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래의 과학교육 핵심 역량에 대한 인식 연구

        홍준의(Hong, Juneuy)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0 No.4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미래의 핵심 역량과 미래의 교육 공간,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는 중부권 대학교의 사범대학 예비 과학교사 45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내용은 미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미래 학교 공간에 대한 인식, 미래 과학교육 환경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1세기 기능(21st century skills)에서 제시하고 있는 미래핵심역량에 대해 예비교사들이 동의하는 정도는 90%의 동의율로 전반적으로 높은 동의율을 나타내고 있다. 21세기 기능의 세부 영역에 대해서는 학습과 혁신 영역에서는 4.6점(92%), 정보와 미디어 및 기술 소양 기능은 4.6(92%), 생활과 직업 기능은 4.5(90%)를 나타내었다. 둘째, 학교 환경은 안전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하고 미래 교육 환경을 구축하고 쾌적한 교육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내었다. 또한, 미래 학교 교육 공간 구축을 할때 인성 교육의 공간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다음으로 창의성을 위한 공간과 인권교육 공간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나타났다. 셋째, 미래의 과학교육은 융합교육이 증가할 것이다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94%의 동의율을 나타냈다. 미래에 교사의 역할은 55.6%의 예비교사가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에 비해 11명, 24.4%는 줄어들 것, 9명, 20%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가까운 미래에 학급당 학생 수는 15명 내외가 적절하고, 지식 전달보다는 탐구 활동이 우선시 되며 개별화 학습이 일반화될 것으로 보고있었다. 미래의 과학 융합교육에는 AI, AR, VR 등의 기기를 많이 사용하게 될 것이며, 스마트폰이나 패드, 노트북 컴퓨터 등을 활용한 수업이 많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기기의 효용성과 학습에 있어서의 수준별 개인별 수업 전략이 일상화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측면과 시공간을 초월하는 교육형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기기의 사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의견이 대부분을 이루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21st century skills and future educational spac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r this study, 45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from the colledge of education participat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consisted of 21st century skills, recognition of future school space, and recognition of future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to which pre-service teachers agree on 21st century skills presented, which is the future core competencies, is 90%, showing a high overall consent rate. For the detailed areas of 21st century skills, the learning and innovation area scored 4.6 points (92%), the information, media and technical literacy skills were 4.6 (92%), and the life and career skills were 4.5 (90%). Second, the school environment indicated that safety should be secured firs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uture education environment and to have comfortable educational facilities. 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an educational space for future schools, a response was found that a space for character education is needed first, followed by a space for creativity and a space for human rights education. Third, for the question that future science education will increase convergence education, a 94% consent rate was shown. In the future, 55.6%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role of teachers will increase. In comparison, 11 respondents, 24.4% said they would decrease, and 9 respondents, 20% said it would remain the same. In the near futur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will be around 15, and inquiry activities will take precedence over knowledge transfer, and individualized learning will be generalized. In the future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many devices such as AI, AR, and VR will be used, and it is expected that many classes will take place using smartphones, pads, and laptop computers. Most of the opinions that the use of digital devices will increase because there may be aspects of the effectiveness of devices and the form of education that transcends space and time and the aspect that individual class strategies for each level in learning will become commonplace.

      • KCI등재

        시·도 교육청 ‘미래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김혜란 ( Kim Hyelan ),손준종 ( Son Joonj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해 ‘미래교육’ 정책이 그리는 미래의 교육 모습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미래교육’ 정책을 뒷받침하는 논리적 정당성은 무엇인가. 둘째, ‘미래교육’은 어떤 학생을 길러내고자 하는가. 셋째, ‘미래교육’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먼저 ‘미래교육’은 비교육적 관행과 소외를 극복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예측 불가능한 미래 사회에 대비한다는 데에서 정책의 정당성을 찾고 있었다. ‘미래교육’이 길러내고자 하는 학생은 지식과 정보를 소비하고 생산하는 생비자, 배움과 삶을 주도할 수 있는 학생, 민주시민 역량을 갖춘 미래인재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래교육’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흥미, 진로, 요구 등 학생들이 지닌 특성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해야 하며, 학생들이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선택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래교육’ 정책이 형성하는 교육 담론을 사회적 구성물이자 특정한 미래를 형상화시킨 결과로 바라보며, 이에 정책에 가시적으로 드러난 교육적 사고, 가치, 행위과 더불어 주변화된 것은 무엇인지 주목하고 우리가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실천하는 것들은 과연 무엇인지 성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Future Education” policy.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logical justification that supports the “Future Education” policy? Second, what kind of students does “Future Education” aim to raise?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Education” curriculum?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as utilized.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uture Education” looks for the legitimacy of its policy in overcoming non-educational practices and alienatio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preparing for an unpredictable future society. It wants students to be prosumers who not only consume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also produce, to lead their learning and life, and to be talent with democratic citizenship. Finally, the “Future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d that we need to teach and learn what students want and need and that students should manage self-directed learning by themselves. This study views the educational discourse formed by the policy as a result of selecting specific educational thoughts, values, and practices, not educational and justifiable in itself.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o see both what is visible and what is marginalized in policy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what we think and practice in the name of education.

      • KCI등재

        AI 시대의 미래 만들기(Creating Future)를 위한 서사교육의 방향

        방은수 ( Bang Eunso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특별호2

        이 연구는 ‘AI 시대에 학습자가 어떤 미래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AI시대를 대비하는 서사교육의 방향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서사는 AI 시대에 유토피아적 미래로 나아가는 방향을 탐색할 수 있는 일종의 시뮬레이터이다. 학습자는 허구를 매개로 인물과 사건, 가상의 시공간을 설계하여 AI 시대의 미래를 서사적으로 모의실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래 세대인 학습자가 AI 시대에 만들어 나가야 자신들의 삶에 대해 성찰할 수 있다. 따라서 AI 시대의 미래 만들기 차원에서 서사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해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AI 시대 교육의 지향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AI 시대의 교육이 사실이나 지식, 기술적 소양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상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미래 만들기의 수단으로서 서사교육의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서사는 삶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가운데, AI 시대 미래의 삶을 다양한 방식으로 시뮬레이션하는 삶의 도구이다. 학습자는 서사적 모의실험을 통해 AI 시대에 더 나은 미래 만들기를 전략적으로 기획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AI 시대에 걸맞는 인간적 성장을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AI 시대에 미래 만들기를 위한 서사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구체적 내용을 밝히면,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미래의 딜레마 상황 성찰’, ‘관계적 상상력을 통한 AI와 인류의 공진화 모색’, ‘서사적 상상력을 통한 좋은 삶의 탐색’ 등이 있다. 이미 한국사회에서는 AI 시대의 도래를 알리는 징후들이 포착되고 있다. 분명한 것은 AI 기술이 촉발시킬 사회적 변화와 혼란을 완벽하게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다. 앞으로 다가올 AI 시대를 대비한 교육적 논의가 절실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연구는 그동안 학습자의 학습 역량 및 기술적 소양 강화 중심의 AI 교육에서 벗어나 AI 시대의 미래 만들기에 교육적 접근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narrativ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AI era, focusing on the question consciousness of'What kind of future should learners create in the AI era?' Narrative is a kind of simulator that can explore the direction to a utopian future in the AI era. Learners can narratively simulate the future of the AI era by designing characters, events, and virtual time and space through fiction. In this way, learners, the future generation, can only reflect on their lives when they make it in the AI era.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narrative education in terms of creating the future of the AI era. First, we looked 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AI era. He argued that education in the AI era should go toward reinforcing imagination about the future, not facts, knowledge, or technical literac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ignificance of narrative education as a means of making the future was discussed. Narrative is a life tool that simulates the future life of the AI era in various ways while securing the continuity of life. Learners can strategically plan to create a better future in the AI era through narrative simulations. In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find ways to achieve human growth that fits in the AI era. Finally, we proposed the direction of narrative education to create the future in the AI era. Specifically, there are'reflection of future dilemma situations through moral imagination','seeking co-evolution of AI and humanity through relational imagination', and'exploration of excellence in life through narrative imagination'. In Korean society, signs that signal the advent of the AI era are already being spotted. What is clear is that we cannot fully predict the social changes and disruptions that AI technology will trigger. This is wh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educational discussions in preparation for the upcoming AI era. This study can find its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s an educational approach to creating the future of the AI era, moving away from AI education focused on reinforcing learners' learning capabilities and technical literacy.

      • KCI등재후보

        사회과에서 미래문제 접근으로서 시나리오 방법을 활용한 미래교육과정 구성 방안

        박길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시나리오 방법을 활용하여 미래사회에서 야기될 것으로 예측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래교육과정의 구성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미래연구의 역사와 미래학자가 본 미래사회의 특징을 분석하고, 미래에 직면하게 될 문제를 도출하였다. 둘째, 미래문제를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나리오 방법을 분석하였다. 셋째, 사회과에서 미래교육의 필요성과 미래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중심으로 미래교육과정의 구성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서 학생들이 미래사회에 대한 이해와 함께 미래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민적 자질을 육성할 수 있는 미래교육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hat researching constitution device of future education curriculum to solve the problems which will be expected in future society using Scenario Planning. The study is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analyze history of future research and feature seen by futurist and deduct the issues facing in the future. Second, analyze Scenario Planning as a way to approaching the future problems. Third, find the constitution device of future education curriculum placing emphasis on necessity of future education and goal, content, method and assessment of future education on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foundation of future society that students will understand about the future society and promoting citizenship which can react pushfully about future problem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등재

        미래 학교교육 변화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필요한 교사 전문성 탐색

        곽영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1

        미래 교육환경 변화 및 교육과정 자율화와 더불어 교사역할의 재개념화가 필요하다. 특히 미래학교로 갈수록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대강화됨에 따라 교사는 자율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주체의 역할을 하도록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학교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교사 전문성, 특히 학교 교육과정 연구·개발자로서의 교사의 역할과 비전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 심층면담과 협의회를 통해 약 15~20년 후의 학교교육의 변화를 전망하고, 미래학교에서 요청되는 교사전문성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미래학교 교육전망으로 변형이나 재구조화 시나리오가 실현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응답하였다. 미래학교에서 요청되는 교사 전문성으로는 인간 변화에 대한 이해력, 타자와의 관계능력, 교과전공지식, 교수법 혹은 수업의 전문성, 핵심역량, 평가전문성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미래학교의 교사는 능동적으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주체의 역할을 하도록 기대되는데, 이러한 미래학교에 대처하려면 교직문화를 학습공동체로 바꾸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주장하였다. 이에 결론 부분에서는 미래학교에서 요청되는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해 학습공동체를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교사 학습공동체를 통해 집단지성을 함양하려면 학습공동체의 활동을 보장하고, 다른 학습공동체와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연구공동체의역할을 수행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A reconceptualization of the roles of teachers is necessary with changes in the future education environment and curriculum autonomy. In particular, teachers are expected to design and operate school-level curriculum as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is simplified or decentralized in future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s’ professionalism, roles, and visions as school curriculum designers and developers with changes in the future education environments. We explored possible scenarios for future schooling in 15-20 year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required in the future school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meetings with 23 exper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xperts regarded ‘the transformation or reconstruction scenario’ as highly possible and desirable, followed by ‘the market scenario’. The components of teacher professionalism for future schooling suggested by the experts include the following: understanding of human change, relationship with ot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teaching expertise, key competencies, assessment expertise, etc. Teachers in the future school are expected to actively reconstruct school-level curriculum, and therefore they should change the school into a learning community to respond to the demand. Discussed in the conclusion are several ways to use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to meet the demands of autonomous school-level curriculum reconstruction including assuring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networking with other learning communities, and performing research community roles.

      • KCI등재

        부산 미래교육 비전 및 실현방안 탐색

        남창우 ( Nam Chang-woo ),이동엽 ( Lee Dong-yub ),이영태 ( Lee Young-tae ),권종실 ( Kwon Jong-si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바람직한 인재 양성을 위해 부산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초·중등 교육의 방향 및 역할을 탐구하고, 부산의 고유한 교육 정체성을 바탕으로 지능정보기술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미래형 교육체제 구축 교육 패러다임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의 일환으로 미래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교육 관련 선행연구 및 부산 미래교육 연구 및 사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는데, 델파이 조사를 위한 전문가 집단은 초·중등 교원 2명, 정책집행전문가 2명, 정책연구 전문가 3명 그리고 미래교육 전 문가 2명의 총 9명으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 문항은 부산 미래교육 기본방향, 부산 미래교육 비전 및 목표, 부산 미래교육 추진 전략, 부산 미래교육 추진과제(아젠다) 그리고 부산 미래교육 추진 과제에 대한 타당도의 총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총 2차에 걸쳐서 진행되었으며, 1차 델파이 조사 실시 후 델파이 조사지의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여 2차 델파이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부산의 교육 환경 및 특징에 기반한 교육정책의 방향 및 전략을 구안하여 ‘인성 중심의 미래지향적 본(本) 교육 (New-tro: 뉴트로)의 구현’ 이라는 부산형 미래교육의 비전을 도출하였다. 또한, 미래교육에 맞는 중점 과제와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추진 과제를 설정하여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실행 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promotion of human resources to prepare for the fourth round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Busan’s education is facing how to find the direction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their role.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Busan’s future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on Busan’s educational identity.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implemented a literature review about future education by analyzing some previous studies about how to respond to future society and about the basic directions of Busan’s education. This study employed delphi technique by organizing an expert group of two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two experts in policy implementation, three experts of policy research and two experts of the future education, totally nine members. Delphi survey questions are basic direction, vision, goals, practice strategies, and agenda for future education in Busan and the validity of the five domains was checked.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two rounds. After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e first delphi surve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contents of the delphi-survey. After the process,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developed and conducted. As the result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of Busan c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olidified the meaning of the Busan’s future education, which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sonality-oriented "new-tro"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and systematic implementation plans by establishing the main tasks and the implementation tasks to realize Busan’s future education.

      • 미래교육 연구 동향 및 과제 : 국내 주요 국책교육연구기관 연구물을 중심으로 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이승호,신철균 한국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표적인 국책 교육 연구 기관의 연구물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미래교육의 연구 동향 및 과제를 분석함으로써 미래교육 관련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교육’과 관련한 보고서의 양이 10년 전인 2007년 이전에 비해 최근 10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최근 5년간 발간된 보고서의 양은 그 이전에 발간된 보고서의 총합과 비등할 정도로 급격히 늘어났다. 둘째, 키워드 빈도 분석을 살펴보면 기관별로 특징이 두드러지는 경향이 확연하다. 즉, KEDI는 미래전망, 교육비전, 교육정책을, KICE는 교육과정과 핵심역량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 KRIVET은 인적 자원, 미래 직업 등이 주요 키워드로 나오고, KRIVET은 KERIS는 테크놀로지, 교수학습, 핵심역량이 출현 빈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빈도는 높지 않지만 매개중심성이 높은 ‘학령인구감소’와 같은 키워드를 매개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넷째, 정부출연기관의 ‘미래교육’관련 보고서들은 주로 ‘지속 이미지’ 및 ‘변형사회 이미지’의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해온 경향이 있어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래교육 관련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각 연구기관의 고정적 주제에 국한되지 않은 경계를 넘어서는 종합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양한 ‘미래 이미지’에 따른 미래교육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미래’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면 ‘막연한 미래’가 아닌 ‘구체적 실체가 있는’ 종합적인 미래 교육에 관한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미래교육학의 연구동향 :‘미래교육연구’발행 논문을 중심으로

        송시현,김성길,원종숙 한국미래교육학회 2020 미래교육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future education by analyzing the article on 'Future Education Research' and to suggest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121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Future Education Research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uture Education Study’ from 2011 to December 2019. The analysis was largely composed of five part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Future Education Research'. Second, summary of ressearcher’s characteristic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method, the most used method was Mixed Research, and the unusual point was 'thought experiment'. Fourth, the main research subjects were students, which is predictable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researchers are professors and teachers. Finally, in the analysis of 'research subject words', many theme words such as 'Erudition', 'futur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were repe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research. First, education cannot have a single character, so it is necessary to try fusion and complex research between other fields and academic fields as well as researchers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research methods, especially by utilizing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expert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is expected to study long-term and various methods. Las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originality of 'future education research'. In particular, I hope that we will be able to find original and professional research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uture Education Study’ through serious and steady research and practical activities on the 'Erudition paradigm'.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교육연구’ 투고논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미래교육학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대상은 한국미래교육학회의 학술지 ‘미래교육연구’에 2011년부터 2019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 121편이다. 분석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미래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현황을, 둘째로는 연구자 특성을 정리하였다. 셋째로는, 연구방법을 분석한 결과, 혼합연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특이한 점은 '사고실험'이 사용되었다. 넷째, 주요 연구대상은 학생이었는데, 이는 연구자의 대부분이 교수와 교사임을 감안해보면 예측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연구 주제어' 분석에서는 '배움', '미래교육', '다문화' 등의 주제어가 다수 반복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미래교육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면, 첫째, 교육은 단일한 성격을 가질 수 없으므로 향후 연구에 있어서 타 분야 및 학문 간 뿐만 아니라 연구자간 융·복합적인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방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특히 교육현장의 전문가와 연구자가 많이 있는 점을 활용하여 장기적이고 다양한 방법의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끝으로, ‘미래교육연구’만의 독창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배움 패러다임'에 대한 진지하고 꾸준한 연구와 실천 활동을 통해 한국미래교육학회만의 독창적이고 전문적인 연구자를 발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학령인구 감소 시대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 탐색: 미래학교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김현미,이수정,최항섭,변희현,정은주,주형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through developing future school scenario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future education and scenarios, embodied three 2040 future school scenarios and related issu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for future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 issues and prepare for the future. First, this study analyzed recent research on megatrends of future society, future school cases, and scenarios of future education. Second, it utilized scenario research method and Delphi survey. Four variables were set for future school scenarios: school-age population distribution, school operation, educational space, and educational governance. Third, it developed three 2040 future school scenarios: Concentrated, Distributed, and Crisis Scenarios. It also discussed several issues predicted in each scenario. Finally, based on the scenarios and issues of future schools,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change for future education and improvement plans. For future education, school education should be redesigned reflecting the school-age population decline, school operation should be diversified, educational space should be expanded, and educational governance should be dispersed.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 시대의 미래학교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이를 바탕으로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래 교육 및 시나리오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시나리오 방법론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3개의 2040년 미래학교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각 시나리오에서 예상되는 쟁점들을 바탕으로 하여 미래 학교교육의 변화 방향을 탐색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는 미래 사회 메가트렌드, 미래학교 사례, 미래 교육 시나리오 등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메가트렌드 및 시나리오의 변인들을 본 연구의 변인 도출에 참고하였다. 둘째, 연구 방법으로는 위계적 복합시나리오 방법론과 온라인 델파이 조사를 활용하였다. 시나리오의 변인으로는 학령인구 분포, 학교 운영, 교육 공간, 교육 거버넌스의 4가지를 도출하였다. 셋째, 델파이 조사 결과를 통해 2040년 미래학교 시나리오로 집중형, 분산형, 위기형 시나리오를 포함한 3개의 시나리오를 구체화하였다. 또한 각각의 시나리오에서 예상되는 쟁점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래학교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미래 학교교육의 변화 방향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정책적 개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으로는 학령인구 변화를 반영하여 학교교육을 재설계하고, 학교 운영은다변화되고, 교육 공간은 확장되며, 교육 거버넌스는 분산되는 방향으로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 KCI등재후보

        미래 학력 논의가 교육과정 연구에 주는 시사

        이승은 ( Seung Eun L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미래 학력에 관한 논의가 교육과정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급격한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교육계에서도 미래 사회를 위한 교육의 역할을 규정하기 위한 다방면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주목을 끄는 연구는 미래 학력에 관한 연구이다. 미래 학력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과정은 미래 학력을 기르는 필수적 수단이라는 점에서 미래 학력 논의는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다. 이와 같이 미래 학력에 관한 논의가 교육과정 연구와 갖는 밀접한 관련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먼저, 미래 학력과 관련된 세 가지 질문―우리가 길러야 할 미래 학력은 무엇인가(목표), 무엇으로 미래 학력을 길러야 하는가(내용), 어떤 방법으로 미래 학력을 길러야 하는가(방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결과, 미래 학력과 역량을 동일시하는 현행의 접근법이 가진 문제점이 드러났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교육과정 연구의 주요 접근법을 중심으로 학력의 개념을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력은 세 가지 관점―교과교육의 결과로서의 학력, 일반적 능력으로서의 학력, 역량으로서의 학력―으로 파악될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 세 가지 관점은 각각 교육과정의 무기력성을 규정하는 관점으로 이어진 다는 점에도 주목하여, 교육과정 연구에서 미래 학력 논의가 갖는 맥락을 복원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래학력 논의가 교육과정 연구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무기력성을 극복하기 위한 세 방면의 논의가 포함해야 한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Nowadays, Korean schools struggle to meet the rising demand of preparing students for their future lives. Although the goal of schools is to prepare students for the future seems simple and agreeable, there is still debate surrounding the difficulty to reach an agreement on the objectives of school curriculum, the criteria of selecting the subject-matter, and methods to deliver the curriculum. These difficulties arise mostly from the failure of defining the concept of academic ability for the future. This study reviews recent debates over academic ability for the future and identifies its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research. As academic ability for the future views curriculum as indispensible means for developing students’ abilities, the discussion of academic ability for the future is deeply related to curriculum research. Paying attention to this relationship, firstly,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three basic questions of academic ability for the future: 1) what are the objectives academic ability for the future?; 2) which subject matter effectively develops students’ abilities? ; and 3) which methods effectively develop students’ abilities? Results of this study involve three controversial issues which are discussed one by one in detail. Firstly, this study discusses the problem of identifying the concept of academic ability for the future with that of competency. Secondly, this research endeavors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academic ability in terms of three primary approaches in contemporary curriculum research. It shows the concept of academic ability can be reconstructed in terms of 1) ability as a consequence of subject-matter study, 2) ability as general ability, and 3) ability as competency. Finally, when these three characteristics of abilities are carried over to the discussion of curriculum theory, they restore the context of using the concept of academic ability for the future in the field of curriculum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