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미술사, ‘비틀어보기’와 ‘다양성의 모색’ - 한국미술사연구(2015~2016)의 회고와 전망 -

        김정희 역사학회 2017 역사학보 Vol.0 No.235

        In the meantime, if studies of art history have mainly focused on external factors such as style, form, and background of works, studies of recent art history persistently digest intrinsic problems, intrinsic intentions and political implications. The study of Korean art history in 2015 and 2016 can be summarized by the words ‘twisting’ and ‘looking for diversity.’ ‘Twisting’ is a re‐examination of what has been taken for granted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Looking for diversity’ means that the outline of the research field has expanded, and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with other fields has been made. This view is not different from the trends of other humanities, and it may be the direction that art history should pursue in the future. However, if it is based on the humanistic methodology, it is necessary to have a balanced viewpoint in that the art works which are targeted at ‘works’ may fail if the works are omitted. In addition, the research method for each field is so different that the problem of what kind of research methodology is desirable at present is encountered. There are areas that deviate from the essence of art history by analyzing and classifying styles and forms by microscopic methodology and interpreting them by way of over‐interpretive methodology. Indeed, it is the time that the worries between art as work and art history as humanities are more serious than ever. 본고에서는 2015~2016년에 이루어진 한국미술사 연구에 대해 먼저 한국미술사연구의 동향에 대해 간략하게 서술하고, 이어 회화사와 조각사, 공예사, 건축사 등 각 분야에서 이루어진 성과를 저서와 학술지에 발표된 논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기간동안 한국미술사 분야에서는 다양한 전시와 학회가 개최되었으며, 저서, 학위논문, 학술논문 등이 발표되고 소개되면서 어느 해보다도 풍성하고 학문적으로도 성숙한 성과를 이루었다. 그동안 미술사연구가 주로 작품의 양식과 형식, 조성배경 등 작품의 외적인 요소에 치중해왔다면, 최근의 미술사연구는 작품 내적인 문제, 즉 작품 속에 내재된 의도, 정치적 함의 등을 집요하게 파고든다. 2015년과 2016년의 한국미술사 연구는 ‘비틀어보기’와 ‘다양성의 모색’이라는 단어로 요약할 수 있을 듯하다. ‘비틀어보기’란 기존에 당연시 되어왔던 내용들을 다른 시각에서 재조명한 것이며, ‘다양성의 모색’이란 연구분야의 외연이 확장되고 타분야와의 통섭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은 여타 다른 인문학의 경향과도 다르지 않으며, 앞으로 미술사가 추구해야할 방향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너무 인문학적 방법론에 치우치게 되면 ‘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사에 있어서 자칫 작품은 빠지고 주변만 남게되면 오류를 범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균형있는 시각이 필요하다. 또한 각 분야마다의 연구방법이 너무 상이하여, 과연 현재에서의 바람직한 연구방법론은 무엇인가하는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미시적인 방법론에 의해 양식과 형식을 분석하고 분류하여 작품에 접근하는가 하면 지나치게 도상해석 위주의 방법론에 의해 작품을 해석함으로써 미술사의 본질에서 벗어난 분야도 있다. 그야말로 작품으로서의 미술과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사 사이의 고민이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때이다. 미술사가 인문학으로서 존재하기 위해서는 다른 학문과는 차별되는 미술사 나름의 방법론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시각예술과 인문학의 접점 및 경계를 잘 맞추어 나가려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해방 후 1세대 미술사학자 蕉雨 黃壽永 선생의 연구방법론 고찰 : 塔婆와 佛敎彫刻史 연구 활동을 중심으로

        홍대한 한국사학사학회 2012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6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이 한국미술사를 자의적으로 論斷하는 상황은 해방 이후에도 단시간에 변화되지 않았다. 그것은 고유섭을 제외하면 한국미술사 연구자가 전무했으며, 식민지배 강화를 위해 왜곡된 미의식과 미술사방법론이 이 땅에 뿌리 깊게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황수영은 스승 고유섭의 연구 성과를 집대성하는 과정을 통해 독학으로 한국미술사의 방법론을 개척했다. 이러한 사실은 비단 황수영 뿐만 아니라 1세대 미술사학자로 대변되는 대다수 선학들의 공통점이다. 1960년 황수영 이외 몇 명의 주도로 설립된 고고미술동인회는 최초의 고고학, 미술사 저널을 발행하면서 해방 후 한국인에 의한 독자적인 미술사학연구 체제를 구축했다. 황수영의 연구 범위는 조각과 탑파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범종, 사경, 불화로 까지 외연을 확장했다. 그렇기 때문에 황수영의 전공은 조각사니 공예사니 하는 일부 학문에 국한되지 않고 불교미술사학자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다. 그의 왕성한 학문적 열정은 불교미술의 제 분야 섭렵을 통해 스스로 규정짓지는 않았으나 나름의 미학에 기반 한 미술사 연구를 진행해 나갔다. 특히 양식론에 입각한 미술사연구방법과 제반 학문분야의 연구성과를 미술사연구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은 현재로 까지 이어지면서 한국미술사 연구의 토대를 놓았다는데 각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 KCI등재

        근대기 한국과 중국의 미술사 서술: 고유섭(高裕燮)과 텅구(滕固)를 중심으로

        정수진 한국미술연구소 2023 美術史論壇 Vol.- No.56

        20세기 초반의 우리나라와 중국은 사회의 각 분야에서 급격한 변혁을 겪고 있었으며 서구와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새로운 학문 체계가 구축되기 시작하였다. 미학과 미술사학 역시 이 시기에 도입되어 소수의 한국과 중국 학자들에 의하여 조국의 미적 특질 규명과 자국미술사의 서술이 추진되었다. 이 학자들 가운데 양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학문적 성과를 이룬 인물로는 각각 고유섭(高裕燮, 1905~1944)과 텅구(滕固, 1901~1941)를 들 수 있다. 이 두 학자는 자국미술사를 연구하고 서술함으로써 근대기의 과제였던 국민국가의 토대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학문적 기초는 서구의 사상과 이를 선행하여 수용하고 변주한 일본의 영향으로 마련된 것이었다. 즉 이들은 19세기 서구의 철학과 사학 연구 방법론을 수용하여 신칸트학파의 영향으로 자국의 미학을 연구하였고, 뵐플린의 양식사와 리글의 정신사를 토대로 자국미술사를 정립하였으며, 불교를 문화의 핵심으로 본 고대 중심의 일본 관제 미술사의 시각으로 발전론적 미술사의 통사를 서술하였다. 그리고 바로 식민사관을 극복하지 못하였다는 이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전통에서의 탈피를 근대화의 한 축으로 본다면 이들의 미술사는 전통적인 화론(畫論)에서 벗어나 신학문의 체계를 갖추었다는 점에서 근대성을 갖추고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20세기 초라는 시대적 한계는 그 근대성과 식민성을 분리할 수 없게 하였다. 연구자는 자신을 투명하게 비우고 연구대상에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한 인식론적 존재로, 추정적이며 가변적인 인식의 패러다임을 통한 시각 등 당대의 인식론적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고유섭과 텅구는 기존의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각국 미술의 독자성을 규명한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 이후의 한국에서는 민족주의와 반식민지주의 사관의 미술사가, 중국에서는 마르크스주의의 물질론적 미술사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각각 1960년과 1980년 이후부터 내재적 발전론의 미술사가 연구의 풍토를 이끌었다. 이러한 미술사학의 발전은 고유섭과 텅구가 이루어놓은 초기의 성과를 발판으로 가능한 전개였다. 즉 고유섭과 텅구는 동아시아 미술사학의 정초를 놓은 연구자이며 이들 연구 성과의 공통점은 20세기 초반 동아시아 미술사의 성격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역미술사 서술을 위한 구술사방법론 활용 가능성 : 구술연구사례를 중심으로

        한재섭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9 감성연구 Vol.0 No.19

        The study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a research and its participants whose work mainly focuses on oral records of senior artists at Gwangju Museum of Art from 2015 to 2017. The work outline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oral record of local art history. Unlike historical writings centered on the text, the history of oral compositions revolves around a person's memory and words Thus there seems to be a distrust of individuals’ memory and words among the existing history community, but this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literature study that depends on material interpretations that change over time. The history of oral compositions also seeks to gain authority as the authentic historical materials by talking about selected words through a memory contention. Oral descriptions of local art history can excavate more data and restore memories by using these oral history methodologies. This can bridge the gap of local art culture, which capital-focused context is losing. It also provides an inspiration for preserving the present and upcoming local art culture. And descriptions of local art history provide a rich view of history by describing specific facts and vivid experiences of individuals that have not been discussed about in the known written art history. Ultimately, the description of local art history creates a rift in Korean art history; the use of oral methodologies can present various perspectives for the existing art history. 이 연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광주시립미술관의 원로 작가 구술채록연구에 참여한 연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미술사 서술에 구술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정리한 글이다. 구술사는 문헌사 중심의 역사서술과 다르게 사람의 기억과 말을 중심으로 서술된다. 이에 개인의 기억과 말에 대한 기존 역사학계의 불신이 있으나 이는 어떤 텍스트를 우위에 놓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문헌사와 크게 다르지 않다. 구술사도 기억의 경합을 통해 선택되어진 말을 이야기함으로서 역사적 자료로서 권위를 획득해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역미술사 서술은 이와 같은 구술사방법론을 활용하여 더욱 많은 자료의 발굴과 기억의 복원을 해낼 수 있다. 이는 중앙 중심의 텍스트가 놓치고 있는 지역미술문화라는 공백 지점을 메꾸는 역할임과 동시에 현재와 다가올 미래의 지역미술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영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지역미술사 서술은 중앙 중심으로 쓰여진 미술사가 갖지 못한 구체적 사실과 개인의 생생한 경험을 서술함으로서 역사에 대한 풍부한 관점을 제공해준다. 궁극적으론 지역미술사 서술은 중앙 중심으로 서술되는 한국미술사에 균열을 내는 작업이며, 구술사방법론의 활용은 기존 미술사에 다양한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미술사와 교재 : 현대미술사 교재의 다양화를 위한 대안적 모색, 「현대미술사 교재의 다양화를 위한 대안적 모색」에 대한 질의, 강태희 선생님의 질의에 대한 답변

        조은영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5 美術史學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wofold. First, it examines the modern art history survey textbooks currently being used for art survey courses in Korean colleges. Secondly, it suggests some alternative ideas and methodologies to envision and rewrite the modern art survey text in order to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overview of modern art for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More than two decades have passed since modern art survey courses were first included in Korean college curricula. But almost all the modern art texts being utilized in classrooms represent European and American art, with a focus on its white male masters and their masterpieces, while paying little or no attention to the others from the rest of the world. This situation owes much to the fact that these texts are mostly direct translations of Western texts written mainly from a Western-centered point of view. Most instructors in the academic field of art history prefer utilizing their own methods, lecture notes and visual images to any particular textbook. While this approach has some merit, many undergraduates express difficulties in approaching modern art without a textbook. New survey texts suitable for Korean students need to be developed. These texts should deal with not only the art of the West, but also that of the East, in particular, of Kore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and glocalization, there should also be some introduction to diverse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including gender, race, and less-represented arts, artists, geographies, and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다니엘 아라스의 미술사 방법론 : ‘분석적 도상학’과 그 적용

        안나영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1

        본고는 프랑스 미술사가 다니엘 아라스(Daniel Arasse)의 미술사 방법론인 ‘분석적 도상학(Iconographie Analytique)’을 소개하고 이를 미술작품 분석에 적용하는 연구이다. 에르빈 파노프스키(Erwin Panofsky)의도상해석학(Iconology)은 미술작품의 내용과 주제 그리고 본질적인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하지만아라스는 도상해석학이 잘못된 전제와 가정에 따르고 있음을 지적한다. 도상해석학은 이미지와 텍스트의관계, 화가라는 주체의 특성, 역사 서술 방법을 숙고하지 않았으며, 미술작품 속 ‘형상(figure)’과 ‘형상화(figurabilité)’의 중요성을 간과했다. 도상해석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아라스가 제안한 분석적 도상학은 전통적인 도상학(Iconography), 미술의 사회사적 접근과 정신분석학의 개념을 결합시킨 것이다. 아라스는 미술작품이 꿈처럼 응축(condensation) 또는 중층결정(surdetermination)를 통해 생성된다고 간주한다. 그에 따라 분석적 도상학은 화가라는 주체의 예술적 개성이 드러나는 형상에 집중하여, 그 속에 응축된화가의 내밀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은 분석적 도상학을 미켈란젤로의 <모세>와 티치아노의<신중함의 알레고리>에 적용하여 미술사 방법론을 확장하는데 기여한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French art historian Daniel Arasse's art history method, 'Iconographie Analytique', and applies it to the analysis of works of art. Erwin Panofsky's Iconology aims to clarify the content, subject, and essential meaning of an art work. However, Daniel Arasse points out that Erwin Panofsky's iconology is based on false premises and assumptions. Iconological analysis did not consider the transparency of mea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s a painter, and the method of describing history, and overlooked the importance of 'figure' and 'figurabilité' in art works. Analytical iconography, which Arasse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Panofsky's Iconology, is a method that implies plural temporality that combines the concept of traditional iconography, the social history approach of art, and Freud's psychoanalysis. This method regards artwork as being created through condensation or surdetermination like a dream. Accordingly, the analysis of the work focuses on the figure that reveals the artistic individuality of the subject as a painter, and reveals the painter's intimacy condensed in it. By applying 'Iconographie Analytique' to Michelangelo's <Moses> and Titian's <The Allegory of Prudence>, we can expect the expansion of art histor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미술사, 주제의 확장과 인식의 심화: 2017년~2018년의 한국미술사 연구

        유재빈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3

        This paper examined the books and articles on Korean art history published from 2017 to 2018. As a result, two trends are found. One is that the minor areas are getting more attention such as, Joseon court paintings and folk arts(Minhwa) in the painting genre, Joseon Celadon and industrial craft in the crafts area, and lacquer statues and murals in the Buddhist arts. As many studies have been accumulated,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areas which had been disregarded before. However, this cannot be seen as just quantitative expansion, because the new genre requires new methodologies in itself. The expansion of these fields result in the diversity of views. The first tendency is closely related to the second one, the diversity of methodologies. The research in Korean art history does not just stay in the internal analysis of works such as stylistic analysis, and iconography but expands into external issues such as patronage and social structure that enabled the production of art works. The research on the royal patrons and monk-artisans of Buddhist art is one of the examples. As part of these efforts, more art historians are work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humanities fields. it is also encouraging that such collaborations result in expanding the territory of art history. 본 논문은 2017년에서 2018년까지 2년간 한국 미술사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크게 두 가지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나는 기존에는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분야가 주목을 받는 점이다. 회화에서는 궁중회화와 민화, 공예에서는 조선 청자나 근대 공예품, 불교 미술에서는 건칠 불상과 선묘 불화, 사찰 벽화 등이 그 예이다. 이는 연구가 축적됨에 따라 그동안 연구가 미진한 부분까지 관심이 미치게 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단지 양적 확대라고만 볼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새로운 장르는 그 자체로 새로운 방법론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야의 확대는 결과적으로 관점의 다양성을 가져온다. 이는 방법론의 확대라는 두 번째 경향과 연결된다. 미술사 연구가 도상, 양식 등 작품 내적 분석에만 머무르지 않고, 이를 가능하게 한 주체와 사회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되는 것이다. 회화의 정치적 성격과 사회적 기능, 불교 미술의 제작 집단과 발원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러한 예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더 많은 미술사학자들이 다른 인문학 분야와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미술사의 외연을 확장한다는 점에서도 무척 고무적인 일이라고 생각한다.

      • KCI우수등재

        다양한 모색 속에 깊어지는 연구: 아시아미술사 연구(2021~2022)

        심영신 역사학회 2023 역사학보 Vol.- No.259

        지난 2년간의 아시아미술사 연구는 양과 질 양면에서의 성장을 이어갔다. 이러한 성장은 작품을 바라보는 시각과 작품 연구의 방법론을 구축하려는 다양한 시도 속에서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대체적인 연구방법론은 네 가지로, 양식과 도상 분석을 통한 시각적인 해석은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한다. 작품 제작의 사회적 배경 혹은 특정 시기의 인식에 대해 고찰하는 글의 숫자도 늘고 있다. 여기에 시각문화연구와 물질문화연구의 방법에 기초한 논고를 추가할 수 있다. 이글에서는 미술사 인식의 틀에 대한 반성적 고찰이나 기존의 시각을 벗어난 새로운 관점에서의 연구들과 이전에는 다루지 않았던 여성의 이미지와 같은 새로운 소재의 연구에도 주목했다. 이러한 성과는 우리 학계에 새로운 관점이나 연구 방향에 대한 모색이 공통된 인식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았다. 이같은 새로운 연구의 관점이나 방법을 통해 미술작품 해석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면서 아시아미술사의 질적 성장이 향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Over the past two years, research in the field of Asian art history has continued to grow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This growth has been driven by various attempts to shape the perspective of viewing artworks and to develop new methodologies for research. Generally, there are four primary research methodologies, with a significant emphasis still placed on visual interpret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tyle and iconography. The number of articles exploring the social context of art production or the perception of specific periods has also increased. Additionally, discussions based on the approaches of material culture studies and visual culture studies have also been included. In this context,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reflective considerations on the framework of art historical perception and research from new perspectives that go beyond traditional visual analysis. Furthermore, this paper focuses on research into new subjects that were previously less explored, such as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art. These achievements have been driven by a shared awareness within our academic community of the need to explore new perspectives and research directions.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se new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which open up new possibilities for interpreting artworks, the qualitative growth of Asian art history will continue to thriv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