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독교세계관과 기독교문학철학

        이용준 ( Yong Joon Lee ) 백석대학교 기독교인문학연구소(구 기독교철학연구소) 2008 기독교철학연구 Vol.9 No.-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기독교문학철학이라는 분과 학문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필자는 기독교문학에 대한 기독교철학의 이론적 논의로서 기독교문학철학이 기독교철학의 하위 분과로 정초될 수 있다고 본다. 기독교문학철학은 일반 문학과 비평이론에 담긴 철학적 함의를 비판하고 분석한 뒤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또한 기독교문학철학은 기독교문학에 대해서 창작, 이해원리로서 일정한 형식과 내용을 제시할 수 있다. 기독교문학철학은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기독교철학의 하위분과로서 기독교문학의 일정한 형식과 내용을 요구한다. 또한 기독교문학철학은 그 정의를 한계 지어 놓음으로써 기독교문학, 고전들을 재평가하고, 기독교문학이 지향해야 할 방법론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Philosophy of literature as a branch of science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Christian Philosophy of literature might lay the cornerstone of Philosophy as subdivision. Christian Philosophy of literature present the alternatives, appreciation and authentic sources analyzing and philosophically criticizing literary criticism theories in relation to literature. And it may bring forward writing principles and ways of reading literary works. Christian Philosophy of literature gives the evidences of the definition of Christian literature in the Christian world-view, reevaluates the literary classics and offers the favorable guidelines of methodology of Christian literature. Christian Philosophy of literature put an emphasis on literature as a way of improving one`s belief and transforming one`s attitudes of life.

      • KCI등재

        구비문학과 구비철학

        조동일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3

        Oral Literature and Oral PhilosophyCho, Dong Il(Keimyung University)Oral literature an be understood as oral philosophy. Oral philosophy appeared in advance of written philosophy and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longside written philosophy. Referring to what has already been achieved in Africa, Polynesia, and some minorities of China, now it is time to study Korean oral philosophy in depth.How this world was created? What i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distinguished and the mediocre, the clever and the stupid? Is mankind morally superior to animals? Why must the exalted mind be expressed in performance? These fundamental questions are discussed seriously in the various genres of oral literature, shaman songs, folk narrative, and folk drama. Oral philosophy contributes much in improving philosophical studies. As in the case of literature, the history of philosophy is also the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philosophy and written philosophy. The tradition of oral philosophy must actively utilized to create a new philosophy. 구비문학은 구비철학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비철학은 기록철학보다 먼저 이루어지고, 기록철학과 함께 중요한 구실을 해왔다. 아프리카, 폴리네시아, 중국 소수민족 등에서 이루어진 선행 업적을 참고로 삼아, 한국의 구비철학 대한 깊은 연구를 시작하는 것이 마땅하다. 이 세상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잘나고 못난 것, 슬기롭고 멍청한 것의 차이는 무엇인가? 사람은 짐승보다 윤리에서 우월한가? 왜 신명은 놀이로 풀어야 하는가? 이런 철학적인 문제를 구비문학의 여러 갈래, 무가, 설화, 탈춤 등에서 심각하게 다루었다. 구비철학은 철학 연구의 발전에 적극 기여한다. 문학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철학사 또한 구비철학과 기록철학의 관계사이다. 새로운 철학을 창조하려면 구비철학의 전통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 KCI등재

        철학의 시적, 시의 철학적 태도에 나타난 호혜적 양상

        강동완(Kang, Dongwan) 국제언어문학회 2015 國際言語文學 Vol.- No.32

        본 논문은 인문학의 중요한 과제인 문학과 철학 간의 접경(接境)내지 월경(越境)의 설정문제를 놓고, 두 영역 사이의 유동적인 관계들, 그리고 그 확산과 이에서 비롯된 알력 및 혼전의 양상 속에서 도리어 호혜적 측면에 관심을 두어 살폈다. 이는 그간의 고착화된 문법이 지켜왔던 경계선을 뛰어넘어 양자의 공조 관계를 확인하고 기존의 분할된 사유방식들의 결합과 학접(學接)에 근거한 호혜를 통해 문학적 성과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학비평의 측면에서 옮겨놓기의 일환으로서의 ‘페러프레이즈’ 작업과 이를 제거하는 ‘해체’와 ‘오독’의 순기능이 적용된 호혜적 양상을 살폈다. 그리고 그러한 특징을 다각적인 근거를 통해 제시했는데, 여기에는 먼저 철학하는 것의 태도인 ‘놀라움’, 그리고 그 구체적 본질이 되는 찬미는 다름 아닌 시작(詩作)의 본질로 전이되는 것, 둘째 철학적 상상력이 시적 상상력으로 전이되는 영역 간 호혜를 통해, 철학적 사유에 따른 논리와 규범에서 기인한 철학적 포괄성의 한계를 인식하고, 오히려 대상 세계를 초월하여 새로운 관념적 질서를 창조하는 시인의 정신활동과 로고스적 능력을 논증했으며, 마지막으로 인식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출구를 문학에서 찾으려 했던 과정에, 필연적으로 그 한계가 노출되었고 따라서 이를 극복하고 매울 수 있는 계기를 주·객관의 문제를 들어 철학적 고찰 속에서 살폈다. 요컨대 문학과 철학, 그리고 철학과 문학의 관계는 보편적 해석에서 발로된 철학의 이성적 전통에 대한 존중과 역으로 종래의 철학이 고수한 근본주의적 입장에서의 유연한 일탈이 가져 올 호혜적 양상의 지속이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to evaluate the reciprocal perspective of fluid relationship between two regions and the conflict and confusion from expansion on the criteria of setting border or transcendental distance between literature and philosophy, the significant project of the humanities. This is to overcome the boundary by fixed laws of literature to confirm the cooperation between two and to promote literature product through reciprocity based on combination and academic conglomeration of conventionally divided system. For this, at first, as a solution to move it away from literature critics, the reciprocal transition with application of "paraphrase", "decommissioning" to remove, and proper function of "misreading" were evaluated. Thereafter, such characteristics were proposed through multilateral bases. Here at, first, "surprise", the aspect of philosophy, and applaud of concrete fundamental to be transferred to the fundamental of beginning, second, recognition of philosophical logic and philosophical inclusiveness from standard and proof of logos ability and psychological activity of poet creating a new ideological order by transcending the subject world through reciprocity between regions transferred from philosophical imagination to poetic imagination, and at last, philosophical reconsideration on subjective and objective issues to refill and overcome the limits from finding of the exit at literature to defeat the epistemic boundary were evaluated.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hilosophy shall be maintained as a reciprocal transition from flexible deviation from the fundamentalistic perspective promoted by conventional philosophy and as a respect of logical tradition of philosophy from conservative analysis.

      • KCI등재

        구비문학에 의한 현실문화 만들기의 가능성과 필요성

        임재해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3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Current Culture Making by means of Oral LiteratureLim, Jae Hae(Andong National University) 구비문학 연구는 전통문화 읽기에서 나아가 바람직한 현실문화 만들기를 적극적인 과제로 끌어안아야 한다. 문화 만들기는 생활 속에서 문학생산 주권을 민주적으로 누리며 문화창조력을 발휘할 때 가능하다. 구비문학은 그러한 생산과 수용의 구조를 갖춘 문예작품의 훌륭한 보기이다. 그러므로 구비문학의 존재양식을 통해서 창조적인 문화 만들기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문학교육과 문예창작, 웃음문화, 지역축제, 구비철학 등에 걸쳐서 다각적으로 모색한다.문제의 근본은 유명 작가 중심으로 문학생산이 독점되고 문학교육이 문학지식을 주입하는 쪽으로 편중되어, 민중의 문학생산 주권과 저마다 타고난 문화창조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다는 데 있다. 따라서 작가 중심의 문학생산에서 모든 사람들이 문학생산 주체가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문학교육이 이루어지고 문학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 학교에서 구비문학 교육이 더 강화되어야 하고 공동체문화로서 문학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현대 구비문학의 조사연구 활동과 인터넷문학에 참여하는 활동이 기대되는 방향이다.구비문학이 문예창작에 이바지하기 위해서는 창작판소리와 창작탈춤처럼 현대 구비문학으로 창작되고 전승되는 환경을 학계의 연구활동과 문화정책을 통해 마련해야 한다. 구비문학자의 창작 구비문학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문화정책도 현대 구비문학 창작을 지원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작가들이 문예창작 자원으로서 구비문학 작품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비문학 디지털 자료센터를 만들 필요가 있다.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는 웃음문화의 수준과 함께 간다. 구비문학에는 웃음문화의 전통이 풍부하다. 유머자료를 읽는 것보다 우스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웃음문화를 더 적극적으로 누리는 일이다. 탈춤과 판소리, 민요에도 해학과 풍자가 중요한 미적 범주이다. 웃음문화는 구비문학으로 향유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므로 구비문학 자원을 더 수준 높은 웃음문화로 재창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구비문학은 그 자체로 축제성을 지니고 있다. 탈춤과 굿놀이, 판소리를 연행하는 상황은 축제판이나 다름없다. 축제가 개성 있게 지속되려면 축제를 지탱해 주는 신화와 전설이 함께 가야 한다. 축제의 주제와 의미를 부여해주는 것도 구비문학이고, 축제의 소재와 내용을 이루는 것도 구비문학이며, 축제의 전승력을 확보해 주는 것도 구비문학이다. 이것이 바로 구비문학의 축제적 기능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이다.문학의 출발이 구비문학인 것처럼 철학의 출발도 구비철학에서 비롯되었다. 이야기를 통해서 삶의 가치와 윤리, 규범 등을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하게 만들고, 속담을 통해 생활 속에서 터득한 삶의 이치를 널리 공유한다. 오히려 철학가의 경전철학보다 민중의 구비철학이 열린 철학 또는 인간해방의 철학을 추구한다. 따라서 구비철학에 갈무리된 민중의 통찰력을 분석해서 생활철학을 정립하는 데 구비문학 연구가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구비문학 연구는 바람직한 현실문화를 만들어 가는 실사구시의 구비문학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길을 열어가야 한다.

      • KCI등재

        漢文科 敎育課程의 領域에 대한 問題 檢討

        안재철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0 No.-

        이 논문은 다른 언어 교과(국어ㆍ영어)들과 걸맞은, 한문교과의 영역 구분과 내용체계를 만들어 보기 위하여 작성하게 되었다. 이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되었다. Ⅰ장에서는 한문교과의 영역체계의 문제점과 연구 동기, Ⅱ장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육과정의 의미와 영역, Ⅲ장에서는 한문과 교육과정 영역과 다른 교과 교육과정 영역(국어, 영어)에 대한 비교, Ⅳ장에서는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의 영역과 그 내용, Ⅴ장에서는 위에서 논의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구안되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결론으로 삼았다. 이 논문에서는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의 시안을 두 가지 만들어 보았다. <1안> : 국어과 '교육과정의 영역', '내용체계 및 내용'을 원용하여, 한문과의 '내용'을 '내용체계'와 '학년별 내용'으로 나누었다. '내용체계'의 대영역은 다시 '읽기' '한문지식' '문학(역사학ㆍ철학)'으로 나누었다. '읽기'는 다시 중영역으로 '읽기의 본질' '읽기의 원리' '읽기의 태도' '읽기의 실제' 등으로 나누었고, '한문지식'은 다시 중영역으로 '한문의 본질' '한문의 이해와 탐구' '한문에 대한 태도' 등으로 나누었으며, '문학(역사학ㆍ철학)'은 다시 중영역으로 '문학의 본질' '문학의 수용' '문학에 대한 태도' '문학 수용의 실제'등으로 나누었다. 각 학년별 내용 즉, 중1ㆍ2ㆍ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의 내용도 그 내용요소들을 구성하여 보았다. 또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도 학년별로 융통성 있게 교수ㆍ학습할 수 있도록, 중학교 1학년은 210∼300자, 2학년은 420∼600자, 3학년은 630∼900자, 고등학교는 630∼900자로 배분하여 익히도록 하였다. <2안> : 한문과의 내용 및 내용체계를 묶어서 대영역을, '읽기(기능)'와 '한문고전'으로 나누었다. '읽기'영역은 다시 중영역으로 '한자ㆍ한자어'와 '한문'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또 다시 '한자ㆍ한자어'와 '한문'영역을 소영역으로 나누었다. 즉, '한자ㆍ한자어'영역은 소영역으로 '한자ㆍ한자어의 본질' '한자ㆍ한자어의 원리' '한자ㆍ한자어의 태도' '한자ㆍ한자어의 실제' 등으로 나누었으며, '한문영역'은 소영역으로 '한문의 본질' '한문의 원리' '한문의 태도' '한문의 실제'등으로 나누었다. '한문고전'영역은 중영역으로 다시 '문학문' '역사문' '철학문' 등으로 나누었으며, 또 다시 '문학문' '역사문' '철학문'을 소영역으로 나누었다. 즉, '문학문'은 소영역으로 '문학문의 본질' '문학문의 원리' '문학문의 태도' '문학문의 실제' 등으로 나누었으며, '역사문'은 소영역으로 '역사문의 본질' '역사문의 원리' '역사문의 태도' '역사문의 실제'등으로 나누었고, '철학문'은 소영역으로 '철학문의 본질' '철학문의 원리' '철학문의 태도' '철학문의 실제'등으로 나누었다. 2안에서는 각 학년별 내용은 생략하였다. Under current 7^th national currimulum, Chinese writing course has changed in contents without alteration in category comparing to the 5^th. There was problems continually in Chinese writing course caused by different structure in division of category when it contrasted with other courses such as Korean, English language. Therefore this paper aimed to make division of category and system of contents of Chinese writing course's own like the other language courses. The contents of this paper is as followed. Chapter Ⅰ described motive of this research and problems on Chinese writing course's categorical system. Chapter Ⅱ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curriculum and its category. Chapter Ⅲ compared categories of Chinese writing course with other courses' - KoreanㆍEnglish language. Following Chapter Ⅳ proposed more desirable contents and categories in Chinese writing course. Finally, Chapter Ⅴ concluded the research with the matters suggested above. Having comparable categories with other courses there are some complements and matters which are limited in Chinese writing course. First, in present Chinese writing course, large category is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ㆍChinese writing'. It is a classification by level at teaching & learning, so it needs to be replaced. Second, 'readings'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literature' from categories of Korean language course is adoptable in Chinese writing course with complements and supplements. Third, rank of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ㆍChinese writing' should not be concerned as absolute classification. It also needs to get flexibility of admitting rank of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riting' or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riting'. Fourth, for efficient teaching & learning, educational basic 1800 Chinese characters needs to be changed to flexible numeral range like English. In this paper, 2 tentative plans were suggested for more desirable curriculum of Chinese writing course added complements concerned above. <Plan 1> Adopting 'category of curriculum', 'contents and contents system' from Korean language course, 'contents' of Chinese writing course was divided into 'system of contents' and 'contents by grade'. As large category 'system of contents' was classified into 'reading' 'knowledge of Chinese writing literature(historical study, philosophy)' and others. And then these mid categories also composed of small ones. 'readings' consisted of 'essence of reading' 'principle of reading' 'attitude of reading' 'practice of reading' and others. 'knowledge of Chinese writing' consisted of 'essence of Chinese writing' 'understanding and study of Chinese writing' 'attitude for Chinese writing' and others. 'literature(historical study, philosophy)' consisted of 'essence of literature' 'acceptance of literature' 'attitude for literature' 'practice of acceptance of literature' and others. Contents by grade were composed of parts of contents i.e. 1st, 3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1st in high school. Also, for flexible teaching & learning, educational basic 1800 Chinese characters were divided by grade that is, 200∼300 characters for 1st, 450∼600 for 2nd, 700∼900 for 3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650∼900 for high school students. <Plan 2> Contents and system of contents in Chinese writing course divided into 'reading(skill)' and 'classic Chinese writing' as the large category. 'readings' was classified into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riting'. There were subordinate categories also.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category composed of 'essence of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attitude of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practices of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and so on. The other mid category, 'Chinese writing' composed of 'essence of Chinese writing' 'principle of Chinese writing' 'attitude of Chinese writing' 'practice of Chinese writing' and others as small categories. One of the large categories, 'classic Chinese writing' classified to the mid category as 'literature of Chinese writing'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philosophy of Chinese writing'. And these categories divided to the small ones again. That is, 'literature of Chinese writing' consisted of 'essence of literature of Chinese writing' 'principle of literature of Chinese writing' 'attitude of literature of Chinese writing' 'practices of literature of Chinese writing' and others.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consisted of 'essenc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principl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attitud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practic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and others as small categories. 'philosophy of Chinese writing' consisted of 'essenc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principl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attitud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practic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and others. In this plans, contents by each grade were omitted.

      • KCI등재

        띤 우예비치 Tin Ujević 의 시문학과 동양문화의 영향

        김상헌(Kim, Sangh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60

        20세기 전반기에 주로 활동했던 크로아티아의 작가 띤 우예비치 Tin Ujević의 작품 전체를 내면적으로 살펴보면 ‘동양(東洋)’과 관련한 여러 테마들을 발견하게 되는데, 특히 인도의 문화와 철학 그리고 종교와 관련된 테마들이 주를 이루며 중국, 일본의 문화와 전통을 다루고 있는 작품들이 그 뒤를 잇는다. 주로 길지 않은 에세이의 형식 글들을 통해 ‘동양문화’와 ‘동양종교’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크로아티아 독자와 문학계에 제공했던 우예비치는, 에세이 작품 이외에도 자신의 여러 시작품들을 통해 명시적으로 ‘동양(東洋)’에 대해 관심을 드러낸다. 즉, 그의 시작품들 속에서 분명한 ‘동양적’ 모티프를 구분해낼 수 있으며, ‘동양문화’를 향한 시인의 자세와 관점 그리고 동양문화의 가르침으로부터 받은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서유럽 모더니즘문학기의 작가들, 특히 프랑스의 보들레르 C. P. Baudelaire와 랭보 A. Rimbaud를 비롯하여 크로아티아 모더니즘문학의 대표적 작가라고 할 수 있는 안툰 구스타브 마토슈 A. G. Matoš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았던 전반기 문학을 서구문화 영향의 결과물이라고 한다면, 우예비치의 후반기문학은 기독교적 서구문화로부터 브라만교나 불교와 같은 동양문화 영향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크로아티아 모더니즘문학기와 양차 세계대전 사이의 문학기를 이끌었던 가장 주목받는 시인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띤 우예비치가 동양적 테마를 다루고 있는 방식을 살펴보고, 그가 그처럼 동양문화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그의 문학작품 전반에 동양철학과 종교가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점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Tin Ujević is generally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atian poets and a classic of Croatian literary modernism. His work was the subject of a considerable number of analyses and research papers. It is nevertheless possible to distinguish one segment of his work where he differently addressed subjects related to the East and Asia in particular – primarily Indian culture, philosophy and religion. Thus in his essays Ujević gave informative, often compilatory but critical overviews of Indian subjects he had approached from the standpoint of a highly educated European artist, discovering in them "what in Indian history, philosophy and poetry has been alive and life-giving, what grants them lasting attributes of humanity and poetry". In addition to his essays which explicitly addressed matters of the East, it is possible to identify in his poems certain motifs, poetic stances and images inspired by Eastern teachings. In this paper we shall attempt to outline the way in which Ujević approached Indian subjects, point to the origins of his interest, and suggest to what extent and how Indian philosophies and traditional cultures, primarily Brahmanism and Buddhism, influenced his poetic work. As we noted above, Ujević’s works are closely interrelated with Asian cultures, not only Indian cultures but Chinese and Japanese cultures also. Beginning with this paper, we will expand the breadth of research about Ujević’s literary works. 20세기 전반기에 주로 활동했던 크로아티아의 작가 띤 우예비치 Tin Ujević의 작품 전체를 내면적으로 살펴보면 ‘동양(東洋)’과 관련한 여러 테마들을 발견하게 되는데, 특히 인도의 문화와 철학 그리고 종교와 관련된 테마들이 주를 이루며 중국, 일본의 문화와 전통을 다루고 있는 작품들이 그 뒤를 잇는다. 주로 길지 않은 에세이의 형식 글들을 통해 ‘동양문화’와 ‘동양종교’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크로아티아 독자와 문학계에 제공했던 우예비치는, 에세이 작품 이외에도 자신의 여러 시작품들을 통해 명시적으로 ‘동양(東洋)’에 대해 관심을 드러낸다. 즉, 그의 시작품들 속에서 분명한 ‘동양적’ 모티프를 구분해낼 수 있으며, ‘동양문화’를 향한 시인의 자세와 관점 그리고 동양문화의 가르침으로부터 받은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서유럽 모더니즘문학기의 작가들, 특히 프랑스의 보들레르 C. P. Baudelaire와 랭보 A. Rimbaud를 비롯하여 크로아티아 모더니즘문학의 대표적 작가라고 할 수 있는 안툰 구스타브 마토슈 A. G. Matoš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았던 전반기 문학을 서구문화 영향의 결과물이라고 한다면, 우예비치의 후반기문학은 기독교적 서구문화로부터 브라만교나 불교와 같은 동양문화 영향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크로아티아 모더니즘문학기와 양차 세계대전 사이의 문학기를 이끌었던 가장 주목받는 시인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띤 우예비치가 동양적 테마를 다루고 있는 방식을 살펴보고, 그가 그처럼 동양문화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그의 문학작품 전반에 동양철학과 종교가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점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Tin Ujević is generally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atian poets and a classic of Croatian literary modernism. His work was the subject of a considerable number of analyses and research papers. It is nevertheless possible to distinguish one segment of his work where he differently addressed subjects related to the East and Asia in particular – primarily Indian culture, philosophy and religion. Thus in his essays Ujević gave informative, often compilatory but critical overviews of Indian subjects he had approached from the standpoint of a highly educated European artist, discovering in them "what in Indian history, philosophy and poetry has been alive and life-giving, what grants them lasting attributes of humanity and poetry". In addition to his essays which explicitly addressed matters of the East, it is possible to identify in his poems certain motifs, poetic stances and images inspired by Eastern teachings. In this paper we shall attempt to outline the way in which Ujević approached Indian subjects, point to the origins of his interest, and suggest to what extent and how Indian philosophies and traditional cultures, primarily Brahmanism and Buddhism, influenced his poetic work. As we noted above, Ujević’s works are closely interrelated with Asian cultures, not only Indian cultures but Chinese and Japanese cultures also. Beginning with this paper, we will expand the breadth of research about Ujević’s literary works.

      • KCI등재

        문학적 법철학 연구―법시학주의

        김연미 한국법철학회 2020 법철학연구 Vol.23 No.2

        This essay places its main focus on considering intellectual origins i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of Law and Literature. The author encapsulates interdisciplinary research achievements of Law and Literature into ‘Literary Jurisprudence’ and specifies this as jurisprudence based on legal poeticism or ‘Poethics’. Legal poeticism has moved away from the research trend of ‘law and literature’, i.e. ‘law in literature’ or ‘law as literature’ and investigates fundamental issues in law from the much closer perspective of legal philosophical problem consciousness. Legal poeticism, as a form of law, seeks a method for resolving instability of language and the substance of law, and Weisberg’s proposal regarding Flaubert’s realistic novels draws up a major discussion along with legal realism of Cardozo. Problems in forms and substances of law reveal its vulnerability in that law cannot move away from linguistic semantics. The essay considers how Poeticism of Richards distinguishes scientific and poetic languages and offers new metaphorical reasoning through unconventional theory of metaphor according to newly found metaphorical character of poetic language. Furthermore, I examine poethical discussions of Ricoeur, Peter Brooks and Weisberg on legal narratives as main theoretical characters of legal poeticism. Part (I) of the essay chiefly considers trends in contemporary law and literature research centred on Law and Literature movement in the US. In part (II) the ‘form-substance’ relation will be examined from perspectives of legal literature of Cardozo and poethics of Weisburg, central figures in the legal realism movement. Cardozo detects style and similarity from the amalgamation of forms and contents in Flaubert, a pioneer of realistic novels. The comparison between his Palsgraf v. Long Island Railroad Co. with Emma of [Madame Bovery] yields metaphorical imagination. That his style of novel had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s of realism and scientism gives a similar impression with legal realism which repudiated Langdell’s legal formalism. At this part, I evaluate the influence of realistic styles to judges in light of the Korean Air Macadamia case and the achievement of justice by judge Lee Yeong-gu in his decision on the case under the Yushin dictatorship in which a high school teacher was acquitted. The Palsgraf case of Cardozo, furthermore, shows Flaubert’s realism was used as one of methods to seek the substance of law in their decisions and opinions. Part (III) examines poethicism of Richards which has emerged out of reaction against the influence of scientism. In part (IV), from achievements of poethics it will investigate matters regarding metaphor and narrative through theories of Ricoeur and Weisberg. In the final part, the essay contemplates on the role of legal poeticism as an alternative for legal education. 이 글은 주로 법문학의 학제적 연구의 토대에서 발견되는 지적 기원들을 고찰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 필자는 이전까지 법과 문학의 학제 간 연구 성과들을 “문학적 법철학”(literary jurisprudence)이라는 주제로 정리해 보고 이를 법시학주의(legal poeticism), 혹은 시윤리학(Poethics)에 기반한 법철학으로 특징지었다. 법시학주의는 주로 ‘문학 안의 법’(law in literature), 혹은 ‘문학으로서 법’(law as literature)이라는 주제로 탐색된 ‘법문학’의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철학의 문학화라는 현대사상적 흐름을 반영하여 법철학의 근본문제의식을 탐색하는 경향을 일컫는다. 법시학주의는 법적 언어의 형식에 문학이라는 실질을 추구한다. 법철학의 문학화는 무엇보다 민주주의적 법해석을 우선적 과제로 설정한다. 그래서 정치나 경제와 같은 인간의 삶에 대한 일면적 고찰이 아니라 포괄적인 인간의 영역을 드러내는 문학을 실질적인 법의 연원으로 두고자 한다. 법시학주의는 법의 연약한 형식으로서 언어의 불안정성과 이를 보충하는 법의 실질을 위한 노력으로서 리차즈 와이스버그가 제안하고 있는 플로베르의 사실주의 소설과 벤자민 카도조의 법현실주의를 연계하여 논의를 구성해 보았다. 물론 이 글에서 와이스버그의 풍부한 이론적 섭렵을 따라가지는 못했다. 그러나 법의 형식과 실질의 문제는 법이 언어적 의미론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에서 그 존재론적 취약성까지도 위협을 받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글은 리차즈의 시학주의가 과학적 언어와 시적 언어를 구분하고 시적 언어의 은유적 특성을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전통적인 은유이론을 탈피하여 모든 인식의 수단으로서 은유를 발견하였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그는 모든 학문에서의 은유의 인식적 내재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학문의 장을 열었다. 리차즈에 의해 은유는 수사학이 아니라 인식수단으로 발견되었고 문학의 역할은 그 인식적 측면에서 법학에 내재한다. 또한 이 글은 폴 리쾨르와 피터 브룩스, 그리고 와이스버그의 법적 서사에 대한 시윤리학적 논의들을 법시학주의의 주요한 이론적 특징으로 고찰하였다. (I)에서는 주로 미국의 법문학운동을 위주로 한 현대법문학연구 동향을 고찰하였다. (II)에서 ‘형식과 실질’의 관계를 법현실주의운동의 한 인물인 카도조의 법문학과 그의 논의를 확장시킨 와이즈버그의 시윤리학을 고찰하였다. 와이스버그는 카도조의 법학이 사실주의 소설의 선구자인 플로베르의 형식과 내용의 합일, 그리고 스타일의 유사성을 탐색한다. 그는 카도조의 Palsgraf 사건과 ??마담 보바리??의 엠마를 비교한다. 그러나 사실주의는 랑델의 법형식주의를 벗어나려는 법현실주의와 그 맥락을 같이한다. 이 부분에서 필자는 사실주의적 스타일이 법관에게 미치는 영향으로서 일명 ‘땅콩회항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다수의견이 사실관계에 천착하지 못한 점, 정의를 실천하기 어려운 유신헌법 당시에도 사실주의적 관점에서 서문여고 교사를 무죄 방면한 이영구 판사의 사례, 그리고 카도조 판사가 Palsgraf 사안을 통해 책임의 범위를 명확히 한 점 등을 고찰하였다. 플로베르 사실주의적 소설스타일이 실제로는 법관들에게 법의 실질을 찾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는지를 타진했다. 다음으로 (III)에서는 리차즈의 시학주의를 고찰하였는데 그의 이론은 과학주의의 영향에 대한 반향이라는 특징을 ...

      • KCI등재

        교양문학의 융복합적 교육 방안 연구 - 교과목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유리 한국문학교육학회 2022 문학교육학 Vol.- No.76

        As part of liberal arts literature in universities,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convergence literature education plan focusing on the case of subject developmen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education was based on the changes in the current society, which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ast in terms of experience and development in each field. In this way, education leads to changes in the times, but in the changed era,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must also be changed. Literature education is no exception. In modern society, the boundaries of sub-disciplinary learning are broken down, and it is important to create new knowledge by linking learning, and thus the demand for convergent competency is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se demand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vergent education within literature education. <The Philosophy of Literature and Emotion> was first open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K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and is a course based on the convergence of literature, philosophy, and psychology. Through the convergence between highly relevant and heterogeneous disciplines, it was finally intended to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literature. In this lecture, the emotions of anxiety, anger, and hatred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were learned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and psychology, and the work was analyzed in depth based on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were shared with fellow learners and went through a question-and-answer process. In the results of collecting opinions on students’ lectures in the last lec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philosophy and psychology centered on literature, which was the goal of this lecture, was effective in expanding the scope of literature understanding. The liberal arts and literature education of universities is important in that it can voluntarily reach a deep understanding of literature based on the content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make literature a daily life as an adult. I expect that students will develop an interest in literature through a convergence of literature, philosophy, and psychology and become lifelong readers who enjoy literature.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문학교육의 일환으로 융복합적 문학교육 방안에 대하여 교과목 개발 사례를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각 분야의 경험과 발전 양상에 있어 과거와 전혀 다른 현 사회의 변화에는 그 기반에교육이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게 교육이 시대의 변화를 이끌기도하지만, 변화된 시대에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 역시 달라져야 한다. 문학교육 역시 예외는 아니다. 현대 사회는 분과 학문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학문을 연계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이 중요해짐에 따라 융복합적 역량에 대한 요구가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문학교육 내에서도 융복합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문학과 감정의 철학>은 충남의 K대학교에서 2020학년도 2학기에 처음 개설되었고, 문학과 철학, 심리학의 융복합을 바탕으로 한 강좌이다. 관련성이 높으면서도 이질적인 학문 간의 융복합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문학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 강의에서는 일상 속에서 겪는 불안, 분노, 혐오 등의 감정을 철학과 심리학의 관점에서 학습하고, 작중인물의 감정을 중심으로 작품을 심도 있게 분석해 보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또한 분석한 결과를 동료 학습자와 공유하며 질의 응답하는 과정을 거쳤다. 마지막 강의에서 이루어진 학생들의 강의에 대한 의견 수렴 결과에서는 이 강의의목표였던 문학을 중심으로 한 철학, 심리학의 융복합교육이 문학 이해의 폭을확장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의 교양문학교육은 중등 문학교육의 내용을 토대로 자발적으로 깊이 있는 문학 이해에 도달하게 할 수 있고, 성인으로서 문학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마지막 교육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문학, 철학, 심리학의 융복합적 교양 문학 강의를 통해 학생들이 문학에 대한 흥미를 길러 문학을 향유하는 평생 독자로서의 발걸음을 뗄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이론 이후의 문학, 인문학

        오문석 구보학회 2016 구보학보 Vol.0 No.14

        Facing the 1990s, the modern concept of literature started from Lee Gwang-su becomes an end. The new study of literature and criticism about the modern concept would be premised for the demystification. It is attributable to the stronger influence of literary studies and criticism in Philosophy (or Theory). Philosophical literary theory stemmed from structuralist literary theory was led to undervaluation of the phase of the authors and their works in the study of literature and criticism. As the result, Theory (or Philosophy) were emerging as a major interest in literary criticism instead of the authors and their works. This philosophy is gain dominance instead of literature. In the study of literature, authors and their works tends to be included to study as part of the popular culture. Hereby, consilience way of study which is impossible strict distinction between literature, philosophy and history would opened. This shows that the traditional system of modern humanities division would be disintegrated. This is a phenomenon reaching through the self-dissolution and break down boundaries of literature. Also, it should be derived from the philosophy penetrates in to literature. Therefore, This is not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would be explained only by external factors that the market requirements. Self-reflection was also important for the internal operation of the humanities in modern academic system. In other words, Humanities crisis is explained by the crisis of departmental studies within the Humanities. 이광수에서 시작된 근대적 문학 개념은 1990년대를 맞이하여 종언을 고하게 된다. 새로운 문학연구 및 문학비평은 근대적 문학 개념에 대한 탈신비화를 당연하게 전제한다. 그것은 문학연구 및 비평에서 ‘철학’(혹은 이론)의 영향력이 강해진 탓이다. 구조주의에서 비롯된 철학적 문학이론은 문학연구 및 비평에서 작가와 작품의 위상에 대한 저평가를 주도하였다. 그 결과 문학비평에서는 작가와 작품 대신에 ‘이론’(혹은 철학)이 주요 관심대상으로 부상하게 된다. 문학 대신에 철학이 지배력을 얻게 된 것이다. 문학연구에서는 작가와 작품이 (대중)문화의 일부로 포함되어 연구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로써 문학과 철학, 역사 사이에 엄밀한 구별이 불가능한 통섭적 연구의 길이 열린 것이다. 이는 전통적인 근대적 인문학의 분과체계가 붕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문학의 자기 해체와 경계 허물기를 통해서 도달한 현상이다. 그리고 그것은 문학으로 침투한 ‘철학’(혹은 이론)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인문학의 위기는 그러므로 시장의 요구라는 외부적 요인에 의해서만 설명될 것이 아니다. 근대적 학문 체계에 대한 인문학 내부에서의 자기반성도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인문학의 위기는 곧 인문학 내부의 분과학문의 위기였던 것이고, 그것은 문/사/철이 융합되었던 인문학의 원형으로의 복귀이기도 하다.

      • KCI등재후보

        방정환 아동문학론의 문학 교육적 함의(含意)

        임성규(Lim, Sung-Kyu)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4

        아동문학 연구의 활황과 더불어 이제는 아동문학 교육을 통해 초등학교의 문학 교수-학습을 개선시켜 나가야 한다. 아동문학은 그 자체로 아동을 위한 계몽적 자질을 내함(內含)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력한 아동 교육의 매재(媒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시각에서 우선적으로 고구(考究)되어야 할 것이 아동문학 교육의 철학적 기반을 마련하는 일이다. 이론적, 사상적 기저가 없는 교육 이론은 쉽게 흔들릴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문학 교육의 철학을 정초 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셈이다. 그리고 그러한 중심에 한국 아동 문학의 본격적 문을 연 방정환의 아동 교육 사상이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방정환에 대한 아동문학적 접근은 그의 생애나 동화, 동요 등의 지배적 부분에 치중함으로써 방정환이 지향했던 아동 계몽 철학에 대해서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런 의미에서 방정환이 남긴 아동문학론은 방정환이 기획하고 구상했던 아동문학 교육의 설계도란 점에서 현재의 아동문학 교육을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적 함의를 내장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아동 존중의 정신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아동 중심의 문학교육 철학과 단순한 교훈을 넘어 심미적 즐거움을 강조하는 교육 설계론이다. 그러므로 성인과 동등한 인격체로 서의 아동을 재발견해냄으로써 근대적 아동문학의 시원을 마련한 방정환의 아동문학 교육 사상을 현재적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초등학교 의 문학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발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educational thought of Bang Jung-Hwan;s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investigating childrens literature essay. He opened full-scale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re-discovery of child and childrens literature. It is narrow perception him to establishing person childrens day. So, study of his childrens education philosophy is basic work for making theoretical base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Creating childrens story and poetry for children is partial view in the his childrens education. His childrens essay have excellent feature for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n this point, Bang Jung-Hwans childrens literature essay is the essence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philosophy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at we have to succeed. Specially, it was gushed Korean soil that anxiety national future. Its spirit help to raise childrens existence to clean position. The succession of his children respect philosophy is modern peoples indispensable task that living today. Actually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s now germinating. Increased childrens literature discourse after 90s help popular concern in childrens literature. But teaching-learning study discourse of childrens literature text in th classroom be have to reclaimed. In this context, we have to make a raise ideological, philosophical base for the root of childrens literature instruction. And this meaningful point, Bang Jung Hwans childrens literature essay is help to new philosophical root formation. Accordingly, more close material inquiry and interpretation work be have to accomplished for basic found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