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학을 나무란 농부>계 설화의 다층적 전승 양상과 그 의미 -‘무학이 같이 미련한 소’ 모티프의 전승력 점검을 겸하여

        이지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3

        본고는 <무학을 나무란 농부>의 ‘한양터를 잡는 이야기’(<왕십리>형)・‘경복궁 궁궐을 짓는 이야기’(<학터>형)와, 이들 구조를 바탕으로 생겨난 여러 설화가 있음에 주목하여 이들을 <무학을 나무란 농부>계 설화로 명명하면서 이들이 다층적으로 전승하는 실상과 그 의미를 살피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본고에서 논의된 중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무학을 나무란 농부>의 두 유형은 동일한 서사구조를 보여준다. 그리고 두 유형에 나오는 ‘무학이 같이 미련한 소’(꾸지람) 모티프는 서사의 핵심요소이자 전승을 가능하게 흥미소가 된다. 이어서 <무학을 나무란 농부>의 구조와 꾸지람 모티프를 수용하여 생겨난 여러 개별 유형 자료들을 <장수를 나무란 농부>(a)와 <명당터를 깨우쳐준 농부>(b)로 크게 대별하였다. 전자(a)는 <왕십리>형에 보이는 ‘국사에 관여하여 원조하는 신령의 원조담’의 성격을 지녔고, 후자(b)는 <학터>형에 보이는 풍수담의 성격이 강하다. 다음으로, <무학을 나무란 농부>계 설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첫 작업으로, 이야기 속의 역사적 사실들이 실제 역사와 어떻게 부합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은 실제 역사적 진실에 근거를 둔 역사적 사실(史實)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이 설화는 임란 이후 무학의 재평가, 풍수도참적 풍조 등에 따라 생겨났으며, 전통 민간신앙의 ‘노인’ 모티프가 민중의 역사적 상상력과 함께 활용되어 무학전설에 대한 반란의 형태로 꾸며졌다. 이어서, <무학을 나무란 농부>계 설화의 다층적으로 전승하는 의미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우선 정교한 형태의 유형구조를 추출하고 이를 ‘전승력이 강하면서 자기복제가 가능한 구조’라 하였다. 그리고 이것은 꾸지람 모티프, 노인과 주인공의 상호 문답 등과 결부되어 수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개별 유형들의 상호관계를 1) ‘국사에 관여하는 신령의 원조담’의 성격이 강한 <왕십리>형 계통의 이야기들, 2) ‘풍수담’의 성격이 강한 <학터>형 계통의 이야기들로 나누어 대비하였다. 그리하여 몇 가지 기준을 설정하여 각 유형들의 서사 및 내용의 차이를 변별해내고 이를 도식화하면서 유형간 변모 양상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왕십리>형에서 출발한 <무학을 나무란 농부>가 <학터>형을 파생시키고, 그리고 두 유형의 내용적 특징에 따라 인물과 사건이 바뀌면서 많은 개별 유형이 만들어져 <무학을 나무란 농부>계 설화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무학을 나무란 농부>가 수많은 변이형 설화를 만들어내는 근본적인 이유로서 인물전설이 지니는 역사성과 문학성을 고려하여 ‘민중들의 반역사적인 유쾌한 상상력’을 거론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ransformational process of various folktales related to <Farmer who scolded 'Muhak(無學)'> from original versions, and also explores the meaning of these folktales. I can summarize the main findings as below : 1. Folktales related to <Farmer who scolded 'Muhak'> can be classified into two subtypes - Wangsimni(往十里) (type A) and Hakteo (type B). The two versions share basically the same story line, have the same characters, and have the scene where the farmer scolds 'Muhak'. However, they have different main events. 2. There are several folktales that borrowed the core story structure from the original version. I grouped them into <Farmer scolded the warrior> (type a) and <Farmer who enlightened the location of Myeong Dang(明堂)> (type b), and found that types a and A are similar and so are types b and B. 3. Events in the stories are not based on reality but on literal imagination. 4. <Farmer who scolded 'Muhak'> was originally created after Imjin-waeran(壬辰倭亂). Based the story on traditional narratives, people added their history identity to create the folktale. 5. Folktales of <Farmer who scolded 'Muhak'> have unique structural features that are sophisticated and complete. This structure is strong in self-reproduction, thereby being able to produce similar folktales. In addition, motif of scolding also makes this folktale easier for folks to remember and put it on stage.

      • KCI등재

        조선시대 무학 별설론(武學別設論) 연구

        박종배 ( Jong Bae Park ) 한국교육사학회 2014 한국교육사학 Vol.36 No.4

        조선시대에는 ‘무관 양성을 위한 무학(武學)을 별도의 학교로 설립해야 하느냐?’라는 무학 별설문제를 두고 논란이 전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크게 조선 전기와 선조 28년(1595) 무학 창설 이후의 두 시기로 나누어 ‘무학 별설론’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의 무학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선 전기의 경우, 세종·세조대에 박아생(朴芽生)과 양성지(梁誠之, 1415-1482)가 무학 별설론을 제기하였다. 이시기 무학 별설론자들의 핵심 주장은 훈련관(訓練觀)에 병가(兵家)의 공자(孔子)라 일컬어지는 강태공(姜太公)의 사당인 무성왕묘(武成王廟)를 설립하자는 것이었다. 문무병중(文武幷重)의 원칙에 따라, 묘학(廟學)의 구조를 갖춘 성균관·향교의 제도를 준용하여 훈련관에 무묘를 설립함으로써 훈련관을 명실상부한 무학으로 발전시키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별설론자들의 이러한 주장은 무묘를 별도로 건립하면 ‘공자는 문(文)을 전업(專業)으로 하고, 태공은 무(武)를 전업으로 한 것이 되어 문무일체(文武一體)의 도에 어긋난다.’는 반대론에 부딪혀 실현되지 못한다. 무학이 창설되는 선조대이후에도 무학 설치령 직후의 성여신(成汝信, 1546-1632)과 18세기 중반의 이익(李瀷, 1681-1763) 등에 의해 무학 별설론이 다시 제기되는데, 그것은 선조대에 창설된 무학이 애초 별설론자들이 구상하던 무학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 차이는 바로 별설론자들이 무학교육의 근본으로 강조하였던 무성왕묘가 설립되지 않은 것이었다. 유형원(柳馨遠, 1622-1673)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문무의 도는 본래 둘이 아니고, 학교도 두 종류가 있을 수 없다.’는 무학 별설 반대 논리가 여전히 우세했던 것이다. 이를 통해 보면, 조선 후기의 무학은 별설론자들이 지향하던 또 다른 트랙 의 학교로서의 ‘무학당(武學堂)’이라기보다는 별설 반대론자들이 주장하는 연병(鍊兵)의 장소로서의 ‘연무청(鍊武廳)’에 가까운 성격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Should establish martial arts school(武學) for educating military officers separately, or not?” was one of the important educational problems in Chosun period. In this study, I reviewed the discourses on the separate establishment of martial arts school in Chosun period divided into two chapters, the early Chosun period and the late Chosun period after King Seonjo who first ordered the creation of martial arts school in 159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presentatives of pro-martial arts school in the early Chosun period were Park A Saeng(朴芽生) and Yang Seong Ji(梁誠之). They claimed the establishment of temple enshrining and worshiping Jiang Tai Gong(武成王廟) in Hulreonguan(訓練觀) modelled after the martial arts school built in China’s Song Dynasty period. But the anti-martial arts school said the separate establishment of martial arts school would lead the Confucian school to be divided into two kinds of school each of them specializing in literary and martial art. Despite the separate foundation of martial arts school in 1595, the debate was not finished. The pro-martial arts school such as Seong Yeo Sin(成汝信) and Lee Ik(李瀷) still claimed the establishment of martial arts school and the temple enshrining and worshiping Jiang Tai Gong. This fact suggests the martial arts school in late Chosun period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mere military training place, not the another temple school(廟學) what pro-martial arts school really wanted.

      • KCI등재

        읍지(邑誌)에 나타난 조선 후기의 무학(武學)

        박종배(Park, Jong Bae) 교육사학회 2016 교육사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여지도서(輿地圖書)』를 비롯한 조선시대의 관 · 사찬(官私撰) 읍지(邑誌)와 문집, 고문서, 고지도 등을 통해 조선 후기 지역별 무학(武學) 현황에 대해 살펴 보았다. 무관(武官) 양성을 목적으로 무예와 병서를 강습하는 교육기관으로서의 무학은, 유학(儒學) · 잡학(雜學) 교육기관과 함께 조선시대 교육체제의 한 축을 이루었다. 비록 불완전한 검토이기는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선조 · 인조 연간의 무학 설치령 이후 전국 각지에 설립된 33곳(충청도 14곳, 강원도 2곳, 평안도 1곳, 경상도 13곳, 전라도 3곳)의 무학당(武學堂)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평안도 성천의 무학장(武學長)과 경상도 안동의 무학제독(武學提督), 대구와 경주의 무학교수(武學敎授), 상주의 무제독(武提督) 등 다양한 명칭을 가진 무학교수(武學敎授)의 배치도 확인하였다. 이밖에 평안도의 이산, 삭주, 의주의 무학청(武學廳)과 양덕의 무청(武廳), 그리고 전라도 제주와 정의의 무학청 등을 비롯한 여러 유사기구와 평안 · 함경 지역에서 특히 많이 발견되는 무묘(武廟) 등에 대해서는 향후 무학당과의 관련성을 보다 면밀히 검토해 나갈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status of Muhak(武學) especially the martial arts schools of late Chosun period through surveying the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the town chronicles including Yeojodoseo(輿地圖書), collections of works, old manuscripts and maps etc. Martial arts schools, a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raining millitary officers through teaching martial atrs and books on military strategy, was an integral part of national education system of Chosun period. Though the investigation in this study is incomplete, I identified thirty three places of martial arts schools nationwide. And I assured the existence of the directors of martial arts schools in Pyeongan and Gyeongsang provinces. In addition to these, I raised the necessity to discuss the possibilty that many similar organizations such as Muhakcheog(武學廳: office for martial arts sudents) and martial temples founded a lot in Pyeongan and Hamgyeong provinces chould be regarded as martial arts schools.

      • KCI등재

        전승담을 통해 본 무학 형상의 층위와 그 의미

        김승호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2 No.-

        The story of Monk Muhak was generally believed to be embracing the motif of finding a good place, but it was necessary to reveal the level of the storytellers and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behind it because the main character's appearance is diverse. In the story, Muhak is divided into various shapes, but here it is narrowed down to a good place seeker, a mysterious monk, a cultural hero, and a filial son to examine the appearance of Muhak and its meaning. A person who finds a good place is a representative image found in all the stories of Monk Muhak. He has a unique eye for saving the king's city and setting the palace and the sacred place. However, the subjects of the story that is handed down are those who should be helped by the traditional god. The mysterious figure of a Buddhist monk in Muhak appears simultaneously among Buddhists and the people. Although Muhak is a young chief monk, his insight is to recognize fires in remote areas and protect Buddhist monks and cultural assets in crisis. Among the stories of Muhak, we often see stories of adopting mythological motifs and borrowing the life form of heroes. They have created a cultural hero who overcame the hardships of his early years and finally ascended to the status of a king. The tales collected near the birthplace of Muhak focus on Muhak as a filial son. Unlike holy and aristocratic beings by helping the king's duties with good place seeker discrimination in national stories, in local tales, shamanism turns into a popular young man who loves his mother. It should not be considered that the outward appearance of ignorance simply illuminates the profession, identity, and class. Only when a review of the factors surrounding the myth of the story, such as the period of formation of the story, the region being passed down,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storytellers, is made first, will the meaning of various statues of shamanism be clearly revealed. 무학전승은 대체로 풍수담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무학의 형상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 그 층위와 그 이면에 담긴 전승층의 의식, 사회, 문화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전승 속 무학은 다양한 像으로 분화되지만 본고에서는 風水家,神僧,文化英雄, 孝子로 좁혀 무학의 형상과 그 의미를 살폈다. 풍수가는 전기, 전승에서 동시에 확인되는 무학의 대표적 心象이다. 그는 남다른 안목으로 정도지를 구하고 궁, 성터를 정하는 활약상을 보인다. 하지만 구비전승의 주체들은 전통 신격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는 모자란 풍수장이로 그 위신이 추락하고 만다. 무학의 신승적 면모는 불가와 민가에서 같이 동의한 형상으로 어린 상좌임에도 초인의 눈썰미로 먼 곳의 화재를 알아채고 위기에서 사중과 불보를 지켜내게 된다. 무학전승 중에는 신화소를 채택하고 영웅의 일생 형식을 차용해가는 각편들이 적지 않다. 이들은 초년의 고난을 극복하고 마침내 왕사의 지위에 올라서는 문화영웅의 면모를 드러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하겠다. 무학의 탄생지 인근의 전승은 무학의 효행적 자취를 수습하는데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광포 전승담에서 뛰어난 풍수 감별력으로 왕업을 도모하고 성스럽고 상층 지향적인 모습을 보여준 것과 달리 지역 고사 속 무학은 가난 속에서도 모친 봉양에 정성을 다하는 민중 친화적 인물로 나타난다. 무학의 형상은 단순히 직업, 신분, 계층만을 표지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곤란하다. 전승시기, 전승지역, 전승집단의 의식 등 무학전승을 에워싸고 있는 이야기의 형성 인자들에 대한 검토가 선행될 때만 무학의 다양한 浮彫가 지닌 의미가 선명히 드러날 것이다.

      • KCI등재

        仁王山寺와 無學大師

        황인규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2 No.-

        본고는 서울 內四山 가운데 하나인 인왕산의 역사와 산내의 사찰들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仁王山은 漢陽을 진호하는 內四山 가운데 하나로 조선왕조가 개창된 후 한양이 국도로 부각되면서 부터이다. 그 이전에는 西山(右白虎) 또는 歧峯으로 불리었지만 한양정도직후에 仁王寺가 창건되면서 인왕산이라고 불렸다. 仁王이란 말은 불교의 金剛力士라는 뜻이다. 한양이 국도로 선정된 후 右白虎에 머물고 말았으나 무학자초를 계승하였다고 생각되는 광해군대 고승 性智도 王氣가 있는 땅이라고 하여 중요시하였다. 무학자초는 한양의 案山이자 랜드마크인 木覓山 神祠인 國祀堂에 모셔져 백성들의 추앙을 받았다.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목멱신사가 무학자초가 중요시 하였던 인왕산에 이전되었다.인왕산에는 여러 사찰들이 창건되었을 것이나 현재 확인되는 사찰은 몇몇 사찰에 지나지 않는다. 산 정상의 福世庵과 그 밑의 仁王寺· 金剛窟· 尼社(尼舍)· 羅漢堂· 內願堂 등의 사찰이 있었음이 확인되지만 연산군대에 이르러 대부분 철거되었다. 인왕산의 사찰 가운데 특히 주목되는 사찰은 인왕사와 내원당이다. 아마도 왕사 무학자초의 문도로 추정되는 祖生이 內願堂 監主와 仁王寺 住持를 겸직하면서 스승 무학에 이어 한양건설에 참여하였고 당대 왕실원찰인 興天社 주지를 역임하였다. 그리고 인왕산에는 내원당이 창건되어 한 때 왕실불교의 보루가 되었고 尼社(尼舍)가 건립되어 도성내 淨業院과 더불어 등 왕실여성의 불교중심도량이었다. This paper observes the history of Mt. Inwang, one of four mountains surrounding Hanyang(漢陽), and buddhist temples built in it. Mt. Inwang is one of four mountains that people believed defended Hyanyang. Since establishment of Chosun dynasty, Hanyang became known as the capital of Chosun. Hanyang was also known as Seosan(西山) or Gibong(歧峰) well before Chosun dynasty, but it got its name since Chosun moved its capital to Seoul and built Inwang-Temple in it. Inwang(仁王) means Kumkang- yeksa(金剛力士) in buddhist.Since Hangyang was selected as capital, it was only remained as a branch of a mountain range(右白虎). Great monk Seongji(性智) who is considered as a heir of Moohak(無學) also considered seriously Hanyang as a land that has a strength to make a king. Moohak was held in high esteem by the people after enshrined in Guksadang(國祀堂) which is a Sinsa(神祠; a shine) of Mt. Mokmyuk(木覓山) that is a landmark and as a opposite mountain of Mt. Inwang.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insa(神祠; a shine) of Mt. Mokmyuk was moved to Mt. Inwang where was very significant to to Moohak.Perhaps many temples were built in Mt. Inwang during Chosun dynasty, but only few could survived because of the policy that pay respect to Confucianism and suppress Buddhism. It could be verified that Bokseam(福世庵) in the peak of mountain and Inwang-Temple, Kumkanggul(金剛窟), Buddhist nun’s temple(尼舍), Nahandang(羅漢堂) and Naewondang(內願堂) etc. were remained but most of that was demolished under the rule of Yeonsangun(燕山君).Among of the buddhist temples in Mt. Inwang, Inwang-Temple and Naewondang especially pay one's attention. Josaeng(祖生) who was considered as a disciple of Moohak, a buddhistic teacher of king, had positions as the head priest of Naewondang and Inwang-Temple. And also he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Hanyang, the capital of Chosun dynasty, along with Moohak and was consecutively occupied the chief monk of a Buddhist temple, Heongcheonsa(興天社) that was buddhist temple for the royal family.Naewondang(內願堂) in Mt. Inwang became a center of Buddhism of royal family. And Buddhist nun's temple(尼舍) and Jeongupwon(淨業院) that was placed in the palace also became a center of temples for buddhist women.

      • KCI등재

        한양 정도(定都) 전승담의 종교·이념적 맥락과 의미 : 무학(無學)의 심상(心象)과 등장인물의 기능을 중심으로

        김승호 ( Kim Seung-ho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4

        본고는 개성에서 한양으로의 천도이야기에 반영된 종교·이념적 성격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무학설화로 병칭될 정도로 정도지(定都地) 물색담은 무학을 축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그의 주위에 종교·이념적 색채를 달리하는 인물들을 등장시키고 있다는 특성이 드러난다. 따라서 무학 못지않게 주변 인물들, 가령 의상·도선·산신·산신령·정도전·하륜 등의 심상과 기능을 살피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무학 앞에 출현하는 의상·도선(불가)·산신령·노인(민속신앙)·정도전·하륜(유가)은 정도지 물색에 나선 무학에게 조언자 혹은 비판자로 양분된다. 의상과 도선은 앞선 시기의 명풍승으로 비기(祕記)를 통해 간접적으로 한양 점정지(點定地)를 지정해줄뿐더러 무학을 불가 풍수의 적자임을 확인 시킨다. 산신령은 무학의 점정 오류를 지적한 후 터를 직시해줌으로써 민속신격의 택지안목이 우위에 있음을 확인시킨다. 정도전과 하륜은 무학의 점정지에 거부하는 것은 물론 불가 풍수의 맹점을 거론하며 사류(士類)의 안목으로 터를 획정(劃定)한다. 등장인물의 기능은 정도지 찾기를 두고여러 전승집단의 이해와 입장을 돌출시켜주고 있다. 그 점에서 한양 정도담을 무학전승, 혹은 단순한 풍수담의 영역에만 귀속시킬 수 없다. 한양정도담은 각 종교이념을 대변하는 인물들이 무학에게 훈수를 주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풍수적 우위성을 드러내게 되는데 그것은 혼재하는 제 종교·이념 사이에서 정체성과 존재감을 드러내고자 하는 욕구와 무관치 않다. The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ligious and ideological nature of the story that occurred when the capital was moved from Kaesong to Hanyang.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has been mixed with the story of Master Muhak, but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is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Muhak, a Buddhist monk, even though it is a national project. It also reveals the characteristic of placing people around it who have different religious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tory are revealed when looking at the images and functions of the surrounding characters, such as costumes, doseon, mountain god, mountain spirit, Jeong Do-jeon, and Ha-ryun as well as martial arts. Those who confront the ambassador are not randomly assigned figures. Uisang Ambassador, Doseon Ambassador (Buddhism), Sansin Spirit, Older People (people's faith), Jeong Do-jeon, and Ha-ryun (Confucianism) are found to be responsible for advising or critical functions of Muhak Ambassador, who is searching for the right amount. Ambassador Uisang and Doseon are excellent acquaintances of the preceding period, and through secret books, they indirectly designate the capital location and confirm that Muhak is a representative of the Buddhist community. The mountain god not only points out the error in finding the site of shamanism, but also confirms that he has a good eye for folk beliefs by finding a new monastery. Jeong Do-jeon and Ha Ryun not only reject the decision of shamanism, but also point out the weak points of finding a place in Buddhism, and decide the position of the godfather. Focusing on the character's function reveals that various speakers' understanding and positions are being expressed over the capital's location. In that respect, it is not appropriate to attribute the story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new capital to the story of shamanism, or simply to the search for a good place. The purpose of this type of story is to reveal the identity of various religions, ideologies, and the presence of each group on the task of finding a good place for the people representing each religious ideology to teach Muhak.

      • KCI등재

        조선 건국초 무학의 興法과 奠都

        황인규(Hwang, In Gyu) 한국불교연구원 2022 불교연구 Vol.56 No.-

        본 연구는 태종과 세종대 불교 탄압시책 이전인 조선 건국초 왕사 무학의 興法과 奠都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무학은 이성계의 탄신일에 왕사로 책봉되어 그의 스승 지공이 터를 잡고 스승 나옹과 함께 흥법하고자 했던 양주 회암사에 머물렀다. 무학은 회암사에서 태조의 권유에 따라 계룡산의 지세를 살피는데 동행하였으나 “능히 알 수 없다.”고 하여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하고 회암사로 돌아왔다. 무학은 그 후 1년여 동안 고려의 국도였던 개성에 머물면서 고려말 숭유억불운동의 도화선이 되었던 연복사의 탑을 낙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고려 태조 왕건이 희사해 지은 개성 광명사에서 불사를 주관하는 등 흥법을 펼쳤다. 이는 후에 이성계로 하여금 흥덕사를 한양에 창건하게 하였다고 생각되며, 흥덕사는 교종의 도회소가 되기에 이른다. 그런 후 양주 회암사로 가서 스승 지공과 나옹의 탑명을 새기고 불교계의 조파를 새롭게 확정하여 『불조종파지도』를 편찬하였다. 이렇듯 무학은 나옹을 중심으로 하는 법계를 정립하여 불교계의 재편을 꾀하였다고 생각된다. 그 후 국도 후보 터가 제기되었지만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후보지인 고려의 남경 터나 그 일대인 무악과 한양의 지세를 살피는데 참여하였다. 무악의 지세를 살필 때 무학의 의견은 알려진 바 없으나 남경의 터에서는 “도읍을 정할 만하다.”고 하면서도 신료들의 의견을 따라 결정하라고 하였다. 비문에 의하면 이성계가 무학에게 “세상 사람들의 터 잡는 것이 도사의 눈만 하겠는가.”라고 하였으며, 무학은 계룡산과 한양 등 국도 후보지의 지세를 살필 때 이성계와 함께 하였다. 이렇듯 무학은 한양을 국도를 선정하는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Buddhist Act of monk Muhak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before the suppression of Buddhism in the king Taejong and Sejong eras. Monk Muhak was ordained a royal priest on Lee Seong-gye s birthday and stayed at Hoeamsa Temple in Yangju, where his teacher Jigong established a foundation and, together with his teacher Naong, wanted to promote Buddhism. Monk Muhak accompany him to check the topography of Gyeryongsan at Hoeamsa Temple according to king Taejo s recommendation, and inspected the shape of the land. After that, monk Muhak stayed in Gaesong, the capital of Goryeo for about a year, and completed the pagoda of Yeonboksa Temple, which was the beginning of the suppression of Buddhism at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This is thought to have caused Lee Seong-gye to build Heungdeoksa in Hanyang, and Heungdeoksa became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of Buddhism. After that, monk Muhak went to Hoeamsa Temple to commemorate his teachers, monk Jigong and monk Naong, and tried to reorganize the Buddhist world centered on them. After that, the site of the capital was raised, but among them, the site of Namgyeong of Goryeo and the surrounding areas of Muak and Hanyang were investigated. Monk Muhak said that it was difficult to know the shape of the land of Muak, but the site of Namgyeong said that it was “worthy of making it a capital,” but told him to decide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his servants. As in the inscription, monk Muhak always followed Lee Seong-gye when he toured around Gyeryongsan and Hanyang. Seonggye Lee told monk Muhak, “Monk Muhak is the best in selecting the site of the land.” said. Judging from these records, it can be said that monk Muhak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election of the capital of Joseon.

      • KCI등재

        무학대사(無學大師) 한양(漢陽) 정도(定都) 설화의 의미와 서울의 상징성 - 왕십리 기원담, ‘서울 학터’담, ‘석왕사 해몽담’을 중심으로 -

        이종주(Lee, Jong-joo)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5 No.-

        이 글은 무학대사 설화가 조선의 건국과 서울정도의 의미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 살핀 것이다. 왕십리 유래 이야기, 서울 학터 이야기(서울이 학터, 학의 몸체라는 의미임), 해몽이야기(석왕사 기원담)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왕십리 유래이야기는, 서울은 신령이 점지한 땅이라는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밭 가는 노인은 신성한 신령이기도 하고, 농부의 옷을 입은 백성이기도 하다. 이름 없는 백성도 새로운 국가 수도 결정에 참여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백성들에게 신비감과 자부심을 부여하는 것이다. 학터형 이야기는 왕십리 이야기의 주제를 반복하면서, ‘서울은 고귀하다’라는 의미와, 학처럼 천년을 지속될 나라임을 강조한다. 그리고 학의 몸통인 대궐보다 날개인 성을 먼저 쌓으라는 밭 가는 농부의 깨우침은 세 번째 주제를 드러낸다. 그것은, 지배자인 왕이나 지배세력보다 백성의 거처와 안전을 우선해야 한다는 민본주의였다. 무학은 이성계의 아버지에게 왕이 될 명당을 알려주고, 왕이 될 운명을 해석해 주고, 서울을 정해주고, 민본주의적 이념을 제시하였다. 무학은 신령의 대행자로서, 조선 건국의 총 연출자였다. 무학 관련 민담은 백성들의 새 왕조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표현하고 있다. 학은 무학 관련 민담에서 조선 건국과 서울의 상징으로서 민본주의를 의미하였다. 그런데, 학은 조선조 학자들의 시, 미술, 음악, 춤 등에서 주제로 등장하면서, 모방체현의 대상이었다. 서울시는 이러한 학의 의미를 오늘날에 맞는 문화 상징으로 재창조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The article studies the way how the folktale of Muhak had great effect on founding the Joseon Dynasty and furthermore the capital, Hanyang. To illustrate this points, it is to illustrate the folk tales such as the origin of Wangsimni, the Seoul Hakteo, the site of crane shaping the body of a crane, and the dream of the rafters in relation with the origin of the temple, Seokwangsa. The origin of Wangsimni stressed Seoul as the land blessed by the Divine Spirit. The old farmer in the folktale played the role as both the spirit and the people in farmer clothes. It demonstrates that the common people also had taken part in founding the new capital. Thus, it had given the people the sense of mystery and the self-respect. The story of Hakteo is thematically similar to that of Wangsimni, and meaningly stresses that ‘Seoul is noble’ and the nation will last 1, 000 years as long as the crane does. Furthermore, the farmer suggested that it would be better to build first a castle serves as a metaphor for the wing of the crane, and next the royal palace, the body of the crane. His recognition illuminates another theme that the house and safety of the people should be prior to that of the king and the ruling power. In other words, it reflects the vision of the people first. Muhak had informed the father of Yi Seong-gye that he was destined to be a king, and then indicated him the good location to be king, Moreover, he not only had designated the location of capital, Seoul, but also educated the ideology of the people first. It follows that as an agent of the Divine Spirit, Muhak had played a crucial role in founding the Joseon Dynasty. These points of view also suggest that the people earnestly had looked forward to being founded a new dynasty. The crane as the symbol of Joseon’s founding and Seoul in folk tales also demonstrates the vision of the people first. To be sure, the crane has mainly treated as a representative thematic subject in poems, art, music and dance created by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Furthermore, it is to be hoped that the Seoul government will reinterpret and recreate the crane as a cultural symbol in modern sense.

      • KCI등재

        소주 ‘좋은데이’ 생산 기업 ㈜무학의 탄생 배경

        송성권(Sungkeun Song),정대율(Dae-Yul Jeong),김진수(Jinsu Kim) 한국경영사학회 2023 經營史學 Vol.105 No.-

        ㈜무학은 경남을 대표하는 소주인 ‘좋은데이’를 생산ㆍ판매하는 기업이다. 이 기업의역사는 고 최위승이 마산양조장을 인수하여 1965년에 무학양조장을 설립한 시점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무학양조장은 제일제당의 판매대리점에서 출발한 최위승이 대흥상사를 통해 축적한 자본을 기반으로 설립한 기업이다. 이는 국내 최초의 소주 생산 자동화 라인을도입하고, 주정배정제의 기회를 통해 경남에 있던 대부분의 소주 생산 및 판매 회사를 인수한다. 현재 ㈜무학의 초대 회장 최위승은 2022년 6월 2일에 세상을 떠나고, 1994년대표이사로 취임한 그의 둘째 아들 최재호가 기업을 경영하고 있다. 소주 ‘좋은데이’ 생산기업 ㈜무학의 탄생 배경은 최위승의 일대기와 그 맥을 같이하며, 이는 기업과 지역이 함께 성장을 보여주는 우수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최위승은 생존 시 단순 봉사직인 마산상공회의소 회장 및 대한적십자사 경남지사장 역임한다. 또한, 그는 지역사회 인재양성 기여 및 기업이윤의 사회 환원에 목적을 둔 무학장학재단을 수립한다. 많은 사람으로부터받은 혜택을 갚기 위한 그의 노력에서 우리는 기업가로서 꼭 갖추어야 할 지역사회 봉사정신을 배울 수 있다. ㈜무학의 탄생과 발전 경위는 학회에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이며, 경남의 대표적 경영인에 대한 기업가사를 조명하며, 향후 후속 연구를 불러올 수 있다는점에서 학술적으로 그 의미가 크다. Muhak Co., Ltd. is a company that produces and sells ‘Good Day’, a soju representative of Gyeongnam. The history of this company dates back to the time when the late Wiseung Choi took over Masan Brewery and established Muhak Brewery in 1965. Muhak Brewery was founded by Wiseung Choi, who started out as a sales agent for CJ, with capital accumulated through Daeheung Trading Company. It introduces Korea's first automated production line and acquires most of the soju production and sales companies in Gyeongnam through the opportunity of the alcohol allocation system. Wiseung Choi, the first chairman of Muhak Co., Ltd., passed away on June 2, 2022, and his second son Jaeho Choi, who took office as CEO in 1994, is running the company. While alive, Wiseung Choi serves as the president of the Masa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and the Gyeongnam branch of the Korean Red Cross, which are simple volunteer positions. In his efforts to repay the benefits received from many people, we can learn the spirit of community service that entrepreneurs must have.

      • KCI등재

        조선시대 三和尙(지공ㆍ나옹ㆍ무학)의 위상과 추념

        황인규 한국정토학회 2017 정토학연구 Vol.27 No.-

        본고는 여말선초기에 활동하였던 지공․나옹․무학 삼화상의 위상과 추념을 다룬 연구이다. 지공과 나옹은 여말선초 당대부터 부처의 화신 혹은 생불로 불렸으며 무학은 이성계의 왕사요, 나옹의 적통이었다. 이들의 문도가 조선전기 불교계를 주도하였으며, 조선후기 산중불교 시대에도 대표적인 고승으로 추앙되었다. 나옹과 무학이 승보도량인 송광사의 16국사와 더불어 18주지에 올랐을 뿐만 아니라, 삼화상은 불교의식에 있어서 최고의 증명법사로 신앙 되었으며, 진영도 최고의 삼화상 도량인 회암사를 비롯하여 전국에 봉안되어 추념되었다. 삼화상은 임란 후 국가재조운동이 전개되면서 성조 이성계의 위상이 제고되었으며, 무학의 위상도 더불어 부상하였으며, 무학의 스승 지공과 나옹도 삼화상의 함께 하였다. 이렇듯 지공․나옹․무학은 조선시대, 나아가 불교계의 최고의 삼화상 으로서 추념되었다. This paper is for the study dealing with status and tribute of the three great masters, the reverend Jigong, Naong, and Muhak, who worked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and the early period of Joseon Korea. Since the time, from the late period of Goryeo and the early period of Joseon, the reverend Jigong and Naong had been called as the incarnation of Buddha and the living Buddha. And the reverend Muhak was the teacher for the King, Lee Seong'gye, and in the lineage of the reverend Naong. Their schools mainly led the buddhist world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Korea and were admired as the representative high priests also in the time of Mountain buddhism, the late period of Joseon Korea. The reverend Naong and Muhak were not only nominated as the eighteen abbots with the sixteen national teachers of the Song'gwang monastery, the place of Three Jewels, but the three great masters were also admired as the buddhist dharma teachers whenever the buddhist rituals were performed. Moreover their portraits were placed and worshiped nationwide including the Hoe'am monastery, the best place of the three great master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movement of reconstructing the nation was developed and the status of the King Seongjo, Lee Seong'gye, was reviewed again. Simultaneously the status of the reverend Muhak was also re-explored with the his teacher Jigong and Naong together. As the best three great masters, Jigong, Naong, and Muhak became the figures for admiration and tribute in the Joseon Korea and the buddhist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