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조선과 명의 관계를 통해 본 중국패권의 작동

        이택선(Taek Sun Lee) 한국정치학회 2013 한국정치학회보 Vol.4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과 명(明)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국패권의 작동방식을 고찰해 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거시적으로 전통시대 동아시아 국제정치질서를 문명표준과 언어표준, 그리고, 외교표준을 둘러싼 한족과 북방 민족 간의 충돌과 융합의 정치, 외교사로 해석한다. 즉, 서론에서 조셉 나이의 개념을 적용하여 중국패권의 작동을 같은 시기 속에서도 군사력과 경제력 등의 하드 파워적 권력과 유교라는 이데올로기와 문화, 그리고, 책봉조공체제라는 외교제도와 관련된 ‘표전문’과 ‘이문’등을 둘러싼 소프트 파워적 권력이 병행되어 투사되고 갈등과 협력이 공존했었던 일종의 ‘복합게임’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본론에서는 이를 미시적인 권력의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힘을 네 가지 형태로 정의한 로버트 제이아트의 이론을 사용하여 조선과 명 사이에 나타난 외교 갈등의 사례를 살펴볼 것이다. 즉, 명이 ‘이문(吏文)’과 ‘표전문(表箋文)’ 등의 외교문서의 형식에 대한 요구를 통해 조선에게 강요하였던 외교표준과 문명표준을 수용하기 위해 조선이 기울였던 노력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에서는 조선과 명의 관계가 1. 협력 속의 갈등(1368년-1388년)→2. 갈등(1388년-1402년)→3. 갈등 속의 협력(1402년-1474년)→4. 협력(1474-1637년)의 네 단계로 전개되었으며 하드 파워적 권력과 소프트 파워적 권력이 병행, 투사되는 일종의 ‘복합게임’으로 진행되는 복잡한 양상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기존 연구들이 그 본질을 파악하고 유형화시키기 매우 어려웠음을 지적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mechanism of the Chinese hegemon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modern the Joseon and the Ming Dynasty. At the same time, it refers to the Joseph Nye, and Robert J. Art’s security the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study argues as the following. China carried out the two measures to rule the region; the use of military power and diplomatic means based on diplomatic institutions and protocols. As such,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odern Korea and China indicates the form of ‘complex games’, which keep conflicts and cooperation continue, depending on Robert J. Art’s Four Forces. The four stages developed as the following; 1. conflicts in cooperation (1368~1388) → 2.conflicts (1388~1402) → 3. Cooperation in conflicts (1402~1474) → 4. Cooperation (1474~1637). Even though the Chinese hegemony has form of ‘complex games’, researchers have expressed different views on the mechanism of the China’s hegemony, depending on the periods they observe.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to structuralize these periods and to help researchers viewing the pre-modern China’s hegemony.

      • KCI등재

        근대 지구적 국제질서의 사회구성적 형성: 문명표준론을 중심으로

        이경아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2 국제지역연구 Vol.31 No.3

        근대 지구적 국제질서의 형성원리는 무엇인가? 기존 이론은 이질적인 무정부와 위계가 공존하는 근대 지구적 국제질서 형성에 있어, 군사, 경제 등 물리적 차원의 힘의 원리와 규범적 차원의 주권 규범 원리의 작용 만을 중시하였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공의 문명표준론과 이의 수정주의적 논의를 통해 근대 지구적 국제질서에 주요하게 작용한 사회구성적 차원의 형성원리로서 문명표준을 재고한다. 대부분 문명표준은 근대 국제법의 주요한 요소이자 유럽 제국주의와 식민 주의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강조되었다. 하지만 문명표준은 유럽이 비유럽 세계와 마주하게 되자 벌인 인류와 국제사회의 범위와 정의에 대한 논쟁으로부터 등장하여 유럽 국제사회 밖의 세계이자 비유럽 세계를 성층화하여 조직하는 형성원리로 작용하였다. 무정부적 평등한 주권 질서와 위계질서가 공존하고 무정부 질서 내의 위계와 제국적 위계가 혼종하는 다중적 위계 형태의 근대 지구적 국제질서 형성에 긴요하게 작용하였다.

      • KCI등재

        Is North Korea Entering International Society?

        안문석 한국동북아학회 2015 한국동북아논총 Vol.20 No.2

        North Korea has provoked the outrage of regional countrie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its nuclear program and long‐range rocket tests, appalling human rights conditions, and widespread famine, among other issues. This indicates that North Korea still falls short of the standards of civilization from an international societal perspective, and, thus, North Korea has been seen an outcast of the existing international society. Against this backdrop, the aim of this essay is twofold. The first is to historically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North Korea and international society. Second, by looking at four critical sticking points – diplomatic normalization with the U.S. and Japan,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law, improvements in human rights, and economic and political reform – between North Korea and international society, this research seek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North Korea’s entry into international society. This essay argues that, despite its recent provocations of South Korea and other regional countries, North Korea has gradually increased its engagement with international society. In this context, rather than compelling North Korea to adopt international rules and norms all at once, in the long run it is more reasonable and effective to incrementally induce North Korea into reformation and engagement with the rest of the world. 북한은 그 동안 핵실험과 장거리로켓발사, 인권문제 등으로 동북아지역뿐만 아니라 국제사회 전반에 주요 위협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는 북한이 여전히 국제사회이론에서 제시하는 문명의 표준에 미치지 못해왔고, 따라서 국제사회의 국외자로 존재해 왔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조건하에 있는 북한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지, 또 그럴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우선 논문은 북한과 국제사회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국제사회 참여 가능성을 평가한다. 이를 위해서 논문은 북한이 미국․일본과의 관계정상화, 국제법에 대한 적응, 인권개선, 정치․경제적 개혁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의 변화 가능성을 검토한다. 이는 국제사회이론이 국제사회 참여 여부를 평가할 때 활용하는 주요 문명의 표준들이다. 본 논문은 위의 네 가지 측면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북한이 한국과 동북아지역에 대한 많은 도발에도 불구하고, 다른 측면으로는 국제사회와의 관여를 일정 부분 진전시켜 왔음을 보여준다. 이는 북한핵문제와 같은 주요이슈에 대한 해결방안이 마련된다면, 북한이 점진적으로 국제사회에 참여할 가능성도 존재함을 말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국제사회의 북한에 대한 대응방안과 관련해서도 북한으로 하여금 국제사회의 규칙과 규범을 수용하도록 강제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북한이 국제사회와 관여의 지평을 넓혀가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본 논문은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박규수와 고종의 정치적 관계 연구

        강상규(Kang, Sang-gyu)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1 No.1

        박규수(1807-1876)는 이른바 ‘조선개화파’의 원조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박규수를 단순히 개화파와 실학의 가교(架橋)를 놓은 존재로 인식해서는 당대를 고민하며 살았던 박규수의 정치적 사상적 고투는 좀처럼 손에 잡히지 않는다. 이 논문은 문명사적 전환기를 치열하게 살았던 인물 박규수를 통해 당시의 조선정계의 한켠에서 진행되었던 혼돈과 고뇌, 정치적 모색에 관해 고찰하는 글이다. 특히 지금까지 거의 전혀 주목되지 않았던 국왕 고종을 가까이서 보좌하며 국왕의 선생으로서 재상(宰相)의 자리에 올랐던 박규수의 정치사적 의미가 어떤 것인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박규수는 19세기라는 문명사적 전환기, 상이한 패러다임 간의 충돌이 일어나는 와중에서 문명표준이 뒤바뀌는 시대적 상황을 살았던 고뇌하는 지식인이자 현실정치가였다. 그는 자신의 두 눈으로 중화질서가 ‘안과 밖으로 동요하는 현장을 직접 목격했으며, 국내의 민생이 무너져 내리는 가운데도 무책임하고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위정자와 지식인들을 접하면서 ‘지켜야할 것과 변통해야할 것’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성찰했던 인물이었다. 당시 박규수는 뭔가 국가 ‘간’ 관계의 패러다임 변화를 감지하는 속에서 조선이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할 지 어디까지나 유자(儒者)적 관점에서 현실정치가로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었다. 현장의 소리를 경청하려했고, 원칙을 존중하되 항시 실용적이고 구체적으로 문제에 접근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기존의 개화파 중심의 역사서술에서, 박규수는 개화의 선구자로서 그와 개화파간의 교류에 대해서는 주목 받을 수 있었어도, 국왕을 가까이서 보좌하며 국왕의 선생으로서 그가 갖는 정치사적 의미는 간과되어져 왔다. 당시 조선의 정치구조와 군신(君臣)관계에 대한 이해를 배경으로 박규수의 삶을 차분히 따라가지 않으면 박규수와 국왕의 특별한 정치적 관계는 거대담론의 틈새에 끼어 좀처럼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박규수가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을 현실정치 공간에서 창출해내지는 못했지만, 청년 국왕 고종의 정치의식을 키워냈다는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Gyusu Park (1807-1876) is a founding father of the so-called ‘Enlightenment of Joseon’ faction. However, the mere recognition that Park served as a bridge between the Enlightenment faction and Shilhak (realist school) obviates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he struggled in anguish of politics and ideology. This paper looks into the life of Gyusu Park, who lived intensely during the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 to the extent that it investigates the chaos, distress, and political search under way in a comer of the Joseon political world. The argument of this paper is developed on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Gyusu Park, who assisted the king and got advanced to the position of prime minister as a teacher of the king, the fact of which has gone unnoticed. Gyusu Park was a distressed intellectual and realistic statesman who lived in the era of changing standards in civilization in which disparate paradigms conflicted in the civilizational transformation period of the 19th century. He witnessed the scene in which Sinicism was at stake ‘in and out,’ and he was continuously agonizing and reflecting on ‘what to conserve and what to compromise’ among other politicians and intellectuals who remained irresponsible and passive when the public lives were collapsing. Park was seriously concerned about what choices Joseon should make in the turmoil of the paradigm shift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s, which he perceived as a realistic statesman, from a purely Confucianist perspective. He endeavored to listen to the public sentiment and approached problems in a practical and concrete way, respecting the principles. In the literature of the history on the Enlightenment faction, attention has been paid to Park who, as a pioneer of enlightenment, kept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nlightenment faction; however, there has been no consideration of Park’s role in the political history as a king’s teacher and aide. The special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Gyusu Park and the king gets lost amongst the macro-level discussion, unless a careful examination of Park’s life is carried out with the background knowledge of Joseon’s political struc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This paper presents concrete evidence that Gyusu Park helped to foster the young sovereign Gojong’s political awareness, although he did not create a new political paradigm in the actual arena of politics.

      • KCI등재

        禮敎의 가늠자: 조선시대 경상도 지역 지리지 ‘風俗’조의 검토

        김지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규장각 Vol.52 No.-

        이 글은 지리지 서술 내용의 변화를 통해 조선시대 지배 또는 통치, 정치, 治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조선적 문화 형성의 경로를 읽어내려는 시론적 작업이다. 본격적인 분석 대상은 지리지의 여러 항목 중 ‘풍속’조이다. 풍속 항목은 조선시대 지리지 편찬자들이 의도적으로 삽입시킨 것이며, 삽입된 뒤에도 기술 내용이 고정되지 않고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1425년 『경상도지리지』에는 풍속 항목이 없지만, 그 서두에서 경상도 66개 군현 풍속을 기술하였다. 이 최초의 풍속 기술은 조선후기인들의 진술을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내용과 크게 달랐다. 문풍이 드높고 순후한 풍속을 가진 고을이라는 조선후기적 이미지와 달리, 상당수 고을이 무예를 중시하며 강하고 사납거나 싸우고 다투기를 좋아하는 것으로 그려졌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경상도 지역 44개 고을의 풍속만 기술하였지만, 풍속 기술에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 때 관찰한 고을의 풍속은 고을 고유의 민속이라기보다는 고을 전체가 가진, 타고나거나 자연스럽게 배어들어 있는 문화적 취향이나 품성이었다. 이후 전국지리지나 고을 읍지들에서도 풍속 기술들이 수정되어갔다. 지방지의 편찬자들은 개인의 생존을 위해 싸우고 다투며 살아가는 태도를 비판하고 더불어 살아가고자 하는 풍조를 격려하며 풍속 항목을 기술했다. 신유학의 인간과 사회, 정치를 바라보는 관점이 고을의 풍속을 바라볼 때 투영되었고, 일정한 문화적 기준 “검소하고 예의, 의리를 알고 학문을 알며 다투지 않는 문화”의 성취 여부가 풍속조 서술의 기준이 되었다. 다스림[治]은 단순한 관료 행정이 아니라 포괄적 교육으로서의 예교였고, 고을 풍속은 다스림의 방향을 가늠하고 성취를 평가하는 지표로 여겨졌다. 지역인들도 사욕보다는 인간 관계 속에서의 올바름[道義]을 중시하며 살아간다는 점을 인정받고자 했다. 17세기 지역인에 의해 작성된 읍지에서는 이러한 신유학적 문명론의 기준에서 벗어난 기왕의 고을 풍속 기술에 노골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고을 풍속을 바꾸는 경쟁은 전 도에 걸쳐서 일어났다. 각 지역 읍지의 풍속 항목은 예교주의적 노력들의 성취 정도와 지속 가능 여부를 가늠하는 잣대였다. 조선은 중앙정부, 지방정부, 지방 사 모두 나라가 존속하는 마지막까지 고을의 풍속을 고을의 ‘治’의 방향과 방법을 결정하는데 있어 꼭 필요한 지표라는 관점을 버리지 않고 예교의 가늠자로서 풍속 항목을 서술하였다. 19세기 초반에 이르면 경상도 거의 모든 지역의 풍속 항목에서 사납고 다투는 이미지는 사라졌다. 각 고을들은 조선의 문명적 표준을 내면화했고, 자기 정체성의 일부로 삼았다.

      • KCI우수등재

        환재 박규수와 시무(時務)의 국제정치학

        김성배(Sungbae Kim)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2

        본 연구는 19세기 중후반 한국외교사에서 환재 박규수가 보여준 독특한 국제정치적 대응에 주목한다. 박규수는 초기에는 비교적 선명한 화이관을 가지고 있었으나 아편전쟁과『해국도지』영향을 받아 해방론으로 이양한다. 그의 해방론은 서양세력을 국제정치적 실체이자 타자로서 인정한다는 점에서 척사론과는 구분된다. 또한, 2차 연행 이후 에는 만국공법 질서에 대한 초보적 이해와 서양제 국과의 수교에 대한 개방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만국공법의 주권질서 조직원리와 행위자로서 국민국가를 문명표준으로 냉철하게 인식하지는 못하고 있다. 박규수의 국제정치학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은 전통적 동아시아 질서와 근대 주권질서를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중국을 단지 하나의 영토국가가 아니라 동아시아 문명이자 힘의 실체로 이해했으며 문명적 선호와 전략적 시세판단에 입각하여 한중관계를 기축으로 서양세력의 도전에 대응하고자 했다. 그런 의미에서 박규수의 국제정치학은 전통과 근대가 모두 투영된 복합적 국제정치학이자 문명의 국제 정치학, 그리고 그가 선호하는 표현을 빌자면 시무(時務)의 국제정치학이라고 할 것이다. This study pays focuses on the international politics that Park Kyu-soo showed in the Korean diplomatic history in the mid-late 19th century. Park certainly had Sinocentrism at an early stage, but was transferred to the theory of the maritime defense under the influence of the Opium War and the book of HaeKugDoJi(海國圖志). His view on maritime defense is differentiated from the tradtional perspective, Chok-Sa to the extent that it acknowledges the western power as international political entity.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tage, it has been found that he fundamentally understood the Western international law(萬國公法), assumed openness toward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Western countries. But he fails to keenly recognize the state nation as standards of civilization and an organizing principle of sovereignty. The major feature displayed in his international politics, is that he considers the traditional order of East Asia and the Western sovereign order at the same time. He identifies China not as a territorial state but as civilization of East Asia and stands up against the challenge of the Western power with a focus on the Sino-Korearelationship, based on cultural preference and strategic judgment. In this respect,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Park, can be termed as an international politics of civilization and an international politics of Si-mu(時務) as he prefers to call.

      • KCI등재

        중국의 글로벌사우스 전략: 국제사회이론의 관점에서

        김선재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4 중소연구 Vol.48 No.2

        본 논문은 영국학파(English School)의 국제사회이론 관점에서 중국의 글로벌사우스 전략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동질성, △다원주의, △규범과 규칙의 형성 등 국제사회이론이 강조하는 세 가지 주요 개념을 바탕으로 한 분석을 시도하였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중국은 글로벌사우스 국가들과의 역사․이데올로기․경제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한 유화적인 접근을 지속 중이다. 둘째, 중국이 지향하는 다극화와 다자주의는 국제사회이론의 다원주의와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중국의 글로벌사우스 전략에도 세밀하게 녹아들어 있다. 셋째, 중국은 글로벌사우스 전략을 국제사회에 투사하는 과정에서 3대 글로벌 이니셔티브 등 새로운 규범과 규칙을 제창하고 있다. 정리해보면 중국의 글로벌사우스 전략은 미국과 서방이 주도하는 문명표준에 대한 중국의 도전이자, 글로벌사우스 국가들과의 연대 강화를 통해 하나의 국제사회를 구축하고자 하는 중국의 시도라고 해석할 수 있다. 미중 간 전략적 경쟁이 보편적 가치를 포함한 전 방위적 부문에서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글로벌사우스의 ‘문명표준’경쟁을 둘러싼 강대국 간 갈등 역시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이 제시한 이니셔티브에 대한 글로벌사우스의 수용 여부, 글로벌사우스를 둘러싼 중국과 인도의 경쟁 등 역시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China’s global South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glish School's international society theory. Specifically, an analysis was attempted based on three core concepts emphasized by international society theory, such as △homogeneity, △pluralism, and △ formation of norms and rules, an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 China is continuing a conciliatory approach based on historical, ideological, and economic homogeneity with global South countries. Second, the multipolarization and multilateralism that China aims for can be understood in a similar context to the pluralism of international society theory, and are closely incorporated into China’s global South strategy. Third, China is advocating new norms and rules, including the three major global initiatives, in the process of projecting its global South strategy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In summary, China’s global South strategy can be interpreted as China’s challenge to standard of civilization led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West, and China’s attempt to build an international society by strengthening solidarity with global South countries. With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spreading in all-directional sectors, including universal values, conflicts between powerful countries over the competition for standard of civilization in the global South ar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It is also necessary to carefully observe whether Global South accepts the initiative proposed by China and competition between China and India over Global South.

      • KCI등재

        19세기 동아시아의 패러다임 변환과 한반도

        강상규 ( Sang Gyu Kang ) 한국사회사학회 2006 사회와 역사 Vol.0 No.71

        Diplomatic history is not a chronology of negotiations between international actors. Rather, it analyzes the actor``s mental structure or weltanschauung. In the 19th century there was a clash of two different world order what is called Chinese world order and modern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Paradigm shift of East Asia in the 19th century is the transformation from world order on the basis of ceremony to modern international order by a sovereign state. This means that a reversal of "standard of civilization" occurred from the viewpoint of East Asia. That granted, why the Korean intellectual wasn``t able to concentrate on ``rich state and strong army`` building? This article is to analyze what king of historical, psychological elements, and how disturbed Korean in their positive reception of the new paradigm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코리아, 러시아, 유라시아: 거대변동과 장기지속의 지정학

        김명섭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0 한국과 국제정치 Vol.26 No.1

        As a clashing point of civilizations in Northeast Asia, Korea has had a rapport with Eurasia that has a longue durée, as expressed by the term used in the French school of Annales. This paper reflects on how the Eurasian longue durée and its connectedness with Korea has expressed and persisted through three great epochal transformations in the Eurasian continent: the dominance of the Mongol Empire and the expansion of the Russian Empire; the fall of the Russian Empire followed by the preponderance of Soviets; and the disintegration of the Soviet Union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in 1989. Throughout the history of great transformations, Korea’s geopolitical proximity to Eurasia has been a major factor in shaping its own identity. On the occasion of the 20th year of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ussian Federation(the Soviet Union at the moment of signature), which restored the diplomatic relations closed in 1904, it is necessary for Korea, while trying to enhance her ties with the nomos of the Atlantic civilizaton, to mature her rapport with Eurasia, not limiting to economic diplomacy, resources diplomacy and North Korean nuclear diplomacy, but by discovering and reinventing a common Eurasian identity which has endured great transform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