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무원 다문화역량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를 위한 요구 분석

        이병준,박응희,한현우 한국문화교육학회 201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5 No.1

        노동의 세계화와 국제결혼, 다양한 종교의 유입 등 변화하고 글로벌화하는 사회환경에 따른 여러 문제들은 이제 지역차원에서의 적극적인 대응을 행정서비스에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의 진입에 따른 직접적인 행정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다문화역량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다문화역량은 다문화학습의 과정을 거쳐 생겨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다문화역량의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국가와 연구자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미국의 경우 다문화역량은 문화적 의식, 등을 거쳐 습득되는 문화적 역량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지며, 독일의 경우 다문화역량은 의사소통능력, 갈등관리능력 등의 기초역량에서부터 문화 간의 차이 인정 능력에 이르기까지의 문화적 역량이 포괄된 역량으로 이해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는 현재의 공무원들의 다문화역량에 대한 의식수준은 전반적으로 평균수준이며 결핍된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는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적지 않는 공무원들이 자기 자신의 변화가 우선적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한 것은 프로그램의 기획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basic materials of education programs helping competency development for public officials who are conducting public service directly, as the multi-cultural society has come. The variety of issues came after the changeable and globalized social environment such as globalization in labor industry, international marriage and introduction of diverse religion. Those are in need of active responses to public service. We recognize the need of education programs that fit in the multi-cultural paradigm, then it can possibly be used for building curriculum and education system of multi-cultural competency development as basic materials. We have to promote a learning culture for the proper response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It can be helpful to enter a mature civil society when we recognize and embrace identities of minority groups through an education for public officials who directly provide the multi-cultural public service.

      • KCI등재후보

        문화적 역량의 가동 : 코뮤니타스와 창조적 노마드

        김소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0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4 No.2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한국사회에서 문화적 역량의 가동은 근대의 안팎을 동시에 성찰하는 새로운 지평에 서는 것이다. 세계화의 흐름에서 다문화적 흐름으로 요청받는 한국사회는 사회통합을 활성화하는 역사적인 문화적 역량의 기초를 재발견해야 한다. 이러한 문화통합의 시각은 근대의 동화주의 모델로부터, 전지구적 차원의 공동위험으로부터 공동협력하는 새로운 시각이 불가피하게 요청된다. 이질적인 문화간 단절과 갈등을 뛰어넘는 다문화소통이야말로 문화적 역량을 활성화하는 지속적인 기반이다. 이 기반의 폭발핵은 문화적 역량을 가동하는 코뮤니타스의 계기로서 근대에서 잃어버린 집단감흥의 향유세계이다. '함께-하는' 공동체적 열정은 이질적인 문화적 갭을 일순간에 뛰어넘을 뿐만 아니라, 잠재하는 향유세계를 새로운 소통으로 활성화하는 다문화의 가교이다. 문화통합자인 창조적 노마드로서 주사위인간은 유폐된 열정을 새로운 노마디즘의 기회로서 가동하여, 상이한 문화를 포용하고 공동구성하는 통합의 생성력을 높인다. 이 논문은 다문화사회에서 문화적 역량을 바라보는 시각이 근대의 결핍과 경쟁의 매몰로부터, 다문화를 포용하면서도 '공동향유'하는 다문화사회로의 주목해야 할 초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In Korean society, having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the mobilization of its cultural competence is to stand on a new horizon from which we introspect both the inner and outer aspects of the modern age. In the stream of globalization, the Korean society that is asked for a multi-cultural stream should rediscover the bas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mpetence activating the social unity. This viewpoint of the cultural unity is inevitably demanded from a new viewpoint of cooperating against the common danger on the world-wide level from the modern 'assimilationism' model. The very multi-cultural communication getting over the separation and disagreement between the heterogeneous cultures can be a successive base activating the cultural competence. The explosive core of this basis is the communitas moment mobilizing the cultural competence and the world enjoying the ‘group impression' lost in the modern age. The 'cooperating' community passion can overcome immediately the gap between the heterogeneous cultures and also be the multi-cultural bridge activating the latent enjoyment world as a new communication. The man of a die who is a 'creative nomad' and unites cultures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of unity that will accept and form together different cultures by using the 'confined' passion as an opportunity of new nomadism. This paper has examined closely that the viewpoint of considering the cultural competenc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that can accept and 'enjoy together' the multi-culture from the abyss of the modern deficiency and competition.

      • KCI등재

        다문화 역량 개념 도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이슬기(Lee, Seulki),서은숙(Seo, Eun-Sook),김형렬(Kim, Hyungryeol)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2

        본 연구는 다문화 역량의 함양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다문화 역량의 개념에 대한 체계화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다문화교육 분야의 연구자와 교사, 정책 전문가들의 견해를 수렴하는 델파이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오늘날 우리 사회에 필요한 다문화 역량 개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역량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보편적이고 통합적인 능력으로 개념화되었다. 이때 다문화 역량은 이해, 존중, 소통, 협력, 공존에 대한 추구에서부터 불평등과 권력관계에 대한 비판적 인식, 사회정의,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것까지 폭넓은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성찰에서 시작하여 타인과의 관계,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시민성까지 그 영역이 확장적으로 구성된다는 특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다문화 역량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2개의 토대역량(자기 이해 역량, 상황 이해 역량)과 4개의 핵심역량(비판적 사고 역량,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델파이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다문화 역량의 개념을 바탕으로 역량 중심 다문화교육의 내용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다문화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While multicultural competency has emerged as a growing topic, receiving increasing interest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achieve consensus on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al competency. Against this backdrop, using a three-round Delphi questionnaire with 24 participants drawn from the communities of leading and acknowledged experts of multicultural educators, we sought to formulate a conceptual framework of multicultural competency. This study presented the findings from our Delphi study where the experts were asked to contribute their opinions about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competency. First, the finding showed that multicultural competency can be conceptualized as an universal and integrative ability necessary for living together with those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encapsulating wide learning components (understanding, respect, communication, cooperation, coexistence, critical awareness on inequality and power relations, social justice, and democracy) and extensive dimensions (reflection on self-identity,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community citizenship). Second, a unified framework of multicultural competency emerged from our Delphi study and included a set of two foundational competencies (self-understanding competency and context-awareness competency) and four core competencies (critical thinking competency,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communicative competency, and community competency). This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과 영향 요인

        박은옥,강경자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1

        Purpos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ltural competency level of public health personnel in the communities and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descriptive surve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120 healthcare workers using a self report questionnaire from Aug, 2015 to Feb, 2016. Chi-square 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3.0 for data analysis. Results: Cultural competency was 2.42 on average, and the affecting factors the cultural competency of healthcare workers were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3.53, p=.001), communication ability (t= 3.58, p=.001), and the exposure to other culture (t=2.03, p=045), and work responsibilities (t=-3.23, p=.002). The four variables explained 30.4% of the variance in cultural competency (F=7.93 p<.001). Conclusion: We need to provide systematic cultural competency education to enhance understanding other culture and the cultural competency for healthcare workers, and find out ways to remove communication barriers to offer proper healthcare services to people who came from other countr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수준과 문화적 역량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보건소와 보건진료소 등 보건기관인력 12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적 역량의 평균점수는 5점 기준 2.42점이며, 문화적 지식(평균 2.05±0.65)과 문화적 수용성(평균 2.30±0.66)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점수가 낮았다. 문화적 역량 교육요구 점수는 10점 기준 6.65점이며, 문화적 의사소통(평균 6.88±1.78), 태도와 기술(평균 6.85±1.78), 기본지식(평균 6.55±1.57) 등이 점수가 높았다.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준 변수는 다문화 교육경험(t=3.53, p=.001), 의사소통능력(t=3.58, p=.001), 타문화 접촉경험(t=2.03, p=.045), 담당업무(t=-3.23, p=.002) 등이었고, 이들에 의해 다문화 역량의 30.4%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다문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보건인력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다문화 역량 교육을 실시하고, 의사소통 등 장애요인에 대한 해결방안을 마련하여 다문화 대상자와의 접촉빈도를 높이고, 담당 업무 특성을 고려한 다문화역량강화방안을 마련함으로써 다문화 대상자에게 보다 체계적인 건강관리 방안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심리학의 영역에서 바라본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모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0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cultural competencies from 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to indentify psychological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ies. To achieve these aims, this study used following procedures. The study narrowly defined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e as a specific system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to create, appreciate, and enjoy arts and culture. Then the study explored presumably related factors such as motivational factors, factors from personality-traits, cognitive factors and psycho-social factors. The study compared these psychological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ies with the ones described in existing studies like the BKJ Project on the key competencies classification. Consequently, many elements were found similar to the ones of existing studiesbut several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Such differences are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gap between the concept of culture and that of cultural competencies. Therefore, the 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ies need to be discussed in consideration of the broad spectrum between 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ies. In this regard,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would provide deeper insight into cultural competencies by offering descriptions about 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ies from the diverse viewpoints of various domains and analyses of key competencies of cultural competencie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본 논문은 문화적 역량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해보고 문화적 역량의 심리학적 구성요소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적 역량의 개념을 문화와 예술을 창조하고, 감상하고, 향유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전문화된 체계로 규정하고, 문화적 역량과 관련된 것으로 가정되는 동기적 차원, 성격특성적 차원, 인지적 차원 그리고 심리사회적 차원들을 분석하여, 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적 역량의 심리학적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렇게 분석된 문화적 역량의 심리학적 구성요소들을 BKJ 프로젝트 핵심역량 분류와 같은 기존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많은 부분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유사한 구성요소들이 추출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서로 다른 차이점들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차이점들은 문화와 문화적 역량의 개념에 의한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에 대한 논의는 문화와 문화적 역량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다양한 영역에서 문화와 문화적 역량을 기술하고 이를 근거로 문화적 역량의 핵심역량을 분석하는 학제적인 연구 프로젝트는 문화적 역량에 대한 유익한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개대된다.

      • KCI등재

        상호문화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이병준,한현우 한국문화교육학회 201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intercultural competence concept and component. Multicultural competence admits a cultural difference with other culture and people. However, intercultural competence expands our common things. Especially, intercultural competence has practical properties to expand the intersubjectivity, But, we have to concern about intercultural competence itself and perform a theoretical fundamental research to do not temporary trend. So, this study explored intercultural competence concept and component. The research methods are document research, FGI and conference of related experts. The result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concept is defined as ‘person who live in multicultural society reflect the wrong thought oneself therefore, we all have a desirable change to make a new culture for us’. And the result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component were composed of reflection,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flexibility, sensibility, cultural knowledge, empathy, respect. Especially, reflection was defined essential competence of all. This study suggest that conduct a consistently follow-up studies and do intercultural praxis our society. 우리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은 사회속에서 휴먼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많은 직업종사자들의 이에 합당한 역량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외국에서는 여러 사회영역의 ‘상호문화적 개방’이라는 슬로건 아래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담론, 실천, 그리고 정책이 논의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최근 십여년 간 상호문화교육담론이 지속적으로 유럽담론의 연관성속에서 부각되고 있는데 상호문화교육담론은 다문화교육담론의 한계를 비판하는 다양한 철학적, 이론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 다문화역량은 소수문화에 대한 차이를 인정하는 역량임에 반해, 상호문화역량은 공통점을 확대해 나아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호문화역량은 문화적 우위가 아닌 사람 간의 상호주관성을 넓힘으로써 서로 간의 공통점을 확대한다는 차원에서 매우 실천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호문화교육과 상호문화역량 담론 속에서 향후 휴먼서비스에 종사할 전문인력들이 갖추어야 할 상호문화역량의 내용들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상호문화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상호문화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 도출을 위해 국내외 상호문화역량 담론에 대한 문헌분석과 국내 상호문화교육담론 전문가들과의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상호문화역량은 ‘다문화사회에서 개인이 사회와 자신이 지닌 올바르지 못한 생각(타자를 차별적으로 배제하는)을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변화하여 모두가 평화롭게 지낼 수 있는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가는 역량’으로 정의될 수 있었다. 그리고 상호문화역량을 구성하는 요소인 하위역량으로는 성찰, 의사소통, 갈등관리, 유연성, 민감성, 문화적 지식, 공감, 존중 이상 여덟 가지 역량군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 중 특히, 성찰은 다른 역량군의 기초가 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 KCI등재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특성이 작업치료 전공 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안나,이수휘,전현정,채명훈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 특성이 그들의 문화적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수행할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전라남도 및 광주광역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155명의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9년 8월 20일부터 2019년 9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 특성, 문화적 공감태도(SEE), 성격요인 (BFI), 문화적 역량(CCAI)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문화적 역량의 평균 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문화적 역량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 다. 또한 문화적 공감태도, 성격요인, 문화적 역량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문화적 역량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은 문화적 역량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적 공감태도(β=.357), 성 격요인 중 개방성(β=.253)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ultural empathy, and personalities on cultural compet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One-hundred and fifty-five university students of occupational therapy in Jeollanamdo and Gwangju complet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a demographic questionnaire, the Scale of Ethnocultural Empathy(SEE), Big Fie Inventory(BFI), and (CCAI).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emographic variables, cultural empathy, personalities, and cultural competenc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4.0 for Window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differences in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by gender. Also,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ultural empathy, personality, and cultural competence. Lastly, cultural empathy(β=.357), openness(β=.252), and school year(β=-.148)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ultural competenc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larified the relationships among cultural empathy, personality, and cultural competence, and will provide data for the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of undergraduates of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후보

        글로벌 역량 개발을 위한 다문화수용성과의 관계 탐색

        김정덕(Kim Jungdeok),이은경(Lee Eunkyung),송선영(Song Sunyoung)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0 핵심역량교육연구 Vol.5 No.1

        세계가 연결된 글로벌 시대에서 글로벌 역량이 중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상당한 합의가 이루어져 있으나, 그 역량이 어떻게 형성되고 개발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다. 이 연구는 점차 분화되는 글로벌/다문화 관련 요소에 대해 보다 면밀하게 고찰하고 글로벌 역량 개발에 필요한 교육내용과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먼저, 글로벌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다문화수용성을 상정하고, 다문화수용성의 어느 요소가 글로벌 역량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글로벌 역량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서울 시내 대학 3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관련 변인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라 다문화수용성과 글로벌 역량이 달라지는지 확인한 후, 다문화수용성의 세 영역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이 각각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은 성, 어머니의 학력, 가정계층적 특성으로 확인되었다.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안전에 관한 우려를 이유로 다문화 관계에서 거부나 회피의 경향이 높았고,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일방적으로 동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낮았으며, 자신이 속한 가정의 사회계층을 높게 인식할수록 세계시민 행동의지가 커져 다문화수용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다문화 수용성과 글로벌 역량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수용성의 세 가지 영역 중 글로벌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관계성이었다. 특히 관계성의 하위 영역 중 거부·회피 현상과 상호교류행동의지가 글로벌 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과의 관계를 인식하는 정도나 희망하는 교류 형태, 낯선 세계에 대한 반응 등을 표현하는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성 정도와 의지는 글로벌 사회에 대한 태도, 지식, 적응 능력 등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사회 안에서의 다문화 현상과 관계에 대해 좀 더 구체화된 형태로 경험하고 이를 해석하는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이와 관련된 요소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특히 대학생들이 외국인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태도 형성과 긍정적 상호교류를 지속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는 정도와 범위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대학교육 과정에서 다문화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seful contents and method for global competence development.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tural acceptability and global competenc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multicutural acceptability on global competence. In accordance with such purposes, data was collected from 203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urvey and global competence test of K-CESA(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Among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sex, level of mother’s education, and social class of family were identifie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onsists of three factors(diversity, relationship, universality). Relationship factor among thre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overall global competence. In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voluntariness for interchange’ and ‘avoidance and evasion’ had most significant effect on global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contents dealing with interpretation on students’ multicultural relationship and experience.

      • KCI등재후보

        의료관광 유치기관 종사자의 문화적 역량 : 서울시 의료기관 사례

        진기남 ( Jin Ki Nam ),김진주 ( Kim Jinjoo ),성동효 ( Sung Donghyo ),황슬기 ( Hwang Seulki ),정원주 ( Jung Wendy Won Ju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保健社會硏究 Vol.30 No.2

        국제적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중 하나인 의료관광은, 현재 많은 국가들의 신성장동력으로 간주되고 있다. 의료관광에서 인적자원은 핵심성공요인 중의 하나로 꼽히며, 특히 이들의 문화적 역량이 중요하다. 기존의 국내 연구들은 주로 의료관광의 주요성공과 활성화 요인으로 마케팅 전략과 정책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지, 문화 이슈를 다루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1) 해외환자 유치 의료기관 종사자의 문화적 역량 수준을 하위차원별로 비교분석하고, 2) 의료기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조직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후, 3) 문화적 역량에 대한 인과모델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위해 서울소재의 의료관광 유치기관 중 20개소 의료기관의 종사자 124명을 대상으로 한 달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역량의 5개 하위요인별 수준을 비교분석 한 결과, 배타성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나서, 이 문화적 역량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타문화 존중감, 경시성, 우월성, 자만심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외거주경험과 외국어 구사능력이 있는 경우 문화적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의료관광 교육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효과가 일관되지 않았다. 넷째, 의료기관의 유형에 따른 문화적 역량의 차이가 있었다. 의원의 경우 병원에 비해 문화적 역량이 높았다. 이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의료와 문화에 대한 교육컨텐츠가 개발되어야 하겠고, 둘째는 의료관광 전문인력에 대한 채용기준의 재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추후 연구에는 다른 지역과 여러 분야에서의 문화적 역량 수준이 분석되어야 하겠다. Medical Tourism has emerged as new growth engine for many countries. With globalization of medical tourism, human resource became one of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However, past studies which focused on the medical tourism policy and the marketing strategy failed to identify the cultural competence of healthcare providers. This study aims to (1) identify the level of global healthcare providers` cultural competence and to (2) find out the facto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cultural competence. We used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for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s contained 2 categories(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 interviewed 124 employees of medical institutions. We used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to predict the cultural competence. By using MANOVA, we found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mpetence among the subcomponents(self-conceit, superiority, respect for other cultures, disregar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verseas experience, fluency of foreign language, medical tourism education and type of medical institution influenced the cultural competence. These results imply that we need to develop the training contents and methods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 KCI등재

        다문화시대 전문가 집단의 문화적 역량증진을 위한 모형개발

        문계완,배재정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직업전문가를 훈련하기 위한 문화적 역량 증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한국사회의 시대적 배경과 다문화 현장에서 근무하는 전문가들에게 문화적 역량이 필요한 이유를 제시하고, 문화적 역량 모형개발을 위해 문화적 역량의 개념, 구성요소, 문화역량의 발달과정과 학습방법, 측정방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Banks(2006)와 Bennett(1996)의 문화적 정체성과 간문화적 감수성 발달단계를 기초로 문화적 역량 발달과정을 구성하고, Baker(1983), Gay(1977), 장인실(2008)의 다문화 교육 모형 단계와 내용에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개발된 모형은 문화적 역량 발달 단계로서 자문화중심주의, 전이, 문화상대주의의 3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단계에 따라 각각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인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들을 통합시킨 것으로 이루어졌다. 제시된 모형은 다문화 관련 직업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model for the experts working in multi-cultural environments. Since Korean society has been changed into multi-cultural society, it is important for experts to develop cultural competence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model, this study examined its definition, components, developmental stages, learning method, and its assessments. Considering both Banks' (2006) and Bennett' (1996) works, stages for cultural competency has been classified into three dimensions: ethnocentrism, transition, cultural relativity. Each stage integrates three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cognitive aspect (knowledge and information), affective aspect(attitude and skills), and behavioral aspect (strategy and action). The suggested model integrating both compenents and developmental stages could be used for designing cultural competency programs and providing training for the experts working at multi-cultural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