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미술과 수업비평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

        이은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3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class criticism of the elementary art class by analyzing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criticism of the elementary art class. To achieve this goal, art class criticism by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imarily formed of same grade teachers organized and operated autonomously in school was analyzed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Fo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three fourth grad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class criticism of elementary art classes among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 same grade at S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utobiographical statements through class criticism, transcribed interview data, class videos and other materials, and were categorized, classified, and analyzed for the cyclical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aning of class criticism of elementary art described by teachers is (1) expectations for improving class specialization throug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2) creating a collaborative classroom, (3) experience that changes the views of an art class, (4) delivering an art class related to the lives of the students and (5) process of overcoming the set standards of existing art classes, and (6) crossing the boundaries of learning and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class criticism of elementary art classes based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med of same grade teachers is closely linked to the context of group practice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continuously enhancing teacher specialization for the art class. As such, class criticism of the elementary art class based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med of same grade teachers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method for teaching more specialized art classes and changing the culture of the teaching community through group communication and sharing. 본 연구는 초등미술과 수업비평 활동 경험의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초등미술과 수업비평의 의미와 가치를 탐구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 내에서 자율적으로 조직·운영되고 있는 동학년 중심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과 수업비평의 이야기를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S초등학교 동학년 중심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초등미술과 수업비평 활동 참여 경험이 있는 4학년 교사 3명을 선정하였다. 수업비평을 통한 자서전적 진술문, 면담전사자료, 수업동영상, 기타 자료등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그 자료를 범주화, 분류, 분석하는 순환적 과정을 통해 자료 분석 작업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이 말하는 초등미술과 수업비평의 의미는 첫째,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수업 전문성 신장에 대한기대감이며 둘째, 협력적 수업 만들기이다. 셋째, 미술수업을 보는 안목이 변화하는경험이었고 넷째, 학생의 삶과 연관된 미술 수업하기였다. 다섯째, 기존의 나의 미술수업의 틀 넘어서기 과정, 여섯째, 배움과 실천의 경계 넘나들기로 볼 수 있었다. 이와같은 연구의 결과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기반에서 초등미술과 수업비평 경험은 교수․학습의 공동체적인 실천의 맥락과 연결되며 지속적인 미술 수업 전문성 신장의 기반이 된다. 이로써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초등미술과 수업비평은 미술교과 전문성 향상 및 교직사회의 문화를 공동체적인 소통과 나눔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초등교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내러티브 중심 수업 비평을 통한 미술 수업 장학 개선 방안

        이은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of the art class criticism based on narrative inquiry for art class instructional supervision. Instructional supervision is the core of supervision in education. The major goal of art class instructional supervision is to help teachers’ qualitative ontological improvement and leads to meaningful art education. This is very effective when it is based on teachers’ intrinsic spontaneity. It is also important that individual contextual approach than existing quantitative formal approach. Art class criticism based on narrative inquiry focus on the art class phenomenon itself and the practical Knowledge that works in teacher’s teaching. Teacher’s narrative is made of uncolored description about teacher and students’ experiences in teaching. That contains teachers’ works and life experiences, way of thinking, self-reflection, classroom contexts etc. Thu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educational experience in instruction sensitively and help teachers’ qualitative improvement. The process of the art class criticism based on narrative inquiry presents going into the classroom context, making context narratives, making main research narrative from various criticism. To this end, art class criticism based on narrative inquiry will be able to contribute 4 educational implications of instructional criticism for art class instructional supervision. The 4 implications are realization of artistic teaching, enlargement of educational connoisseurship, promotion of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community research culture growth. All of these things are essentials of teachers’ qualitative improvement which is main goal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본 연구는 미술과 수업 장학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한 미술 수업 비평 방안을 이론적으로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바람직한 미술과 수업 장학은‘미술 교사의 질적 교수 활동’을 조력하는 것이며 이는 ‘미술 교사의 내재적 자발성’을 기본으로할 때 효과적이다. 또한, 기존 미술 수업 장학이 치우쳐온 표준화된 도구의 평가적 접근이 아닌교사의 개별적, 실천적, 경험적 차원에 집중하여 반성과 해석의 기회를 제공하는 비평적 접근이어야 본질에 다가갈 수 있다. 내러티브 중심 수업 비평은 미술 수업에서 비롯된 경험 자체를예술의 창작 행위처럼 하나의 현상으로 파악하고 이를 드러낸 내러티브를 텍스트 삼아 자유롭게 비평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내러티브 중심 수업 비평을 통한 미술 수업 장학은 수업을‘평가’하는 관점이 아니라 예술 작품의 비평처럼 다양한 해석과 관점을 존중하는 ‘비평’의 관점으로 작용하기에 다양한 수업 담론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미술 수업 경험을 통해 교사가 생산한 내러티브 안에는 교사의 개인적 실천적 지식, 삶과 철학, 가치관, 성찰, 교실 맥락에서발생하는 다양한 변인들의 관계가 얽혀 있기에 이 과정을 통해 수업 장학 담당자와 미술 교사는 수업 경험의 질을 예민하게 파악하고 성찰할 수 있으며 교사 개인의 내적 성장과 미술 수업전문성 향상에 실질적으로 조력할 수 있다고 보았다. 수업 내러티브 중심 수업 비평을 통한 미술 수업 장학은 미술 수업 현장에 들어가기, 미술 수업 현장에 존재하며 현장 텍스트 만들기, 미술 수업에 관한 현장 텍스트에 기반해 비평하며 연구 텍스트를 구성한 후 의미 추출하기의 3 단계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중심의 수업 비평이 미술 수업 장학에 주는 함의를 미술 수업의 예술성 구현과 수업 담론의 다양화, 미술 교사의 교육적 감식안 확장, 반성적사고의 촉진과 존재론적 성장, 미술 수업 연구공동체 문화규범의 창조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내러티브 중심 수업 비평을 통한 미술 수업 장학의 방안과 함의를 이론적으로 모색한 것이며이를 적용한 사례 연구를 과제로 남겨둔다.

      • KCI등재

        미술과 수업 장학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미술과 지도 유형에 관한 연구

        안금희(Ahn Keumhee),손민호(Shon Minho),김현정(Kim Hyunjeo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수업 장학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업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장학에서 봐야 할 내용으로서 미술과 지도의 유형을 고찰하고, 관찰 방법으로 교육 비평의 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수업 개선을 위한 교과 장학이 의미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학의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장학 자체의 절차 보다는 수업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미술과 수업 장학의 요소로 ‘미술과 지도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에 대한 이론적 틀과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과 수업 장학에서 무엇을 봐야할 지에 대한 문제 즉 관찰 요소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미술과 수업 장학에서 활용될 수 있는 관찰 및 비평 기법을 개발하였다. 미술 수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술 수업 장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질적 관찰 및 비평 기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업 관찰 및 비평 기법을 개발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의미있는 수업 장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ypifications of art instructions which provide us with the resources for supervision of art classes. This study finds in the educational criticism which is initially termed by E. Eisner its way of analyzing and representing the fiel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provides the art instruction types which might be objects of instruction supervision. We discuss what the supervisor should take a look at, that is to say, the objects of instruction supervision based on the research on instruction and the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Second, this study provides the observation method and the educational criticism which are used for the purpose empowering art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e. For supervis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rt instruction, the qualitative observation and criticism methods are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foundation for the meaningful supervision developing the observation and criticism methods and utilizing them on art classrooms.

      • KCI등재

        초등교사의 미술 수업 전문성 제고를 위한 수업 비평

        박우정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criticism for enhancing their professionalism elementary art teachers. To achieve this aim, the meaning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s identified, as are the essential qualification and condition of this concept though literature reviews. Secon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lass critiques as a recipe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discussed. Third, a frame for class critiques, which was modified for overcoming weakness, is sugges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ssential qualifications for art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reflective thinking. The conditions for qualifications are authentic lesson situations, open instruction perspectives, active areas for inquiry, learning communities's collaboration for promoting critical inquiry. Class critiques seems to meet most of these requirements. However, they fail maintaining inquiry of instruction. A modified class critiques frame is suggested therefore. It covers steps such as comparing teaching ideas, lesson discussion. These activities give opportunities to the elementary art teachers with self-supervision and classes mentoring process. 본 연구는 최근 교사의 수업 전문성이 강조되었으나 실제 수업 현장에서 초등 교사의 미술 수업에 대한 전문성 향상 연구가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미술 수업 전문성을 제고를 위한 방법으로 수업 비평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문헌분석을 통해 초등 교사가 갖추어야 할 미술 수업 전문성의 의미와 자질을 도출하고 이를 신장시키기 위한 조건들을 찾았다. 이 조건들을 중심으로 수업전문성 제고방안으로서 수업 비평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불어 초등 교사가 자기 장학, 수업 멘토링 과정으로서 초등 미술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비평의 과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교사의 미술 수업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자질로 미술 교과내용지식(PCK)과 반성적 사고가 도출되었고, 이를 위해서 수업 상황의 제공, 개방적 관점 허용, 능동적인 탐구의 장 제공, 학습 공동체를 통한 상호 협력이 필요하다. 수업 비평은초등 미술 수업 문화를 개선하고 미술 수업 전문성 제고를 위해 갖추어야할 조건들을일정부분 충족하지만 미술 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가 어려운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업비평의 과정에서 ‘수업아이디어 비교하기’ ‘수업대화하기’ 활동을 포함한 틀을 제안하고 초등 미술 수업에서 학습 공동체를 통한 수업 비평 활용사례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수업 성찰을 통한 초등미술수업의 본질 탐구

        권혁미,김정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6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5 No.-

        The question of what do you teach, and how to teach in art education has been discussed by continuous. This is the basic proposition for dealing with the art in terms of education. It is worth to give support to the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 of art education in school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meaning of class criticism and class reflection to find out the essence of elementary school art class. And it proposed the essence of elementary school art class pay attention to the artistry of class and through an article the teachers class reflection. It was analyzed the common aspects of experienced teachers in art class phenomenon through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ticles of class reflection the inner practical experience in art class revealed and an in-depth interview about the art class. As a result, examined the essence of elementary Art class as follows: Various reactions of learners and the action of the teacher about it, proactive thinking and expression as the core contents in art class, execution process of the activities and results as art class, assessment and judgment of the work, and implementing of will to art education art teacher were analyzed. 미술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는가의 문제는 교육적 측면에서 미술을 다루기위한 기본 명제로서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이를 밝히는 것은 학교내 미술교육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뒷받침해 주는 것으로 가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미술수업이 갖고 있는 본질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업을 바라보는 방법으로서 수업비평과 수업성찰의 의미를 고찰해 보고, 수업이 갖는 예술성에 주목하며 교사의 수업성찰문을바탕으로 초등미술수업의 본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등교사 세 명의 미술수업에 대한 내면적 실천적 경험이 드러난 미술수업 성찰문과 미술수업에 대한 심층적인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미술 수업에서 경험한 현상들이 공통적으로 드러내는 양상을 학습자의다양한 반응과 그에 대한 교사의 작용, 미술수업 핵심 내용으로서의 능동적 구상과 표현, 활동의 수행과정과 결과로서의 미술수업, 작품에 대한 평가와 판단, 그리고 미술을 가르치는 교사의 미술수업 구현 의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 KCI등재

        미술관 체험 활동을 통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실행 연구

        안금희(Ahn Keum-Hee),라현숙(La Hyoun-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2

          본 연구는 미술관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개선을 목적으로 실행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로 구성된 미술관 관람 동호회를 대상으로 2005년 7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총 8회의 전시회를 관람하고 감상 수업을 진행하였다. 감상 수업의 형태는 미술관 관람 전과 미술관 관람 중, 미술관 관람 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각 수업의 진행시마다 필요한 감상 워크시트를 제작하여 함께 사용하였다. 미술관 감상 수업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학습지 위주의 감상과 느낌 위주의 감상 수업에서 벗어나 보다 체계적이며 통합적 감상 수업으로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조형원리의 이해와 다양한 감상 방법의 감상 수업을 진행하였다. 개선 사항에 따라 수정된 감상 수업은 다음 미술관에서의 감상 수업에 적용하였다. 계획, 실행, 반성 등의 반복적인 실행 연구 과정을 통해 감상 수업의 실질적 개선을 도모하였으며, 수업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offered students many chances to enjoy art works in museums and make them research, present, and discuss during the process of appreciation to encourage them to think, feel, and understand the artwork. The teacher, a co-researcher, has conducted this study as a host of appreciation class and reflected the classes. As a co-researcher, the teacher examined student"s appreciation activity.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s description and comments in relation to student"s appreciation activity have been re-applied to the next classes. The other co-researcher, the art educator, help the teacher analyze and relfect the art classes during the whole research process.<BR>  This study organized a community to visit art gallery targeting 5th graders, and investigated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eacher"s questions and interview. There were 8 sessions of appreciation class conducted from 2005, Jul to 2006, Mar. The program divided into three steps, such as pre-visit program, during visit program, and after visit program. It utilized some worksheet of appreciation as needed. Before the gallery experience, it focused on student"s presentation, including students assignment regarding the purpose of performance, artists, and its characteristics. During the experience, it allowed students to appreciate the works using worksheet presented earlier. Then, students began to deliver their opinions toward the artworks looking at the worksheets, and present their feelings or contents in other way when they finish the gallery experience.<BR>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BR>  First, the appreciation activity in an art gallery was effective to foster student"s appreciation competence.<BR>  Second, students became to understand artist"s purpose, its periodicㆍcultural backgrounds, as well as a formative feature of artwork.<BR>  Third, it was useful for students to have a standard to appreciate the values of artwork by learning and experiencing many ways of art appreciation.<BR>  Fourth, for the better less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teacher"s enthusiastic efforts in planning, practicing, and reflecting of art class were essential.

      • KCI등재후보

        두 초등 신규교사의 미술 수업에서 이상과 실재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공완욱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4

        초등교사가 되기까지 과정에서 미술교육은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고, 입시 등의 경쟁에서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자에게 관심 밖에 있다. 그러나 초등교사는 미술교과를 지도해야한다.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두 신규교사의 교사가 되기까지 미술과 미술 수업 경험, 그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미술 수업과 실재 미술 수업 경험, 미술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경험에 대한 차원에서 분석하고 재구성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신규교사가 갖는 미술 수업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것이다. 미술 수업을 학생의 흥미를 끌게 하는 창조적인 표현활동으로 생각하며 체험, 감상 보다 표현 중심의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으로 미술 수업은 휴식시간이나 업무시간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둘째, 두 신규교사가 갖는 미술 수업에 대한 어려움이다. 미술활동을 위한 수업준비물, 관리자나 동료교사의 미술 수업에 대한 인식, 교실의 구성원은 미술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제공하는 요인들이다. 그러나 두 신규교사는 미술 수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오개념과 환경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각자 이상적인 미술 수업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에 기반을 둔 현실적인 미술 수업을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를 갖고 초등 미술 수업이 궁극적으로 의미 있는 수업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elementary school teacher, art education plays a minor role and is paid little attention to by those who compete in entrance examinations to become teachers. Howe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teach art classes. A narrative inquiry of two new teachers analyzed and reconstructed the variables in art education, the ideal art class, and real art class experience. First, when it comes to their recognition of art classes,art classes were regarded as creative expression activityies that attracted student's interest and focus on expression rather than experience and appreciation. On the other hand, art classes were recognized as breaks or business hours. Second, when it comes to the difficulty of the teachers in art classes, classroom preparation for art activities, perception of art class by manager or fellow teacher, and the members of classroom are factors that provide many difficulties in art class. However, despite the misconceptions and environmental difficulties of art classes, the two new teachers were doing their best for each of the ideal art classes.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reconsider our point of view of realistic art class based on the school scene and to help provide meaningful elementary art classes.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좋은 수업 탐구대회’ 참가 수업 분석을 통한‘좋은 미술수업’에 대한 인식 탐구

        김상준,김미남 한국조형교육학회 2015 造形敎育 Vol.0 No.54

        Expectations on development of quality of education has been more and more increas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t has been also discussed way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rt lessons for many years as a big issue. Many scholars claim that it is very significant to improve art teachers’ professionalism in order to have our children get better art lessons. Then, how can art teachers’ professionalism be formed? Answer to this question could be found from what value art teachers have about ‘a good art lesson.’ Based on art teachers belief in and value on good art lessons, ways of preparing and performing art lesson by art teachers would be diverse. Therefore, for better art educati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how preservice art teachers think about the image of good art les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ttempted to explore preservice elementary art teachers’ value on ‘a good art lesson’ internalized in their art lessons which were conducted in the National Contest of Good Teaching. In order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four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on art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Their art lessons were observed intensively and documented by researchers and also video-recorded. Video-recorded lessons were subscribed and analyzed in a qualitative way and five big themes were found: (1) interest in using various teaching materials; (2) strategies of Q/A, simple questions & many students’ participation; (3) images of very kind art teachers; (4) expectation on good quality of final art produce; (5) mandatory stage of art appreciation, and (6) emphasis on the purpose of lesson in beginning. 미술교육의 질적 성장에 대한 기대가 한층 높아진 요즘이다. 미술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미술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이 중요하며, 이에 선행하는 것이 바로 미술교사가 ‘좋은 미술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자신이 정의하고 있는 ‘좋은 수업’을 실행하기 위해 무엇을 준비하는 지 파악하는 일일 것이다. 왜냐하면 미술교사의 ‘좋은 미술수업’에대한 가치관은 미술을 교육하는 교사로서 어떤 전문성을 발휘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게 만들고, 그에 따라 전문성 개발의 방향성을 크게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초등교육의 경우 대부분의 미술교과 지도는 미술교과전담교사가 아닌 학급담임인 초등학교교사에 의해 이루어지고있다. 따라서 예비 초등교사가 ‘좋은 미술수업’에 대해 어떤 생각들을 가지고 있는 지 확인하는 것은 미래의 미술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작업일 것이다. 이를 위해 제4회 ‘좋은수업 탐구대회’에 참가한 4개 교육대학교 대표 학생들이 실연한 4개의 수업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수업을 통해 표현되고 있는 예비교사들의 수업, 좋은 수업, 좋은 미술수업에 대한 가치관의 이해를 시도하였다. 수업분석 결과는 아직 예비 초등 교사들이 수업을 위한 새로운 표현활동을 계획하는 것 외에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이나 목표를 재구성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지 않아 교사도 학생도 확신 없이 미술활동을 진행한다는 점, 학생들의 기존 지식과 경험을심화시켜 의미 있는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이 적극적으로 시도되지 않는다는 점, 학생들이 표현활동 주제를 고민할 시간을 충분히 갖고 표현활동을 시작하기보다 교사가 안내하는 순서대로 표현활동을 하다 보니 학생이 만들었지만 결국 교사의 작품이 되어버리는 등의 아직은 ‘좋은 미술수업’에 대한 다면적 고민이 심화되지 못한 단계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수업 사례로 본 공공미술교육의 방법과 가치 탐색: 뉴장르 공공미술 프로젝트 수업을 중심으로

        장현주(Hyonjoo J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3 造形敎育 Vol.- No.85

        뉴장르 공공미술이 국내외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학교에서의 공공미술교육은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다. 학교공공미술교육이 부진한 원인으로 교사의 전문성 부족과 적절한 공공미술 교수·학습 방법의 부재를 꼽을 수 있는데,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를 위한 공공미술 재교육이 시행되어야 하고 공공미술 교수·학습 방법 마련을 위해서는 학교에서 공공미술 수업 실행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배경과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공미술교육의 중점 요소를 제시하고 공공미술교육의 방법과 가치를 탐색하고자 한다. 문헌 연구와 공공미술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해 학교공공미술교육의 중점 요소로 토의, 협업, 공동체, 주제, 프로젝트 학습을 추출하였고 학생 참여 중심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수업모형을 고안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이 작성한 수업 일지와 교사 면담으로 공공미술 프로젝트 수업이 미술 교과에 대한 흥미와 참여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사고력과 공동체 의식 함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미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가 재조명되고 학교 현장에서 공공미술 수업이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New genre public art is actively developed, but public art education in schools is not active. The reason for the sluggishness of public art education in schools is the lack of expertise in public art education by teachers and the lack of public ar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order to prepare public ar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search on public art classes must be continuously conducted in school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key elements of public art education and explore the methods and values of public art education through examples of public art classes. By analyzing the cases of public art project classes, discussion, collaboration, community, subject, and PBL were extracted as the key elements of school public art education, and a public art project teaching model centered on student participation was devised. Through class diaries written by students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it was found that public art project classes not only increase interest in art, but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inking ability and relationship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value of public art education will be re-illuminated and public art education will be revitalized.

      • KCI등재

        미술 비평을 통한 수업 비평 성찰

        이은적(Lee Eunj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비평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여 이를 통해 수업 비평의 이해를 높이며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미술 비평에서의 해석과 평가의 기능, 미술 작품의 형식과 내용에 따른 비평 관점, 미술 비평의 여러 유형, 미술의 감상 및 비평 방법, 일정한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미술 비평 과정에 대한 이론들을 차례대로 검토하고, 수업 비평에 대한 이해 및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 정리해보았다. 특히 연구에서 주목한 점은 미술 비평의 변화된 개념을 통해 수업 비평은 복잡한 수업의 현상에서 이 복잡함을 찾아내어 수업의 의미를 찾는 해석적 관점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 과정에서 가치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미술 비평 단계에서처럼 수업 비평 단계 또한 ‘기술, 분석, 해석, 평가’의 4단계의 융통성 있는 적용이 필요하며 그 외의 다양한 양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 등 수업 비평을 이해하고 실행하는데 다양한 개념과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의 수업 비평 수업은 미술 비평 수업과 연계함으로써 상호작용적으로 이해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eories of class criticism through the theories of art criticism.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function of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in art criticism, the perspectives of criticism based on the form and contents of artwork, various types and processes of art criticism. In particular, the focus of the research was that through the changed concept of art criticism, class criticism must be made from an interpretative point of view that finds the complexity in the phenomena of class, and value judgment should be done in this process. Also, as in the step of art criticism, the step of class criticism also needs to be applied flexibly in four steps of description, analysis,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and it can be done in various other forms. As the theories of the class criticism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artistic connoisseurship, understanding class criticism can be enhanced by linking it with art criticism. This study suggested for constructing a module of class criticism for preliminary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