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문화전략으로서 지역문화축제의 지향점과 구성요소 정립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 일본 지역문화축제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

        백선혜 국토지리학회 2006 국토지리학회지 Vol.40 No.1

        Since the economic value of culture extended, it has become an essential element to establish cultural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holding of regional festivals, which stands for urban cultural strategies, has become very popular since the local self government system began in Korea. Numbers of regional festivals are not sustainable, however, because they lack of cultural and economic effects on the regions. This study extracted essential elements of regional festivals from the aims of them, on the assumption that those elements are necessary for regional festivals as a successful urban cultural strategy. Also, the practical uses of those elements have been examined through the comparative case study of successful festivals. 문화의 경제적 가치가 커지면서, 지역개발에서 문화전략의 수립이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도시문화전략을 대표하는 지역문화축제는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개최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할만큼 우리나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전략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많은 지역문화축제들이 문화적 진정성과 지역경제활성화 효과를 갖지 못하면서 지속가능성에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문화축제가 반드시 갖추어야 할 구성요소를 만족시켜야 함을 전제하고, 축제의 본질적 목적에 기반하여 지역문화축제가 도시문화전략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성공적으로 개최되고 있는 축제 사례의 비교연구를 통해 각 구성요소가 축제의 운영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주의 관련 쟁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황혜원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2 다문화교육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lementary pre-service teahc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and related issues and its implications 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286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 Gangwon,Chungbuk Province. The questionnaire is comprised of questions regarding cultural/institutional aspects of multiculralism, and intention of teaching multicultual iss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ositively accept cultural diversity, and agree on ensuring equal opportunities. Second, they think minority group should not represent their unique culture in private and public domain and oppose supports for maintaining minority culture. Third,their intention of teaching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multicultualism is relatively lower than intention of teaching phenomena of societal chang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eed to develop multicultural attitude, improve their competence required to deal with multicultural issues, and accept multiculturalism.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offer more courses on exploring diverse multicultural issues.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주의 관점 수용 정도를 파악하고, 다문화 관련 단원을 가르칠 때 쟁점을 다루려는 의향을 조사하였다. 강원, 경기, 충청 지역의 초등 예비교사 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문화적 다양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모든 집단에게 기회의 평등을 보장해야 한다는데 동의하였다. 그러나 사적, 공적 영역에서 소수 집단의 문화 표출과 소수 집단의 문화 유지를 위한 지원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다문화 교육 관련 수업을 들었던 집단은 문화적 측면에서 다문화주의 관점 수용 정도가 높았다. 한편, 다문화 관련 단원을 가르칠 때, 다문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나 편견․차별과 관련된 문제를 중립적으로 다루겠다는 의향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제기될 수 있는 쟁점을 다루겠다는 의향은 낮게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은 다문화 사회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다문화적인 태도를 함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가 긍정적이고 개방적으로 다문화주의 관점을 수용하도록 하며, 다문화 관련 쟁점을 다루려는 교사의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세계지리의 다문화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장의선(Jang Eui Seo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2

        우리나라의 다문화 현상은 단일 민족 국가라는 역사적, 지리적 배경 위에서 전개되고 있는 것으로서 미국, 캐나다, 호주의 그것과는 다른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가 보이는 다문화 사회의 유형 역시 그들 나라와 다른 유형일 수밖에 없고, 따라서 다문화 교육을 위한 방법이나 프로그램도 그들과 차별화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나라의 다문화 교육이 소수자 적응 교육이나 이벤트성 프로그램에 편중되고 있다는 점은 큰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세계지리 과목이 다문화 교육에서 중요한 비중으로 활용되고 있는 유럽 여러 나라의 사례를 토대로 세계지리 과목의 다문화 교육적 가치를 토의하였다. 나아가 중등학교의 세계지리 학습 목표와 내용이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반영되어 있다고 보고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세계지리 문항을 분석하여 세계지리과목이 다문화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문항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세계지리 문항들에는 다문화 교육의 목표와 관련된 내용 요소들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었다. 둘째, 세계지리 문항들은 다양한 다문화 교육의 목표 영역들에 관련되어 있었는데 그 중‘지리적 환경의 차이에 대한 인식’에 관련된 문항이 빈도 상 가장 많았다. 셋째, 세계의 문화권별 종교와 의식주에 관한 문항들은 다문화 교육의 목표 중‘세계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에, 그리고 환경 문제를 포함한 세계 각 지역의 당면 과제와 관련된 문항들은 ‘세계 평화와 공존’이라는 다문화 교육의 목표 영역에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끝으로, 범교과학습 주제로서 다문화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세계지리, 세계사, 사회·문화 등 기존의 관련 교과가 지닌 가치와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Multicultural affairs in Korea recently are phenomena on the historical-geographical basis of a nation-state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America, Canada, or Australia. The type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differ necessarily from that of those countries, and for this reason the methodology and progra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cessary to differ from those of those countries. In addition, it is the point at issu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is focused on adjustment education or event program for minority. This study has these critical mind, and tries to discusses the value of the ‘world geography’ subject on the basis of analysis European countries where world geography subject play a important role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n the author tries to draw the subject’s possibilities for contribu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by way of items analysis of the CSAT. The result of item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most items includes content elements relating to the goal of multucultural education. Second, items on ‘the diversity of geographical environment’ of the objective area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high frequency in number. Third, the author proposes that items which includes religion, clothes, food, and shelter would serve to the objective area of cultural diversities of world, and that those which relates to regional matters in hand including environmental problems would contribute to the objective area of global peace and coexistence. Lastly, the author places special emphasis on the continuous studies over existing subjects such as world geography, world history, society and culture to correspond with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의 문화적응경험과 결혼의 질: 인지유연성과 관점다각화의 매개효과

        현경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2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의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스트레스에 초점을 두어 문화적응경험의 순기능을 간과한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문화적응경험과 그런 경험으로 촉진될 수 있는 인지유연성, 관점다각화 같은 인지역량이 결혼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문화적응경험과 결혼의 질 간의 관계가 인지유연성과 관점다각화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조사하였다. 편의표집을 통해 확보된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 173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일련의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문화전달과 문화적응활동으로 측정된 문화적응경험은 예측대로 결혼의 질을 대변하는 부부친밀성과 결혼만족 뿐 아니라 인지유연성과 관점다각화에 유의한 기여를 하였다. 또한 인지유연성과 관점다각화는 기대했던 바와 같이 부부친밀성과 결혼만족을 각각 도왔다. 끝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한국인 남편의 문화적응활동으로 부부친밀성이 강화되는 효과의 일부가 관점다각화에 의해 매개됨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들은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들 사이에서 문화적응경험을 통해 인지역량과 결혼의 질이 강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여 그에 기초한 사회복지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of cultural adaptation, cognitive competence such as cognitive flexibility and multiple-perspective taking and marital quality among Korean men married to immigrant women. It also investigated a hypothesis that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experiences on marital quality would be mediated by such cognitive competence. Data were drawn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conducted in Seoul and a metropolitan area in which 173 Korean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ed. As expecte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both teaching self-culture and cultural adaptation activity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not only cognitive flexibility and multiple-perspective taking, but also marital quality as revealed in both couple intimacy and marital satisfaction. Cognitive competence as examined by cognitive flexibility and multiple-perspective taking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such marital quality. In addi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activity on couple intimacy is partially mediated by multiple-perspective taking. Finall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

        이현지,김재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2 다문화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1학년 2학기에 교육학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들이 교육에 대해 좀더 많은 고민과 생각 후에 갖는 생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기 후반부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학생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 작성, 내용 명료화를 위한 추가적인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은 아홉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세계시민으로서 다문화를 이해하고 다문화 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갖춘 교사, 둘째, 편견과 차별이 없는 교육을 하는 교사, 셋째, 모든 아이에게 지속적 관심과 애정을 가진 인간적이고 긍정적인 교사, 넷째, 문화적 갈등해소를 위해 다양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교사, 다섯째, 다문화 학생의 부족한 것을 파악, 이해하고 발달에 맞게 눈높이 교육을 하는 교사, 여섯째, 부모와 소통하면서 상담을 잘하는 교사, 일곱째, 한국어 학습을 잘 지원하는 교사, 여덟째, 학생 상호간의 다문화를 이해하고 조력하며, 타협하는 교사, 아홉째, 다문화 학생들이 소중한 존재라는 정체성을 갖게 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교사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급증하는 우리 사회에서 바람직한 교사상은 무엇이고, 다문화 교육을 담당할 교사를 어떤 교사로 길러내야 하는가를 이해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This study is to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professionals in multicultural scociety perceived by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Korea.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llected material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the analysis, the following nine characteristics are found to be very important for multicultural teachers. First, teachers who understand multiple cultures and prepare various ability need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eachers who show no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ird, teachers who carry continuous care and affection to every children. Fourth,teachers who practice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for multicutural students during class. Fidth,teachers who figure out and understand multicultural students' disadvantages. Sixth, teachers who conduct frequent consultation and counselling with multicultural parents. Seventh, teachers who provide Korean language assistace. Eighth, teachers who play the role of assistance and compromiser for multicultural students. Ninth, teachers who inculcate a sense in which multicultural students are cherished by teachers.

      • KCI등재

        조직문화유형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재창 ( Jae-chang Lee ),임윤아 ( Yun-a Lim ),박종예 ( Jong-aye Park ),백윤주 ( Yoon-ju Baek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1 기업경영리뷰 Vol.12 No.3

        본 연구는 서울, 충청지역의 대기업, 중소기업, 중견기업, 공기업 등에 근무하는 조직구성원 2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직적 요인인 조직문화유형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개인적 요인인 긍정심리자본이 조절변인으로서 작용을 하는지 분석하여, 직무열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유형은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 유형은 관계지향 조직문화, 위계지향 조직문화, 혁신지향 조직문화, 시장지향 조직문화유형 순이었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구성원원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은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 자기효능감순이었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조직문화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은 혁신지향 조직문화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와 위계지향 조직문화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장지향 조직문화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와 관계지향 조직문화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는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직구성원들의 조직의 성과를 높이고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적 차원에서 조직 문화의 개선이 필요하며, 개인적 차원에서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targeting 240 organizational members working in large compani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public corporations in Seoul and Chung-Chung area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being organizational level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ing individual level on Job Engage-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o analyz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job eng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ulture type had an effected on job engage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which also as in regular sequence affected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hierarchy-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rket-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engage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at an effect on job engage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were hope, resilience, optimism, and self-efficacy.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artial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nd job engage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ed a moderating role between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gagement, and between hierarchy-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gage-ment, but did not play a moderating role between market-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gagement, and between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gagem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reform organizational culture on an organizational level in order to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job engage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n order to enha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an individual level.

      • KCI등재

        대학생의 다문화교육경험이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명희,박외병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4 다문화교육연구 Vol.7 No.2

        The recent of internationalization in many Korean universities has resulted in a rapid rise i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yet most universities are inviting foreign students without receiving proper training on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 for other cultures to result in a rise in Caucasian-oriented or English-oriented cultural perceptions. Under the belief that discussion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re necessar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dorm lif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Cheongbuk region with foreign students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their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with social distanc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Results show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has an influencing relationship on social distance for multiculturalism, which was shown to have a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acceptance. Such study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ethnic identity can increase social distance for multiculturalism and have an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of university students. Such result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al experiences. Multicultural education must be based on efforts to understand or communicate with others whil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must be achieved based on understandingand respect for other cultures. 국제화 물결에 따라 최근 국내 대학에 외국인 유학생이 급증하고 대부분의 대학들이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나 이해를 기초로 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유학생을 유치하다보니 캠퍼스 내에 백인지향, 영어지향의 편향된 문화인식이 팽배해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충북지역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외국인 유학생들과 기숙생활을 하는 특징을 살펴 이들의 다문화교육경험이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수용성간의 영향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대학생들의 다문화교육경험은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영향관계가 있으며, 이는 다문화 수용성과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민족정체성이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높여 대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다문화에 대한 형식적 및 비형식적 교육경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다문화교육은 타자를 이해하고 또한 타자와의 소통을 추구하는 노력을 전제로 삼아야 하며,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으로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이룩해야 할 것이다.

      • 영남지역 기독교문화유산의 과제

        이상규(Sang-Gyoo Lee)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7 종교문화학보 Vol.14 No.-

        문화유산(cultural inheritance)은 일반적으로 “앞 세대의 사람들이 물려준, 후대에 계승되고 상속될 만한 가치를 지닌 문화적 전통”으로 정의된다. 문화유산에는 선대가 남긴 유물이나 유적 가운데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유형문화재가 있고, 예술적 가치가 높은 연주·무용·음악·공예·기술 등 형태가 없는 무형문화재가 있다. 그래서 문화유산은 인간 삶의 전 영역에서 표현된 각종 문화 식을 포함하고 있다. 영남지방 기독교문화유산 혹은 문화재는 이 지역에서 선교사역을 전개했던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와 호주 빅토리아장로교 선교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 지역 유형문화재는 대부분은 교회건축물, 혹은 선교 초기 각 지역 선교부가 건축한 선교관, 선교사의 개인주택, 기독교학교나 관련 건물, 혹은 선교 병원건물 등이다. 이런 건축물은 거의 1890년대 이후 건축된 것이므로, 문화재법으로 볼 때 근대건축물에 속한다. 그 외에도 주한 각선교부나 기독교회가 제작했던 기독교문서, 성경과 찬송가, 그리고 신문과 잡지들, 초기 교회가 생산한 문건들, 그리고 교회에서 사용했던 악기들과 선교병원에서 사용했던 의료기기 등인데 이는 영남지역에서도 동일하다. 기독교문화 유산들은 선교지부가 있던 곳을 중심으로 산재되어 있다. 문화유산 보전(保傳)을 위해 한국교회는 거 교회적인 관심을 가져야 하고, 조사된 유무형 문화유산 가운데, 역사적 가치가 높은 유산들부터 정부기구에 등록해야 한다. 기독교계가 자체적으로 기독교 등록문화재로 등제하는 제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Cultural inheritance is generally defined as “a cultural tradition handed down by the previous generation, inherited and inherited in later generations.” There are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ith high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ith no artistic value such as performance, dance, music, arts and crafts. Therefore, cultural heritage includes various cultural expressions expressed in all areas of human life. Christian heritage or cultural assets in the Yeongnam area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esbyterian Church Presbyterian mission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Presbyterian Church in Victoria, Australia, which have conducted missionary work in the region. Most of these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church buildings, mission stations built by missionaries in the early days of mission, private houses of missionaries, Christian schools or related buildings, or mission hospital buildings. These buildings were built almost after the 1890s, so they belong to modern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cultural property law. In addition, Christian documents, Bible and hymns, newspapers and magazines, documents produced by early churches, instruments used in churches, and medical devices used in mission hospitals, It is the same in Yeongnam area. The Christian cultural heritage is scattered around the place where the mission field is located. For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Korean churches should have a keen interest in the church, and should register with the government organization from the heritage of high historical value among the studied non-formal cultural heritag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ystem in which Christians themselves are registered as Christian cultural properties.

      • KCI등재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및 문화예술 기반 교육방법 탐색

        임철일,김선희,김성욱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4 다문화교육연구 Vol.7 No.2

        As cultural diversity is among the most concerned theme in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to enhance and appreciat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rough the study of culture and arts. This research identify the four areas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must be incorporated within cultural diversity curriculum in order to be responsive to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increasingly multicultural society that Korea is becoming: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 component of cultural diversity, expans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acknowledgement and respect for cultural diversity. Guided by the four considerations above, curriculum designed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have been developed in this research. Furthermore, based on the proposed curriculum, pedagogical strategies centered on cultural and artistic accessibility, have been applied and, in so doing, we developed lesson plans. To reflect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on-site applicability of our models,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methodology that involve both experts and practitioners alike has been implemented. Finally, utilizing the user-centered design model, which evaluates responses from both students and teachers, against the yardstick of the usability test, optimal curriculum and lesson plans are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serve as significant benchmarks against which futur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ology, which are needed in practice, is made when grappling with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문화예술 기반의 교육방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다문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교육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문화다양성 관점에 기반을 두고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하는 네 가지 영역의 교육 내용을 확인하였다. 문화의 의미와 특징, 문화 다양성의 요소, 문화다양성의 확산, 문화다양성의 인정과 존중을 중심으로 학교급의 수준을 고려하여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적 접근에 기반을 둔 교육방법을 적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의 전형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과정에는 현장 적용성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 및 현장 교사와의 협동적 실행 연구 방법론이 적용되었다. 또한 사용자중심 설계 방법론을 활용하여 교사 및 학생들의 반응을 사용성 평가 차원에서 분석하여 최적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가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문화다양성 주제를 교육 내용으로 다룰 때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육내용과 방법의 선정 과정에 중요한 지침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 언어교육의 국내외 현황 및 언어교육 강화 방안

        모경환,이재분,홍종명,임정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linguistic minority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on language development of diverse students, language education policies of multicultural societies such as Germany, Canad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he current KSL and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this article suggests improvement plans for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First of all,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from diverse families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bilingual literacy, educational equality, and global citizenship required to function effectively in this globalized world. Standard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effective instruction models and share exemplary practices. All students in need of KSL and bilingual education have the right to be taught by high-quality teachers.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students whose first languages are not Korean introduces more accountability for teachers, schools, and education offices. 언어는 사회 및 집단의 주요한 문화유산이자 소통의 도구이며 소속 구성원 간 이해와 연대의식, 소속감과 애착을 형성하는 토대이다. 따라서 공존과 통합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부상한 다문화 시대에,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교육은 매우 중요한 정책 아젠다가 된다.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언어교육 정책은 사회의 공식 언어를 교육하는 것과 학습자의 제1언어를 유지,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계승어 교육 혹은 이중언어교육으로 구분된다. 공식 언어를 교육함으로써 사회 통합을 도모하는 동시에 제1언어의 습득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개인이 지닌 교육적 자산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06년 다문화 교육이 정책 아젠다로 등장한 이후, 다문화 언어교육 정책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많은 가시적인 변화와 성과를 달성해 왔다. 이제는 그간 축적해 온 교육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정책의 전문화 및 세분화를 모색할 시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바람직한 다문화 언어교육을 위한 국가 정책 차원의 목표와 원리, 접근 방식 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학습자의 언어 발달 원리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일본․독일․캐나다․미국 등, 주요 국가의 다문화 언어교육 정책을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KSL) 교육과 이중언어교육의 현황을 검토하여, 정책 측면, 프로그램 측면, 운영 측면에서의 약점과 강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문화 언어교육 강화를 위한 방안을 교육 목표, 교육과정, 교수-학습, 운영체제, 교강사 운영, 학교-가정-사회의 지원 체제별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