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지각적 경험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고찰

        이모영(Lee, Mo 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3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지각적 경험의 의미와 역할을 미술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각적 경험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지각적 경험의 주요 이론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미술이 구체적으로 어떤 인지적,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미술의 중요한 인지적, 사회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우선 미술은 통합적 사고방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 통합적 사고방식은 미술의 이해는 물론 발견과 통찰의 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둘째로 미술은 다양성과 개방성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미술교육은 삶에서 다양한 의견을 장려하고, 다름에 대한 개방성과 관용을 발달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셋째로 미술은 소통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로 대립되는 견해가 존재할 때, 미술은 각각의 견해를 고유한 개별적 특수성을 통해 지각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바람직한 행위를 이끌어 내도록 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미술은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미술교육에서 지각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본 논의는 미술이 우리의 삶에서 왜 중요한지 그리고 미술교육이 공교육의 현장에서 왜 등한시되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한 논거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search for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perceptive experience in art education focusing on the issues raised on the social function of arts. For this, the paper will describe the concept of perceptive experience in detail and analyze major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perceptive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the significant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 of arts was discussed. The significant functions of arts in terms of cognitive and social aspects were as followings. First, arts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tegrated way of thinking. This integrated way of thinking served a very critical role for the understanding of arts as well as the process of artistic discovery and insight. Second, arts served the function to accelerate the sense of diversity and openness. Therefore, art education takes a very significant role to encourage the display of various opinions in life and develop the sense of openness as well as tolerance to differences. And third, arts served the function to accelerate communication. When confronting ideas exist, arts provides a very effective means to derive more ideal acts by helping people perceive each opinion by viewing others' unique characteristics. Through such approach, arts can greatly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confrontation and complication spread in our society. The study that has approached the art education in terms of significance and role of perception is expected to provide the persuasive theoretical bases when it come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art in our lives and stress the art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 KCI등재

        가족미술치료가 지적장애청소년 가족의 가족기능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 응집성과 적응성을 중심으로

        김혜숙,최희정 한국예술치료학회 2009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9 No.2

        본 연구는 가족기능의 응집성과 적응성 향상 중심으로 가족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가족의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은 2008년 11월 27일에 C시 ○○ 미술치료 연구소에서 가족미술치료를 의뢰한 가족을 선정하여 2008년 12월 2일부터 12월 8일까지 FACES, K-CBCL, SCT, KFD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족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과정은 2008년 12월 9일부터 2009년 4월까지 주 1회 90분 동안 총 23회기 가족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가족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가족의 가족기능 향상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응집성척도에서 분 석결과 연결 수준에서 부는 28에서 38점, 모는 31에서 49점, 자는 21에서 51점, 녀는 24에서 45점으로 매우 높게 상승되어 가족구성원 모두 자신의 가족이 연결된 것으로 보았다. 가족 적응성에서 분석결과 융통 수준에서 부는 11에서 26점, 모는 12에서 24점으로 상승되었고, 자는 13에서 31점, 녀는 7점에서 30점으로 매우 높게 상승되어 가족구성원 모두자신의 가족이 융통 적이라고 지각하였다. 그 결과 연결-융통된 가족으로 가족 간의 친밀감과 변화의 균형이 증진되었다. 따라서 첫째, 가족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청소년 가족에게 가족기능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가족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가족의 응집성을 향상시켰다. 셋째, 가족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가족의 적응성을 향상시켰다.

      • KCI등재

        미술의 치료적 기능에 관한 탐색적 고찰 - 지각적 경험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이모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5

        This study focuses on issues related to perceptive experiences to specify what kinds of therapeutic roles art plays in art therapy. Academic discussions in art therapy, so far, have been limited to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while ignoring to examine art's specific therapeutic roles. Therefore, discussing the art's therapeutic roles will not only develop the theory of art therapy itself by providing tangible data to prove the potentials of art but also strengthen its scholarly identity by differentiating it from other theories of psychological therapies. For this, the paper will analyze art's therapeutic functions by studying major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perceptive experiences from art therapeutic perspective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ill be the followings: perceptive experiences are not a passive process that factually records outside objects but a highly active and intelligent one, which can be defined as parts of general-accepted perception and art has been proven to activate one by providing energy, allow an easy approach to one's unconsciousness, help one lead one's life more independently through open and flexible thoughts and behaviors and consider and react to problems more efficiently by being more creative.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미술이 어떤 치료적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지각적 경험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동안 미술치료에서 학문적 논의는 주로 미술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집중되었다. 이에 반해 미술치료에서 미술의 어떤 특성이 치료적 효과를 발휘하는지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미술의 치료적 기능에 대한 논의는 미술이 지니고 있는 가능성에 관한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미술치료 이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또한 다른 유형의 심리치료 이론들과의 차별성을 드러내도록 함으로써 미술치료의 학문적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각적 경험의 개념과 주요 특성을 미술치료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미술의 치료적 기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각적 경험은 외부의 대상을 사실적으로 기록하는 수동적 과정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매우 지능적인 과정으로, 포괄적 의미에서 이해되는 지각의 개념으로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미술은 에너지를 제공하여 활성화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마음의 무의식적 측면에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하고,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고와 행동을 통해 자신의 삶을 더욱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자기와의 창조적 만남을 통해 자신의 문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에 대한 가능성 탐색

        김은진(Eun-J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는 현대의 미술관이 갖는 여러 기능 중 치유적 기능의 가능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탐색함으로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이라는 개념을 새롭게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미술관에서는 이미 알츠하이머 환자, 학습부진자,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치유적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미술관이 갖는 치유적 잠재력은 미술감상과 공간, 소통이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실제적으로 미술관에서의 경험을 다룬 선행연구에서 치유적 기능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는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은 국내에서 적극적으로 논의되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관 관계자들에게 미술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해 줄 것이며, 현대에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직장인, 학생 및 사람을 상대로 하는 전문직 종사자들에게 미술관을 문화 교양 뿐 아니라 자신의 내면을 보살피고 치유하는 공간으로 인식하도록 도와 미술관에 대한 더 많은 사회적 관심을 이끄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the healing function of art museums in modern times with the precedent studies and to explore the healing potential specifically.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various healing programs regarding patients with Alzheimer, learning disability, seniors, etc. The researcher approached this study in three aspects, art appreciation, space, communication as healing potential of art museums. These findings will be able to draw more social attention on art museums.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art museums to people concerned art museums. And it will make the professionals, working for company workers, students and other people suffering under the modern stress, recognize the art museums as a place to look inside in the professionals’ own mind and to heal as well as a place for culture and sophistication. These findings will be able to draw more social attention on art museums.

      • 하지의 기능적 운동을 접목한 임상미술치료가 대 동작 기능(GMFM)에 미치는 효과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이창학 ( Chang Hak Lee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4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하지의 기능적 운동을 접목한 임상미술치료가 대 동작 운동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의 뇌성마비아동을 연구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아동 한 명당 주 2회 각 30분씩 12주간 총 24회기에 걸쳐 하지의 기능적 움직임을 이끌어내기 위한 앉은 자세와 서기 자세에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하지의 기능적 움직임이 개선되고 앉은 자세에서의 안정성과 서고 걷기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동일한 조건에서 대 동작 운동기능평가(Gross Motor Function Measure)척도를 이용하였고,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하지의 기능적 운동을 접목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뇌성마비아동의 대 동작 운동기능평가 GMFM)의 총점을 실험 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향상 폭이 크게 나타났다. 둘째, 대 동작 운동기능평가를 기능별로 나누어 본 결과, 눕기와 뒤집기 기능, 앉기 기능, 네발기기와 무릎서기 기능, 서기 기능, 걷기, 달리기, 도약 기능은 실험군의 경우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프로그램 진행 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하지의 기능적 운동을 접목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운동 활동에의 참여 동기를 유발시킴으로서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치료 활동을 가능하게 하여 뇌성마비아동의 대 동작 기능인 눕기와 뒤집기, 앉기, 네발기기와 무릎서기, 서기, 걷기와 달리기 도약 등의 모든 대 동작 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engrafted with the functional exercise of the lower limb on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n experimental group of 10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a control group of 10 children also with cerebral palsy.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as applied in a sitting posture and in a standing posture to elicit the functional motion of the lower limb for a total of 24 sessions for 30 minutes at a time. The sessions were done twice a week for 12 weeks for each of the children. In order to evaluate its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motion of the lower limb and stability in the sitting posture and standing and walking,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scale was used in the same conditions.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total scores of GMFM of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participated in the clinical art therapy engrafted with the functional exercise of the lower limb improved m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mparison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by function showed that the functions of lying down and turning, sitting, crawling on four limbs, kneeling, standing up, walking, running, and jumping improved more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This showed that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engrafted with the functional exercise of the lower limb, motivated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o participate in exercise activities. Said therapy was also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ll the gross motor functions including lying down and turning, sitting, crawling on four limbs, kneeling, standing up, walking and running, and jumping.

      • KCI등재

        점토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소근육기능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미희,전순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16 美術治療硏究 Vol.23 No.6

        본 연구는 점토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소근육기능과 사회성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의 만6세 유아 40명 중 부모의 동의 및 참여를 희망하는 일반 유아 24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을 무선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기간 은 2015년 8월 둘째 주부터 10월 첫 주까지 주 1-2회 매회기 60분씩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한 총 12회의 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소근육기능검사(PDMS)와 사회성검사(K-SSR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소근육기능은 학습기능, 생활?놀이기능, 빠르기와 정교성, 시 각?운동 협응, 반응속도, 손 기능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회성은 협력성, 주장성, 자기통제의 3영역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회기별 질적 변화에서 유아들은 회기가 진행될수록 작품의 정교한 표현과 다채로운 도구사용이 가능해 졌으며, 집단 활동으로 유아들 간 역동이 일어나 사회성이 향상되 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점토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유아의 소근육기능 및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using clay on the fine motor skills and sociality of young children. Among 40 young children, 24 young children whose parents consented and who wanted t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ere randomly selected and even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of 12 young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of 12 young children. A total of 12 sessions of the program, not counting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per week for 60 minutes at a time. PDMS and K-SSR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fine motor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nhanc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omains of the following functions: learning function, living play function, speediness and sophistication, visual exercise coordination, reaction speed, and hand functions. Second, the scores of socia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enhanc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ordination, assertiveness, and self-control domains. Third, the young children became sufficiently able to express details of work with enhanced hand functions through kneading clay as the session progressed. Also, better sociality was observed as this group activity caused dynamics between young children. Accordingly, the results show tha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clay enhances fine motor skills and the sociality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반구대 암각화의 고래 그림에 있어서 제례(祭禮)적 기능에 대한 고찰과 현대적 의의

        신현경 ( Hyunkyoung Shi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06 동양예술 Vol.11 No.-

        반구대 암각화는 원시미술로 분류되는 선사시대 그림으로 경남 언양 대곡리 바위에 새겨져 있다. 반구대 암각화의 발견 과정과 제작 연대, 제작 기법, 그리고 장소적 특성을 중심으로 암각화 왼편에 위치하고 있는 고래 그림을 시각적 인식으로 분석한 결과, 구석기 시대의 사실적 묘사와 유사한 양식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 고래 그림의 제작 연대가 구석기 시대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또한 이 그림이 고래 사냥을 위한 주술적 목적으로 제사장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시 말하면, 그림의 뛰어난 사실적 묘사를 가능하게 했던 원시인의 시각적 인식이 미술의 제례적 기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다. 원시 미술의 제례적 기능에는 원시 사회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자연에 대한 인식과 원시적 신앙이 내재되어 있다. 그렇다면 원시 시대의 미술은 시각적 능력이 발달한 우뇌 중심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의 의도는 원시 미술의 시각적 인식력을 재해석함으로써 좌뇌 편중의 현대 교육에 의해서 잃어버린 미술의 제의적 기능을 되살려야 한다고 주장하려는 것이다. 우뇌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미술은 작업과정에서 드러나는 자기표현으로 자신을 객관화하면서 마음을 풀어내는 미술의 치유적 기능을 할 수 있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이러한 자기 표현으로서의 미술의 자기 치유적 기능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우뇌를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시각 교육이 필요하다. 우뇌로 보고 그리기는 인간다운 삶을 위한 기본적인 권리를 회복하기 위하여 기초교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술의 이러한 치유적 기능은 전통적 교육에는 일정 부분 내재되어 있었으나 무비판적으로 진행된 서구적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사라져버렸다. 이를 되찾기 위하여 반구대 암각화의 제례적 기능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일이 중요하다. 더구나 이 그림은 우리나라 그림의 시원으로서 한국미의 특성인 자연미와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반구대 암각화가 가지고 있는 이 같은 의미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의와 연계하여 현대적 의의를 찾아보고 미술의 자기 치유적 기능을 현대의 삶과 예술에서 되찾아야 한다는 것이 본 고의 중심 주장이다. BanGuDae Rock Art is classified as a prehistoric rock painting and is engraved on a rock in Daegokri, Unyang, Kyoungam province. Through research on Bangudae rock art, its discovery, period of painting, painting techniques, geographic features, and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whale painting on the left of the paint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whale painting was similar to the realistic depiction of Paleolithic era. This signifies that the whale painting may have been painted as long ago as the Paleolithic era. This paper assumes that this whale painting was painted by the temple to pray for whale hunting. In other words, it is suggested that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primitives which made possible the exceptional realistic depiction was fostered by the ritual role of art. The primitive peoples` perception of nature and their primitive religions are inherent in the ritual role of primitive art. In that case, it can be stated that primitive art was based on the right side of the brain which has developed by visual ability.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visual perception of primitive ar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itual role of art that was lost due to the left brain based modern education should be revived. A right-brain-based art education has a positive perspective in that it allows the students to objectify themselves through self expression, and thus performs the relieving and healing role of art. In order to revive the self-healing role of art in self expression, a visual based education is needed to effectively developthe right brain. Seeing and drawing through the right brain should function as a fundamental curriculum to revive the basic right of human life. Although this healing role of art was partially inherent in traditional education, it disappeared during the unquestioned process of western modernization. To rediscover this role, it is important to visually understand the ritual role of the BanGuDae rock art. Moreover, it must be noted that this painting is the origin of Korean art and has the natural beauty and symbolism that characterize Korean beauty. The significance of BanGuDae rock art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discussion of postmodernism to search for a modern meaning, and the self-healing role of art should be rediscovered in modern life and art.

      • KCI등재

        인문학적 가치를 지향한 초등미술감상 교육 방향 연구: 언어사용 기능 의존 문제를 중심으로

        이재영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3 미술과 교육 Vol.24 No.2

        This article investigates into alternative approaches for a problematic commitment of art appreciation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It seems that incorporating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of learners during art appreciation lessons is somehow excess and problematic for personally meaningful art appreciation. While conducting a research to accelerate an effective art appreciation activity utilizing more efficient linguistic expression, a research question is appeared: Why is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necessary and essential for better art appreciation activities? Investigation into this question is initiated to address educational purposes of art appreciation activities as a part of both public education subject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humanistic value pursuing perspective. From this orientation, this theoretical research explores a need and strategy to diminish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reliance during art appreciation lessons. The result provides several alternative approaches: 1)significant amount of time to watch and internalize the artworks appreciated before linguistic expression activities, 2)immersion in the artworks appreciated and students themselves, 3)providing various sensuous activities in order to reduce reliance on the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4)scrutinizing intensively and densely artworks appreciated to make connection between artworks and students’ inner reflec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provides alternative ideas for art appreciation lessons in elementary school. In particular, various sensuous activities, inner reflection, and self questioning strategies during art appreciation activities would be more incessant. Further action research would enhance this research. 본 논문은 초등미술감상 교육이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 기능에 많이 의존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된다. 언어 사용 능력 신장을 통한 효과적 감상학습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를 진행 중 감상 학습에 있어 언어 사용 능력이 왜 필수적인 전제인지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공교육의 일부로서 초등미술감상교육이 차지하는 교육적 목적과 함께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에 대한 고민지점과 맞닿아 있다. 이로 인해 감상학습에서 언어 사용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왜 필요하며, 그 대안은 무엇일지 고민해 보았다. 전문가들을 위한 미술감상이 아니라 초등학생을 위한 교육적인 미술감상 활동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 답하고자 미술감상이나 감상교육과 관련된 문헌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감상 내용에 대한 언어적 표현보다는 천천히 오래 작품 들여다보기. 둘째, 작품과 자신에게 몰입하기. 셋째, 대안적 감상 활동으로 언어사용 능력에 대한 의존도 낮추기. 넷째, 밀도 있게 작품 들여다보기. 연구 결과가 기존의 형식주의적인 비평활동 중심, 성급한 질문과 발문 중심, 글쓰기와 말하기 중심 감상 활동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을지 지속적인 현장 적용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제시된 대안적 접근은 초등미술감상 학습에서 상호간의 대화뿐만 아니라 자신의 내면적 성찰을 더욱 비중있게 바라보는 교수 학습 전략 구현을 고민하는 기회를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미술감상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인문학적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고민하는 전환점이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미술품 경매의 역할 증대에 따른 문제점에 관한 고찰

        정윤아 ( Yun Ah Jung ),박일호 ( Il Ho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3

        미술시장 및 미술품 가격에 대한 연구는 외재적, 경제적 가치에 중점을 둘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인문학적으로 소외되어 왔다. 이에 반해 1980년대 미술시장 활황과 더불어 경제학적 연구는 크게 증가되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처럼 미술 시장이 대중화되는 상황에서는 미술시장과 미술품 가격에 대한 경제적 의미만이 아니라 사회적 의미에 대한 고찰이 반드시 필요하다. 시장도 다른 종류의 모든 인간 활동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문화적 집합체이며, 가격 또한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문화적 개체로서 중대한 사회적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특히, 미술품 가격의 사회적인 척도로서 통용되고 있는 경매 가격과 경매의 사회적 의미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는 첫째, 시장의 구조 변화에 따른 경매의 진화 과정을 가장 명확하게 보여주는 뉴욕 미술 시장을 중심으로 미술품 경매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오늘날과 같은 의미를 지니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전후 뉴욕 미술시장의 구조 변화에 대한 시대별 고찰과 1, 2차 시장의 전통적 구분 붕괴 현상과 경매의 부상 관계를 알아본다. 둘째, 경매 가격을 형성하는 요인을 미술가/미술품 관련 측면, 미술 시장적 측면, 그리고 외부 환경적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함으로써 경매 가격의 속성에 대해 심도 있게 이해하고자 한다. 셋째, 미술품 경매의 시장 내에서의 지속적인 역할 증대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고, 보드리야르와 부르디외의 미술품 경매 및 미술시장에 대한 사회학적 비판을 고찰함으로써 경매가 미술품의 사회적 가치 생산에 보다 긍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모색해본다. The humanities have traditionally neglected studies on the art market, whereas economic studies that focus on the instrumental and economic values of artworks have been drastically increasing since an enormous boom in the 1980s. It is, however, important to examine the social meaning of the art market, since its participators are expanded to the general public beyond the limited high class. Like any other type of social interaction, markets are cultural constellations and prices of artworks are not mere numbers, but cultural entities. It is also crucial to examine auction prices, since they are accepted as a social barometer these days. Therefore,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how art auctions play a role like today`s, focusing on the art market in New York City, where illustrates most clearly the evolution process of auction than any other cities. It briefly addresses how New York became a center for the international art market and the collapse process of the traditional division of primary and secondary markets. Secondly, it examines how the auction prices are determined by largely dividing into three parts; artists/artworks, markets, and exterior circumstances. Finally it probes a new approach to a broad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art auction`s expanding roles in the art market how it participate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social value of artworks through examining the existing sociological studies such as Baudrillard`s and Bourdieu`s.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최외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5 美術治療硏究 Vol.12 No.4

        본 연구는 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 OO전문병원 내의 주간보호센터에 의뢰된 노인들 중 MMSE-K 총점이 19점 이하인 경증치매 노인들 7명으로 남자 2명과 여자 5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05년 5월부터 7월까지 1회기 60분씩 주 2~3회, 총 25회기를 실시하였고, 연구도구인 MMSE-K(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와 SGDS(한국 노인우울척도)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응표본 t-test를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각 회기별로 연구대상들의 행동 및 태도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들의 인지기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이정신상태 검사의 사전․사후점수에 대해 t-test를 행한 결과, 전체점수(t=-8.87, p<.001)와 하위영역별로 지남력(t=-4.83, p<.01), 기억회상(t=-6.9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치매노인의 지남력과 기억회상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들의 우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인 우울 척도인 SGDS검사의 사전․사후점수에 대해 t-test를 행한 결과, 전체 우울 수준의 평균이 사전검사에서는 10.0점이던 것이 사후검사에서는 6.2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6.57, p<.01). 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치매노인의 우울수준이 감소하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들의 행동 및 태도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행동 및 태도를 분석한 결과, 집단미술치료가 노인들에게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하여 정서적 지지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창작활동을 통해 즐거움과 성취감을 가지게 함으로써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다양한 미술매체와 기법들이 두뇌활동을 자극시켜 인지기능 향상을 가져 올 수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what influence or effects, if any, the group art therapy induces on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Study subjects are 7 elderly people(two male, 5 female) with light dementia symptoms, chosen from the daycare center of the OO hospital in D-city, who scored lower than 19 points in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test. Total 25 sessions of a group art therapy were given to them from May to July of 2005, with 2-3 sessions a week and each lasting 60 minutes. Research tools employed are MMSE-K and SGDS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on which a pre-test and a post-test are based. Paired t-test is used for data analysis. In addition, both changes in the study subjects' attitude and behavior are also analyzed during each session of the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t-test on the pre- and post-tests based on MMSE-K,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exhibited by the total score(t=-8.87, p<.001) and by the sub-scores of Orientation(t=-4.83, p<.01) and Recall Memory(t=-6.97, p<.001). That is, the elderly dementia patients' cognitive functions on orientation and recall memory have been improved b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Second,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to reduce the depression level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t-test on the pre- and post-tests based on SGDS measuring the level of depression, there has been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n average depression score (t=6.57, p<.01) in t-test, which has exhibited the pre-test score(10.0) and the post-test score(6.28). Third, group art therapy appears to bring out some positive influence on the dementia elderly's behavior and attitude. An analysis of the dementia elderly's behavior and attitude before and after the art therapy program 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