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MCN 기업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과 무형식학습활동의 매개효과, 지식공유풍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판쇼페,황명호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4 국제경영리뷰 Vol.28 No.1

        모바일 인터넷의 빠른 발전과 스마트폰의 보편화로 사용자들이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및 문화 콘텐츠를 접하는 시간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틱톡(抖音), 위챗(微信), 콰이쇼우(快手) 등 다양한 단편형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다중채널 네트워크가 성장하며 지속적인 변화와 함께 급성장하고 있다. 중국의 MCN은 소셜플랫폼 기반의 콘텐츠형, 쇼트클립 플랫폼 기반의 왕홍 모델, 전자상거래 플랫폼 기반의 '왕홍 라이브 다이훠(带货)' 등 단계 발전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조직 내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으로 조직지원인식, 무형식학습활동의 매개효과를 조사하며, 이 과정에서 조직 내 지식공유풍토의 조절효과의 영향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국 MCN 기업이 경영 및 혁신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접근 방법과 인적자원관리 전략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가설 1인 “중국 MCN기업에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기업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경로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중국 미디어 기업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은 경로계수=0.233, t=2.911, p=0.004<0.01로 나타나 채택 되었다. 둘째, 연구가설 2인 “중국 MCN기업에서 조직지원인식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혁신행동의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작용할 것이다.”를 검증한 매개효과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조직지원인식을 통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간접 영향과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p<0.001)를 보였다. 셋째, 연구가설 3인 “중국 MCN기업에서 무형식학습활동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혁신행동의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작용할 것이다.”를 검증한 매개효과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무형식학습활동을 매개로 하여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p<0.001)를 보였다. 넷째, 연구가설 4인 “지식공유풍토는 조직지원인식과 혁신행동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작용할 것이다.”를 검증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세 번째 단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지식공유풍토의 상호작용 항을 추가했을 때, 설명력은 20.3%로 증가했으나, 상호작용 항의 값이 –0.525(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연구가설 5인 “지식공유풍토는 무형식학습활동과 혁신행동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작용할 것이다.”를 검증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세 번째 단계에서 무형식학습활동과 지식공유풍토의 상호작용 항을 추가한 결과, 설명력은 20.7%로 증가하였고, 상호작용 값이 0.803(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무형식학습활동과 지식공유풍토 간의 상호작용이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접근은 중국 MCN 기업이 경영 및 혁신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방법과 인적 자원 관리 전략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obile Internet and the generalization of smartphones, the time users spend accessing mobile entertainment and cultural content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in China, multi-channel networks are growing and rapidly growing with continuous change through various short-story streaming platforms such as TikTok (微信), WeChat (快手), and Kwai Show (抖音). MCN in China went through a stage of development such as social platform-based content type, short clip platform-based Wanghong model, and e-commerce platform-based Wanghong Live Daihu (带货).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members in the organiz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with the mechanism, and in this proces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knowledge sharing climate within the organization is to be examined together.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strategic approache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to improve management and innovation performance of Chinese MCN companie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that verified the research hypothesis 1, “In Chinese MCN companies,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corporate members.“ Hypothesis 1 that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of Chinese media companie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was adopted as a path coefficient = 0.233, t = 2.911, and p = 0.004<0.01. Second, the research hypothesis 2, “In Chinese MCN companies,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will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that verified, the indirect influence process in which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leads to innovative behavior through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p<0.001). Third, the research hypothesis 3, “In Chinese MCN companies,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will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that verified, the influence of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Four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at verified the research hypothesis 4, “Knowledge-sharing climate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In the third step, when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the knowledge-sharing climate was adde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to 20.3%, but the value of the interaction term was -0.525 (p>.05),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at verified the research hypothesis 5, “Knowledge-sharing climate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innovative behaviors.“ As a result of adding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knowledge-sharing climate in the third step, explanatory power increased to 20.7%, and the interaction valu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803 (p<.05), confirming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knowledge-sharing clim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is approach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strategic method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for Chin...

      • KCI등재

        학습마을활동가의 일터 무형식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송성숙 한국공공사회학회 2022 공공사회연구 Vol.12 No.2

        This study in-depth explored the workplace informal learning experiences of learning village activists. To do this, four Learning Village activis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December 2021 through activity log,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itiation as a learning village activist showed 'entering the workplace with the active support of the family' and 'encountering with oneself inherent in the workplace'. In the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at work, 'colleague activists are a source of learning', 'professional mentors are a repository of knowledge', and 'wisdom learned from the lives of residents' appeared. From the growth and change of learning village activists, ‘growth through continuous learning’, ‘be born again as an expert with a sense of mission’, and ‘construction of a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to learn and share’ appeared. In conclusion, learning village activists were growing together with villagers through various informal learning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village activities. This can be used as a basis for learning village activists to engage in workplace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promote the growth of residents and change of villages. 본 연구는 학습마을활동가의 일터 무형식학습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마을 활동가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21년 3월부터 12월까지 활동일지 및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학습마을활동가로의 입문은 ‘가족의 적극적인 지지로 일터에 입문’, ‘일터에서 내재된 자신과 조우’가 나타났다. 일터에서의 무형식학습 경험은 ‘동료 활동가들은 학습의 원천’, ‘전문가 멘토는 지식의 보고’, ‘주민들의 삶에서 배우는 지혜’가 나타났다. 학습마을활동가의 성장과 변화는 ‘지속적인 학습으로 성장하기’, ‘사명감을 지닌 전문가로 거듭나기’, ‘배우고 나누는 실천학습공동체 구축’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습마을활동가는 마을활동 수행과정에서 다양한 무형식학습 경험을 통해 마을주민과 함께 성장하고 있었다. 이는 학습마을활동가들이 주민의 성장과 마을의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일터 무형식학습 활동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보험설계사의 무형식학습 활동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과 정서적 몰입의 다중매개효과

        배을규,이수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이 연구는 보험설계사가 인식하는 무형식학습 활동,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정서적 몰입 그리고 직무성과를조사하고 무형식학습 활동과 직무성과에 대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정서적 몰입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에 위치한 A보험회사 소속 보험설계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85부를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11부를 제외하고 총 274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유효자료율: 96.1%).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험설계사가 인식하는 무형식학습 활동,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정서적 몰입, 그리고 직무성과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험설계사가 인식하는 무형식학습활동은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험설계사가 인식하는 사회적네트워크 접근성과 정서적 몰입은 무형식학습 활동과 직무성과의 관계를 다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보험설계사의 무형식학습 활동,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정서적 몰입 그리고 직무성과의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보험설계사의 무형식학습 활동,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촉진 및 직무성과의 향상을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SNA) and affective commitment (A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y (ILA) and job performance (JP) for insurance sales forces. For doing so,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insurance sales forces from A life insurance corporation located in Incheon Korea, 285 piec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nd 274 piec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surance sales forces' ILA, SNA, AC, and JP had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insurance sales forces' ILA did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P. Third, insurance sales forces' SNA and AC had multipl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LA and JP.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increase insurance sales forces' ILA, SNA, AC, and JP in their workplace.

      • KCI등재

        방과후학교 강사의 무형식 학습 활동과 학습 전이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조절 효과

        배을규,최영선,최지영,김대영 한국성인교육학회 2014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7 No.3

        이 연구는 방과후학교 강사의 무형식 학습 활동과 학습 전이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조절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무형식 학습 활동, 학습 전이,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제공하고, 방과후학교 강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hoi(2009)의 무형식 학습 활동, Hatala(2009)의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이도형(1995)의 학습 전이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인천 지역 방과후학교 강사 91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46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59.7%) 그 중 493개의 응답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유효 자료율: 53.9%). 분석 결과, 무형식 학습 활동, 학습 전이,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은 상호 정적인 상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형식 학습 활동이 학습 전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은 무형식 학습 활동의 하위 변인 중 타인과의 학습과 학습 전이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무형식 학습 활동, 학습 전이 및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방과후학교 강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transfer in the after-school teachers. This study surveyed after-school teachers in Incheon region from October 10, 2012 to November 2, 2012, so that 493 of them was gotten as valid data. The survey instrument was composed of three main parts measuring the level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and learning transfer of the respondents, including demographic information part.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formal learning activity had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mong after-school teachers. Second,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learning transfer among after-school teachers. Especially, of three variables of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learning with other person was only variable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learning transfer. Based up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after-school teachers’ expertise and enhance the quality of after-school education.

      • KCI등재

        일학습병행 이수자의 개인-직무 적합성,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의 관계: LMX에 의한 조건부 과정 분석

        김대영,이형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LMX)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son-job fit(PJF), protean career attitude(PCA),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y(ILA) for Korean work-learning dual system completers. Survey respondents were Korean work-learning dual system completers(Kim et al., 2018) and 380 data were used for testing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JF has a positive effect on ILA. Second, PCA has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PJF and ILA. Third, LMX has moderated mediating effects among PJF, PCA and ILA. When the LMX increases one point, the effect of PJF on PCA increases by about 0.122 point, on ILA increases by about 0.047 poi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PJF on ILA through PCA increases by about 0.052 point. Based upon these results, this study derives som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career development for Korean work-learning dual system completers. 본 연구는 일학습병행 이수자가 인식하는 개인-직무 적합성,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의 영향 관계, 그리고 LMX에 의한 조건부 과정(조절된 매개 효과)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김대영 외(2018)에서 수집된 자료 중 일학습병행을 이수한 380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학습병행 이수자가 인식한 개인-직무 적합성은 무형식 학습 활동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프로티언 경력 태도를 경유하여 간접적으로도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LMX는 개인-직무 적합성이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무형식 학습 활동에 각각 미치는 직접 효과, 그리고 프로티언 경력 태도를 경유하여 무형식 학습 활동에 미치는 간접 효과를 모두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LMX가 한 단위(1점) 증가하면 개인-직무 적합성이 프로티언 경력 태도에 미치는 조건부 효과는 약 0.122 증가하고, 무형식 학습 활동에 미치는 조건부 (직접) 효과는 약 0.047 증가하며, 프로티언 경력 태도를 경유하여 무형식 학습 활동에 미치는 조건부 간접 효과는 약 0.052 증가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학술적 논의와 일학습병행 이수자의 경력개발 효과성 향상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상사의 학습지원 및 학습문화의 관계

        박현주,김진모 한국인력개발학회 2018 HRD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relationship among informal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leaders’ learning support and learning culture in large corporations.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employees of large-sized corporations in Korea. After screening the data, 259 respon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uch as frequency,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F-test.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n, to identify the mediator effect, bootstrapping analysis was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rkers of large corporations’ level of informal learning outcome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were higher than normal. Also workers of large corporations’ level of informal learning outcome was affected by position. Seco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nformal learning outcome. Third external learning motivation, leader’s learning support, internal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culture in regular order had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informal learning outcome. Fourth, informal learning activity had positive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informal learning outcome, internal learning motivation, external learning motivation, leaders’ learning support and learning culture. Lastly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상사의 학습지원 및 학습문화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무형식학습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무형식학습을 무형식학습 활동과 무형식학습 결과로 구분하였으며, 내재적 학습동기, 외재적 학습동기, 상사의 학습지원 및 학습문화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대기업 근로자이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인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식학습 활동은 무형식학습 결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재적 학습동기, 상사의 학습지원, 내재적 학습동기, 학습문화 순으로 무형식학습 결과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학습동기, 외재적 학습동기, 상사의 학습지원 및 학습문화는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하여 무형식학습 결과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IT중소기업 구성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조절 효과

        배을규,박상오 한국기업교육학회 2018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IT중소기업 구성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과 적응수행의 관계에 대한 학습 민첩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무형식 학습 활동, 적응수행, 학습민첩성의 관계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제공하고, IT중소기업 구성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Choi(2009)의 무형식 학습 활동, Bedford(2011)의 학습민첩성, 한태영 (2005)의 적응수행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 IT중소기업 구성원 485명을 대 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50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2.8%) 그 중 불성 실한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11부를 제외하고 43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유효자료율: 97.6%).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T중소기업 구성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적응수행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T중소기업 구성원의 학습민첩성은 무형식 학습 활동과 적응수행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IT 중소기업 구성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 적응수행 및 학습민첩성의 관계에 대한 학문적 논의와 무형식 학습 활동, 적응수행 및 학습민첩성 제고를 통한 IT중소기업 구성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rning ag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adaptive performance in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IT companies. This study surveyed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IT companies in both Seoul and the Gyeonggi region from March 13, 2017 to March 28, 2017. Survey instrument consisted of the level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Choi, 2009), learning agility(Bedford, 2011), and adaptive performance(Han, 2005) of the respondents, in addition to demographic information. Data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is article were the following: First, informal learning activity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daptive performance among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IT companies. Second, learning agility exhibite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adaptive performance among these employees.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employees’ expertise of small and medium-sized IT companies.

      • KCI등재

        중소기업 근로자의 상사-부하 교환관계(LMX), 무형식학습 활동, 경력몰입의 구조적 관계 연구

        황성준,이진구 한국기업교육학회 2020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der-member exchange (LMX), career commitment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among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SM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system among 400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However, 319 out of 400 survey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 excluding 81 data that did not meet the standards of SM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as an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LMX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ormal learning activity. Second, the effect of LMX on career commitment was positively significant. Third, informal learning activ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ommitment. Finally, informal learning activit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LMX and career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본 연구는 중소기업 근로자를 연구의 대상으로 설정하여, 상사-부하 교환관계(LMX), 무형식학습 활동, 경력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중소기업 재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중소기업기본법 제 2조 1항의 기준을 충족하는 응답 319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 였다.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MX는 무형식학습 활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LMX가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무형식학습 활동은 경력몰입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LMX와 경력 몰입 사이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 결과는 중소기 업의 환경에서 상사-부하 교환관계와 무형식학습 활동이 구성원의 경력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연관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적 관계를 토대로 중소기업에서는 구성원의 경력몰입을 향상시키 기 위해 상사-부하 교환관계와 무형식학습 활동을 제고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S생명 보험설계사들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김두남 ( Du Nam Kim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18 휴먼웨어 연구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S생명 보험설계사들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S생명 보험설계사 23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험설계사들의 셀프리더십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험설계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은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보험설계사의 셀프리더십은 무형식 학습 활동에 긍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무형식학습 활동은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보험설계사들의 직무만족을 통한 경영성과제고를 위해 보험설계사들의 셀프리더십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무형식학습 활동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S life insurance financial consultants. To do thi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31 S life insurance financial consult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leadership of financial consultant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financial consulta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e self-leadership of financial consultant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were analyz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conclusion, it can be suggested that financial consultants should provide an education program for self-leadership of financial consultants in order to improve their managerial performance through job satisfaction of financial consultants and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can be performed well.

      • KCI등재

        평생교육사의 직무 특성과 조직 몰입의 관계에 대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 효과

        배을규,강선희,김대영,김추강 한국성인교육학회 2016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lifelong educato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00 lifelong educators of public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in capital area. 336 piec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nd all of the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ifelong educator’s informal learning activity incompletely mediated relationship with affective commitment in skill variety and feedback among sub-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Second, lifelong educator’s informal learning activity completely mediated relationship with task significant and affective commitment. Third, lifelong educator’s informal learning activity has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and negative effect on continuous commitment. Based up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promote lifelong educator’s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이 연구는 평생교육사의 직무 특성과 조직 몰입의 관계에 대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Hackman과 Oldham(1976)의 직무 진단 도구, Choi(2009)의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 측정 도구, Allen과 Meyer(1990)의 조직 몰입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수도권 지역의 공공 평생교육 기관에 재직 중인 평생교육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36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67.2%), 모든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평생교육사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기술 다양성과 정서적 몰입, 피드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사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과업 중요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사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속적 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사의 조직 몰입 향상을 위해서는 평생교육사가 인식하는 직무 특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하고, 무형식 학습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평생교육사의 직무 특성, 무형식 학습 활동 및 조직 몰입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제공하고, 평생교육사의 무형식 학습 활동 활성화 및 조직 몰입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