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 사례로 본 공공미술교육의 방법과 가치 탐색: 뉴장르 공공미술 프로젝트 수업을 중심으로

        장현주(Hyonjoo J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3 造形敎育 Vol.- No.85

        뉴장르 공공미술이 국내외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학교에서의 공공미술교육은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다. 학교공공미술교육이 부진한 원인으로 교사의 전문성 부족과 적절한 공공미술 교수·학습 방법의 부재를 꼽을 수 있는데,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를 위한 공공미술 재교육이 시행되어야 하고 공공미술 교수·학습 방법 마련을 위해서는 학교에서 공공미술 수업 실행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배경과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공미술교육의 중점 요소를 제시하고 공공미술교육의 방법과 가치를 탐색하고자 한다. 문헌 연구와 공공미술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해 학교공공미술교육의 중점 요소로 토의, 협업, 공동체, 주제, 프로젝트 학습을 추출하였고 학생 참여 중심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수업모형을 고안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이 작성한 수업 일지와 교사 면담으로 공공미술 프로젝트 수업이 미술 교과에 대한 흥미와 참여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사고력과 공동체 의식 함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미술교육의 필요성과 가치가 재조명되고 학교 현장에서 공공미술 수업이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New genre public art is actively developed, but public art education in schools is not active. The reason for the sluggishness of public art education in schools is the lack of expertise in public art education by teachers and the lack of public ar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order to prepare public ar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search on public art classes must be continuously conducted in school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key elements of public art education and explore the methods and values of public art education through examples of public art classes. By analyzing the cases of public art project classes, discussion, collaboration, community, subject, and PBL were extracted as the key elements of school public art education, and a public art project teaching model centered on student participation was devised. Through class diaries written by students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it was found that public art project classes not only increase interest in art, but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inking ability and relationship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value of public art education will be re-illuminated and public art education will be revitalized.

      • KCI등재

        뇌 친화적 수업원리에 기초한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유아미술교육 수업모형 개발

        임수진 ( Soo Jin Lim ),안경숙 ( Gyoung Sook Ah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미술교육 수업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뇌친화적 수업원리에 기초하여 유아미술교육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수강학생들의 요구도 분석, 전문가 협의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미술교육 수업모형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본 모형을 G시의 4년제 대학교에서 유아미술교육 수업을 수강한 3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수업을 실행하였다. 수업모형을 적용한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미술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있어서 긍정적 변화를 보여주었고, 미술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자각 및 인식을 드러내주었다. 또한 함께 발전하는 수업을 지향하는 학습공동체로의 변화와 뇌 친화적 평가에 대한 만족감과 평가결과에 대한 긍정적 수용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뇌 친화적 수업원리에 기초한 유아미술교육 수업모형이 예비유아교사의 미술과 미술교육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돕고,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교수역량을 함양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rt education instruction model based on brain-compatible instruction principles. This study attempts to find ways to enhance art education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art education class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students’ need analysis and discussions with experts. The model was implemented to 31 students who took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class in a four-year-course college located in G city. The result has shown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perception that art is a combination of beauty and joy and children’s art is a way of giving values through expressing their inner sides. Teachers also showed that a recognition of teacher’s role for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s been changed.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 experiment was an opportunit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might have different learning style and multiple intelligence to understand other teachers’ difference and to indirectly experience children’s different learning style and multiple intelligence. Finall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shown that they understand the meanings of authentic assess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out that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instruction model based on brain-compatible instruction principles would be expected to develop pre-service teachers’ positive perception on art and art education and develop teaching ability childhood art education as well.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좋은 수업 탐구대회’ 참가 수업 분석을 통한‘좋은 미술수업’에 대한 인식 탐구

        김상준,김미남 한국조형교육학회 2015 造形敎育 Vol.0 No.54

        Expectations on development of quality of education has been more and more increas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t has been also discussed way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rt lessons for many years as a big issue. Many scholars claim that it is very significant to improve art teachers’ professionalism in order to have our children get better art lessons. Then, how can art teachers’ professionalism be formed? Answer to this question could be found from what value art teachers have about ‘a good art lesson.’ Based on art teachers belief in and value on good art lessons, ways of preparing and performing art lesson by art teachers would be diverse. Therefore, for better art educati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how preservice art teachers think about the image of good art les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ttempted to explore preservice elementary art teachers’ value on ‘a good art lesson’ internalized in their art lessons which were conducted in the National Contest of Good Teaching. In order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four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on art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Their art lessons were observed intensively and documented by researchers and also video-recorded. Video-recorded lessons were subscribed and analyzed in a qualitative way and five big themes were found: (1) interest in using various teaching materials; (2) strategies of Q/A, simple questions & many students’ participation; (3) images of very kind art teachers; (4) expectation on good quality of final art produce; (5) mandatory stage of art appreciation, and (6) emphasis on the purpose of lesson in beginning. 미술교육의 질적 성장에 대한 기대가 한층 높아진 요즘이다. 미술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미술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이 중요하며, 이에 선행하는 것이 바로 미술교사가 ‘좋은 미술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자신이 정의하고 있는 ‘좋은 수업’을 실행하기 위해 무엇을 준비하는 지 파악하는 일일 것이다. 왜냐하면 미술교사의 ‘좋은 미술수업’에대한 가치관은 미술을 교육하는 교사로서 어떤 전문성을 발휘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게 만들고, 그에 따라 전문성 개발의 방향성을 크게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초등교육의 경우 대부분의 미술교과 지도는 미술교과전담교사가 아닌 학급담임인 초등학교교사에 의해 이루어지고있다. 따라서 예비 초등교사가 ‘좋은 미술수업’에 대해 어떤 생각들을 가지고 있는 지 확인하는 것은 미래의 미술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작업일 것이다. 이를 위해 제4회 ‘좋은수업 탐구대회’에 참가한 4개 교육대학교 대표 학생들이 실연한 4개의 수업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수업을 통해 표현되고 있는 예비교사들의 수업, 좋은 수업, 좋은 미술수업에 대한 가치관의 이해를 시도하였다. 수업분석 결과는 아직 예비 초등 교사들이 수업을 위한 새로운 표현활동을 계획하는 것 외에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이나 목표를 재구성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지 않아 교사도 학생도 확신 없이 미술활동을 진행한다는 점, 학생들의 기존 지식과 경험을심화시켜 의미 있는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이 적극적으로 시도되지 않는다는 점, 학생들이 표현활동 주제를 고민할 시간을 충분히 갖고 표현활동을 시작하기보다 교사가 안내하는 순서대로 표현활동을 하다 보니 학생이 만들었지만 결국 교사의 작품이 되어버리는 등의 아직은 ‘좋은 미술수업’에 대한 다면적 고민이 심화되지 못한 단계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두 초등 신규교사의 미술 수업에서 이상과 실재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공완욱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4

        초등교사가 되기까지 과정에서 미술교육은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고, 입시 등의 경쟁에서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자에게 관심 밖에 있다. 그러나 초등교사는 미술교과를 지도해야한다.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두 신규교사의 교사가 되기까지 미술과 미술 수업 경험, 그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미술 수업과 실재 미술 수업 경험, 미술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경험에 대한 차원에서 분석하고 재구성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신규교사가 갖는 미술 수업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것이다. 미술 수업을 학생의 흥미를 끌게 하는 창조적인 표현활동으로 생각하며 체험, 감상 보다 표현 중심의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으로 미술 수업은 휴식시간이나 업무시간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둘째, 두 신규교사가 갖는 미술 수업에 대한 어려움이다. 미술활동을 위한 수업준비물, 관리자나 동료교사의 미술 수업에 대한 인식, 교실의 구성원은 미술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제공하는 요인들이다. 그러나 두 신규교사는 미술 수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오개념과 환경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각자 이상적인 미술 수업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에 기반을 둔 현실적인 미술 수업을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를 갖고 초등 미술 수업이 궁극적으로 의미 있는 수업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elementary school teacher, art education plays a minor role and is paid little attention to by those who compete in entrance examinations to become teachers. Howe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teach art classes. A narrative inquiry of two new teachers analyzed and reconstructed the variables in art education, the ideal art class, and real art class experience. First, when it comes to their recognition of art classes,art classes were regarded as creative expression activityies that attracted student's interest and focus on expression rather than experience and appreciation. On the other hand, art classes were recognized as breaks or business hours. Second, when it comes to the difficulty of the teachers in art classes, classroom preparation for art activities, perception of art class by manager or fellow teacher, and the members of classroom are factors that provide many difficulties in art class. However, despite the misconceptions and environmental difficulties of art classes, the two new teachers were doing their best for each of the ideal art classes.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reconsider our point of view of realistic art class based on the school scene and to help provide meaningful elementary art classes.

      • KCI등재

        미술 중심의 융합교육

        류지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2

        Today, convergence is taking place in various fields of culture and society, including art, education, and academic fields, as well as industry and technology. This expansion of convergence and social interest seem to be emphasized in education, and the paradigm is transformed in a different context from understanding-oriented education in the academic field, such as convergence of studies and areas and strengthening competencies. In addition, for convergence education, which deals with the power of art that qualitatively enrich human life from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the curriculum must be further developed in terms of subject education to explore art-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and an overall review of the current convergence education is needed. In particular, further exploration of theory and design for the realization of specific art and curriculum should be conducted. To this end, first, convergence education and its method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are examined. Second,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art-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are sought in terms of art and philosophy. Third, we examine the design and principles in terms of methods for art-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and discuss the direction. There is the significance of art-oriented convergence education as an aesthetic education through art, the awareness of oneself coexisting with others in the community, the discovery through art as a visual image. Based on the practice of linking to life in class,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structure, principle, method, and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and basic research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principles, and structures of art education as convergence education is continuously needed. 오늘날 융합은 예술과 교육, 학문 분야를 비롯하여 산업, 기술 등 문화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융합의 확대 및 사회적 관심은 교육에서도 학문과 영역의 융합과 이를 통한 역량 강화 등 학문 영역의 이해중심 교육과는 다른 맥락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을 보이고 있다. 국가 교육과정이나 수업 설계 역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지식과 함께 융합적 역량의 강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삶으로 연결되는 과제를 학제적 관점으로 다루는 융합교육의 본연을 위해서는 현재의 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와 함께 예술을 통한 질적 삶으로서 교과 교육의 측면에서 미술과 중심의 융합교육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구체적인 미술과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이론과 설계에 대한 탐색이 더욱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첫째, 이론적 관점에서 융합교육과 그 방법을 살펴본다. 둘째, 미술 중심의 융합교육의 성격과 의의를 예술과 철학적 측면에서 모색한다. 셋째, 미술 중심의 융합교육을 위한 방법적 측면에서 설계와 원리, 방향성을 살펴 본다. 재료와 매체의 체험을 통해 스스로를 의식하고, 공동체 안에서 타자와 공존하는 자기 자신을 인식하며, 시각 이미지로 서의 예술을 통한 발견, 상상력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미술 자체의 융합적 속성 및 예술을 통한 심미적 교육에 미술 중심의 융합교육의 의의가 있다. 수업에서 삶으로 연계되며 나아가는 실천을 전제로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융합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으며 융합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의 특성, 원리 및 구조를 탐구하는 기초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KCI등재

        우수 수업 사례 관찰을 통해서 본 중등미술 교과 장학 방안

        서예식(Surh Ye Si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1

          미술 수업의 중요성에 비해 그 개선을 도모하는 미술교과 장학에 관한 논의는 매우 미미하다. 본 연구는 현장의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한 교과 장학 방안으로 실시한 ‘K’도 교육청 수업실기연구대회에서 입상한 중등 미술 교사의 수업을, 참여적 관찰자적 입장에서 교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좋은 미술과 수업’을 위해 노력하는 교사는 미술의 특성에 맞는 교수방법을 개발하는 교과 내적인 노력과 함께 교과 외적인 요인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노력한다. 미술과 장학은 ‘고립된 존재’로서의 미술교사를 지원하고 네트워킹해주는 일이다. 비디오는 미술과 수업 관찰 수단으로서, 인터넷은 우수 수업 모델을 일반화하고 고립된 미술교사를 연결해주는 데 유용하다.   An instruction is the core in all educational discussion. The discussion for the promotion of study to improve an instruction of the art class is the institutional condition as compared with the importance. This research was mainly examined as a viewpoint of the participant observer through the art class of the secondary education, which is selected at the competition of the practical instruction research.<BR>  Through the survey of the art class of the secondary education(the competition of the practical instruction research), I looked into the environmental elements which were surrounding the secondary education. Also I tried to provide the realistic program of the encouragement of study in the art class.<BR>  Then I acquired the conclusion that a teacher who makes an effort for the beneficial art class tries to develop a teaching method which is suitable for a characteristic of the art, as well as to solve a critical mind about the environmental elements in the external courses.<BR>  The encouragement of study in the art class is general support for the agony about what we teach and how we teach.<BR>  Therefore, we need progressive cooperation, progressive support, and networking them with the result of organizing and managing a curriculum in the art classes of the secondary education.<BR>  We could know particularly that the video is useful for a way of observation in the art class, and internet is needed to make a generalization ‘isolated art teacher’ broadly. It is effective that an effort to connect isolated art teachers with carring out a psychological compensation scheme.

      • KCI등재

        미술과 수업 장학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미술과 지도 유형에 관한 연구

        안금희(Ahn Keumhee),손민호(Shon Minho),김현정(Kim Hyunjeo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수업 장학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업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장학에서 봐야 할 내용으로서 미술과 지도의 유형을 고찰하고, 관찰 방법으로 교육 비평의 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수업 개선을 위한 교과 장학이 의미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학의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장학 자체의 절차 보다는 수업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미술과 수업 장학의 요소로 ‘미술과 지도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에 대한 이론적 틀과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과 수업 장학에서 무엇을 봐야할 지에 대한 문제 즉 관찰 요소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미술과 수업 장학에서 활용될 수 있는 관찰 및 비평 기법을 개발하였다. 미술 수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술 수업 장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질적 관찰 및 비평 기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업 관찰 및 비평 기법을 개발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의미있는 수업 장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ypifications of art instructions which provide us with the resources for supervision of art classes. This study finds in the educational criticism which is initially termed by E. Eisner its way of analyzing and representing the fiel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provides the art instruction types which might be objects of instruction supervision. We discuss what the supervisor should take a look at, that is to say, the objects of instruction supervision based on the research on instruction and the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Second, this study provides the observation method and the educational criticism which are used for the purpose empowering art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e. For supervis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rt instruction, the qualitative observation and criticism methods are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foundation for the meaningful supervision developing the observation and criticism methods and utilizing them on art classrooms.

      • KCI등재

        초등교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미술수업의 상과 현실적 어려움에 대한 연구

        김지수,고홍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5 No.-

        본 연구는 경력 10년차 전후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미술수업에 대해 살펴보고, 수업 운영에 있어서 그들이 느끼는 현장에서의 고충을 탐구하였다. 교사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미술수업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았다. 초등미술수업은 기능보다 기초개념 및 능력 위주로 지속적인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지도를 하고, 학습자에게 자율성을 부과하여 개개인의 개성과 창의성이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나아가 일상생활과 연계하여 삶 속에서 미술을 보고 느낄 수 있도록 수업을 구성하고 싶어하였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미술과 교육과정ㆍ미술 교육의 제반 환경ㆍ미술 지도교사로서의 질적 측면 등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미술수업이 구현되기 힘든 실정이다. 미술수업의 운영과 실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기초로 하여 그들이 생각하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문제점을 주제별로 분류함으로써 향후 초등미술교육의 개선 및 발전 방향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This study will provide in-depth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around 10 years of experience. The ideal art class that teachers thought was in line with the direction pursu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eachers say that students should have continuous interest in art. And student’s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should be reflected in their works by imposing autonomy on learners. Furthermore, organizing classes in connection with everyday life make students feel art in their daily life. However,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ideal art classes because there are limitations in art curriculum, environment of education, and quality of instructors. First of all, there is insufficient time of art classes in terms of curriculum. Textbook materials do not meet the level of students, and digital materials are not enough. On the environmental side, most of schools don’t have art classroom and a lack of basic art materials and tools. On the teacher's side, self-efficacy as an art tutor is low 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guiding certain areas and units. And some teachers lack enthusiasm as teachers and neglect to prepare for classes looking for various materials. In addition, safety issues and teachers' perceptions are not high in appreciating art galleries and museums. Furthermor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urses do not produce high-quality teachers with expertise. Based on teachers' perception of art classes, I want to prepar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elementary art education by classifying realistic difficulties they explore by subject.

      • KCI등재

        환경 미술교육에서의 통합적 접근법에 대한 실태 조사

        김한나(Han-nah Kim),안혜리(Hyeri Ah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1

        본 연구는 환경교과와 미술교과 간의 적극적이고 유기적인 통합방법이 요구된다는 관점에서 중학교 환경미술교육에서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날이 갈수록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는 현 상황에서 가능한 다양한 교과목 안에 환경에 관한 주제를 통합함으로써 환경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특히 미술교과는 자연과 생활주변 환경의 시각적 특징을 발견하고 그 조화를 도모하는데 교육의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환경교육을 효과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교과로 간주되어 왔다. 본 연구는 서울시 중학교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현재 실행 중인 환경 미술교육의 구체적인 내용과 방향, 환경 미술교육에서 통합적 접근법 사용의 여부, 통합의 수준과 범위 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응답한 대다수 교사가 환경 관련 주제로 미술수업(환경 미술교육)을 해 본 적이 있었다. 둘째, 환경 미술교육에서 대부분의 수업이 표현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교사들은 이런 수업의 목표가 표현기법 측면보다는 환경미술의 개념을 이해하고 미적 감수성을 함양하며 환경 문제에 대한 실천을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보았다. 셋째, 환경을 주제로 한 미술수업에서 절 반 가량의 교사가 통합적 접근을 적용해 본 적이 있었으며, 거의 모든 교사들이 기존의 미술교과에 자연환경 관련 내용만 부분적으로 통합하는 소극적인 통합유형을 사용하였다. 넷째, 통합적 환경 미술교육에서 수업목표는 미술을 통한 환경보호의 실천이었지만 실제 수업은 실천적인 방향보다는 자연환경에 관련된 내용에 국한되어 있었다. 다섯째, 통합적 환경 미술교육에 가장 필요한 것은 자연환경 체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었고, 그런 교육에 가장 큰 장애는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는 자연환경이 부족한 것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환경 미술교육은 실천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방향에서 환경과 미술교과가 보다 유기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ecological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integrated approach in middle schools in Seoul, Korea. Since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issues become serious these days, it is very important to reinforce environmental education by integrating the ecological topic into as many school subjects as possible. Art subject is no exception. Art education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school subjects in whic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effectively connected for the subject emphasizes harmony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one. However, the existing art curriculum usually has not integrated the ecological issues from the activist position in which we advocat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the level and the scope of integrating issues from environment subject into art curriculum by middle school art teachers. The study used the survey method. 200 questionnaires were sent to middle school art teachers and 102 of them were returned, with the return rate of 51%. The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ult: 1) Most of the respondents(85%) reported that they dealt environmental topics; 2) Most of the respondents(about 84%) taught environmental topics for art production; 3) About a half of the respondents used integrated approach to ecological art education although they partly connected the content about natural environment to art curriculum; 4) About a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aimed at encouraging students to do active practice of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when they integrate ecological issues into their art curriculum; 5) About a half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students needed more opportunity to experience natural environment.

      • KCI등재

        미술과 교육에서의 인성교육 강화 수업, 논의와 실제 -미술(교육)의 본질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이은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2

        This paper examines discussions and practices in character reinforcement-centered art education,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of art. First, it is discussed,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about what the unique and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art subject can contribute to human development. Next, the lesson contents reflecting this view are selected and teaching approaches to the contents are suggested. The discussions are presented with five suggestions for the lesson contents that: (1) embody from a discussion about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sensitivity and moral sensibility, and between aesthetic awareness and ethical awareness; (2) plan discussions on how the uniqueness of creation and interpretation in art can promote self-esteem, followed by instructions that embody the discussions; (3) conduct character education that can develop openness, critical thinking; (4) carry out the discussion that critical reading of a visual culture can promote critical thinking and moral judgement ; and (5) conduct discussions on how communicating with art images can give opportunities to reflect on oneself and practice character education. From these ways that reinforce the lessons centered on character in art subject, there are two implications. They are: (1) the art textbooks and curriculum should reveal the contents that contain moral lessons for character education, as well as the nature of art(education) ; and (2)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eacher training education that help teachers understand the nature of art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교육에서의 인성중심 수업 강화를 위한 논의와 실제를 미술의 본질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우선 미술, 미술교과 내용이 그 본질적이고 고유한 특성으로인간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인성교육 관점에서 논의하고, 이러한 관점이 반영된 교과서 내용을 선정하여 인성교육 강화를 위한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연구 내용은 다음의 논점에서 전개된다. 첫째, 미적 감수성과 도덕적 예민성, 미적 의식과 윤리적 의식과의 상관관계를 논하고 이를 구현하는 수업 내용을 제시한다. 둘째, 미술에서의 창조와 해석의 고유성으로개성,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논의와 이를 구현하는 수업을 제시한다. 셋째, 현대미술의 다양성을 통해 개방성,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인성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는 논의와 이를 구현하는 수업 내용을 제시한다. 넷째, 시각문화의 비평적 읽기를 통해 비판적 사고, 도덕적 판단력을 높일 수 있다는 논의와 이를 구현하는 수업 내용을 살펴본다. 다섯째, 미술이미지와의 대화는 자신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주어 인성교육을 실현한다는 논의와 그 수업내용을 살펴본다. 이어서 교과서에서 인성 교육 내용을 명료하게 드러내야 하며, 이를 수업에서 의미 있게 엮어내기 위해서는 교사의 능력이 전제되므로 지속적인 교사 교육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