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공지능 시대 새로운 상상력과 글쓰기 교육

        황정산 ( Hwang Jung-san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0 교양교육과 시민 Vol.2 No.-

        발전한 인공지능이 인간의 고유한 부분이라고 알려진 예술창작까지도 대신할 수 있을지, 만약 그렇다면 인공지능의 예술적 상상력은 인간의 상상력과 어떤 차이를 가지게 될 것인가? 그리고 인공지능이 발전된 상황 하에서 문학을 포함한 예술은 어떤 방식으로 존재해야 되는가? 최근 우리에게 충격을 준 인공지능의 발전은 약인공지능을 거쳐 강인공지능의 단계를 눈앞에 두고 있다. 강인공지능이 가능하면 곧 머지않아 인간을 능가하는 초인공지능도 등장하리라는 것이 많은 미래학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발전은 인간의 상상력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인공지능은 이미 음악과 미술 분야 등 예술 분야에서 상당한 성과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글쓰기에 있어서도 이러한 인공지능이 새로운 장애와 새로운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 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러한 시대에 새로운 글쓰기에 필요한 상상력이 무엇인지 고민해보고자 한다. 그 상상력의 가능성을 <컨택트>라는 영화에서 보여준 언어의 특성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러한 가능성을 기반으로 해서 새로운 글쓰기기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 Can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e a unique part of human artistic creation? Human imagination, human imagin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nstitute art, including man’s imagin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cent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shocked us has come to the st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a common opinion of many future scholars that it will soon be possible that superhuman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surpass human beings as soon as possible. This evolu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enable fundamental changes in human imagin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lready shown considerable achievements and possibilities in the field of art such as music and art. In literature, however, it is still at an early stage. It may be that literature is the language’s most advanced means of communicati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is literature shows the fundamental change of human imagination by artificial intelligence. I can imagine the possibility of the imaginatio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that I showed in the movie “Arrival”. It is a new imagination that allows us to look back on the world we live in, the fundamental reflection on that civilization, and the possibility of another life with the outward view of the world we live in.

      • KCI등재

        지능정보화와 새로운 문명 시대의 도래

        김문조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2

        The information revolution has gone through four stages: computerization, networking, flexibility, and ubiquity. However, the current stage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led by AI, has shown tremendous power that cannot be compared to the previous ones, leading human society to an unprecedented new era of civilization. This paper seeks to investigate the dynamics of the new civilization era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study of technology(SST) depend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chnological system and the social system. Based on the discussion centered on four themes, the origin, development,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the new civilization era,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reached. First, the new civilization era can be considered a product of the communication revolution, which is the social-technological version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2.0 called intelligent informatization. Second, when AI becomes as capable as natural intelligence, it will reach a state of ‘universal communication’ in which all beings in the world, both human and non-human,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new civilization era that has not been found in any other civilization stages in the past. Third, the media, which was only means or device to convey messages, is transforming from a tool to a pal by anthropomorphizing or personifying itself into a speaker. Fourth, in order to explore the future prospects of the new civilization era,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ntrol thesis and collaboration thesis based on the dualism of human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 alternative perspective of coevolution that can transcend the agnosticism expected from the fusion or convergence of the two should be added. 정보혁명은 전산화-연계화-유연화-전재화라는 네 가지 단계로 진행되어 왔다. 그런데 AI를 주축으로 정보혁명의 최신 단계는 종전의 것들과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막강한 위력을 발휘해 인류사회를 전대미문의 새로운 문명 시대로 인도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문명 시대의 동학을 기술체계와 사회체계의 상호작용에 입각한 기술사회론적 관점 하에 규명해 보고자 한다. 신문명 시대의 기원, 과정, 현황 및 향후 전망이라는 네 가지 논점을 중심으로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문명 시대는 지능정보화라는 정보혁명2.0의 기술사회적 버전인 소통혁명의산물로 이해된다. 정보화 과정의 궤적을 되돌아볼 때 업무자동화에 이어사회 각처를 거미줄처럼 이어주는 초고속 소통체제를 구축한 연결망 확충을 정보혁명의 중대 국면으로 간주할 수 있으나 최종적으로는 언제어디서 누구와든 실시간으로 교신할 수 있는 소통질서의 변모로 귀착된다. 이 때, 기술중심적 관점 대신 기술체계와 사회체계의 앙상블 효과에역점을 두는 기술사회론적 관점에서 최근 현실을 조명해보면 가장 특징적 현상으로 포착되는 것이 만인이 타자와 소식을 주고받을 수 있는 소통체계의 개방화이다. 이 같은 ‘소통혁명’이야말로 새로운 문명사적 전환을 추동하는 정보혁명2.0의 기술사회론적 원천인 것이다. 둘째, AI가 자연지능 못지않은 역능을 행사하게 되면 인간-비인간을 막론한 세상 모든존재들이 소통에 참여하는 ‘만유소통’ 상태에 도달해 지난 어떤 문명기에도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문명사회를 창개하게 된다. 셋째, 신문명 시대에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용구나 장치에 불과하던 미디어가 의인화・ 인격화하여 화자로 발돋움함으로써 사물로서의 매체가 ‘용구에서 친구’로변신하게 된다, 사물로서의 매체(媒體)가 화자(話者)로서의 ‘매자(媒者)’로 격상하는 이러한 과정은 생성형 AI의 최근 활약에서 역력히 감지할 수있다. 생성형 AI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기계 스스로가 데이터를기반으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콘텐츠와 같은 새로운 콘텐츠를 만든다. 즉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것이 생성형AI의 정의적 특성으로, 그것은 특정 지식을 주입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데이터 원본을 제공하고 나머지 부분을 예측하도록 유도해 심층학습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생성함으로써 생각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처럼 행세한다. 넷째, 신문명 시대의 미래를 전망하기 위해서는 인간지능과 인공지능의 이원론에 입각한 기존의 통제론이나 상생론 이외에, 양자의 혼융이나 융합이 야기하는 불가지성을 초극할 수 있는 대안적 통찰을 절실히 요청한다. 이에 관해서는 HI에는 기계지능인 AI의 개념적 지능 이외의 생기적 지능이 깃들여 있다는 주장에 근거해 HAI 복합적 지능의개발을 제의하는 공진화론이 최근 유력한 견해로 대두하고 있다.

      • KCI등재

        '특이점'의 도래와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

        최민자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40

        This paper aims to search for the possibiliy of a new civilization particularly in Donghak through understanding the ‘Singularity’ which is so called a great inflection point of human civilization. Since many scientists discern the impending Singularity and furthermore the whole range of our life will be irreversibly transformed due to its deep impact, a serious discussion of the ‘Singularity’ is needed. Singularitarians view most of the intelligence of our civilization will ultimately be nonbiological. However, since even the nonbiological intelligence will be derived from biological design, according to them, our civilization will remain human―indeed, in many ways it will be more exemplary of what we regard as human than it is today, although our understanding of humanity will move beyond its biological origins. To truly understand the Singularity inherently changes one’s view of life and one’s attitude toward life and therefore improves the ability to cope with this epoch. Since artificial intelligence signifies the very importation of collective consciousness of mankind, an ethical iss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to be accurate, an ethical issue of human being itself. Donghak’s Consilient thinking system enables us to solve fundamentally the dilemma of the eth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by providing impetus to maximize publicness. Donghak’s ‘hucheon-gaebyuk’ is ‘dasi-gaebyuk’ creating a new heaven and earth by way of the dialectic synthesis of spiritual/social gaebyuk, heaven and earth gaebyuk, leads us to the road to neohumanism, to a new civilization. 본 연구는 인류 문명의 대변곡점을 지칭하는 ‘특이점’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을 특히 동학에서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특이점이 임박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고 또한 그것이 우리 삶의 전 영역에 되돌릴 수 없는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특이점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 ‘특이점주의자’들은 미래 문명의 지능 대부분이 결국에는 비생물학적인 형태가 될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비생물학적인 지능은 생물학적 설계에서 파생되어 나올 것이기 때문에 인간성에 대한 이해가 생물학적인 기원을 넘어서긴 하겠지만 여러 가지 면에서 미래 문명은 현재보다 더 인간적인 전형이 될 것이라고 본다. 특이점을 완전히 이해하면 인생관이나 삶의 태도가 본질적으로 바뀌기 때문에 이 시기에 대한 대처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인공지능은 인류의 집합의식이 이입된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말하자면 인공지능 윤리 문제는 인간 자체의 윤리 문제다. 동학의 통섭적 사유체계는 공공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추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인공지능 윤리의 딜레마를 근원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동학의 후천개벽은 정신개벽과 사회개벽 그리고 천지개벽이 변증법적 통합을 이루어 새 하늘과 새 땅을 창조하는 ‘다시개벽’으로 새로운 휴머니즘의 길, 신문명의 길을 제시한다.

      • KCI등재

        디지털 문명과 AI, 그리고 청년들의 미래상

        최명원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科學 Vol.0 No.79

        This research is aimed at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how we perceive the issue of coexiste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age of digital culture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surveying students and analyzing their responses. At the top of the list of things that the respondents want to delegate to AI was housework, and many responded they wish to utilize time for self-development when AI works for them or spend time for leisure and entertainment. When asked to imagine their future 10 years from now,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ositive transformation through personal development versus a negative image reflecting their indolence and laziness. Based on such analysis, this research discusses how and on what purpose people will make use of their newly available time as AI’s jobs gradually replace our tasks. 디지털 문명과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시대에 우리가 인공지능(AI)과의 공존을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대하여 학생들의 의식을 묻는 설문을 진행하여 그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이 인공지능에게 가장 맡기고 싶은 일은 가사노동이며, 인공지능이 자신의 일을 대신할 때한편으로는 자기계발을 위한 시간,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휴식 및 오락의 시간을 가지고 싶다는 응답이 우세했다. 이를 토대로 10년 후의 모습을 그려볼 때, 응답자들은 개선된 자기 모습의 긍정적인 측면과 나태하고게을러지는 부정적인 모습으로 양분된 미래상을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이 대체해 줌으로 확보되는 시간은 어떻게, 어떤 목적으로 활용되는가에 대하여 논의하는 기회를 가져보았다.

      • KCI등재

        지식 축적과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인류 역사 모형

        권오성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5

        21세기 인류는 AI 실용 시대를 열어 가고 있다. 이제껏 인류는 산업 구조가 고도화 되어도 지식 생산의 추상 화 작업 만큼은 자신의 고유 영역이라 보았는 데 그 믿음에 의구심을 갖게 되었고, 이에 현대인은 인간과 기계 지능을 구분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구축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현대 인류의 정 체성을 과거로부터 축적한 지식의 결과라는 관점에서 살피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지구와 인류 출현으로부 터 시작하는 “단계별 지식 축적 방식의 변화” 라는 역사 모형으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이 분석 모형의 1 단계 는 지구 상에 인간 지능 출현까지의 “DNA 지식 축적” 이다. 2단계는 스스로 지식을 생산할 수 있게 된 인간의 생물학적 지능에 의한 “문명 지식 축적” 과정이다. 현재는 3단계로 분류되며 AI 기술을 이용한 “기계적 지식 축 적”단계로 진입하고 있다고 보았다. 본 논문은 인류 역사를 이러한 단계별 지식 축적 모형으로 제안하며 관련한 논의를 기술하였다. Humanity in the 21st century is ushering in an era of practical use of AI. Until now, even though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advanced, mankind has seen that the abstraction of knowledge production is only their own domain, but they have doubts about that belief.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identity of modern human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ult of knowledge accumulated from the past. These discussions were summarized and presented in a historical model called “Changes in the way of accumulating knowledge step by step” starting from the emergence of the earth and mankind. The first stage of this analytical model is the “accumulation of DNA knowledge” until the emergence of human intelligence on Earth. The second stage is the process of “accumulating civilized knowledge” by human biological intelligence, which has become capable of producing knowledge on its own. It is currently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and it is considered that it is entering the stage of “accumulating mechanical knowledge” using AI technology. This paper proposes human history as such a step-by-step knowledge accumulation model and describes related discussions.

      • KCI등재

        이미지와 텍스트 - 영화를 통한 영시교육

        조성란(Sungran Cho)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07 영미문학교육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edagogical model for teaching English poetry in conjunction with the cinema. This pedagogical method of using cinema to teach English poetry is a heuristic, student-centered approach, similar to the reader-response theory of reading, or Paolo Freiri"s" problem-posing method of teaching. By experiencing how poetry is used in the movies, students can learn and experience how poetry can be used in real life. In conjunction with the film, the poetry can become a powerful tool for English education, also.<BR>  In this paper, I categorize the films Dead Poets Society and Dangerous Minds with the theme of "self-reliance," and study Walt Whitman"s poems "Song of Myself 52," and Dylan Thomas"s poem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from the movies. I compare pedagogical methods in these movies since their social settings are different while the pursuit of "self-reliance" ethic is the same. Under the theme of "technology and human civilization," I study the film A.I.,: Artificial Intelligence along with Yeats" poem "The Stolen Child" from the movie. In the film, the poem plays an important role, revealing the theme of the movie which is to criticize the in-humanity of technology. By the same token, the movie enhance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poem. Applying this method of using the films to teach English poetry in class-room proves it a powerful tool to teach English, English poetry, as well as culture.

      • KCI등재

        르 클레지오의 단편들에서의 낙원 탐색

        김성(Sung KIM) 프랑스학회 2017 프랑스학연구 Vol.0 No.83

        Ce que Le Clézio poursuit à travers son travail est un retour au paradis. Le paradis artificiel construit par la civilisation moderne et urbaine sépare et aliène l homme de la nature. Le vrai paradis qu il pense veut dire notre paradis perdu ou` nous pouvions communiquer avec la nature en vivant comme une partie de la nature. Dans le paradis artificiel de la ville moderne, nous nous trouvons sur les cycles quotidiens de répétition infinie ou` il arrive l aliénation, la violence, le désir et la frustration. En s’en sortant d’atmosphe`re sombre et délirante, l’on peut en arriver a` la récupération du paradis, à l âge d or d’enfance possible de communiquer avec la nature Ses protagonistes ne sont pas en mesure de s adapter à la vie urbaine uniformément. Leurs différentes évasions sont un voyage pour réaliser un rêve de retrouver le paradis perdu. C est le but constant de son écriture. Ainsi, les récits le cléziens nous montrent obstinément la poursuite de retrouver le paradis de l âge d or par l’accord et la communion avec la nature. Alors notre étude a pour but de suivre le trajet de la fuite et le retour par les deux nouvelles fort contrast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영어의 한글 표기 및 그 리듬과 운율의 분석적 연구

        정원수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2 No.-

        This paper examines the rhythm structure of English by analyzing the rhythm and prosody of about 30 simple English sentences that elementary students first learn. If you define what rhythm is, rhythm repeats it regularly in groups with a certain tempo of beats of long and short sounds. is the flow of sound. The intonation of this rhythm is often called "prosody" in linguistics. In other words, when words, phrases, or sentences are spoken, rhymes and accents, which change their meanings, are placed on syllables, creating a natural rhythm and prosody. English is written in Roman letters, but if you write English syllables in Korean alphabet, you can grasp the dynamic accent structure of English that forms rhythms and rhymes as stress is allocated. You can write [f] as 'ㆄ', [v] as 'ㅸ', and [l] as 'ᄙ ᅠ' as consonants in English but not in Korean. In addition, the English word for thoracic interdental friction [ð] can be written as “ㅼ,” and the “silent interdental friction” [Ɵ] as “ꥢ ᅠ.”And the English vowel [ʌ] can be written as 'ᅟ ힹ' and [ɔ] can be written as '‘' or 'ᅟ ᅿ'. In English, there are many {jangki} and {bueong} as ‘two-beat rhythms’ and rarely rhythms called {ori}. As for the three-beat rhythm, {eagles}, {wild goose} and {pigeon} appear a lot, and in rare cases, {lark}. As for the four-beat rhythmic form, {egrets}, {ebbs} and {pigeon dove} appear frequently, and sometimes a rhythm called {white bird}. The horned rhythm of the five-beatt rhythm often includes {tiger tail}, {white-tailed eagle}, {gray goose}, {ternary gull}, and {eagle owl}. In addition, the rhythm of {chick}, which is a one-beat accompaniment rhythm, and {butterfly}, which is a `` two-beat accompaniment rhythm, '' often appears. The process of creating a kind of rhythm is very interesting. Many types of rhythms appearing in English, depending on how the 'first accent' or 'second accent' is placed on one of the syllabic beats that make up the rhythm. Transformation into various types of prosody, such as {medium and solid}, {medium and medium solid}, {medium and low solid state}, {medium solid}, {weak and solid solid state}, {lightning type} and {wave form}. In general, one rhythm form is allocated to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ccents. 이 논문은 초등학교 학생들이 처음 익히는 초급 수준의 짤막한 영어 문장들 약 30개룰 리듬, 운율 분석하면서 영어의 운율구조가 어떠한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리듬’이 무엇인가를 정의 내린다면, 리듬은 ‘길고 짧은 소리(박(搏)=beat)가 모여 이루어진 박자(拍子= time. meter, foot)가 일정한 템포를 지닌 채 무리를 지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소리의 흐름’이다. 이 리듬에 억양(intonation)이 얹힌 것을 언어학에서는 대체로 ‘운율’(prosody)이라고 부른다. 즉, 단어나 구절, 문장의 발화시, 그 의미를 변화시켜 주는 운소(성조, 강세, 음장)가 음절에 얹히면 인간의 언어는 자연스러운 ‘리듬’과 ‘운율’이 생성된다고 하겠다. 영어는 로마자로 표기되는 언어이지만, 한글로 영어를 음절식 표기를 하게 되면 강세가 배당되면서 리듬과 운율을 형성하는 영어의 다이내믹한 억양 구조를 잘 파악할 수 있다. 영어에는 있고 한국어에는 없는 자음으로 [f]를 ‘ㆄ’으로, [v]를 ‘ㅸ’으로, [l]을 ‘ᄙᅠ’로 적을 수 있다. 또한 th로 표기되는 영어의 ‘유성 치간 마찰음’ [ð]을 ‘ㅼ’으로, ‘무성 치간 마찰음’ [Ɵ]을 ‘ꥢᅠ’으로 적을 수 있다. 그리고 영어의 모음 [ʌ]는 ‘ᅟힹ’로, [ɔ] 는‘ ᅟᅶ’ 또는 ‘ ᅟᅿ’로 적을 수 있다. 영어에는 주로 ‘2박 한박자 리듬꼴’로는 {장끼}, {부엉}이 많이 나타나고 드물게 {오리}라는 리듬꼴도 나타난다. ‘3박 한박자 리듬꼴’로는 {독수리}, {기러기}, {비둘기}가 많이 나타나고 드물게 {종달새}라는 리듬꼴도 나타난다. ‘4박 한박자 리듬꼴’로는 {해오라기}, {쇠뜸부기}, {집비둘기} 등이 많이 나타나고 가끔 {흰물떼새}라는 리듬꼴도 나타난다. 간간히 ‘5박 한박자 리듬꼴’로 {호랑지빠귀}, {흰꼬리수리}, {회색기러기}, {제비갈매기}, {수리부엉이} 등이 나타나는데, {노랑할미새}라는 리듬꼴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1박 반박자 리듬꼴’인 {닭}과 ‘2박 반박자 리듬꼴’인 {나비}라는 리듬꼴도 자주 나타나는데, 이 ‘반박자 리듬꼴’은 선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한박자 리듬꼴’들과 함께 다양한 종류의 ‘한박자반 리듬꼴’을 만드는 과정이 매우 흥미롭다. 영어에 나타나는 많은 종류의 리듬꼴들은 그 리듬꼴을 구성하는 음절박(syllabic beat) 어느 하나에 ‘제1강세’나 ‘제2강세’가 어떻게 얹히는가에 따라, {두고형}, {약두고형}, {중고형}, {약중고형}, {중저형}, {미고형}, {약미고형}, {번개형}, {물결형} 같은 다양한 종류의 운율형으로 변신한다. 그리고 대체로 하나의 ‘리듬꼴’에는 제1강세나 제2강세 중 어느 하나의 강세만 배당되는 것이 원칙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