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시기획 활동 수업이 학습자의 미술비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2학년 미술동아리를 중심으로

        김수현,김효정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class on learners' art-criticism abilities. Consequently,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and art-criticism ability were reviewed theoretically to design art-criticism programs through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and the integrated activities of exhibition planning and art-criticism were conduct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by the club.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 sophomores at D High School in Seocho-gu, Seoul, who were composed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of 14 people, respectively.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total of 6 classes, the topic of which was ‘Expanding Criticism of Artwork through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First, through the class of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I examined the change i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secondarily, through the art-criticism class based on the exhibition, I saw how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class brings about changes in the art-criticism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which take the general art-criticism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the SPSS/WIN Ver 22.0 Statistical Program using the evaluation method of appreciation area of high school art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and the art-criticism ability assessment tool of ‘Research on Teaching Modern Art Appreciation for Improved Art Critique Ability for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presented by Chung Hae-soo (2015). In addition, a comprehensive change in learners' art-criticism abilities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learner's art reviews, practical results, and self-evaluation papers. In conclusion,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class of this study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art-criticism abilities overall, but I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in preparing and organizing the classes and that the students' self-evaluation of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was very high. 본 연구는 전시기획 활동 수업이 학습자의 미술비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시기획 활동과 미술비평능력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전시기획 활동을 통한 미술비평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전시기획과 미술비평의 통합적인 활동을 동아리를 중심으로 양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소재 D고등학교의 2학년 미술동아리 28명으로, 실험집단 14명과 통제집단 14명을 선정하였다. 학습주제는 ‘전시기획 활동을 통하여 미술작품 비평 확장하기’로 총 6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1차적으로 전시기획 활동 수업을 통해서 실험집단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2차적으로 전시를 토대로 한 미술비평 수업을 통해 전시기획 활동 수업이 일반적인 미술비평 수업을 한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 실험집단의 미술비평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교육부(2015)에서 제공하는 고등학교 미술과 감상영역의 평가방법과 정혜수(2015)가 제시한 ‘미술비평능력 향상을 위한 고등학교 2학년 현대 미술 감상지도 연구’의 미술비평능력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SPSS/WIN Ver 22.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검사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비평문과 실기 결과물, 자기 평가지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미술비평능력 변화를 종합적으로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전시기획 활동 수업은 학습자의 미술비평능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학생들이 수업을 준비하고 정리하는 데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과 전시기획 활동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자기평가가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미술비평에서의 팩션(faction)의 매개적 효용성 연구

        김성호 ( Sung Ho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2 No.-

        본 연구는 연구자의 기발표 논문인 「새로운 온라인 공론장에서의 비전문가의 미술비평-자발적 비평과 말하기로서의 글쓰기」를 잇는 후속편이다. 위의 연구에서 전문비평가들의 권위적 비평적 글쓰기 방법론을 개선하기 위해 비전문가의 미술비평의 글쓰기 방법론으로 제시되었던 ‘자발적 비평(spontaneous criticism)’과 ‘말하기로서의 글쓰기(writing as speaking)’로부터, 이 논문은 팩션(‘faction)’의 글쓰기 방법론을 추출하고 연구한다. ‘말하기로서의 글쓰기’의 개념이 구체화된 ‘팩션’은 팩트 (fact)와 픽션(fiction)이 모호하게 얽혀있어, 실증적 사실에 기초해서 검증적 가치 평가를 주도하는 전통적 비평의 입장에서는 ‘금기의 글쓰기 방법론’으로 간주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연구자는 1960년대 뉴저널리즘을 탐구하는 문학으로부터 출발한 팩션의 역사를 검토하고, 미술비평에서 이러한 팩션이 오히려 긍정적이고 역동적인 특성을 지닌 글쓰기로 작동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즉 팩션이 오늘날 비평의 장에서 효용성을 지닌 수사가 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연구자는 역사와 비평이 그동안 ‘사실 vs 허구’, ‘참 vs 거짓’이라는 이원적 판별을 전제로 하는 구조주의적 사유에 오랫동안 거하고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팩션의 정체성을 그레마스(Greimas)의 구조주의 의미론 모델로부터 탈주하는 최근의 ‘텍스트론’으로 바라볼 것을 요청한다. 데리다(Derrida)나 바르트(Barthes)의 관점에서 ‘기표들의 무한한 유희’의 세계로 확장하는 텍스트론은, 우리의 논의에서 팩션을 규정하기 적합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역사란 ‘언제나 승자들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사실은 저자의 언어의 해석에서 비롯된 ‘가능성의 세계’라는 최근 역사학자들의 연구는 역사와 팩션을 거리낌 없이 만나게 하는데 일조한다. 비평 역시 오늘날 상대주의적 해석이나 주관적 해석이 야기한 탈구조적 사유를 통해서 팩션과 만나게 한다. 비평과 팩션의 동일한 ‘팩트/픽션’적 위상은 커뮤니케이션 주체들의 만남을 대립적 구조( vs )로부터 상호작용적 개방형 구조( / )로 전환시켜 이해할 것을 요구한다. 연구자는 미술비평과 팩션의 만남과 상호작용 자체를 ‘미술비평/팩션’으로 지칭하면서 이것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상상의 오목거울 모델’을 만들고, 구체적 논의를 위한 메타포로 삼았다. 집광(集光) 효과를 발현하는 오목거울은 ‘미술비평/팩션’이 커뮤니케이션 행위에서 담당하는 매개적 역할을 닮아있다. 우리는 이 모델에서 독자(RE)-비평(AC)-팩션(FA)의 관계 작용을 베르그송(Bergson)과 들뢰즈(Deleuze)의 논의인 ‘잠세태(Virtualite)’의 ‘현실화(Actualisation)’ 과정으로 바라보고자 했다. 그것은 팩션(FA)이 미술비평(AC, 오목거울)에 투사되면서 만남을 이루는 동시에 현실화(A: Actualisation)의 과정을 거쳐 비평이라는 현실((R: Realite)이 되는 것으로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팩션을 그 자체 내에 질료적 차원으로 비평적 속성을 지니고 있는 잠세태(V: Virtualite)’의 존재로 보는 것이자, 비평으로서의 매개적 역할을 효율적으로 담당할 무한한 가능체로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자는 팩션이 비평과 결합하는 ‘미술비평/팩션’의 한 사례를 통해서, 그것의 형식과 내용을 검토하면서 ‘미술비평/팩션’이 야기하는 매개적 효용성을 다음처럼 몇 가지 범주로 정리했다: ‘다시 써지는 텍스트’로서 독자에게 글 읽은 즐거움을 선물하는 ‘미술비평/팩션’, 사실에 대한 증거로서 작동함으로써 ‘가능성의 세계’를 드러내는 ‘미술비평/팩션’, 창의적 글쓰기와 흥미로운 내러티브를 통해서 비평적 메시지를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미술비평/팩션’, 온라인 공간을 통해 독자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대화형 글쓰기로서의 ‘미술비평/팩션’, 우화, 냉소, 풍자, 패러디의 방식으로 전문가들의 글쓰기에 시비를 거는 유쾌한 메타비평으로서의 ‘미술비평/팩션’, 지식인을 시험하고 동요시키는 사회적 효용성의 글쓰기로서의 ‘미술비평/팩션’. 이 논문은, 팩션을 미술비평의 외부로부터 도입할만한 새로운 글쓰기의 방식이기보다는 미술비평의 심층에 오래 전부터 잠세태로 살아 숨 쉬고 있는 존재라는 연구를 통해서 미술비평/팩션에 대한 새로운 하나의 관점을 제시했다. 이 논문은 문법적 질서에 매어 독자들에게 계도적인 메시지를 전하는데 집중하거나 미적 판별에 대해 중립성을 고수하고 있는 오늘날, 개선의 여지가 다분한, 전문 미술비평가들의 글쓰기 태도를 수정하려는 연구 목적을 분명히 한다. 이 논문은 팩션적 글쓰기를 시도하는 미술비평이 그간 전문가들의 건조한 미술비평 읽기를 거부해 온 독자들에게 보다 더 친근하게 다가설 수 있는 비평임을 피력한다. 팩션이 지닌 구조적 모순, 아이러니, 상상력 등이 오히려 전문적 미술비평의 다하지 못한 매개자적 역할의 건강성을 회복하고 그것의 사회적, 매개적 효용성을 성취해나가는 데 있어 일정부분 기여할 것으로 진단한다. 이런 차원에서 본 연구는 전문미술비평이 마땅히 지향할 과제, 즉 독자를 향한 효율적인 매개작용의 실천에 있어, 하나의 의미 있는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비평적 이론의 다양성’을 확보하는데 있어 일정부분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follow-up to my thesis Art criticism by laymen in the “new online public sphere”: spontaneous criticism and writing as speaking which I have already made public. This thesis elicits and is research into the methodology of writing based on “faction” in an extension of “spontaneous criticism” and “writing as speaking” presented as methodologies of writing by non-experts so as to improve the methodology of authoritative critical writing by critics. The “faction,” a concretization of “writing as speaking” has been considered the “taboo methodology of 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ntional criticism`s view, evaluating value based on positive facts, as fact and fiction are ambiguously entangled. However, I assert that “faction” in art history may actually operate as writing with positive, dynamic features, reviewing the history of faction initiated from literature exploring new journalism in the 1960s. That is, I propose that faction can be rhetoric with utility in the venue of criticism today. I call for viewing faction`s identity from the viewpoint of text theory escaping from Greimas`s model of structuralist semantics, pointing out that history and criticism has resided in structuralist thinking, premising a dualistic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fiction” and “truth and false”. This is why the text theory, extending to the world of “an infinite play of signifiers”, defined by Jacques Derrida and Roland Barthes is a suitable concept for defining faction in my discussion. Recent assertions by historians ―that a historical fact is the “world of possibility” deriving from an author`s interpretation of language (in that history has always been the “record of winners”)― helps history and faction meet together without hesitation. Criticism also enables us to meet faction through post-structuralist thinking aroused by relativist or subjective interpretation. The status of “fact/fiction” identical with that of “criticism/faction” calls for us to understand an encounter of subjects in communication through a conversion from confrontational structure to interactive open structure. I refer to an encounter of art criticism with faction as “art criticism/faction” and make “an imaginary concave mirror” taking it as a metaphor for concrete discussion. The concave mirror used for concentrating light resembles an intermediary role “art criticism/faction” assumes in communication. I try to see the relational operation of reader(RE)-art criticism(AC)-faction(FA) as the process of “virtuality”(virtualite) and “realization,” concepts Henri Bergson and Gilles Deleuze argued. It is to consider that an encounter is realized when faction(FA) is projected onto art criticism(AC, concave mirror) and faction(FA) turns to reality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realization(A). It is to see faction as being with a critical attribute within it, and as an infinitely possible body effectively playing an intermediary role as criticism. I have largely divided the intermediary utility deriving from “art criticism/faction” into several categories as follows, looking through the form and content of a case of “art criticism/faction”: “art criticism/faction” offering the reader the joy of reading writing as “re-written text”; “art criticism/faction” conveying critical messages to be understood with ease through creative writing and intriguing narrative; “art criticism/faction” as a conversational type of writing constantly interacting with readers in online space; “art criticism/faction” as pleasant meta-criticism criticizing expert writing in a way of allegory, sarcasm, satire, and parody; and “art criticism/faction” as writing with social utility testing and agitating intellectuals. This paper presents a perspective into “art criticism/faction” that faction has long been in the depth of art criticism rather than a new way of writing imported from the outside of art criticism. This study clarifies its goal to rectify professional art critics` attitude toward writing: concentration on conveying guidance messages and adherence to neutrality in aesthetic judgment capable of improvement. This thesis denotes that art criticism attempting faction-like writing can be criticism more familiar to readers who have refused to read the usual, arid art criticism by professional art critics. I judge faction`s structural contradiction, irony, and imagination could contribute to recovering the health of professional art criticism failing in its intermediary role and attaining its social, intermediary utility. In this respect, this study will dedicate to secure the “diversity of critical theories,” suggesting a meaningful objective in practicing an effective intermediary role for readers professional art criticism has to seek.

      • KCI등재

        미술비평 위기론의 위기

        김백균 한국미술이론학회 2014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18

        본 논문은 미술비평계가 2000년대 이후 끊임없이 반성과 성찰을 요구하는 ‘미술비평의 위기’의 실상을 알아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우리 사회 일각에서도 미술비평 무용론이 60년대 이후 간간히 있어왔지만, 미술비평의 위기가 문제의식으로 전면적으로 부각된 것은 2005년 한국미술평론가협회가 『미술평단』에서 비평의 위기를 그 해의 특집으로 다루면서 부터이다. 『미술평단』의 많은 논문들은 미술비평 위기의 원인을 큐레이터의 영역확장에서 찾았다. 본 논문은 『미술평단』의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미술비평이 무엇이며, 미술비평의 위기가 무엇인지 과연 그러한 현상이란 있는 것인지 되물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기실 미술비평 위기에 관한 이러한 논의의 대부분은 미술비평 자체의 위기에 관한 것이라기보다는 ‘미술비평가’의 위기에 관한 것들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리사회가 비평의 위기를 이해하는 방식을 비평해 봄으로써 비평의 영역과 역할 그리고 비평 본연의 가치를 재고해 보고자 한다. The crisis in art criticism surfaced in the early 21st Century. Athough we have heard occasionally of the obsolescence of art criticism since the 60’s it is not until 2005 in Korean Art Criticism Association’s journal “Mi-sul-pyong-dan” that the crisis of art criticism has been the main topic of discussion. Most writers of “Mi-sul-pyong-dan” found expansion of curator’s role as the core of problem of the crisis in art criticism. This paper attempts to re-direct the questions of art criticism and crisis in art criticism from the viewpoint of “Mi-sul-pyong-dan”; to ask if such crisis actually exists? I want to illuminate on the fact that the crisis talked about in most cases is the crisis of art critics, rather that art criticism itself. I want to ask the fundamental question of method and role of art criticism.

      • KCI등재

        근대 유럽의 공공전시와 미술비평의 등장

        전동호(Chun, Dongho)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5 美術史學 Vol.- No.30

        미술비평이란 무엇일까? 미술사가들과 비평가들은 미술비평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나름의 정의를 제시하려고 오랫동안 꾸준히 노력해왔지만, 만인이 합의하는 정의는 아직까지도 없는 실정이다. 물론 미술비평을 단순하게 건축이나 조각, 회화 등 시각매체에 대한 글쓰기나 말하기로 간단히 정의한다면 미술비평은 고대로부터 있어왔다. 그러나 서양 고대에서 보이는 단편적인 감상을 넘어서 르네상스기에 들어오면 미술가 및 미술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담론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따라서 근대적 미술비평의 기원을 15세기 이탈리아에 있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이 시기가 되면 고대에 뿌리를 둔 오랜 문학비평의 전통, 철학적 미학, 인문주의 수사학 등 미술비평이 등장할 수 있는 지적토대가 갖추어졌고, 또한 미술품 수요가 급증하면서 작품에 대한 평가가 절실해졌기 때문이다. 르네상스 시기 적지 않은 주문자가 미술가나 자신이 주문한 작품에 대한 논평을 남겼고, 알베르티는 심지어 『회화론』이라는 저서를 저술하기까지 했지만, 이들의 언술을 진정한 미술비평으로 간주하기에는 한 가지 결정적인 문제가 있다. 그것은 바로 이들의 진술은 극소수 사람들만이 접할 수 있는 편지나 필사본의 형태로 남겨졌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대다수의 사람들이 상식적으로 이해하는 미술비평이란 우선 과거의 작가나 작품이 아닌 동시대 작가와 작품을 대상으로 하고, 또한 이에 대한 논쟁이나 평가가 몇몇 소수가 아닌 다수의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인쇄물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근대적 의미의 진정한 미술비평은 수많은 대중이 쉽게 동시대 미술작품을 접할 수 있는 공공전시회가 활성화되고, 이러한 공공전시에 대한 평가가 역시 다수의 대중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인쇄물의 형태로 처음 등장한 18세기 유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본고는 18세기 유럽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한 미술비평을 당시 급성장한 공공전시와의 연관속에서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18세기 유럽의 미술비평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연구는 아직 서양의 미술사학계에서도 걸음마 단계이고, 국내에서는 18세기 유럽 신문과 팜플렛 등 방대한 1차 사료에 대한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므로, 본고에서는 서양학자들의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18세기 유럽, 그 중에서도 프랑스와 영국에서 공공전시와 미술비평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이들의 성격을 정리하고 소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What do we mean by the term ‘art criticism’? Art historians and critics have long been trying to suggest tentative definitions of it, but no definition seems to have been proposed so far that is satisfactory enough to encompass all the activities falling under the umbrella notion of art criticism. If art criticism is taken to connote any kind of discourses, either written or verbal, on visual media, it has been around ever since ancient Greece and Rome. Renaissance Italy, nonetheless, witnessed a series of sustained commentaries on visual arts beyond fragmentary observations, making it feasible to claim that art criticism proper developed in 15th-century Italy. The combination of literary criticism rooted in classical authors, philosophical aesthetics, and humanistic rhetoric all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serious discourses on visual arts, in addition to the rapid growth of demand for artworks for private and public consumption. A number of Renaissance patrons and agents left in written form their impressions and thoughts on what they had seen or commissioned. Although a humanist scholar named Leon Alberti even drafted in 1435 a book called On Painting in Latin, it stops short of being regarded as a piece of art criticism per se since it was not printed until nearly 100 years later, during which it had been circulated in manuscript form among a limited circle of learned scholars and artists. Most people of common sense nowadays would take art criticism to be some literary exercises on contemporary artists and their works, not so much on past art. Moreover, Such exercises are expected to be published in print form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share them openly and easily. In this sense, the modern form of art criticism first appeared in the eighteenth century when public art exhibitions to which ordinary people had easy access were regularly mounted and remarks on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s were easily available so that anybody who wished or bothered to know about them could be readily informed.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some critical moments in the emergence of modern art criticism in eighteenth-century Europe in relation to vibrant public exhibition culture. Given the near inaccessibility from South Korea to primary sources in the form of numerous newspapers and pamphlets housed in European archives, this paper cannot be argued to contain substantial amount of original scholarship, but purports to present a summary account of the historical advent of art criticism in France and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 KCI등재

        비평적 탐구: 비교문화적 맥락에서 미술비평과 감상교육

        김형숙(Kim Hyung sook)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008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2 No.1

        다문화 시대에 비교문화적 맥락에서 비평적 탐구 방법은 서양 중심의 미술비평과 감상교육의 이론과 교수학습 방법의 틀을 넘어서 동양 문화에서 학습자가 타 문화를 통해서 자신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미술비평 및 감상교육 방법이다. 이 연구는 첫째, 미술교육에서 미술비평 및 감상교육의 현황을 검토한다. 둘째, 미술비평 방법론이 다양하게 연구된 서양에서 타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비평 방법론을 논의한다. 셋째, 한국에서 비교문화 관점에서 미술비평 교수 학습에 관해 논의한다. ‘지금,’ ‘여기’에서 서양과 한국의 미술을 이해할 수 있는 미술비평 및 감상교육의 교수 학습 방법에 따라 학생들의 비평적 사고력 향상에 관해 실제 미술교육 현장에서 측정한다. 비교문화적 미술 비평의 탐구는 서양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다문화(multicultural) 사회 속에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서양미술과 문화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가능하게 해 준다. Research on art criticism and appreciation has been conducted and applied in the filed of art education in Western countries, has been applied to the field of art education. However, in Korea, studies on art criticism and appreciation have been discussed as a separate research area, not within the practical field of art education. In the process of reforming Korea’s national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includes a focus on art criticism and appreciation with the recognition of appropriate means searching visual language and expressive capacity. Educational art criticism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cern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n its reconsideration of the limitation of studio-based art education and enlargement of the field of art education to include content-based approaches to art education such as art history, art criticism, and aesthetics. This study examines the models and methodologies of art criticism and appreciation in the non-Western culture. Critical inquiry is emphasized as the significant process of art criticism and appreciation in art educ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l of cross-cultural art criticism practiced in the art classes of middle school, since cross-cultural understanding of artworks provide students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both their own and others’ cultures.

      • KCI등재

        내러티브 중심 수업 비평을 통한 미술 수업 장학 개선 방안

        이은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of the art class criticism based on narrative inquiry for art class instructional supervision. Instructional supervision is the core of supervision in education. The major goal of art class instructional supervision is to help teachers’ qualitative ontological improvement and leads to meaningful art education. This is very effective when it is based on teachers’ intrinsic spontaneity. It is also important that individual contextual approach than existing quantitative formal approach. Art class criticism based on narrative inquiry focus on the art class phenomenon itself and the practical Knowledge that works in teacher’s teaching. Teacher’s narrative is made of uncolored description about teacher and students’ experiences in teaching. That contains teachers’ works and life experiences, way of thinking, self-reflection, classroom contexts etc. Thu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educational experience in instruction sensitively and help teachers’ qualitative improvement. The process of the art class criticism based on narrative inquiry presents going into the classroom context, making context narratives, making main research narrative from various criticism. To this end, art class criticism based on narrative inquiry will be able to contribute 4 educational implications of instructional criticism for art class instructional supervision. The 4 implications are realization of artistic teaching, enlargement of educational connoisseurship, promotion of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community research culture growth. All of these things are essentials of teachers’ qualitative improvement which is main goal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본 연구는 미술과 수업 장학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한 미술 수업 비평 방안을 이론적으로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바람직한 미술과 수업 장학은‘미술 교사의 질적 교수 활동’을 조력하는 것이며 이는 ‘미술 교사의 내재적 자발성’을 기본으로할 때 효과적이다. 또한, 기존 미술 수업 장학이 치우쳐온 표준화된 도구의 평가적 접근이 아닌교사의 개별적, 실천적, 경험적 차원에 집중하여 반성과 해석의 기회를 제공하는 비평적 접근이어야 본질에 다가갈 수 있다. 내러티브 중심 수업 비평은 미술 수업에서 비롯된 경험 자체를예술의 창작 행위처럼 하나의 현상으로 파악하고 이를 드러낸 내러티브를 텍스트 삼아 자유롭게 비평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내러티브 중심 수업 비평을 통한 미술 수업 장학은 수업을‘평가’하는 관점이 아니라 예술 작품의 비평처럼 다양한 해석과 관점을 존중하는 ‘비평’의 관점으로 작용하기에 다양한 수업 담론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미술 수업 경험을 통해 교사가 생산한 내러티브 안에는 교사의 개인적 실천적 지식, 삶과 철학, 가치관, 성찰, 교실 맥락에서발생하는 다양한 변인들의 관계가 얽혀 있기에 이 과정을 통해 수업 장학 담당자와 미술 교사는 수업 경험의 질을 예민하게 파악하고 성찰할 수 있으며 교사 개인의 내적 성장과 미술 수업전문성 향상에 실질적으로 조력할 수 있다고 보았다. 수업 내러티브 중심 수업 비평을 통한 미술 수업 장학은 미술 수업 현장에 들어가기, 미술 수업 현장에 존재하며 현장 텍스트 만들기, 미술 수업에 관한 현장 텍스트에 기반해 비평하며 연구 텍스트를 구성한 후 의미 추출하기의 3 단계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중심의 수업 비평이 미술 수업 장학에 주는 함의를 미술 수업의 예술성 구현과 수업 담론의 다양화, 미술 교사의 교육적 감식안 확장, 반성적사고의 촉진과 존재론적 성장, 미술 수업 연구공동체 문화규범의 창조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내러티브 중심 수업 비평을 통한 미술 수업 장학의 방안과 함의를 이론적으로 모색한 것이며이를 적용한 사례 연구를 과제로 남겨둔다.

      • KCI등재

        미술 비평을 통한 수업 비평 성찰

        이은적(Lee Eunj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비평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여 이를 통해 수업 비평의 이해를 높이며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미술 비평에서의 해석과 평가의 기능, 미술 작품의 형식과 내용에 따른 비평 관점, 미술 비평의 여러 유형, 미술의 감상 및 비평 방법, 일정한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미술 비평 과정에 대한 이론들을 차례대로 검토하고, 수업 비평에 대한 이해 및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 정리해보았다. 특히 연구에서 주목한 점은 미술 비평의 변화된 개념을 통해 수업 비평은 복잡한 수업의 현상에서 이 복잡함을 찾아내어 수업의 의미를 찾는 해석적 관점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 과정에서 가치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미술 비평 단계에서처럼 수업 비평 단계 또한 ‘기술, 분석, 해석, 평가’의 4단계의 융통성 있는 적용이 필요하며 그 외의 다양한 양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 등 수업 비평을 이해하고 실행하는데 다양한 개념과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의 수업 비평 수업은 미술 비평 수업과 연계함으로써 상호작용적으로 이해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eories of class criticism through the theories of art criticism.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function of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in art criticism, the perspectives of criticism based on the form and contents of artwork, various types and processes of art criticism. In particular, the focus of the research was that through the changed concept of art criticism, class criticism must be made from an interpretative point of view that finds the complexity in the phenomena of class, and value judgment should be done in this process. Also, as in the step of art criticism, the step of class criticism also needs to be applied flexibly in four steps of description, analysis,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and it can be done in various other forms. As the theories of the class criticism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artistic connoisseurship, understanding class criticism can be enhanced by linking it with art criticism. This study suggested for constructing a module of class criticism for preliminary teachers.

      • KCI등재

        미술비평의 해석학적 본질

        이윤아(Lee Yun-Ah)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7 No.-

        이 논문은 ‘미술비평은 본질적으로 해석학’이라는 것을 구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의 해석학은 도상해석학이 아니다. 오히려 도상해석학의 해석학이라고 할 수 있다. 비평가들은 언제나 자기만의 일정한 입장을 가지고 들어가서 미술작품을 평가하고 재단한다. 이러한 입장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사람들은 그것을 작품해석을 위한 비평의 여러 가지 방법이라고 한다. 혹은 미술비평은 ‘창조적 방향 제시’를 해야 한다거나 ‘예술교육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거나 ‘문명진단’의 기능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전자는 미술 비평의 방법에 해당하고 후자는 미술비평의 당위 또는 방향에 해당한다. 전자이든 후자이든 미술작품을 떠나서 비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미술작품은 그 자체만으로 보았을 때 화가의 창작정신이 통째로 녹아든 비정신적 대상, 즉 사물에 불과하다. 그러나 그것은 보통의 사물이 아니라 화가가 미적으로 형성한 작품으로서의 사물이다. 비평가는 사물로서의 작품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작품으로서의 사물을 본다. 화가의 창작정신과 비평가의 평가적 시각이 서로 접근하여 하나로 융합하는 데서 온전한 비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로 이 융합이 해석학적 지평융합이다. 그러니까 화가의 창작지평과 비평가의 해석지평이 하나의 접점에서 만나는 것이 해석학적 지평융합이다. 이러한 지평융합은 ‘놀이’ 개념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미술작품은 하나의 놀이가 이루어지는 특별한 공간이며 세계이다. 거기에는 바깥 세계와는 다른 독특한 규칙이 있고 화가나 비평가는 그 규칙의 지배를 받는다. 바로 그러한 규칙이 지배하는 작품이라는 세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놀이가 예술경험이고 미술비평이다. 그런 의미에서 ‘미술비평은 놀이이다’라는 명제는 해석학적으로 성립되며, 이것은 곧 ‘미술비평의 본질은 해석’이라는 말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at the Art Criticism is essentially Hermeneutics. Here, Hermeneutics is not Ikonologie. Instead, it is the Hermeneutics of Ikonologie. Critics always evaluate and cut out an art work with their fixed positions. There can be several positions. They call the positions as several methods of Criticism for the work-interpretation. Or they say that the Work-Interpretation should do the creative direction-presentation, or should be done on the art-educational level or should do the function of civilization- diagnosis. The former falls under the method of Art Criticism, and the latter falls under the oughtness or direction of Art Criticism. Whether it is in the case of the former or the latter, Criticism cannot be made without Art Works. An Art Work in itself is a non-mental object into which the creation spirit of the artist filters. That is to say, it is no more than a Thing. However it is not a common thing but the thing as a Work that an artist made aesthetically. Critics don’t see a Work as a Thing. Instead, they see a Thing as a Work. A flawless Criticism can be made when the creation spirit of an artist and the evaluative sight of a critic come to each other closely and fuse into one. This fusion is Hermeneutic Horizon Fusion. That is to say, the meeting of the Creation Horizon of an artist and Interpretation Horizon of a critic on one contact is Hermeneutic Horizon Fusion. This Horizon Fusion can be explained as a concept of ‘Play’. An art work is a special space and world where a Play can be made. There is a unique rule that doesn’t exist in the external world and an artist and a critic are dominated by the rule. The Play that is made in the world of Work which the rule dominates is the Art Experience and the Art Criticism. In this sense, the thesis ‘The Art Criticism is Play’ can be made hermeneutically, and this means that ‘The essence of the Art Criticism is Interpretation.’

      • KCI등재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감상영역의 변천과 미술비평방법론 개선방안

        김형숙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2 No.-

        The concepts of art appreciation and art criticism are included in the newly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in the new editions of art textbooks. Ever since the Discipline Based Art Education (DBAE) was introduced,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have been recurring themes of research in the field of Western art education. However, in South Korea, it was in 2011, through the revis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when the concept of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was first discussed in a detailed manner. Rather than being centered on expressive activities, education on art appreciation and art criticism incorporates elements of art history, art criticism and aesthetics, thereby broadening the scope of art education. However, art appreciation and its methodology have seldom been topics of discussion, in spite of the upcoming revis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2015.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aforementioned issues by first, examining how art criticism and art appreciation education has been discussed so far in the Korean art education sphere.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progress of art criticism methodology throughout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teaching students how to write so as to develop their capacity to think critically in the context of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in art education. 이 연구는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 역사에 드러난 단계적 미술비평 방법론에 대한고찰을 통해 그 한계를 짚어보고 학습자의 비평적 탐구과정에서 글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술감상 및 비평교육에 관한 연구는 서양에서 학문중심미술교육(DBAE) 이후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왔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2011개정교육과정에 이르러 구체적으로 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미술 감상 및 비평교육은 실기중심의 미술교육이 가지는 표현활동중심에서 미술사, 미술비평, 미학 등까지 미술교육의 영역을 확장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미술감상 및 비평교육에 대한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미약하여, 형식주의적 접근방법에 머물러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첫째, 미술교육에서 미술감상교육이 우리나라 교육과정상에서 변천된 양상을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해 보고 그 변화된 측면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미술감상교육의 변천양상은 여명기, 정착기, 발전기로 분류하여 논의하고, 각 시기에 제기되었던 쟁점들을 다룬다. 둘째, 미술과 교육과정상에 적용된 미술비평 방법론의 흐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단계적 미술비평 방법론에 대한 논의와 그 한계를 지적한다. 셋째, 미술 감상 및 비평교육에서 학습자의 감정과 생각을 언어를 통해 구체화하는 인지과정이 글쓰기 교육을 통해서 가능함을 제안한다. 형식주의적 관점에 바탕을 두고있는 그간의 미술감상 및 비평교육에서 글쓰기 교육은 보다 인문학적 영역과의 연계를통하여 맥락적인 차원에서 실천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교육적 미술비평교육의 방법에 관한 연구

        이안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2

        Art criticism is an area of visual literacy for analyzing various visual information as well as works of art. Of course, the essence of art education is creation and nostalgic activities. However, The necessity of criticism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from the viewpoint of properly receiving various visual information. Until now, school art education has neglected the areas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compared to the areas of expression. Even though appreci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Most of the appreci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centering on the introduction of artists and art history. This cause seems to have affected the part where the methodology for appreciation education was not systematically established. Scholars have different views on the method of art criticism. However, until recently, the most widely applied critical theory in our education field is E. B. Feldman's critical discourse theory.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by several scholars about the possibility that Feldman's theory will focus on the transfer of knowledge from a formalist perspective. Among such scholars, Tom Anderson proposed 'educational criticism model stage' that emphasized learner-led criticism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Feldman's theory. In this study, Anderson's art criticism of art criticism in five stages, eight operations, was expanded to nine operations. In addition, a method of “critical education in the form of integrated education” was proposed by inserting “writing criticism” in the final operation. Criticism writing is proposed as a method of art criticism education in that it becomes a useful learning tool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logical expression activities based on aesthetic sensibility and intellectual thinking. 미술비평은 미술작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시각적 문해력의 영역이다. 물론 미술교육의 본질은 창작과 향수활동이지만, 비평교육의 필요성은 다양한 시각매체의 정보를 바르게 수용하기 위한 관점에서 강조되어야 한다. 그동안 학교 미술교육에서는 표현영역에 비해 감상비평 영역을 소홀히 다루었으며, 감상비평 교육은 대부분 작가 소개나 미술사적인 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원인은 감상교육에 관한 방법론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한 부분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미술비평 방법에 대한 견해는 학자마다 관점을 달리하지만, 최근까지도 우리 교육 현장에서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는 비평이론은 펠드만(E. B. Feldman)의 비평적 담화이론이다. 하지만 펠드만의 이론이 형식주의 관점으로 지식전달에 치중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여러 학자에 의해 제기되어 왔다. 그런 학자 중에서 톰 앤더슨(Tom Anderson)은 펠드만의 이론을 수정 보완하여 학습자 주도의 비평을 강조한‘교육적 비평모델단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앤더슨의 미술비평의 단계인 5단계 8개의 조작을 9개의 조작으로 확대하였다. 그리고 확대된 조작에‘비평문 작성’을 삽입하여‘통합교육 형태의 미술비평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문학적 비평문 쓰기와는 다른 비평단계의 해석과 비평을 토대로 논술적인 비평문 쓰기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미술비평에 의한 비평문 쓰기는 미적 감성과 지적 사고에 의한 논리적인 표현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유용한 학습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미술비평교육의 방법으로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