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의 도시 발달과 물의 사회적 순환

        최병두(Byung Doo Cho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1

        물은 단순히 자연 자체라기보다 사회적 구성물이다. 따라서 물에 관한 연구는 자연/사회를 이분법적으로 구분 하는 근대 과학적 접근에서 ‘사회적 자연’으로 이해하는 구성주의적 및 정치생태학적 접근으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특 히 도시의 물은 자연적 순환과는 다른 인위적 생산-유통-소비-배출-처리 과정, 즉 사회적 순환과정을 통해 흐른다. 도시에서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는 도시의 근대화 과정 속에서 발전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자연의 사회적 구성주의에 바탕을 두고 도시 물의 사회적 순환을 개념화하고, 대구시를 사례로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의 발달, 즉 물의 근대화 과 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대구시의 물의 근대화 과정에 따른 사회적 순환체계의 발달은 4 단계, 물의 근대 화 도입 시기, 물의 본격적 근대화 시기, 물의 성찰적 근대화 시기, 물의 신자유주의화 시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대구 시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의 발달은 도시의 공간적 팽창과 도시적 생활양식을 뒷받침하면서 도시 인구의 증가와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현재 대구의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는 취수장 이전, 정수시설의 과잉, 수돗물에 대한 불신, 물 이용의 불평등, 물 요금의 현실화, 도시 내 공단 폐수, 물 환경의 창조적 파괴, 물의 민영화 등 다양한 문제들을 안고 있다. This paper is to conceptualize the urban social circulation of water from the social constructivism and political ecology and to analyze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social circulation of water that is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water in Daegu. The development of social circulation system of water in Daegu can be divided into 4 stages that is the beginning stage of modernization of water mainl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the take-off stage from the 1960s to the mid-1980s the stage of reflexive modernization from the late 1980s to the 1990s and that of neoliberalization of water since the 2000s. It can be seen that the development of social circulation system of water in Daegu has contributed the increasing urban popul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especially supporting the spatial expansion of the city and the way of modern way of urban life. But the social circulation system of water in Daegu seems to meet with a lot of problems such as relocation of the water intake station over-equipment of filtration plants distrust on tap water inequality of water use readjustment of water charge liquid waste from industrial complexes within the urban area creative destruction of waterfront environment and privatization of water.

      • KCI등재

        물의 순환을 소재로 한 환경 그림책 제작연구

        황순선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2 No.26

        물의 순환을 소재로 한 환경 그림책 제작연구’는 저학년 어린이를 위한 환경 그림책중 물과 관련된 연구이며, ‘물방울 세 친구의 여행’의 출판 제작 사례연구이다. 연구목적은 어린이 환경 그림책 중에서 물의 순환과 관련된 저학년 어린이 그림책을 분석하여 그 내용을 살펴보며 실제 그림책 제작과정을 제시하여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 연구범위는 어린이 환경 그림책 302권으로 그림책의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환경 그림책의 내용으로는 지구의 자원보호, 우리의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기(환경오염 포함), 나무와 식물보호 및 지구에 사는 동물보호와 에너지와 재활용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물의 순환을 소재로 한 환경 그림책 연구에서는 지구의 자원보호 중 물의 순환을 일러스트 표현과 내용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환경 그림책 중에서 물의 순환을 과학적 측면이 아닌 지구의 자원 보호를 중심으로 한 그림책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2006년 출판된 그림책, ‘물방울 세 친구의 여행’을 제작 사례로 기획, 그림책 구성 및 내용, 캐릭터 및 일러스트, 부록디자인과 더미 북(편집), 평가 및 출판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 환경 그림책 출판과정이 포함된다. 결론으로 물 등 지구의 자원을 보호하기‘를 주제로 한 그림책이 더 개발돼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관련한 분야의 사람들에게는 좋은 연구 콘텐츠가 될 것이다. 'The Study of Environmental Picture Books on the Water Cycle' is a study of picture books with environmental themes for young schoolchildren, and also is a case study of the publication of 'The Journey of Three Water Drops'.This study aims to analyse picture books for schoolchildren related to the theme of the water cycle, and con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the actual process of picture-book production. In total, 302 picture books with environmental themes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ose books have been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main themes and subjects. For the study of picture books on the water cycle have been chosen from conservation of resources, and are analysed in terms of their illustrations and contents. This study does not intend to view the theme of the water cycle from a scientific perspective. Rather, much more emphasis is placed on the presentation of the theme through the picture-book format. For this aim,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The Journey of Three Water Drops', published in 2006, is presented and analysed as a case study, and its planning, contents, character and illustration, appendix, dummy book, publication and evaluation have been studied and analysed. In conclusion, picture books on the protection of natural resources such as water should be developed more vigorously, and it is expected that these picture books would become a good source of research for the related people.

      • 물의 순환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체험학습활동의 효과

        김효남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6 No.-

        이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16명을 대상으로 물의 순환에 대한 개인별 관찰일기를 7일간 쓰도록 하고, 학생들이 쓴 관찰일기를 활용하여 모둠별로 물의 순환 그림을 그려 보는 활동의 학습효과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개인별 관찰일기와 조별 물의 순환 그림, 그리고 교사의 수업소감을 정리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관찰일기에는 물의 상태변화에 대한 관찰과 용어, 그리고 날씨에 대한 용어가 많았다. 또한 학생들은 자연에 대한 호기심과 과학 학습에 대한 의욕과 자신감을 나타내었다. 빨래, 물웅덩이, 화단, 음식점, 교문 앞과 같은 생활과 관련된 상황이 제시되었다. 둘째, 모둠별 물의 순환 그림에는 빨래의 건조에서 나타나는 증발현상과 음식을 끓일 때 나오는 김이 흩어지는 모습, 운동장의 물웅덩이가 등장하였다. 눈이 녹아 물이 되고, 이 물이 물웅덩이가 되고, 물웅덩이의 물이 얼음이 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셋째, 물의 순환을 지도한 교사의 평가를 보면, 학생들은 자연체험학습에 대한 흥미를 나타내었고, 자연체험학습을 선호하였다. 관찰하기, 분류하기, 의사소통하기, 예상하기, 그리고 자료해석하기의 과학적 탐구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고 보았다. 모둠별 발표 자료를 작성할 때 학생들은 배경 지식을 모두 동원하면서, 적극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교사의 제언은 관찰일기 1주일은 충분한 자료가 되지 않았으며, 학기 초에 일기를 쓸 때 날씨에 대하여 자세히 쓰라고 하고, 이를 활용하면 보다 풍부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하였다. 학생들의 생활 상황에 바탕을 둔 날씨에 대한 관찰일기 쓰기와 모둠별 발표 자료 작성 활동은 학생들의 관찰하기, 의사소통하기 능력을 길러 주고, 자연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과학 학습에 대한 의욕과 자신감을 길러 줄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지구 시스템 내 물질 순환에 대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분석: 인간의 활동이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오현석 ( Hyunseok Oh ),이기영 ( Kiyoung Lee ),김권중 ( Kwonjung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 활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지구 시스템 내에서 물질 순환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의 수준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시스템 사고를 적용하여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한국 지구과학 올림피아드에 참여한 중·고등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문항을 이용하여 수집된 학생 응답을 평가 루브릭을 이용하여 시스템 사고 수준을 결정하였으며, 단어 분석을 이용하여 시스템 사고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간 활동의 영향을 고려한 교육과정 개선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 중등학교 학생의 시스템 사고 수준이 물질의 순환에 대한 시스템 요소를 확인하거나 분류하는 낮은 수준이었으며, 시스템 연관이나 경향의 일반화와 같은 높은 수준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의 순환보다 탄소의 순환에서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물질 순환에 대한 시스템 사고의 특성은 물의 순환에서는 물을 주요 시스템 요소로 인지한 상태로 기권과 다른 시스템 요소 간에 주로 증발로 연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탄소의 순환에서는 이산화 탄소를 주요 시스템 요소로 간주하여 생물권과의 연관으로 광합성과 호흡을 표상하고 있었다. 셋째, 지구 시스템 내 물질의 순환에서 인간 활동의 영향을 고려한 교육을 위해서 기존의 지구 시스템에서 확장하여 사회-생태 시스템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개선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system think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cycle of matter in the Earth system considering the impact of human activities on the cycl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items for assessment and assessment rubric through the analysis of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pplying systems thinking, respectivel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Earth Science Olympiad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level of system thinking was determined using the assessment rubric for student responses collected using items for assessment. The characteristics of system thinking were identified using word analysis. Based on these,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considering the impact of human activities was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ystem thinking level of most secondary school students was low in identifying or classifying system elements for matter cycle, and high levels, such as system relationship or generalization of pattern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mall. It was found that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system thinking in the carbon cycle than in the water cycle. Secon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system thinking about water cycle, water was recognized as a major system element and mainly related with evaporation between atmosphere and other system elements. Whereas, in the carbon cycle, carbon dioxide was regarded as a major system element, and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were represented in relation with the biosphere. Third, for education considering the impact of human activities on the matter cycle in the Earth system, it is proposed improving the curriculum considering the socio-ecological system by extending the existing earth system.

      • KCI등재후보

        물의 순환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지구시스템 관련 개념과 시스템 사고의 분석

        강천덕 ( Chun Duk Kang ),이효녕 ( Hyo Nyong Lee ),윤일희 ( Ill Hee Yoon ),김은주 ( Eun Ju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科學敎育硏究誌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물의 순환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의 정도를 알아보고, 학생들이 물의 순환에 대해 기술한 내용 중에서 지구시스템과 관련된 개념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비평준화 지역인 포항시에서 성적이 중간 정도인 고등학교 3학년 학생 4명을 선정하여 물의 순환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게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인과지도를 작성한 후 시스템 사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생들이 기술한 내용 중에 지구시스템과 관련된 개념은 모두 21개였으며, 이 중 과학적 개념 연결은 14개, 비과학적 개념 연결은 7개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기술한 내용을 인과지도로 작성한 결과 피드백 루프가 완성된 학생은 A, C학생 2명 뿐 이었으며 그 중 C학생의 피드백 루프는 비과학적 개념 연결을 포함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학생들이 물의 순환에 대하여 시스템 사고를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하고 있거나 낮은 수준의 시스템 사고를 하고 있으며 내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search students’ proficiency with systems-thinking approach concerning water cycles and to acquire data on Earth System-related concepts based on students’ feedback.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 chose 4 mid-level high school juniors living in Pohang, where the high school equalization policy has not been implemented, and the students answered a questionnaire about water cycles. Then, based on the results, I created a causal map and evaluated it using systems-think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mong the answers of the subjects, there were 21 concepts related to the conception of the earth system : 14 of the conceptions were linked scientifically, and 7 of the conceptions were not linked scientifically. Secondly, results of the causal map of what the subjects described showed that only two students’(A and C) feedback loops were completed, and that student C`s feedback loop included unscientific reaso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tudents failed to understand the water cycle with the systems-thinking approach, or alternatively they applied low-level systems-thinking approach and had a lower understanding of it.

      • 식물체에서 물의 수송에 대한 비유 학습

        이복선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2 敎育論叢 Vol.49 No.1

        식물체에서 물의 순환은 살아있는 세포들의 에너지 대사로서 유지되고 있다. 광합성 산물에서 생성된 당은 체관의 삼투압을 조절하여 당의 분배 기능뿐만 아니라 물의 순환을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증산이 과도할 경우 물관은 색전현상으로 더 이상의 물이 이동되지 않도록 하며, 체관은 역삼투 현상인 마중물을 분비하여 물관의 기능을 회복시킨다. 이러한 순환작용을 동물에서의 순환과 비유하여 체관은 동맥으로 물관은 정맥으로 관련지어서 에너지가 필요한 과정으로 보았 다. 기존의 이론은 물관이 단순히 물리적인 현상으로 증산류에 의해서 끌려 올라가는 장력-응집력 가설이었으나 순환의 중심 으로 체관에 의해 주도되며, 증산류와 대응하는 삼투력으로 방어하여 체관의 수분량을 유지하고, 당 에너지를 사용하여 역삼투 로서 물관의 기능을 회복시키며 토양으로부터 물을 흡수하는 생동적인 과정이라 보았다

      • KCI등재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 개발 및 수업 프로그램 효과 분석

        강정수,김형범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8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의 목은 시스템 과학 행동 체계를 통 해 등학생들의 물의 순환 개념을 시각화하는 것 이다. 등학생들에게 물의 순환과 련된 개념을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부분의 등학생들은 ‘구름이 더 무겁기 때문에 비가 온다.’ 라는 잘못된 오개념을 가지고 있다. 등학생에게 보이지 않는 개념을 설명하는 것은 가장 어렵다. 한, 행 교 과서의 실험들은 무 세분화 되어 과학 개념들 을 방해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교과속 속 분화 된 실험들인 이슬, 안개 구름 실험이 하나의 시 스템에 통합되었다. 이 실험도구는 증발, 응결, 그 리고 물 순환의 개념을 통합하는데 이의 실험들 보다 더 효과이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교구를 활용하여 수업을 할 경우 가장 효과인 시간과 응 결량을 분석하다. 그리고 다양한 부분(응결, 구 름, 비가오는 과정)에서 이의 실험기구와 비교하 여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isualize the concept of water circul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science behavioral system.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concepts related to the water cycle.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nk it rains because the clouds are heavier. It is most difficult to explain invisible concepts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Also, experiments in current textbooks are likely to disrupt scientific concepts. Accordingly, conventional water cycle, dew, fog, and cloud experiments were integrated into one system. The researchers then developed a device that allowed students to see the water's circulation at a glance. It is intended to enable integrated thinking on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precipitation. In addition, a instruction program to guide students using the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Employ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measured on their concepts of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water circulatio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 is more effective in changing the concepts of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water circulation than in previous experiments. Also, the optimal conditions for making use of the device were found, and there were no various experimental parameters, such as condensation.

      • KCI등재

        실용적인 수자원 활용과 지역생태의 지속성 : 매리 오스틴의 『갈수(渴水)의 땅』과 물의 순환

        이동환(Lee Dong-Hwan) 문학과 환경학회 2010 문학과 환경 Vol.9 No.1

        Mary Austin crystallizes the autonomy of a bioregional community based on her Southwestern experience. Austin’s characters should accustom themselves to the acerbic surroundings where the dependence on modern convenience is unavailable. They should avoid both the El Dorado fantasy and excessive place-bashing. In The Land of Little Rain, rather than focusing on abstract aesthetic experience, Austin speculates on bare subsistence in the arid part of the Owens (River) Valley. The bare subsistence in the desert does not allow people to bear their exorbitant romantic yearning, whether it is a material desire or a psychological escape. She concludes that water-flow not only sustains bioregional self-sufficiency by connecting creatures, but also visualizes varieties of flora and fauna in the arid Southwest. On the condition that they wisely make use of water resource for retaining ecological sustainability, Austin does not refuse economic activities. She only warns that modern capitalism can be inclined to inordinately disorganize bioregional equilibrium. Therefore, the beauty of untouched local biota as well as that of agricultural fields can co-exist in Austin’s world. She endorses these two pastorals in The Land of Little Rain, focusing on how to keep bioregional soundness in the emergence of corporate capitalism. In short, Austin extends the semantic area of pastoral to the Southwest’s aridit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