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병준,한현우 한국문화교육학회 201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intercultural competence concept and component. Multicultural competence admits a cultural difference with other culture and people. However, intercultural competence expands our common things. Especially, intercultural competence has practical properties to expand the intersubjectivity, But, we have to concern about intercultural competence itself and perform a theoretical fundamental research to do not temporary trend. So, this study explored intercultural competence concept and component. The research methods are document research, FGI and conference of related experts. The result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concept is defined as ‘person who live in multicultural society reflect the wrong thought oneself therefore, we all have a desirable change to make a new culture for us’. And the result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component were composed of reflection,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flexibility, sensibility, cultural knowledge, empathy, respect. Especially, reflection was defined essential competence of all. This study suggest that conduct a consistently follow-up studies and do intercultural praxis our society. 우리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은 사회속에서 휴먼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많은 직업종사자들의 이에 합당한 역량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외국에서는 여러 사회영역의 ‘상호문화적 개방’이라는 슬로건 아래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담론, 실천, 그리고 정책이 논의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최근 십여년 간 상호문화교육담론이 지속적으로 유럽담론의 연관성속에서 부각되고 있는데 상호문화교육담론은 다문화교육담론의 한계를 비판하는 다양한 철학적, 이론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 다문화역량은 소수문화에 대한 차이를 인정하는 역량임에 반해, 상호문화역량은 공통점을 확대해 나아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호문화역량은 문화적 우위가 아닌 사람 간의 상호주관성을 넓힘으로써 서로 간의 공통점을 확대한다는 차원에서 매우 실천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호문화교육과 상호문화역량 담론 속에서 향후 휴먼서비스에 종사할 전문인력들이 갖추어야 할 상호문화역량의 내용들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상호문화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상호문화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 도출을 위해 국내외 상호문화역량 담론에 대한 문헌분석과 국내 상호문화교육담론 전문가들과의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상호문화역량은 ‘다문화사회에서 개인이 사회와 자신이 지닌 올바르지 못한 생각(타자를 차별적으로 배제하는)을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변화하여 모두가 평화롭게 지낼 수 있는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가는 역량’으로 정의될 수 있었다. 그리고 상호문화역량을 구성하는 요소인 하위역량으로는 성찰, 의사소통, 갈등관리, 유연성, 민감성, 문화적 지식, 공감, 존중 이상 여덟 가지 역량군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 중 특히, 성찰은 다른 역량군의 기초가 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이찬 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생애 전 영역에서 활용가능한 문화역량모델 개발을 논의하고 학교교육, 평생교육, 기업교육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미디어 분야의 고성과자를 대상으로 한 패널 워크숍, 전문가 검증 등을 실시하여 문화역량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분야에서 달성해야할 핵심성과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업무의 효율성 증대, 창의적 기획 가능, 미디어 환경 변화,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 및 참여 증대, 관계능력 향상, 자기성찰의 기회 증대, 자기만족과 같다. 이러한 핵심성과를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문화역량은 62개가 구명되었으며, 각 역량에 대한 역량정의와 행동지표를 도출하여 최종적인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hich can be applied for all the fields in one's life and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y of media part for school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nd corporate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of media part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panel workshop with high-performers of media part, and experts verificatio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core performance of media part was identified. They were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possibility of creative design, change of media context, increase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to social cultur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skill, increase of chance of self-examination, and self-satisfaction. It was 62 that The cultural competencies which were needed to achieve these core performance, then, finally the definition and standard of behaviors of each competencies were drawn and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as proposed.
초등교사의 다문화민감성과 다문화교육역량의 관계에 대한 교원학습문화의 조절효과
박인숙(Park, I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민감성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다문화민감성과 다문화교육역량과의 관계에서 교원학습문화의 조절효과를 탐색해 보기 위해, 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에 대한 다문화민감성의 영향을 알아보고 교사의 다문화민감성과 다문화교육역량과의 관계에서 교원학습문화의 조절효과가 어떠한지에 대해 구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경력 3년 이상의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조사연구방법을 채 택하였다. 연구의 타당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에 적용할 측정도구를대학원 이상의 학력과 3년 이상의 교사경력을 가진 현직 초등교사 2인에게 1차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 다문화교육역량은 다문화 민감성 의 모든 하위요인인 상호작용 참여, 문화차이 존중, 상호작용 자신감에 의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영향을 줌으로써 다문화민감성을 지닌 교사는 타문화에 대한 지식습득과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게 되어 타문화권학생들의 지도역량 이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문화민감성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원학습문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조절변수로써 작용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교사의 교원학습문화의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민감 성을 증진시켜 다문화교육역량을 제고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다문화민감성과 다문화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해 무엇보다 교사들이 올바른 신념과 자질을 갖추고 학습자들을 지도하는 것이 관건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mentary teach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s’ learning cul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1 elementary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of more than 3 years experience in elementary education institutions in Gyeonggi. region. The research data were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of elementary teacher s intercultural sensitivity, teachers’ learning 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ain effec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elementary teachers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was significant. This implies that teachers’ learning culture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In addi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emotional supporting competence were shown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s’ learning culture . However, they did not show the interaction effect in the multicultural parent consultation competence. These results show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of the teacher who has a high sense of teachers’ learning culture has a high Moderating effect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emotional supporting competence due to intercultural sensitivity.
문화역량 모델을 위한 학제적 접근 : 구성주의 인식론과 기호학을 중심으로
박여성 한국문화교육학회 200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4 No.2
With drastic decomposition of traditional social structures, the acquisition of competencies, wherever we work, is getting more significant role in individual as well as in vocational lives. So, in this paper we outline an trans-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 key-competency related researches, based on constructivist epistemology and cultural semiotics. It deals with the stratificational structures of cultural competency- modellings, their logical demands for modelling, and the sustainability of competencies as well as the action indices. This descriptive apparatus should include the hierarchy of cultural competencies, the media-competency and literacy applied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ese syncretisms in the research of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obviou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re to be systematically described and explained by the equally syncretistic discipline of metatheory which reformulates the relevant contributions of related sciences and connects them into a unified framework, i.e. into the Cultural Semiotics. 1990년대 이후 전통적인 사회구조가 급격히 해체되면서, 계획되지도 않고 예견될 수도 없는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행위하는 능력, 즉 역량(Kompetenz)의 습득은 개인은 물론이고 기업의 생존에도 더욱 중요해진다. 부단히 변화하는 노동환경에서 행위능력을 갖춘 역량인(Kompetenzmensch)을 확보하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이익에 부합하기 위해 스스로를 조직하는 평생학습이 요청되는 시점에서 유럽연합(EU)은 1996년을 "평생학습의 해"(Jahr des lebenslangen Lernens)로 선포했고 사민당(SPD)과 녹색연합당(Bündnis 90/Die Grünen)의 위임을 받아 독일연방의회도 2000년 5월 "만인을 위한 평생학습"을 천명했다. 이때 학습문화와 역량발달에 관한 기술모델이 세계화 과정 속에서 제기되는 '역량'(Competencies)의 학제적 연구에 부응하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독일어권에서 제안된 교육학의 역량모델을 구성주의 시각에서 진단하고1) 역량 일반을 문화, 예술 및 매체 차원에서 조명하는 기호학적 모델의 단서를 고민해 보았다.
양미경(Mi-Kyung Yang)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6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1
세계화를 통해 인류의 이주가 가속화되고 필연적으로 문화도 이동한다. 기업은 직원, 고객활동뿐 아니라 기업 활동 영역에 있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문화적 배경이 다양해짐에 따라 다문화적 경영이 중요하다. 세계화 흐름과 다문화사회 한국에서 글로벌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한국 기업들은 세계화와 다문화현상을 포용하는 기업문화를 정립하고, 다문화역량증진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그를 통해서 다양한 문화 배경으로 야기될 수 있는 잠재적 갈등과 문제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문화다양성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여 기업의 이익을 증대시키고 기업의 영속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업의 다문화역량은 사회 변화에 맞추어 계발되고 변화되어야 하며, 기업은 각자의 다문화 환경에 적합한 맞춤형 다문화역량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기업의 다문화역량증진 전략 수립을 위한 일곱 가지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1) 다양성과 포용의 기업문화 비전수립, (2) 최고경영자의 다문화 리더십과 강력한 의지, (3) 다문화적 미래 인재 발굴과 양성, (4) 조직 구조와 인사 제도 개혁, (5) 다문화에 기초한 직무설계와 인재 배치, (6) 글로벌 협업으로 다문화 경험 부여, (7) 맞춤형 다문화역량 교육. Growth in diversity from globalization and migration demands multiculturally competent corporate for its profit and sustainability, yet corporates agility to manage its multicultural resources are not keeping up with the demand. To maximize its benefit from the cultural diversity and to minimize the potential conflicts that may arise involving the ethnic diversity, multicultural competency is critical for every corporations. Cultural differences are one of the components of driving force in attaining corporates resul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useful key points for enhancing multicultural competencies particularly for Korean companies as a guide in their own corporate’s strategy development to be more competitive in global market. Those are : (1) Corporate Vision of Diversity and Inclusion, (2) CEO’s Multiculturally competent Leadership, (3) Next leader program, (4) Reform Organization and HR system, (5) Job Redisign and Right Talent Right Position strategy, (6) Multicultural Experiences through Global cooperative project, (7) Customized Multicultural Competency Enhancement Training.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특성이 작업치료 전공 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안나,이수휘,전현정,채명훈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 특성이 그들의 문화적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수행할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전라남도 및 광주광역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155명의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9년 8월 20일부터 2019년 9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 특성, 문화적 공감태도(SEE), 성격요인 (BFI), 문화적 역량(CCAI)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문화적 역량의 평균 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문화적 역량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 다. 또한 문화적 공감태도, 성격요인, 문화적 역량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문화적 역량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은 문화적 역량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적 공감태도(β=.357), 성 격요인 중 개방성(β=.253)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ultural empathy, and personalities on cultural compet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One-hundred and fifty-five university students of occupational therapy in Jeollanamdo and Gwangju complet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a demographic questionnaire, the Scale of Ethnocultural Empathy(SEE), Big Fie Inventory(BFI), and (CCAI).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emographic variables, cultural empathy, personalities, and cultural competenc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4.0 for Window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differences in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by gender. Also,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ultural empathy, personality, and cultural competence. Lastly, cultural empathy(β=.357), openness(β=.252), and school year(β=-.148)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ultural competenc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larified the relationships among cultural empathy, personality, and cultural competence, and will provide data for the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of undergraduates of occupational therapy.
마케팅역량이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진광영(Kwang Young Jin),문병준(Byeong-Joon Moon)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1 경영경제연구 Vol.43 No.2
기업간 경쟁이 치열한 현실에서 마케팅역량을 구축하고 적절한 마케팅전략을 수립, 실행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은 긴요한 문제이다. 마케팅전략이나 역량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조직문화와 연계하여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케팅역량과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조직문화에 따라 이들 간의 관계에 어떤 변동이 나타나는지를 밝히고자 이론적 모형과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분석하였다. 기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조직문화의 유형은 가족주의적 조직문화, 혁신적 조직문화, 위계질서형 조직문화, 성과지향형 조직문화로 구분하였다. 마케팅역량은 정보, 지식, 자원 등의 기획, 관리와 관련된 기본적 마케팅역량과 가격관리, 제품개발, 유통관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판매관리 등 마케팅 믹스를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분야별 마케팅역량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마케팅역량이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기본적 마케팅역량이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혁신적/성과지향형 조직문화가 가족주의적/위계질서형 조직문화보다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분야별 마케팅역량 중 제품개발 역량은 혁신적 조직문화에서, 판매관리 역량은 성과지향형 조직문화에서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남으로써 조직문화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의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마케팅역량이 혁신적 조직문화와 성과지향형 조직문화에서 더 높은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업성과 제고에 기여한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Currently, most corporations face cutthroat competi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build marketing capabilities, establish and implement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and consequently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been extensively conducted on the impact of marketing strategies or capabilities on corporate performance, findings so far are insufficient to fully understand the effects of marketing capabilities on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MSIE) in connection with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marketing capabilities and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and presented theoretical models and hypotheses while conducting empirical analyses to find out organizational culture’s moderating effect between marketing capabilities and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The study employed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re categorized into clan organizational cultures, adhocracy organizational cultures, hierarchy organizational cultures, and market organizational cultures. Marketing capability is classified into two capabilities, firstly architectural marketing capabilities planning and the management of information, knowledge, and resources; and secondly specialized marketing capabilities implementing mixes of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pricing, product development, channel management, marketing communication, and selling. The findings from the study show that marketing capabilitie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Especially, in the effects of architectural marketing capabilities on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the adhocracy/market organizational culture has a stronger moderating effect than the clan/hierarchy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effects of specialized marketing capabilities on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when a marketer is capable of product development in an adhocracy organizational culture, the measured effect of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i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when a marketer is capable of selling in a market organizational culture, the size of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is the highest. Namely,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is significant. To sum up,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nationwide and shows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adhocracy organizational cultures and market organizational cultures between marketing capabilities and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is higher than other organizational cultures. Ultimately, it contributes to enhancing corporate performance.
이병준(Byung-Jun Yi),손현미(Hyun-Mi Son),최말옥(Mal-Ok Choi),한현우(Hyun-Woo Han)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교육, 행정, 복지, 의료 분야의 실무가들 대상으로 상호문화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문헌연구와 전문가 FGI를 통해 주요개념과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예비문항의 적절성과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8개의 구성요소와 51문항의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교육, 행정, 복지, 의료 영역의 실무자 3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 4개 구성요소의 26개 문항이 최종도구로 확정되었다. 그리고 수렴, 판별타당도, 준거타당도, 외국인 친구나 가족 유무의 집단비교를 통해 상호문화역량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측정도구의 신뢰도(Cronbach`s α)는 .922이었다. 연구결과, 유연성과 민감성은 갈등관리 역량의 하위요소로 포함되었고, 공감이 존중의 역량과 합쳐졌으며, 문화적 지식의 역량군은 삭제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상호문화주의와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학술적 담론이 사회적, 실천적 담론으로 확산되지 못함을 보여주므로 상호문화주의와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인식고취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단순히 타인과의 문화차이에 대한 이해를 넘어 성찰을 통한 적극적 의사소통의 실천행위를 강조하는 상호문화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 new assessment tool examining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on verifying its validity and credibility. To do so, this study targeted educators, administrators, social workers, and medical employees. Through Delphi survey, the items of 8 categories and 51 questions have been selected at first in process of examining relevance and content validity, and of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FGI comprised of the experts. Then, in an attempt to verify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352 survey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examining construct validity, 4 categories and 26 questions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multi-attribute and multi-question matrix,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verified and this tool’s validity was also able to be confirmed by th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test scores of compared groups. This newly developed tool showed .992 of credibility(Cronbach’s a). Since intercultural competence is not a simple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s with others, developing program and applying it to help strengthen intercultural competence in terms of its focusing on active communication and behavior through reflection are needed.
한국인의 다문화역량 강회를 위한 타문화전시 연계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
손기인 한국박물관학회 2010 博物館學報 Vol.- No.18·19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 수는 100만 명을 넘어 총인구의 2% 를 상회하고 있으며 그 증 가는 지속되고 있다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다문화교육은 다 문화주의에 입각하기보다는 외국인주민을 대상으로 한국문화를 주입시키는 동화주의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한국인의 다문화역량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계속되어 왔던 단일 민족 전통에 대한 교육도 비판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폐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주민에 대한 차별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위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다 문화교육이 필요하다. 한국에 있는 500여개의 등록된 박물관 중에는 소장한 문화유산을 이용 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다문화주의에 입각한 다문화역량 강화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곳들이 다수 있다. 그중에서도 국립중앙박물관은 최고의 교육 환경을 갖추고 있다. 1980년대부터 지 속적으로 외국의 문화유산에 대한 전시회를 개최하여 왔고, 특히 용산으로 이전한 이후에는 아 시아 몇 개국의 문화유산을 상설 전시하는 아시아관의 개설하였으며, 세계문명권 위주의 특별 전도 매년 2차례 이상 개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타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다문화역량 강화교 육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박물관계에서 차지하는 국립중앙박물관이라는 위상에 맞는 다문화교육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다문화교육에 대 한 방향성을 수립하기 위한 치열한 고민의 부족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할만한 역량을 갖 춘 사람들을 참여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국립중앙박물관의 다문화교육은 특별 한 차별성을 찾아볼 수 없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주민만을 위한 다문화교육에서 벗 어나 한국인의 다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 는 다문화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한국박물관계를 선도하는 차원에서 다문 화교육을 실시하는 타 박물관들에게 다문화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도 하여야 한다.
일본의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 문화적 역량에 관한 담론연구를 중심으로 -
김성숙(Sung-Sook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0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에서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담론연구를 중심으로, 일본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구성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문화적 역량’에 대한 다음의 여러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1) 문화개념 및 문화적 역량, 2) ‘문화심의회 중간보고’에 대한 각계전문가들의 논의, 3) competency로 대표되는「능력」관 논의, 그리고 4) 일본의 2008년 개정교육과정에서의 역량(competency). 또한, 조사연구에서는 1) 일본의 문화예술․교육행사, 2) 미술관교육, 3) 설문조사에 기초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성과로서, 독자적으로 추출해낸 ‘일본의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를 논의별․연구내용별로 종합하여 재정리하고, 이를 다시 1. 다양한 개개인․공동체․혹은 조직에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2. 다양한 개개인, 공동체, 자연 및 사물에 대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3. 구체적 학문분야에 대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사례―미술과 교육과정)로 세 가지로 범주화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본은 새로운 시대에 어울리는 바람직한 미래의 일본 만들기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에 기초하여, 양대 목표로 ‘문화예술입국(文化藝術立國)의 실현’과 ‘교육재생’(敎育再生)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문화적 역량에 대한 여러 논의도 실천적이며, 전국적 네트워크를 통해 조건이나 환경 등을 새롭게 재정비하며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constituent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in Japan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ed discourses. The research methodology implemented was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er has investigated such as 1) the concept of 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y, 2) various discourses and responses on the intermediate report of the cultural council , 3) the discussion on the perspectives of the capacity represented as competency, and 4) the competency involved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8 in Japan. Based on the survey, the researcher has discovered the constituent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in Japan. Those elements have been extracted from 1) the art and cultural events in Japan, 2) education in art gallery, and 3) invented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s articulated the cultural components of competency in Japan based on the domain of contents and discourses of cultural components. In conclusion, Japan drives forward strongly two aims: actualization of nation based on art and culture, revitalization of education. These policies are implemented to make a desirable nation for the coming new era. The discourses on cultural competency in Japan is quite practical. Thus the policy to increase cultural competency in Japan is accelerated by nationwide network with a new circumstance and revised system. These findings will give the valuable implications for the cultural polic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