데 그 내용도 비교적 간단할 뿐만 아니라, 19세기에 행했던 세시풍속과 민속놀이보다는 주로 조선 전기나 후기 문헌들에 수록된 세시풍속과 민속놀이를 참고 인용하여 기록으로 남기고 있어 다소 아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하필기를 통해 당시의 세시풍속과 민속놀이의 지속과 변모를 파악할 수 있는바,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세시풍속의 경우, 元朝 때 행했던 聽讖의 유래와 변모, 上元 시 행했던 곡식 이삭 늘어놓기 행사, 花朝 풍속 행사의 토착성, 上巳日에 雪糕를 만들어 먹는 풍속의 고유성, 除夕 때 행했던 儺禮儀式 등은 주목할 만하다. 민속놀이의 경우, 紙鳶을 전쟁 때 구제용으로 사용했다는 중국의 고사, 이유원의 금천교에서의 다리밟기, 儺禮 의식 행사 중 새벽 근정문 밖에서 승지가 역귀 쫓는 계청서부터 끝나는 부분, 假面의 기원과 시초, 山棚戱와 橦絙戱의 재질과 많이 행하는 지역, 陞官圖와 選仙圖의 중국(唐・宋)에서의 유래와 놀이 방식, 陞官圖를 만든 사람, 宣和牌의 牙・天・地・和牌의 점수와 의미, 葉子戱의 일화와 紙牌의 시초, 骰子를 만든 사람, 재질, 만드는 방법 및 일화 등은 참고가 되거나 자료적으로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임하필기』에 나타난 세시풍속과 민속놀이는 민속학적으로 의미가 있다. 『Yimhapilgi』(林下筆記. 39 books of manuscripts in Chinese character) is one of the famous works by Lee Yu-won (李裕元. 1814-1888), and it is a natural historical and encyclopediac writing that integrates various areas such as politics, economics, society, culture, history, ideology, system, geographical information, minerals and rock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music, literature and folklore. Besides, this book records not only simple histories but also various knowledge and experience from politics over the society to the stories about private areas thus the value of the book is highly estimated. The importance and value of 『Yimhapilgi』 have already been mentioned by many researche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seasonal customs and folk games that have never studied before among various area of folklore as a part of integrate study. The findings discu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Lee Yu-won is assumed to be very interested in seasonal customs and folk games. Thus he had left many recordings about seasonal customs and folk games in 『Yimhapilgi』. The seasonal customs and folk games are mainly recorded in 「Munheonjijangpyun」 and 「Hwadongoksampyun」 among the main chapters such as 「Munheonjijangpyun」, 「Hwadongoksampyun」, 「Chunmyungilsa」 and 「Soonilpyun」. However, the contents are relatively simple and only the seasonal customs and folk games quoted from the documents in Early Chosun era or Late Chosun Dynasty. Nevertheless, it still has an important meaning since it still conveys the maintenance and changes in seasonal customs and folk games at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cases of seasonal customs, the origin and changes of Cheongcham on New Year’s Day, crop spikes scattering on Daeborum Day, indigenousness of custom events on Hwazo Day, the uniqueness of cooking and eating Seolgo on Sangsa Day and Narye ceremony on Jesoek Day are remarkable. In the cases of folk games, the historical story of using kite in the war in China, walking play on Geumcheon bridge, the story about seungji exorcising evil spirit outside of Geunjeongmoon during Narye ceremony at dawn, the origin and first introduction of masks, the materials used in sandae play and donghwanhee and the legions where they were often played, the origin and rules of seungkwando and seonseondo from China, the inventor of seungkwando, the scores and meanings of ah, cheon, ji and lanhwa of seonhwapae, story of yubjahee and origin of jipae, the inventor,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ce can be used for reference or has an important value as historical data. Therefore, the seasonal customs and folk games observed in『Yimhapilgi』convey important meanings from folklore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