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법 탐구학습 절차 설계를 위한 기초 조사 — 교사의 탐구학습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양영희 국어교육학회 2023 國語敎育學硏究 Vol.58 No.3

        본 연구는 탐구 단계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들에서 제안한 탐구 단계의 공통점을 토대로 하여 ‘문제 제기-자료 분석-가설 설정-가설 검증-원리 발견-일반화’의 6단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탐구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매우 필요함-필요함-필요 없음’ 집단으로 구분하여 이들이 평가하는 각 탐구 단계의 타당도를 Borich 요구도로 분석하였다. 세 집단의 최종 결과는 ‘자료 분석 > 일반화 > 원리 발견 > 문제 제기 > 가설 검증 > 가설 설정’ 순으로 판정되었지만, 세부적으로 접근하면 ‘매우 필요함, 필요함: 필요 없음’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매우 필요함’과 ‘필요함’ 집단에서는 ‘자료 분석과 일반화’ 단계를 1 내지 2순위로 평정하고 문제 제기를 4순위로 평정하였다. 그러나 ‘필요 없음’ 집단은 ‘자료 분석과 원리 발견’ 단계를 1, 2순위로 평정하고 가설 검증 단계를 4순위로 평정하였다. 이러한 결괏값은 교육 현장의 관점에 입각한 탐구 절차를 구안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eachers’ validity for the inquiry learning steps. Based on the commonality of the inquiry learning step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established the following six steps: proposal of the problem; data analysis; hypothesis setting; hypothesis verification; principle discovery; and generalization. Additionally, teachers’ awareness of inquiry learning was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groups: very necessary; necessary; and not necessary. The validity of each step was evaluated with Borich needs.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order: data analysis > generalization > principle discovery > proposal of the problem > hypothesis verification > hypothesis setting. However, a detailed analysis revealed the inter-group differences. In other words, in the “very necessary” and “necessary” groups, “data analysis” and “generalization” were rated as 1st or 2nd, and “proposal of the problem” as 4th. However, in the “not necessary” group, “data analysis” and “principle discovery” were rated as 1st and 2nd, respectively, and “hypothesis verification” as 4th.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c data required to devise an inquiry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classes.

      • KCI등재

        교사의 문법 탐구 학습 경험과 탐구 단계 평가의 상관성 고찰

        양영희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9 No.-

        본 연구는 수요자 중심의 탐구 학습 모형 설계를 위한 과정으로, 탐구 학습 경험 정도를 ‘전혀 없었음, 가끔 있었음, 자주 있었음’의 집단으로 구별하여 이에 따른 탐구 단계에 대한 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탐구 경험이 ‘자주 있었음’ 집단의 결괏값이 다른 두 집단과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먼저 일반화ㆍ자료 분석ㆍ원리 발견 단계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는 교사들이 이 세 단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수업 시간에 많이 활용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가설 검증’이 4순위로 평정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다른 두 집단의 결과는 5순위로 문제 제기 단계 다음이었지만 이 집단에서는 문제 제기 단계보다 우선순위였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가 교육 현장에 효율적인 문법의 탐구학습 모형을 개발하려는 데 있음에 주목하면 위와 같은 차이를 파악하는 것은 의미 있는 과정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 consumer-centered inquiry learning model that aligns with teacher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Teachers' inquiry experience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never," "sometimes," and "often." Subsequently, th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inquiry steps across these experience groups were analyzed. The findings revealed a distinct pattern for the "often" group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Firstly, there was minimal variation i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generalizing, analyzing data, and discovering principles. This suggests that teachers consistently value and utilize these three steps in their grammar instruction. Secondly, "verifying the hypothesis" was ranked fourth in importance by the "often" group, even surpassing "posing the problem." In contrast, the other two groups ranked "verifying the hypothesis" as the fifth, following "posing the problem." Given that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ffective model of grammar inquiry learning for classrooms, these findings hold significance to identify these differences.

      • KCI등재

        문법 탐구 절차 대한 경력별 교사 인식 분석

        양영희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 No.98

        본 논의는 Borich 요구도 분석 방법으로써 탐구학습 단계의 타당도에 대한 교사 경력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 경력을 5개군으로 구별하는 한편으로 연구자마다 달리 사용하는 용어와 개념을 ‘① 문제 제기- ② 가설 설정- ③ 가설 검증- ④ 원리 발견- ⑤ 일반화- ⑥ 자료 분석’으로 통일하였다. 그 결과 1년~5년 이하와 21년 이상의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전자에서 1순위로 평정된 ‘원리 발견’이 후자에서는 4순위로 평정되었고, 전자에서는 4순위로 평정된 문제 제기가 후자에서는 2순위로 평정되었다. 둘째 일관된 순위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타당도에 대한 집단별 인식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가령 원리 발견 단계에 대한 경력별 타당도의 경우 1년~5년 이하의 집단에서 1순위로 평정되었고, 6년~10년 이하와 11년~15년 이하 집단에서는 2순위로 평정되었지만 16년~20년 이하 집단에서는 가설 설정 단계보다 낮은 5순위로 평정되었고, 21년 이상의 집단에서는 4순위로 평정되었다. 다만 가설 설정과 가설 검증은 16년~20년 집단을 제외하고는 5, 6순위로 평정된다는 점에서 약간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본 논의에서는 교육 현장에 효율적인 문법의 탐구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상의 면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validity of the inquiry learning stage using the Borich needs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ing career groups of 1-5 years and more than 21 years. "Discovering a principle" was ranked first in the former but fourth in the latter, and "Raising a problem" was ranked fourth in the former but ranked second in the latter. Subsequently, the groups' perceptions of validity differed significantly, such that no consistent ranking could be identified. For example, the validity by career for “discovering a principle” was ranked first in the 1-5 years group, second in the 6-10 years and 11-15 years groups, but ranked fifth in the 16-20 years group, which is lower than the rank of “setting a hypothesis”, and fourth in the more than 21 years group. However, there was some overlap in the rankings of “setting a hypothesis” and “verifying a hypothesis”, which were ranked fifth and sixth in all groups except the 16-20 year group.

      • KCI등재

        질문 중심 문법 탐구 학습 설계를 위한 시론

        황미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6 No.-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types and functions of questions related to grammar inquiry. This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inquiry in grammar education is not merely a skill, but a cognitive ability. The content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I comprehensively surveyed the educational value and types of questions, and then analyzed the types and functions of questions related to grammatical inquiry. Next, in the grammatical inquiry, I discussed that both open questions and closed questions are possible in critical questions, and finally categorized into teacher questions and student ques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question and examined how they fun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inquiry. Questions are essential for grammar inquiry. Therefore, research on question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grammar inquiry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