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법적 의미와 문법 형태소의 기술적 타당성 — 규범 문법에 정착된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진병(Yi Jinbyeong) 한글학회 2021 한글 Vol.- No.331

        이 논문에서는, 표준 문법의 기술 중에서 문법론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문법 형태소의 설명에 기술적 타당성의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그 문제점에 대한 대안적인 기술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간 표준 문법은 개략적으로 문법적 의미에 기대어 문법 형태소를 기술해 왔다. 그런데 그 문법적 의미를 기술해야 할 자리에서, 어휘 층위와 형태소 층위의 혼동을 불러오거나, 어휘 의미와 의미 자질을 제대로 구분하지 않고 기술하거나, 전체 구성으로서의 의미와 구성 성분으로서의 의미를 엄밀히 구분하지 않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표준 문법의 기술은 문법 형태소와 관련하여 순환론적인 설명 방식을 이루는 문제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가 문법적 의미에 대한 기술로부터 비롯된다고 보았다. 그래서 문법 기술의 명시성을 확보하는 한편 기술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첫째, 문법 형태소의 속성에 대하여 되도록 완결성을 가지도록 다시 기술하였다. 문법 형태소는 홀로 발화되거나 앞뒤로 휴지를 가질 수 없으나 생산적이며 단어나 문장을 형성할 때라야 비로소 비지시적인 기능만을 드러내는 형태소이다. 둘째, 문법적 의미에 대한 새로운 표기 규약을 제안하였다. 문법적 의미의 표기는 관계적 성분의 의미 자질을 표시하는 방법을 따를 수 있다. In this paper, we show that the description of grammatical morphemes lacks descriptive adequacy. In normative grammar, established grammar morphemes are the basis of grammar theory. Thus, the description of grammatical meaning and grammatical morphemes is important. This paper suggests an alternative to that problem. In the past, normative grammars have described grammatical morphemes based on vague grammatical definitions. Thus, normative grammars which describe grammatical meanings have exhibited two major problems. First, there are some grammar elements that are inappropriately classed as either part of the language’s vocabulary or as morphemes; some vocabulary meanings and semantic features are not properly distinguished; and some elements’ construction and constituent meanings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Second, normative grammars engage in was circular reasoning with respect to grammar morphemes. These problems arise because of descriptions of grammatical meanings. Thus, We tried to explicitly describe grammatical elements. In order to do so, I described the properties of grammar morphemes and developed new notation for grammatical meaning.

      • KCI등재

        사고력 함양을 위한 문법 교육 방안 연구 -명사의 의미 기능과 교육 방안을 중심으로-

        고춘화 ( Chun Hwa Ko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5 No.-

        이 글은 문법 교육의 성격을 `언어`의 본질에서 찾고 학습자의 사고력 함양을 위한 문법 교육의 내용 및 교육 방안을 명사를 중심으로 설계한 글이다. 이 논문에서는 문법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서 `사고하는 문법`, `잘 사고하는 인간`을 설정하고,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문법 지식 자체에서 `사고의 방법`을 찾아 그 내용을 문법의 `사고적 기능`이라 정의한 후 문법 교육 방안을 구상해 보았다. 우선 `명사`의 의미 특성 자체에서 `범주화, 개념화, 추상화, 관계성`의 사고작용을 도출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구현하는 실행방법을 제시하였다. 보통명사, 고유명사, 추상명사, 형식명사 자체의 본질적 특성과 의미기능을 학습자의 사고과정과 연관시켜 교육내용을 추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방안을 분류, 구별, 분석, 추상화, 해석 등과 관련시켜 제시하였다. 즉 의미와 기능, 사고를 통합하여 명사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명사`를 학습하는 자체가 사고하는 문법의 본질인 동시에 사고하는 문법의 교수학습방안이 될 수 있도록 일관된 설계를 추구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명사 교육 방안은 한국어의 특질을 제대로 살펴 교육문법의 내용으로 적극 도입하고자 하는 필자의 의도에서 출발한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문법 교육에서도 문법적 사고력의 신장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문법적 사고는 문법의 사고적 기능을 밝혀 재정립시키는 것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사고 문법으로서의 성격을 띤 교육문법의 구축을 위한 시발점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sign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grammar education focusing on nouns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thinking in perceiving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r knowledge from the essence of language itself. This research set the goal of grammar education: `thinking grammar`-improving leaner`s thinking ability and `a human with logical thinking ability`. I draw thinking methods out of grammar knowledge itself and research teaching methods about them. First, I conduct thinking processes from speaker`s cognition about the world such as categorization, conceptualization, abstraction, and relation, and suggest some practical ways focusing on semantic functions of nouns to apply it to a real classroom. I make up the contents of teaching based on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nouns including common, proper, abstract, and form nouns. I also propose teaching methods related to classification, distinction, analysis, abstraction and interpretation to teach effectively the contents of teaching. In conclusion, I try to grope fo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noun education by integrating semantic functions with thinking. I intend to introduce the contents of pedagogical grammar to a real Korean class. If so, the contents of teaching must be designed for developing grammatical thinking in pedagogical grammar. Grammatical thinking should verify thinking function of grammar.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to construct pedagogical grammar as thinking grammar.

      • KCI등재

        문법영역의 성격과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

        유혜령 ( Yu Hye-ryeo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0 국제어문 Vol.49 No.-

        본고는 국어과 하위영역인 문법영역의 성격에 대해 천착해 보고 그에 따라 문법영역에 포함될 문법지식을 탐색하고 선정하는 단계에서 국어에 대한 체계적 규칙으로서의 문법지식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전제 조건들을 고찰해 보았다. 우선 문법영역은 지식영역과 도구영역으로서의 이원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문법영역은 모국어에 대한 유용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지식영역이 되어야 함과 동시에, 국어 활동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절차적 지식을 제공하는 도구영역으로서도 기능해야 한다. 또한 학문문법의 연구 성과로 구성된 문법지식이 문법영역의 교육 내용으로 변환되려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전제 조건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문법영역의 교육 내용으로서의 문법지식은 첫째, 담화 층위의 규칙을 중심으로 제시되어야 하고 둘째, 언어적 생산 활동에서 효과적인 선택에 도움을 주는 지식이어야 하며, 셋째, 학문적 범주 구분을 지양한 지식이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갖춘 문법지식을 문법영역의 교육 내용으로 선정하고 설계한다면, 문법지식이 수행성을 갖게 될 것이며, 문법지식의 유용성이 교정적 차원에 그치지 않고 생산적인 언어활동에 직접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식은 결과적으로 교과서 편찬이나 교수·학습 차원에서 타영역과 통합적으로 교수·학습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lect the character of the field of grammar which was one of the sub-field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o discuss the essential preconditions of grammatical knowledge. At first, it was reconfirmed that the field of grammar had dualistic character as the field of knowledge and the field of method. The field of grammar as the field of knowledge should provide useful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and the field of grammar as the field of method should provide procedural knowledge. Also, it was discussed that there should be essential preconditions for grammatical knowledge composed of the study results of academic grammar to be transformed into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field of grammar. Grammatical knowledge a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field of grammar 1) should be suggested with the rule of the level of discourse centered, 2) should be helpful for the effective choice in productive linguistic activity, 3) should be against the division of academic category. If grammatical knowledge with these conditions be selected and designed a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field of grammar, grammatical knowledge would have availability and the usefulness of grammatical knowledge would contribute directly to productive linguistic activity over mere level of revision. At last this kind of knowledge would be taught and learned integrally with other fields in textbook writing and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교육문법의 교육 방향 연구

        임칠성 ( Chil Seong Im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6 No.-

        우리 교육문법 교육은 문법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육의 목표를 달성시키기 보다는 학문문법의 지식 체계를 간략화하여 이해하도록 지도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학문문법과 교육문법은 그 교육의 구조가 엄연히 다르다. 교육문법, 즉 초중등학교의 국어나 문법 시간의 문법에서는 일상의 언어를 분류하거나 분석하여 그 사용 원리를 발견한 다음 그에 따르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문법의 교육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학문문법과 달리 언어의 내적 구조와 주체의 언어 사용이라는 두 축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 두 축을 고려하여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이 7가지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1) 자국어 문법 교육의 교육 목표에 부합하여야 한다. (2) 결과 중심 교육과 과정 중심 교육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3) 다양성을 허용하는 탄력적인 규범 언어 교육을 하여야 한다. (4) 귀납적 수업 활동을 연역적 수업 활동과 조화롭게 사용한다. (5) 교육적 가치가 있는 사용 원리를 중심으로 가르친다. (6)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따라 교육 내용을 선정하여야 한다. (7) 국어의 문화적 가치를 이해하도록 가르친다. The education of academic grammar, which are taugh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teaching the result of linguistic studies in brief. But the goal of academic grammar is different to that of linguistics. The goal of academic grammar is to develope the ability to explore learners` language and to use correctly. For teaching academic grammar, we should consider the structure of a language and a learner as a user of those language. In this paper, I show 7 directions for teaching academic grammar as below: The education of academic grammar should. (1) be correspondence with the goal of the education of nation language, (2) be balanced between the result centered learning and process centered learning, (3) be learned the rule as a dynamic prescription which accept diversity of language use, (4) be taught balanced between the inductive activities and deduction activities, (5) teach some principles which are worthy to learn, (6) consider learners` ability and interests for selecting teaching contents, and (7) teach to understand the cultural values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문법 지식의 개념적 이해를 위한 설계

        고춘화(Ko, Chun-hwa) 국어교육학회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4

        이 연구는 문법 지식의 개념적 이해를 설계하여 정통적 문법 지식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법 지식의 개념적 렌즈(변이, 전형성 등)를 추출한 후 교육내용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개념적 이해를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법 지식은 국어에 대한 탐구와 해석이 녹아있는 개념의 구조체이다. 이해 중심문법 교육의 가능성을 문법 지식과 개념에 대한 기존 논의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문법지식을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학습자는 언어에 대한 사실적 정보들을 서로 연결하고 일정한 틀을 파악하여 스스로 앎을 구성할 수 있다. 문법 지식의 본원적 가치는 학습자의 개념적 이해에서 실현된다. 문법 개념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전이가 높은 지식으로 변환하기 위해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개념적 렌즈’를 활용하여 문법의 개념적 렌즈를 추출, 적용하였다. ‘변이’와 ‘전형성’은 인간이 언어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법 현상에 대해 통찰할 수 있게 하는 추상적 개념이다. ‘변이’를 통해 형태소의미 관련 지식을, ‘전형성’을 통해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관련 지식을 개념적으로 접근해 보았다. 문법 지식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는 고차적인 사고와 함께 이루어진다. 마치 드릴로 땅을 깊게 파는 것이 넓게 파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듯 문법 지식의 제대로 된 이해는 학습자의 지적 능력을 강화하고 확장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게 할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design conceptual grammar education by utilizing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grammar knowledge.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increase the educational value of traditional grammar knowledge. Grammar knowledge is a structure of concepts that contains explor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language. It i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oriented grammar education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on grammar knowledge. By hav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grammar knowledge, learners can connect factual information about language to each other, grasp a specific framework, and organize knowledge on their own. The original value of grammar knowledge is realized in the learner’s conceptual understanding. To enhance the learner’s deep understanding of grammar knowledge and transfer price, concept lens of grammar was extracted using the conceptual lens of concept-based curriculum and organized into contents of education . Variety and Typical are abstract concepts that enable humans to gain insight in to the grammatical phenomena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world through language. A deep understanding of grammar knowledge accompanies high-level thinking. Just as drilling deep in to the ground naturally leads to making the ground dig widespread, a proper understanding of grammatical knowledge will strengthen, expand and sustain the learner’s intellectual ability.

      • KCI등재

        투고논문 : 한문과 학교문법서의 서술 방향 모색 -2007 개정교육과정 중고등학교 해설서(한문)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중 ( Sung Joong Kim ),김수경 ( Su Kyung Kim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0

        학교문법은 학문문법이 간결화 과정을 거친 결과라고 한다. 이는 결국 어떠한 내용을 어떻게 기술하느냐에 관련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조작은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가 한문을 익히는 방법은 서양인과 다르고 중국인과도 다르다. 따라서, 한문 독해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필요한 한문 문법 지식은 우리나라 학생의 상황에 맞게 서술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한문과 학교 문법에 대한 학계의 연구 성과는 2007 개정교육과정(및 해설서)에 모아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한문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해설서를 중심으로 한문 문법을 강의하면서, 학생들이 해설서를 통해 한문 문법을 익히는 과정에서 노정된 여러 문제점을 크게 네 유형으로 나누어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첫째, 학생들에게 일반적 문법의식과 한문만의 특수한 문법 인식을 제고해줌으로써 도입단계에서 한문의 문법적 요소를 이해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해설서의 부분적인 문법 서술의 모호성과 간략성은 학생들이 해당 문법내용을 이해하는 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까닭에, 문법 서술 표현을 엄밀화함으로써 학생들의 문법 이해 효과를 증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법 사항을 설명하는 예문이 교재 및 학생의 학습 수준과 유리될 경우 학생들은 문법 설명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가능한 한 전형적이고 실용적인 예문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해당 문법 내용에 대한 이해를 극대화시켜야 한다. 넷째, 학생들이 한문 문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필요한 학습 요소들을 보강,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의 고찰이 향후 학교 문법서 편찬에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We ascertain that the 2007 Revised Curriculum Guide of Korean Classical Chinese has reflected the academic research performance of the school grammar of Korean Classical Chinese so far. Based on the various critical recognition of one college student group majoring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oward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which had been researched during the lecture in 2011, this essay endeavors to devise alternative proposals for their critical queries. We categorize our suggestions into four parts. First, the students` grammatical recognition could be enhanced by presenting the factors grounded on the general grammar recognition and the distinctive grammatical element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respectively, in the intro. Second, the preciseness of grammatical description coul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ents` grammatical grasp, because the survey shows that the students express their difficulties of understanding when the grammatical descriptions are ambiguous. Third, the archetypal and obvious example sentences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grammatical contents more directly. we find that when an example sentence deviates from the school text or the students` academic standards, the students` academic efficiency decreases. Forth, Some grammatical issues could be resolved by additional description of grammatical elements, such as causative use of verbs, solo & multi functional aspects of mood particle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Guide. We hope that our research and suggestions to the students` grammatical recognition could have a certain value for the compilation of a future school grammar text.

      • KCI등재

        규범문법 수립이라는 과제와 국어학: 국어학사의 관점에서 본 국어 규범문법의 특수성

        최경봉 한국어학회 2020 한국어학 Vol.86 No.-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process of normative grammar and tried to explain the following two points: The first is how the Korean linguistics community recognized the task of establishing normative grammar, and the second is how the Korean linguistics community had connected the task of establishing normative grammar with the discussion of Korean linguistics. These discussions are intended to lay the groundwork for a renewed status and role of normative grammar. In Chapter 2, I emphasized that the primary goal of modern grammar was the establishment of normative grammar, and pointed out that grammatical disputes led to competition for the initiative of normative grammar. I also pointed out that under these circumstances dictionaries and grammar textbooks have become a venue for grammatical debate. In Chapter 3, I looked at the impact of normative grammar on the discussion of Korean linguistics and the pattern in which the discussion of Korean linguistics converges on normative grammar. 본고에서는 규범문법의 형성과 정립 과정을 살펴보면서 다음 두 가지 점을 설명하고자 했다. 첫째는 국어학계가 규범문법 수립이라는 과제를 어떻게 인식하였는지에 대한 것이고, 둘째는 국어학계가 국어학적 논의와 규범문법 수립이라는 과제를 어떻게 연결지어 왔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규범문법의 위상과 역할을 새롭게 자리매김하기 위한 논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2장에서는 근대 문법학의 일차적 목표가 규범문법의 수립이었음을 강조하면서, 문법학적 논쟁이 규범문법의 주도권 경쟁으로 이어지게 되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국어사전과 문법 교과서가 문법학적 논쟁의 장이 되었음을 지적하였다. 3장에서는 규범문법이 국어학적 논의에 미친 영향과 국어학적 논의가 규범문법에 수렴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 한국어교육문법의 인과 관계 연결어미 연구 - 초급교재에 나타난 '-니까'를 중심으로 -

        권미미 ( Kwon Mi-m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문화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연결어미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초급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연결어미의 교육을 위해 교육문법(pedagogical grammar)용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연결어미 학습은 한국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연결어미를 처음 접하는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재의 교육문법을 ‘-니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실제 학습자들의 작문 속의 오류를 분석하여 교육문법과 학습자 오류 생성의 관계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에서 연결어미, 특히 ‘-니까’의 교육문법이 어떻게 기술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겠다. 교육문법은 한국어교육에 기본이 되는 내용이므로 그 내용은 형태, 의미, 사용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각 교육문법 내용이 서로 상호 보완하여 학습자가 개별적인 교육문법을 학습할 때 미리 학습한 문법내용과 연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한국어를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문법 내용의 예문은 대화형식으로 이루어져야 학습자가 그 문법을 언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학습하여야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위한 한국어교육문법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is thesis makes a start in the mind that Korean ending connective is an important element of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For education of Korean ending connective, Korean pedagogical grammar is also important. Especially, this study aims to make a analysis of pedagogical grammar of '-nikka' in elementary Korean books and discuss pedagogical grammar of '-nikka' for a novice. I described the notion of Korean pedagogical grammar and analyzed the '-nikka"s pedagogical grammar of elementary Korean books based on Larsen-Freeman(2004)'s pie diagram for grammar education. And I analyzed errors of Korean learners about '-nikka' and searched for causes that Korean learners produce errors by pedagogical grammar. As a result, I proposed pedagogical grammar of '-nikka' for a beginners. Consequently, Korean pedagogical grammar should include distinctiv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each expression.

      • KCI등재

        문법 기술과 범주 속성 -중립적 범주 명칭 사용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정택 겨레어문학회 2017 겨레어문학 Vol.59 No.-

        The poet's narrative oriented tendency is to be the important relic, which shows the trial for the overcome the present's difficulty through the incidents and the characters in the past. 시제, 존대법, 피동법과 사동법 등의 문법 범주는 일정한 의미를 나타내는 범주이므로 이들 역시 광의의 의미 범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의미 범주가 문법 범주가 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의미를 실현하고 분절하는 문법 요소가 있을 경우에 한해 문법 범주가 될 수 있다. 그런데 80년대 중반 이후 간행되어 온 문법 교과서류에서는 의미 범주와 문법 범주를 아우르는 중립적인 범주 명칭이 사용돼 왔다. 시간 표현, 존대 표현, 피동 표현, 사동 표현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데, 1985년 국정의 문법 교과서에서 ‘시간 표현’이 사용된 이후 그 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어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과서의 특성 상 엄격하고 생경한 문법 범주 명칭보다는 이들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 같기는 하나 이로 인한 문제는 심각한 것으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이렇게 느슨하고 중립적인 범주 명칭은 문법을 기술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기술 대상을 선정함에 있어 문법성에 대한 엄정한 판단을 유보하게 할 가능성이 매우 크고 이로 인해 특정 문법 범주에 포함시켜서는 안 될 요소를 기술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1991년 판 국정 문법 교과서와 2002년 판 국정 문법 교과서를 비교할 때 ‘피동 표현’이라는 느슨한 범주 명칭의 도입으로 인해 피동과 무관한 통사적 구성을 새로이 추가하는 일이 벌어진 일도 있다. 현실적인 편의성 도모를 위해 중립적인 범주 명칭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기술 대상에 대한 엄정한 문법성 판단만큼은 지속적으로 지켜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文法研究の現状と展望

        이경수 한국일본어학회 2019 日本語學硏究 Vol.0 No.59

        This paper examines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in 2017 and 2018, on Japanese grammar and explores their current trends, clarifies special features, and provides insight into the prospect of future studies on Japanese grammar. I tried to divide Japanese grammar into several categories. This paper will examine research articles on Japanese grammar that have been published in papers. Descriptive grammar studies, Contrast research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ranslation research applying contrast studies, Application to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grammar research, Research using corpus, Cognitive semantics and cognitive grammar, Politeness and discourse, Various research methods were used. besides, The trends of the Japanese grammar research which is found in the Japanese Linguistic Society was clarified.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being done in the book seems to have not changed much in the way of research in Kore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research on Japanese grammar in Korea is carried out similarly to international research on Japanese grammar. There are not many announcements, postings, or research findings by Korean researchers at Japanese academic conferences, seminars, etc. This is because Japanese academic societies do not acknowledge much in the field of research in Korea. It is because research articles highly evaluates academic papers register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I think that such phenomenon will prevail for the time being. I think research articles will change positively as the standard of evaluation in Korea changes. In spite of such bad conditions, Korean researchers should positively announce a lot in Japan. 본고에서는 2017~2018년에 걸친 일본어문법 연구의 현황 및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본다. 검토 대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10종의 학술지에 수록되어 있는 일본어문법 연구 논문으로 한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일본어문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일본어문법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상 논문을 살펴본 결과, 기술 문법 연구 ․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조 연구 ․ 대조 연구를 이용한 번역 연구 ․ 문법 연구 결과의 일본어교육 응용․ 코퍼스를 이용한 문법연구 ․ 인지언어학과 인지 문법 ․ 경어와 담화 등등 주제가 다양하였다.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의 일본어학회, 일본어문법학회, 일본어교육학회, 언어학회에서 발표되는 일본어문법 연구 경향도 확인한 바, 한일 양국의 일본어문법 연구 흐름은 유사하지만, 일본에서는 일본어교육문법이라는 새로운 형태와 방법론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었다. 이를 볼 때, 앞으로 한국에서도 일본어교육문법연구라는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최근 몇 년간 일본에서 개최되는 학술대회 및 세미나, 학술지 등에 한국인 연구자의 발표나 논문이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점은 아쉽다. 이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이나 각 대학에서 일본에서의 학술 발표나 논문보다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더 인정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기현상일 것이다. 한국의 평가 기준이 바뀌지 않는 한, 이러한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더 우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한국의 평가 기준이 바뀌거나, 평가와 상관없이 순수하게 학문의 발전만을 위해 애쓰는 연구자들이 많이 나와야겠지만 현실적으로 쉽지않은 일이다. 앞으로의 과제는, 위에서 열거한 다양한 연구들을 문법교육과 일본어교육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 즉, 교육현장에서 문법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일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